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140B1 - 분말계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분말계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140B1
KR950015140B1 KR1019870004973A KR870004973A KR950015140B1 KR 950015140 B1 KR950015140 B1 KR 950015140B1 KR 1019870004973 A KR1019870004973 A KR 1019870004973A KR 870004973 A KR870004973 A KR 870004973A KR 950015140 B1 KR950015140 B1 KR 9500151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ium
zinc
powder
polyvinyl chlorid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4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173A (ko
Inventor
마사노리 고바야시
이사오 마츠우라
아키라 와카츠키
유 시이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모리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모리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1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1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말계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분말 성형용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로서 크래쉬 패드, 아암 테스트, 헤드 테스트, 콘솔 박스, 미터 카버, 도어 트림등의 표피재를 만드는 데 특별히 유용한 분말 회전 성형 혹은 분말 슬러쉬 성형용의 분말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자동차 내장재용의 표피재료, 무게가 가볍고 부드러운 감이 우수하며, 표면에 고급감을 주는 양각 무늬 또는 자수 무늬가 있는 것들이 훨씬 더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표피재료로서는, 주로 폴리 염화비닐 수지와 ABS 수지로 구성된 연질 시이트의 진공 성형품과, 주로 폴리 염화비닐 페이스트 수지와 가소제로 구성되는 졸의 회전-성형품 또는 슬러쉬-성형품(이하 졸 성형품으로 언급)이 있었다.
진공 성형품은 경량화라는 점에서는 요구를 충족시키지만, 부드러운 감이 부족하여 감촉이 딱딱한 것들만이 얻어진다. 나아가 표면에 고급감을 주는 양각 무늬 또는 자수 무늬가 있는 복잡한 형태의 성형품을 만든다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진공 성형품은 성형시의 잔류 변형이 크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에 있어서 균열이 생기기 쉬운 결점이 있다.
반면에, 졸 성형품은 부드러운 감촉을 갖지만, 겔화 온도가 낮기 때문에 금형 내에서 빨리 녹아 플로우 마크, 립, 졸의 섬유화 등과 같은 현상이 일어난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졸 성형품은 이면 표면에 평활성이 부족하고, 금형으로부터 졸을 분리해내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며, 표피재의 두께가 바람직하지 않을 정도로 커진다는 결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졸은 또한 색교체시 탱크, 파이프등을 청소하는데 많은 노동량이 요구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도가 변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 분말 성형법은 이러한 결점과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에 있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일반적으로, 분말 성형법은 유동침적피복법, 정전 피복법, 분말 용사피복법, 분말 회전성형법, 분말 슬러쉬성형법 등을 포함한다. 특히, 분말 회전 성형법과 분말 슬러쉬성형법은 자동차 내장재용 표피 표피재를 만드는 데 적합하다.
분말 회전 성형법 또는 분말 슬러쉬 성형법은 180℃ 이상의 온도로 유지되는 금형과 수지 분말 공급 박스를 일체화하여 회전시키거나 흔들거나 또는 금형속을 수지 분말을 분사함으로써 수시 분말을 금형의 이면에 용착시키고, 미용착 잔류 분말을 자동적 또는 강제적으로 분말 공급 박스에 회수하는 방법이다.
또한 상기 분말 성형법에 사용되는 금형의 가열방법에는, 가스 가열로 방식, 열 매체유 순환 방식, 열 매체유 또는 열 유동사 내에의 침지 방식, 고주파 유도 가열 방식등이 있다.
그러한 분말 성형법에 사용되는 분말 조성물은 유동성 및 성형성이 우수해야 한다.
가열 자켓이 장치된 블렌더 또는 고속의 회전 믹서에 염화 폴리비닐 수지와 가소제, 안정제, 안료등을 건조 혼합하여 분말 조성물을 만든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유동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건조 혼합이 완료된 후에 냉각 단계에서 미세 분말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와 미세 분말의 칼슘 카보네이트, 실리카 등과 같은 무기 충전제를 가하는 것도 또한 잘 알려져 있다(러버 다이제스트, 14권 8호 32-40페이지 ; 폴리 염화비닐-그의 화합과 공업 Ⅱ, 367-370페이지, 1968 ; 일본 특허 공보 제1575호/1962).
