KR960000300B1 - 급유장치 - Google Patents

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300B1
KR960000300B1 KR1019930002448A KR930002448A KR960000300B1 KR 960000300 B1 KR960000300 B1 KR 960000300B1 KR 1019930002448 A KR1019930002448 A KR 1019930002448A KR 930002448 A KR930002448 A KR 930002448A KR 960000300 B1 KR960000300 B1 KR 960000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money
oil supply
outputting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2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1544A (ko
Inventor
아끼후미 가나모리
마사루 가와베
마사루 다까바야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메카트로닉스
다쓰노 히로미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메카트로닉스, 다쓰노 히로미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 메카트로닉스
Publication of KR930021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1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급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급유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급유소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급유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장치의 동작중 회계관리장치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제5도는 본 발명장치의 동작중 급유기구에 있어서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급유장치 2 : 급유기구
3 : 회계처리장치 4 : 표시기
9 : POS 21 : 화폐감별수단
24 : 카아드판독·기입수단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선불에 의한 급유를 가능하게 하는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급유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일정한 금액을 투입하면 급유장치가 급유가능한 상태로되어, 급유 종료후에 청산을 행하여 거스름돈을 방출하는 기구를 갖추운 급유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특공소 49-36440호 공보)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하면 청산업무를 간소화 할 수 있는 반면, 거스름돈에 필요한 다종류의 잔돈을 방출할 수 있는 현금지불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발명이 해결하고져 하는 과제]
그러나, 이와 같은 모든 경화까지 방출가능한 거스름돈 방출장치는 극히 고가이기 때문에 장치의 원가를 끌어올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거스름돈 방출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최소단위의 거스름돈을 지불할 수가 있는 신규의 급유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입된 화폐를 감별하여 투입금액을 출력하는 화폐감별수단과, 삽입된 키아드로부터 읽어낸 금액을 출력하여 송신되어 온 금액을 카아드에 적어넣은 카아드판독·기입수단과, 상기 카아드판독·기입 수단으로부터의 금액과 상기 화폐감별 수단으로부터의 합계 전불금액을 산출하여 그 금액을 출력하는 가산수단과를 보유하는 회계처리장치와; 송신되어 온 금액을 기억하여 급유종료시에 기억되어져 있는 금액을 출력하는 금액기억수단과, 유량펄스발신기로부터의 유량신호와 단가기억수단으로부터의 단가신호에 의해 급유금액을 연산하고 급유종료시에 금액을 출력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금액과 상기 금액기억수단에 기억된 금액과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였을 때에 급유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과를 보유하는 급유기구와; 로서 구성되어 있다.
[작용]
급유개시에 앞서서 투입된 화폐에 금액과 또 삽입된 판상기억매체(카아드등)의 금액과의 합계금액을 산출하여, 급유대금이 이 합계금액내가 되도록 급유량을 제어한다. 급유대금이 상기 합계액을 채우지 못하기전에 급유가 종료한 경우에는 거스름돈의 금액을 상기 판상기억매체에 써넣고서 정산을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잔돈의 주고받기에 필요한 일손을 생략할 수가 있다. 즉, 본원은 거스름돈을 직접 손님에게 내어주는 것이 아니라 손님이 소지하고 있는 판상기록매체에 그 액수만큼을 기록하여 주게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급유설비의 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면중 부호(1)은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이며, 도로에 면해서 설치된 차량의 입구와 출구와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각각 급유기구(2)와 회계관리장치(3)로서 구성되어 있다.
급유장치(1)를 구성하고 있는 급유기구(2)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즐(10)과, 노즐(10)이 노즐걸이(11)에 걸려진 것을 검출하는 노즐스위치(12)와, 펌프모우터(13)에 의해 구동되는 급유펌프(14)와 이것의 토출구에 접속된 유량계(15)와 유량을 펄스신호로 변환하는 유량펄스발신기(16)와 유량계(15)의 토출구에 접속된 전자밸브(17)와 급유량을 표시하는 표시기(18)로서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어수단(A)에 의하여 그의 동작이 제어되고 있다.