또한, 분말 성형시의 금형 오염 방지 성능(이하 내금형 오염성으로 불림)이 우수하고, 표피재에 우레탄형 물질을 접착할때 일어나는 아민 오염(이하 내아민성으로 불림)에 대한 우수한 저항력을 보여주는, 분말 성형법에 의한 표피재용 분말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크다.
위의 문제를 좀더 자세하게 언급하며, 분말 성형은 위에서 언급한 바의 고온으로 유지되는 금형의 표면에 분말 조성물을 용착시켜 실시되는데, 금형의 표면은 성형 샷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오염된다.
금형의 오염이 진행될 때, 금형의 이면에 있는 양각 무늬의 오목한 부분이 오염의 집적으로 인해 얕아지고, 따라서 표피재는 광택이 나게 된다. 또한 금형 위의 오염이 끈적 끈적한 물질을 함유할 때, 성형된 표피재를 금형으로부터 제거하기 어렵게 되며, 어떤 경우에는 표피재 표면에 오목한 부분이 바람직하지 않게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금형 세척을 위하여 금형을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이 필요한데, 그 결과로 생산성은 현저하게 감소한다. 또한 기타 작업과 약제(세척시 사용되는 알칼리 용액, 산 용액,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제)가 세척에 필요하다. 나아가 오염이 너무 심해 단순한 세척으로는 이를 제거할 수 없을 때에는, 기계적인 솔질(놋쇠 솔질, 미세 유리 입자와 공기를 같이 강제적으로 분사시켜 하는 솔질)이 필요하다. 그러한 솔질이 자주 적용될 때에는, 앞서 언급한 현상 즉, 금형의 이면에 있는 양각 무늬의 오목한 부분이 오염의 집적으로 인해 얕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며, 또한 금형의 수명이 줄어든다.
그러므로 금형을 오염시키지 않는, 다른 말로, 내금형 오염성이 우수한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산업적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자는 분말 성형시 내금형 오염성이 탁월한 분말성형 조성물을 만들기 위하여 많은 연구작업을 해왔으며, 그 결과 탄소 원자가 5 내지 8개 정도인 알킬기를 갖는 지방산의 금속 비누계에 속하는 안정제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안정화 혼합물을 함유하는 분말계 폴리 염화 비닐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RCOO)2Me
여기서 R은 탄소원자가 5 내지 8개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Me는 바륨과 아연의 혼합물을 나타낸다.
스테아린산(C17H35COOH), 팔미틴산(C15H31COOH), 라우린산(C11H23COOH), 카프릴산(C9H19COOH)등과 같은 탄소 원자가 9개 이상인 알킬기를 갖는 지방산으로 된 금속 비누계에 속하는 안정제와 올레인산, 리놀린산, 리시놀레인산, 하이드록시스 테아린산등으로 된 금속 비누계에 속하는 안정제는 전단 응력이 전혀 적용되지 않는 분말 성형법에 사용될 때, 폴리 염화비닐 수지와의 상용성이 부족하고, 또한 자체적으로 윤활 작용을 갖기 때문에 "플레이트 아우트" 현상이 쉽게 일어나 금형에 심한 오염을 준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금속 비누 안정제를 사용하면, 성형된 표피재의 표면에 시간의 경과에 따라 하얀 분말이 발생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블루밍으로 불러진다. 그러므로 이들 안정제는 분말 성형법에 적합하지 않은 것들이다.
반면에 노난산(C8H17COOH), 옥탄산(C7H15COOH), 헵탄산(C6H13COOH), 헥산산(C5H11COOH)등과 같은 탄소 원자가 5 내지 8개인 알킬기를 갖는 지방산으로 된 금속 비누계에 속하는 안정제는 일반적으로 열적 성질과 윤활 작용이 부족하고, 제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압출 가공 및 캘린더 가공에 많이 사용되지 않았으며, 과정에 문제로서 분말 성형법상 그러한 메탈 비누 안정제가 사용된 실례는 아직 없다.
본 발명자는, 전단 응력이 분말 성형법에 전혀 적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위에서 언급한대로, 폴리 염화비닐 수지 및 가소제와 잘 사용할 수 있으며, 탄소원자가 5 내지 8개인 알킬기를 갖는 지방산으로 된 금속 비누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내금형 오염성이 뛰어난 염화 폴리비닐 수지 분말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성공하였다.