또한, 회계관리장치(3)는 화폐감별수단(21), 투입된 화폐의 금액이나 후술하는 카아드의 금액을 표시하는 표기시(4) 급유조선을 확인한 것을 지시하는 인지버튼(22), 전표를 발행하는 프린터(23) IC 카아드나 자기 카아드등의 판상기억매체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해 내기도 하고, 또 이것에 거스름돈의 액수를 써넣은 카아드에의 판독·기입(기록)수단(24)을 갖추어서 후술하는 제어수단(B)에 의해서 그의 동작이 제어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수단 A[(30)∼(38)]와 제어수단 B[(26)(28)(29)]는 급유개시시에 판상기억매체에 격납된 데이터로부터 확인된 잔금과 화폐감별 수단에 의해 확인된 투입금액과의 합계액을 산출한 후 급유종료 후에 급유대금과 상기 합계액과의 차액(거스름돈)을 판상기억매체에 기억(데이터로서 저장)시키도록 제어하는 본 발명의 제어수단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중 부호(9)는 사무소(8)에 배치된 POS(판매시점관리)를 나타낸다.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부호(2)는 급유기구를, 또 부호(3)은 회계관리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회계관리장치(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수단(B)의 가산수단(26)은 화폐감별수단(21)에 의하여 판정과 금액과 카아드 판독·기입(기록)수단(24)에 의하여 판상기억매체로부터 판독된 금액과의 합계를 연산해서 표시기(4)에 표시하는 것과 함께 이 금액을 송신수단(28)을 개재해서 급유기구(2)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부호(22)는 확인버튼으로서, 고객이 기호의 선택등 급유조건을 확인하고 노르면 송신수단(28)을 작동시켜서 고객이 투입한 금액등의 데이터를 급유기구(2)로 출력시키는 것이다. 수신수단(29)은 급유가 종료했을때에 급유기구(2)로부터 송신되어서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것을 프린터(23)나 카아드판독기입수단(24)으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다음에 급유기구(2)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유기구(2)에는 3개의 급유계통이 있으나 그의 하나를 대표해서 설명하면 제어수단(A)의 게이트수단(30)은 수신수단(31)을 개재하여 받은 회계관리장치(3)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개방된 이후 급유가능한 상태를 설정하는 것이다. 즉, 게이트(30)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노즐스위치(12)가 ON이 되면 유량펄스발신기(16)로부터의 유량펄스를 적산하는 계수수단(32)을 0으로 복귀시키고 또 펌프모우터(13)를 작동시키고, 또한 밸브(13)를 개방시켜서 통상의 급유준비체제로 된다. 부호(33)은 연산수단으로서 계수수단(32)에 의하여 구하여진 급유량과 단가기억수단(34)의 단가데이터와 세율기억수단(35)의 세율과에 의해 현재의 급유량과 일치하는 합계청구금액을 산출하여 표시기(18)에 표시하는 것이다.
부호(36)은 비교수단으로서 연산수단(33)에서 연산된 합계청구금액과 수신수단(31)을 개재하여 보내져온 합계전불금액(투입금액과 카아드잔액의 합계)을 기억하고 금액기억수단(37)의 금액과를 비교하여 일치한 시점에서 밸브(17)을 잠그게 하고, 또 펌프모우터(13)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부호(38)은 송신수단으로서 연산수단(33)에서 산출된 고객이 지불하여야 할 급유대금과 금액기억수단(37)에 격납되어 있는 전불금액을 노즐스위치(12)로부터의 OFF의 신호에 의하여 POS(9)나 회계관리장치(3)로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한 장치의 동작을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계통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입장한 손님은 차량이 존재하지 않은 급유장치(1) 앞으로 차량을 진행시키고 판상기억매체(카아드등)를 카아드판독·기입수단(24)에 삽입한다(제4도, 스텝 가). 카아드판독·기입수단(24)에 의해 판독된 금액, 예를 들면 235원은 가산수단(26)을 개재하여 표시기(4)에 출력되어서 표시된다(제4도 스텝 나). 이 금액으로 소망량의 급유가 불가능한 경우는 추가의 요금, 예를 들면 5,000원을 화폐감별수단(21)에 투입하면(제4도 스텝 다), 가산수단(26)이 화폐감별수단(21)으로부터 출력된 금액과 카아드판독기입수단(24)으로부터의 금액과의 합계를 산출하고 이 합계금액 5,235원을 표시기(4)에 표시한다(제4도 스텝 라). 이들 조건이 고객에 의해 확인되어서 확인버튼(22)이 눌려지면(제4도 스텝 마), 이들의 데이터는 송신수단(28)으로부터 급유기구(2)로 송신된다(제4도 스텝 바).