본 발명의 안정제 혼합물로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탄소원자가 5 내지 8개인 알칼기를 갖는 지방산으로 된 금속 비누의 금속은 바륨과 아연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륨 화합물형의 안정제는 바륨 노나노에이트, 바륨 옥타노에이트, 바륨 2-에틸헥사노에이트, 바륨 헵타노에이트, 바륨 헥사노에이트등을 포함한다. 아연 화합물 형의 안정제는 아연 노나노에이트, 아연 옥타노에이트, 아연 2-에틸헥사노에이트, 아연 헵타노에이트, 아연 헥사노에이트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바륨 화합물형 안정제와 아연 화합물형 안정제는 조합하거나 혼합물로서 사용되며, 아연에 대한 바륨의 적당한 금속 중량 비율의 범위는 1 : 5 내지 5 : 1이다. 아연의 양이 상기 바륨 : 아연의 금속 중량 비 1 : 5를 초과할 때에는 아연의 탈염산 작용이 강화되어 성형시의 내열성이 부족해지고, 성형된 표피재에 흑점과 거품이 생긴다. 그러므로 그러한 아연(아연 화합물)의 초과량은 바람직하지 않다. 반면에 바륨의 양이 상기 바륨 : 아연의 금속중량 5 : 1을 초과할 때에는, 성형의 초기 단계에서 표피제가 착색, 특히 붉게 착색되는 경향이 현저해진다. 그 결과로서, 성형된 표피재의 색깔이 원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고, 이는 색상 배합에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앞서 언급한 양의 바륨-아연 화합물 형으로서 사용되는 안정제 혼합물은 폴리 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 0.1중량부보다 작을 때에는, 성형시 안정제의 내열성이 바람직하지 않게 취약해진다. 상기 양이 10중량부 보다 많을 때에는, 표피재의 표면에 안정제가 퍼지는 경향이 있으며, 경제적으로 불이익이 아주 커진다.
자동차 내장재로 쓰이는 폴리 염화비닐 조성물로 된 표피재는 많은 경우에 우레탄 수지가 충전되고 발포된 형태로 사용된다. 그러한 우레탄 성형시, 주로 다가알코올, 물, 발포제, 촉매 및 기타 보조제로 구성되는 제1성분과 주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 구성되는 제2성분을 혼합하여 금형속에 주입시켜 발포시킨다. 이러한 경우, 촉매로서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트리에탄올아민등의 아민화합물이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사용되며, 또한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스티렌 옥사이드등의 알킬렌 옥사이드에 부가시킨 아민 생성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아민 화합물은, 폴리 염화비닐 표피재와 접촉되면, 열 및 광의 존재하에서 재료의 매우 급속한 변색을 초래하며 폴리 염화비닐 수지의 질의 저하 및 변화를 촉진한다.
결과적으로, 표피재 성형용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이 그러한 아민 화합물에 대한 내성을 갖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본 발명의 2차 목적이다.
분말 회전 성형법과 분말 슬러쉬 성형법에서, 우수한 내금형 오염성과 우수한 내아민성을 서로 양립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산업적으로, 경제적으로 중요하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들 두가지 성질 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결핍되면 분말 성형법으로 이상적인 표피재를 제공한다는 것이 무의미하다는 점에서, 본 발명자는 우수한 내아민성을 갖는 분말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 작업을 해 왔으며, 앞서 언급한 바륨-아연 화합물 형태의 안정제 혼합물과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을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을 수행하였다.
내아민성이 우수한 분말 조성물에 대한 종래의 개발 과정에서는, 아민에 의해 야기된 변색이 무해하도록 만드는 것은 아연 화합물 형태의 안정제와 아민과의 킬레이트 화합물을 만드는 것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이킬레이트 화합물은 아민의 탈염산화 작용 또는 킬레이트 화합물의 색깔과 폴리 염화비닐 수지와 아민과의 반응에 의해 생겨나는 착화합물의 특징적 색깔 사이에 적용되는 보색 관계를 방지한다.
먼저 본 발명자는, 마그네슘 화합물이 우레탄-부착 피복재위의 내열성 및 내광성 시험에서 변색 방지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알았다.(일본 특허 출원 제16594/1984). 그러나 피복재가 분말 성형법에 의해 더 작은 두께로 만들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내아민성에 대한 요구는 훨씬 더 강하게 되었다.
즉, 분말 성형법에 의해 만들어진 1㎜ 두께의 종래의 표피재에서 요구된 바와 똑같은 변색 수준은 0.5 내지 0.8㎜ 두께이다. 결과적으로 단지 마그네슘 화합물 형태의 안정제만을 사용함으로써 앞에서와 같이 불이익이 나타났다.
본 발명자는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을 사용하여 아민 화합물, 특히 사차 아민 화합물에 의한 변색 방지에 관하여, 새로운 아이디어에 기초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은 일반식(I)에 의해 표시되는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을,
Mg1-XAlX(OH)2ㆍ(CO3)X/2mH2O (I)
(m은 5이하의 양수를 표시하며, x는 0<x≤0.5) 과염소산 수용액과 접촉시켜 일반식(I)의 (CO3)를
Figure kpo00001
로 치환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인데, 이로써 다음의 일반식(Ⅱ)의 화합물이 얻어진다.
Mg1-XAlX(OH)2ㆍ(ClO4)2ㆍmH2O (Ⅱ)
(m와 x는 위의 정의와 같다.)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은 할로겐 포착 능력이 우수하지만, 그 능력이 너무 커서, 열악한 조건에서는, 예로서, 폴리 염화비닐 수지에서 탈염산화를 촉진시키고, 그 결과 폴리엔의 형성에 따른 착색이 현저하게 진행된다. 또한 하이드로 탈사이트 화합물의 사용으로도, 우레탄-부착 폴리 염화비닐 쉬이트의 내아민성은 불충분하다.
본 발명자는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이 특히 우레탄-부착 염화비닐 쉬이트에 탁월한 내아민성을 부여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효과가 기초로 하는 메카니즘이 어떤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이 화합물의 두 가지 작용에 기초하는 것으로 추측되는데, 이중 한 가지는 폴리 염화비닐 수지의 탈염산화에 의한 폴리엔의 형성에 따라 착색을 완화시키는 작용이며, 다른 한가지는 과염소산 이온과 아민과의 중화 작용에서 기인하는 것으로서, 아민에 의한 폴리 염화비닐 수지의 탈염산화를 완화시키는 작용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과염소산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의 양은, 사용되는 폴리 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상기 양이 0.1중량부보다 작을 때에는, 내아민성이 부족하고, 반면에 상기 양이 10중량부보다 많을 때에는, 성형된 표피재의 쉬트 강도가 저하되며, 단가가 올라가 경제적으로 이롭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두 가지 중요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데, 즉 앞서 말한 바륨-아연 화합물 형태 안정제와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써, 분말 성형시 내금형 오염성과 우레탄-부착 폴리염화비닐 쉬트의 내아민성을 개선시킨다는 것이다. 이들 안정제 및 화합물은 각각 따로, 혹은 가소제 내에서 혼합 분산되어,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분말 조성물이 과염소산 금속염을 함유하게 되면, 본 발명의 효과, 특히 내아민성이 훨씬 증가된다는 사실도 또한 발견하였다. 상기 과염소산염의 양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과염소산 금속염의 실례로는 과염소산 마그네슘과 과염소산 바륨이 있다. 상기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과 과염소산 금속염의 비율은 중요하지는 않지만, 1 : 9 내지 9 : 1의 중량비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안정제에 이외에, 칼슘 올레에이트, 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산화 아연, 산화 바륨, 산화 칼슘, 바륨 포스페이트등과 같은 기타 안정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나아가 페놀계 산화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방지제, 힌더드 아미계 화합물, 포스파이트류 화합물, 디케로 화합물, 자외선 흡수제(예컨데, 살리실레이트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에폭시화 대두유, 비스페놀 A와 에스클로로하이드린에서 합성된 에폭시와 화합물등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 염화비닐 수지는 서스펜션 중합, 벌크 중합, 에멀젼 중합에 의해 생성된 것들을 포함하는데, 예로서 염화 비닐 중합체, 