이 단계에서 급유기구(2)의 노즐걸이(11)로부터 노즐(10)을 떼어내면, 노즐스위치(12)가 ON으로 되어(제5도 스텝 가), 회계관리장치(3)로부터의 데이터가 수신수단(31)에 의해 수신되어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제5도 스텝 나).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게이트(30)가 개방되어 있어 노즐스위치(12)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계수수단(32)에 기억된 전회의 급유량이 소실되어서, 표시기(18)가 0으로 복귀하고, 또 밸브(17)를 열고 다시 펌프모우터(18)를 작동시킨다(제5도 스텝 다). 또, 데이터가 입력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제5도 스텝 나), 그대로 동작을 종료하고 선불금의 투입을 기다린다.
급유레버가 당겨져서 급유가 개시되면, 유량펄스발신기(16)로부터의 유량펄스가 계수수단(32)에서 적산되어서 표시기(18)에 현재의 급유량이 표시된다(제5도 스텝 라, 마). 급유중에 있어서 비교수단(36)은 연산수단(33)에 의해 연산된 금액과 금액기억수단(37)에 격납되어 있는 선불금액과를 상기 비교하여(제5도 스텝 자), 선불금액보다도 적은 요금의 단계에서 급유가 정지되어서 노즐스위치(12)가 OFF로 되면(제5도 스텝 바), 밸브(17)가 닫혀지고, 또 펌프모우터(13)가 정지된다(제5도 스텝 사). 이 단계에서 기억수단(37)에 격납되어 있는 선불금액 및 연산수단(33)에 의해서 연산된 급유금액등의 급유데이터는 송신수단(38)에 의해서 회계관리장치(3)로 송신되고 동시에 전송회선을 개재하여 POS(9)로 전송된다(제5도 스텝 아).
소정량의 급유가 종료하여 급유기구(2)로부터 급유데이터가 수신수단(29)에 의해서 수신되면(제4도 스텝 사), 이 급유데이터에 의거하여 거스름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아드판독 기입수단(24)에 의하여 이 액수가 판상기억매체(카아드)에 써넣어지고(데이터 정보로서 기억), 기록이 종료한 시점에서 판상기억매체를 방출하고, 동시에 프린터(23)에 의하여 전표를 발생한다(제4도 스텝 아). 이것에 의하여 거스름돈을 화폐에 의하여 정산하는 수고를 생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급유도중에 있어서 급유량이 금액이 금액기억수단(37)에 격납되여 있는 금액과 일치하면(제5도 스텝 자), 밸브(17)가 닫혀서 급유를 강제적으로 정지시키는 동시에 펌프모우터(13)를 OFF로 하고(제5도 스텝 차), 필요에 따라서 「선불된 금액의 급유가 끝났읍니다.」등의 표시를 알리도록 행한다. 이것에 의해 노즐(10)이 노즐걸게(11)에 되돌려지고 노즐스위치(12)가 OFF로 되면(제5도 스텝 카), 급유데이터는 회계관리장치(3) 및 POS(9)로 전송된다(제5도 스텝 아).