염화 비닐과 에틸렌, 프로필렌, 비닐 아세테이트등과 같은 공중합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와 염화 비닐과의 그래프트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2개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는 이들 특정한 수지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는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디이소운데실프탈레이트, 디(C9-C11)알킬 프탈레이트등과 같은 프탈릭 에스테르와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트리-2-에틸헥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데실트리멜리테이트, 트리(C7-C9및 C7-C11)알킬 트리멜리테이트등과 같은 트리멜리덕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또한 소량의 에폭시 가소제, 폴리에스테르 가소제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소제는 이들은 특정한 것들에 한정받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에, 필요하다면 가소제, 안정제 및 안료 이외에도 충전제와 여러가지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로 성형된 우레탄 주입발포 쉬트 또는 표피재에 사용되는 다가 알코올, 촉매, 발포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는 폴리우레탄 포움 제조에 흔히 사용되는 것으로 잘 알려진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이들 특정한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20리터 수퍼 믹서에, 평균 중합도가 700정도이며 통상의 서스펜션 중합으로 제조되는 스트레이트 폴리 염화비닐 수지(스미리트
Figure kpo00002
SX-7GL ; 스미또모 화학에서 생산) 2Kg을 충전시켰다. 상기 수지를 일정한 회전 속도로 휘저어 섞어, 수지 온도가 80℃까지 도달한 지점에서, 가소제, 가소제 내에 미리 분산된 안정제, 안료 및 에폭시화 대두유와 건조 혼합시켰다. 건조 혼합물 온도가 122℃까지 도달했을 때, 가열 장치를 정지시켰으며, 건조 혼합이 완료된 후에는, 건조 혼합물을 50℃ 이하로 수냉으로 냉각시켰다. 이후 건조 혼합물을 미세 분말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스미또모 화학에서 생산) 200g과 균일하게 혼합시켜, 우수한 유동성을 갖는 분말 조성물을 얻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비교용)의 조성물을 제조하는 데에는, 스트레이트 폴리 염화비닐 수지와 미세 분말의 폴리 염화비닐 수지의 합계량을 100중량부로 하여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혼합비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조성물은 이후에 평가되었다. 사용되어진 특정한 안정제를 표 2와 표 3에서 나타내었다.
[표 1]
분말 조성물의 조성
Figure kpo00003
[표 2]
실시예에서 사용된 안정제
Figure kpo00004
[표 3]
비교예에서 사용된 안정제
Figure kpo00005
위의 표 2 및 표 3에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은 구조식이 다음과 같았으며:
Mg1-0.31Al0.31(OH)2ㆍ(CO3)0.31/2ㆍ0.54H2O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은 구조식이 다음과 같았다 :
Mg1-0.31Al0.31(OH)2ㆍ(CO4)2ㆍ0.442O
위의 분말 조성물 각각은 내금형 오염성과 내아민성에 대하여 평가되었다.
내금형 오염성은 다음과 같이 평가되었다 : 전열식 핫플레이트 위에 놓인 니켈제 거울판의 온도가 220℃에 도달할때 10초동안 100㎜×100㎜×3㎜(두께) 크기의 상기 거울판에 100그램의 분말 조성물을 용착시켰다. 미용착 분말 조성물을 제거한 후, 거울 판을 다시 핫 플레이트 위에 놓고, 분말 조성물을 30초 동안 가열-용융시켰다. 수냉 후에, 성형된 쉬트를 거울 판에서 벗겨내고, 거울 판의 흐림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 과정을 40번 반복하여 내금형 오염성을 평가하였다.
또, 위에서와 똑같은 방식으로, 100㎜×100㎜×3㎜(두께) 크기의 니켈도금 양각 판위에서 연속 샷시험에 의해 평가가 실시되었다. 대표적인 예로서, 자동제어장치가 부착된 회전 또는 슬러쉬 성형기[크기가 300㎜×300㎜×250㎜(높이)이며 270℃의 열 매체유로 가열된 니켈 도금 금형을 사용]위에서의 연속 샷 시험에 의한 평가가 부가적으로 실시되었다.
내아민성 시험은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 크기가 300㎜×300㎜×0.8㎜(두께)이고, 분말 성형법에 의해 제조된 성형 쉬트가 크기가 300㎜×300㎜×10㎜(두께)인 알루미늄제 지지대 위에 놓여지고, 그 양각 면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장치되었다. 그 후 주로 글리세린/프로필렌 옥사이드 부가물과 글리세린/에틸렌 옥사이드 부가물로 구성되는 다가 알코올에 물,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에틸렌디아민을 함유하는, 미리 준비된 다가 알코올 혼합물 100중량부와 NCO 함유량이 30.5%인 중합체 MDI 50중량부를 혼합하여 만든 다가 알코올/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 153g을 고속의 믹서에서 10초동안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알루미늄제 지지대 내로 주입하였다. 금형을 고정시켜, 우레탄 포움을 쉬트의 이면에 부착시켰다.
이 우레탄-부착 쉬트를 70㎜×150㎜의 크기의 시험용 조작으로 잘라, 이 4개의 시험용 조각 각각을 대기온도가 100℃인 기어 오븐식 가열로 및 블랙 패얼의 온도가 83℃인 선샤인 웨더-오-미터(Sunshine weather-o-meter)에 위치시키고, 매 100시간마다 시험용 조각 1개씩을 꺼내었다. 이와 같이하여, 400시간의 변색 시험이 실시되었다.
이 결과는 다음의 표 4 및 표 5에서 나타난다.
[표 4]
내금형 오염성 평가
Figure kpo00006
평가기준 :
(A) 니켈 거울 판 (B) 양각 니켈판 (C) 오일-가열 금형(금형 청소시 사용된 가제 오염도)
○ 거의 흐림 없음 거의 오염없음 황색 오염이 거의 없음
△ 약간 흐림 약간 오염 황색 오염이 약간 있음
× 많이 흐림 많이 오염 황색 오염이 많음
[표 5]
내 아민성
Figure kpo00007
평가기준 : 회색 기준에 기초한 색체의 오염 또는 변화
등급 : 5 무 변화
4 경미하지만 은근한 변화
3 경미하지만 분명히 관측할 수 있는 변화
2 약간 현저한 변화
1 아주 현저한 변화
GO 기어 오븐(Geer over)
SWOM 션샤인 웨더-0-미터(Sunshine weather-o-meter)

Claims (6)

  1.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이 폴리염화 비닐수지 100중량부와 0.1 내지 10중량부의 하기의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안정제 혼합물 및 0.1 내지 10중량부의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분말계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RCOO)2Me
    여기서 R은 탄소원자가 5 내지 8개인 알킬기를 나타내고 Me는 바륨과 아연의 혼합물을 나타내는데, 바륨과 아연의 금속 중량비는 1 : 5 내지 5 :1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중량부당 0.1 내지 10중량부의 가염소산금속염이 포함되어 있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드 화합물과 과염소산 금속염과의 중량비율이 1 : 9 내지 9 :1인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안정제 화합물이 바륨 노나노에이트, 바륨 옥타노에이트, 바륨 2-에틸헥사노에이트, 바륨 헵타노에이트 및 바륨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바륨 화합물 형태의 안정제와, 아연 노나노에이트, 아연 옥타노에이트, 아연 2-에틸헥사노에이트, 아연 헵타노에이트 및 아연 헥사노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아연 화합물 형태의 안정제와의 혼합물인 분말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과염소산 이온 형태의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의 화합물인 분말 조성물 :
    Mg1-XAl(OH)2ㆍ(ClO4)2ㆍmH2O
    여기서 X는 0<X
    Figure kpo00008
    0.5를 만족시키는 수이며 m은 5이하의 양수를 나타낸다.
  6. 제1항에 있어서, 과염소산금속염이 과염소산마그네슘 및 과염소산바륨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분말 조성물.
KR1019870004973A 1986-05-19 1987-05-18 분말계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9500151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14408A JPS62270645A (ja) 1986-05-19 1986-05-19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114408/86 1986-05-19
JP114408 1986-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173A KR870011173A (ko) 1987-12-21
KR950015140B1 true KR950015140B1 (ko) 1995-12-22

Family

ID=14636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4973A KR950015140B1 (ko) 1986-05-19 1987-05-18 분말계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246867B1 (ko)
JP (1) JPS62270645A (ko)
KR (1) KR950015140B1 (ko)
CA (1) CA1299312C (ko)
DE (1) DE3786597T2 (ko)
MX (1) MX16554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0743A (ja) * 1988-01-25 1989-07-31 Chisso Corp 粉末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JPH01215845A (ja) * 1988-02-23 1989-08-29 Nippon Zeon Co Ltd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H0220544A (ja) * 1988-07-07 1990-01-24 Shin Etsu Chem Co Ltd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EP0354700B1 (en) * 1988-08-03 1995-10-11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JP2965773B2 (ja) * 1990-12-05 1999-10-18 協和化学工業株式会社 帯電防止能を有する熱安定化された含ハロゲン樹脂組成物
FR2675149B1 (fr) * 1991-04-09 1994-06-24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s de polymere halogene stabilisees a l'aide d'un additif mineral.