이 경우에는 판상기억매체에 격납되여 있던 금액도 다 써버렸으므로 카아드판독 기입수단(24)에 의해 판상기억매체의 금액란에 0을 써넣는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입된 화폐를 감별하는 수단과 거스름돈등의 데이터가 격납된 판상기억매체의 판독기업수단과, 급유개시시에 상기 판상기억매체의 데이터 및 상기 화폐감별수단의 금액의 합계액을 산출하고, 또 급유종료 후에 급유대금과 상기 합계액의 차액을 상기 판상기억매체에 써넣는 제어수단과를 비치한 것으로서 급유종료 후의 정산에 있어서 거스름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거스름돈의 액수로서 판상기억매체를 갱신할 뿐으로서 정산작업이 종료되기 때문에 고가인 금전방출장치를 필요로 함이 없이 급유작업에 종사하는 인력을 적게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투입된 화폐를 감별하여 투입금액을 출력하는 화폐감별수단(21)과, 삽입된 카아드로부터 읽어낸 금액을 출력하여 송신되어온 금액을 카아드에 적어넣는 카아드판독·기입수단(24)과, 상기 카아드판독·기입수단으로부터의 금액과 상기 화폐감별 수단으로부터의 합계 전불금액을 산출하여 그 금액을 출력하는 가산수단(26)과를 보유하는 회계처리장치(3)와; 송신되어 온 금액을 기억하여 급유종료시에 기억되어져 있는 금액을 출력하는 금액기억수단(37)과, 유량펄스발신기(16)로부터의 유량신호와 단가기억수단(34)으로부터의 단가신호에 의해 급유금액을 연산하고 급유종료시에 금액을 출력하는 연산수단(33)과, 상기 연산수단에서 연산된 금액과 상기 금액기억수단에 기억된 금액과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였을 때에 급유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36)과를 보유하는 급유기구(2)와; 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
KR1019930002448A 1992-04-03 1993-02-22 급유장치 KR9600003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12244 1992-04-03
JP4112244A JPH05278794A (ja) 1992-04-03 1992-04-03 給油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1544A KR930021544A (ko) 1993-11-22
KR960000300B1 true KR960000300B1 (ko) 1996-01-04

Family

ID=1458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2448A KR960000300B1 (ko) 1992-04-03 1993-02-22 급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278794A (ko)
KR (1) KR9600003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0670B2 (ja) * 2001-07-18 2010-08-11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流体供給装置及び流体供給方法及び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5451206B2 (ja) * 2009-06-23 2014-03-26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セルフ給油所決済装置及びセルフ給油所決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78794A (ja) 1993-10-26
KR930021544A (ko) 1993-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0906A (en) Automated fuel pump controlling system
US5572004A (en) Method for paying for services and/or good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US5602745A (en) Fuel dispenser electronics design
US71214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storing and controlling the dispensing of a payout
US48705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money orders
CA2160496A1 (en) Electronic funds acceptor for vending machines
US4894784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oney orders
KR960000300B1 (ko) 급유장치
AU598723B2 (en) Liquid delivery and accounting systems
JP3077997B2 (ja) セルフサービス方式の給油所システム
JP3895577B2 (ja) 燃料供給システム
JP3322287B2 (ja) 給油装置
KR100294761B1 (ko) 셀프주유자동결제시스템
JP3702967B2 (ja) 給油装置
JP2867829B2 (ja) 給油装置
KR0157931B1 (ko) 통행권 무인 정산 장치
JPH0223899B2 (ko)
JPH05319496A (ja) 給油装置
JP2002104599A (ja) 給油入金精算装置
JP3359348B2 (ja) 自動精算システム
JPH0610035B2 (ja) 給油装置
KR950001421B1 (ko) 현금사용이 가능한 자동판매 주유기의 내부회로
JP4515657B2 (ja) 給油システム
JPH08194864A (ja) 給油所
JPH07206094A (ja) 給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