FR2675150B1 (fr) * 1991-04-09 1994-06-17 Rhone Poulenc Chimie Compositions stabilisees de polymere halogene contenant un compose du plomb ou un organo-etain.
US20030153661A1 (en) 2002-01-04 2003-08-14 Crompton Corporation Stability improvement of aluminum hydroxide in PVC compound
US6825256B2 (en) 2002-01-14 2004-11-30 Crompton Corporation Stability improvement of carbon monoxide ethylene copolymer in pvc compound
SG126784A1 (en) 2005-04-15 2006-11-29 Sun Ace Kakoh Pte Ltd Stabiliser composition for chlorine-containing polymers
WO2006110112A2 (en) * 2005-04-15 2006-10-19 Sun Ace Kakoh (Pte.) Ltd. Stabiliser composition for halide-containing polymers
CN105392837B (zh) * 2013-09-18 2017-06-13 日本瑞翁株式会社 粉体成形用氯乙烯树脂组合物、氯乙烯树脂成形体和层合体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984B2 (ja) * 1975-03-29 1985-02-07 三菱製紙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の画像形成法
JPH0236143B2 (ja) * 1983-01-27 1990-08-15 Nitsusan Fuero Juki Kagaku Kk Shinkiganharogenjushisoseibutsu
KR950006532B1 (ko) * 1984-01-30 1995-06-16 스미토모 가가구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분말 성형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JPS6191238A (ja) * 1984-10-12 1986-05-09 Sumitomo Chem Co Ltd 粉末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S60203657A (ja) * 1984-03-29 1985-10-15 Nissan Fuero Yuki Kagaku Kk 含ハロゲン樹脂組成物
JPS60219246A (ja) * 1984-04-16 1985-11-01 Nissan Fuero Yuki Kagaku Kk 含ハロゲン樹脂組成物
JPS60219247A (ja) * 1984-04-16 1985-11-01 Nissan Fuero Yuki Kagaku Kk 新規含ハロゲン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786597T2 (de) 1994-01-13
EP0246867A3 (en) 1988-12-14
EP0246867B1 (en) 1993-07-21
DE3786597D1 (de) 1993-08-26
MX165541B (es) 1992-11-18
CA1299312C (en) 1992-04-21
EP0246867A2 (en) 1987-11-25
KR870011173A (ko) 1987-12-21
JPS62270645A (ja) 1987-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122B1 (ko) 분말성형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100204108B1 (ko) 분말 성형용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950015140B1 (ko) 분말계 폴리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KR950006532B1 (ko) 분말 성형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EP0457471B1 (en) Polymer stabilizer and polymer composition stabilized therewith
US5106898A (en) Stabilizer composition for use in halogen-containing resins
EP0394547A2 (en) Stabilized chlorine-containing resin composition
KR0151133B1 (ko) 분말 성형용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EP0153193B1 (en) Coated particulate fillers
EP0623648A1 (en) A combination heat stabilizer/lubricant for PVC processin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360708B1 (ko) 마그네슘 또는 칼슘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및 유리 또는킬레이트 β-디케톤 함유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용도
EP0551684B1 (en) Method of preparing a matte finished vinyl chloride resin article
JPH0678457B2 (ja) 粉末成形用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JPH075809B2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EP0654500A1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olding
JPH0568503B2 (ko)
JP2840086B2 (ja) 粉体成型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US5464892A (en)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powder material
JPS60161451A (ja) 粉末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3312768B2 (ja) 粉体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H0372550A (ja)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100199405B1 (ko) 내열노화성 및 내광노화성이 우수한 분체성형용 염화비닐수지 조성물
CA1301990C (en) Poly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 molding
JPH03252440A (ja) 粉体成型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CA2009931A1 (en) Moldable resin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