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5083B1 -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5083B1
KR950015083B1 KR1019920013369A KR920013369A KR950015083B1 KR 950015083 B1 KR950015083 B1 KR 950015083B1 KR 1019920013369 A KR1019920013369 A KR 1019920013369A KR 920013369 A KR920013369 A KR 920013369A KR 950015083 B1 KR950015083 B1 KR 950015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main module
status
modul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3238A (ko
Inventor
이제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5083B1/ko
Publication of KR94000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5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시스템의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연결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의 연결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의 제어 처리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제어 처리 흐름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포맷도.
본 발명은 다수의 주모듈과 부모듈로 구성된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의 유지 보수를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보드의 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도와 같이 구성되는 선로 다중 접속장치는 제2도와 같이 다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갖는 모듈들(201,203)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모듈의 운용상태는 각 모듈의 주모듈(201)의 내부 LED를 보고 판단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선로 다중 접속장치(102)는 다수의 주모듈(201) 및 부모듈(203)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특히 시스템의 특성을 잘 모르는 일반 유저가 LED를 보고 시스템의 운용상태를 파악하기는 더욱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스템 상태를 체크하여 시스템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반 유저가 시스템의 운용상태의 판별을 용이하게 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도로서, 이는 제4도와 같이 구성된 제3도의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를 제1도와 동일한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에 별도로 추가 접속한 것이 다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와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를 통신회선(308)을 접속하여 주기적으로 다중 접속장치(302)내의 각 주모듈(201)과 부도듈(203)의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시스템의 상태가 변할때마다 그 결과를 일반 유저가 판단할 수 있게 디스플레이모듈(405)에 출력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유저가 시스템 운용상태의 판별이 용이하고, 또 시스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한다.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는 검침이나 진료 또는 원격제어 등의 각종 작업수행을 위해 주장치(303) 및 커플러(305)와 데이타 통신을 하고, 또 자신의 상태를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가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신선로(308)을 통해 주기적인 상태 체크를 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에서의 상태 처리 흐름도로서,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주모듈로부터 수신한 메세지가 상태 체크 메세지인가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세지가 아닐때 부모듈에 대한 정보 비트를 세트시키고 상태 체크 메세지일때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를 세팅하고 해당 주모듈로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의 초기화 메시지 송신여부를 체킹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초기화 메세지 송신을 아직 하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가 초기화 되었다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초기화 메시지 송신 완료 비트를 세트시킨 후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마지막 주모듈인가를 상태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마지막 주모듈이 아닐때 그 다음 주모듈에 관해 체킹하고 마지막주모듈일때 상태 체크 메시지 수신확인 비트의 세팅여부를 체킹하는 제4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 세팅시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주모듈로 상태 체크 메세지에 대해 응답하고 상태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를 클리어하며 해당 주모듈의 다운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시지 수신확인 비트가 세팅되어 있지 않을시 해당 주모듈의 다운 카운터를 1로 증가시켜 3회 이상인가를 체킹하여 3회 이상이면 주모듈을 다운으로 간주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5,6과정을 실행후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마지막 주모듈일때 결과를 표시하고 마지막 주모듈 이전이면 그 다음 모듈에 대해 체킹하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선로 다중 접속장치에서 상태 체크 흐름도로서, 상태 체크 메세지를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 송신하여 타이머를 구동하여 설정시간이 지났는가를 체킹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시간이 지났을때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부터 메세지 수신을 체크하여 수신시 초기 메세지인가를 체킹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초기화 메세지일때 부모듈의 상태 변화가 없을시 처음부터 다시 실행하고 초기화 메세지가 아니거나 상기 상태 변화가 있을시 부모듈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세지 포멧도로서, (7a)는 상태 관리장치에서 선로 다중 접속장치로 송신하는 상태 관리장치의 초기화 메세지 포멧이고, (7b)는 선로 다중 접속 장치가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 송신하는 부모듈에 대한 정보 메세지 포멧이며, (7c)는 상태 체크 메세지 포멧의 선로 다중 접속장치에서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의 포맷이고, (7d)는 상태 체크 메세지 포멧의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에서 선로 다중 접속장치로의 포맷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제3도-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와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는 상대방에게 자신의 상태를 알리기 위해 주기적(10초)으로 상태 체크 메세지(제7도(7c,7d))를 교환한다.이 메세지의 마스터권은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에 있다. 즉, 시스템이 맨 처음 스타트 되었을때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가 상태 체크 메세지를 송신(516)함으로써 시작된다.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는 초기화한 후 (제7도(7a)),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로부터 메세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린다.
메세지가 수신되면, 그 메세지가 상태 체크 메세제인가(제7도(7c,7d))를 판단한다(500). 상태 체크 메시지인 경우, 상태 체크 수신확인 비트를 세트시키고(502), 만약 상태 체크 메세지가 아니면, 부모듈에 대한 정보 비트를 세트시키고(501) 상태 체크 수신확인 비트를 세트시킨다(502). 이러한 부모듈에 대한 정보 메세지(제7도(7b))는,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가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로부터 초기화 메세지를 수신했을때 또는 각 주모듈(201)이 관리하고 있는 부모듈(203)의 상태가 변했을때,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가 송신한다(512). 즉,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는 상태 체크 메세지를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307)로 송신하고(516), 타이머(T1)를 구동시킨다(517). 이 타미머(T1)는 10초의 값을 갖는 타이머로서, 10초 주기로 상태 체크 메세지를 상태 관리장치로 송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타이머(T1)이 타임 아웃되면(518)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부터 메세지가 수신되었나를 체크하여(519) 수신이 되지 않았으면 다시(516)으로 천이하고, 수신되었으면 상태 관리장치(307)이 초기화 메세지인가를 판단하여(520), 초기화 메세지이면 자신이 관장하고 있는 부모듈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521),(516)으로 천이한다.
초기화 메세지가 아니면, 부모듈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체크하고(522), 변화가 있으면 부모듈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고(521), 변화가 없으면(516)으로 천이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모듈에 대한 상태는 상태 관리장치가 초기화 되었을때와 시스템 운용중에 부모듈의 상태에 변화가 발생하였을때, 상태 관리장치로 송신된다.
상태 관리장치(501) 부모듈에 대한 정보 메세지의 수신도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의 동작중 상태를 나타내기 때문에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를 세트시킨다(502).
그 다음 선로 다중 접속장치(302)의 마지막 주모듈인가를 확인하고(506), 마지막이 아니면, 그 다음 주모듈에 대한 체크에 들어간다(505). 주모듈에 대해 수신된 메세지를 체크했으면, 제6도의 상태 체크 메시지 송신절차를 행한다.
먼저 상태 체크 메시지 수신확인 비트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507),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해당 주모듈의 다운 카운터를 1증가시키고(508), 다운 카운터가 제한된 횟수(3회)를 초과했는지를 확인하고(510), 초과시 주모듈 다운으로 간주하고 다운 비트를 세트시키고(511,514)의 절차로 넘어간다.
(507)에서 수신확인 비트가 세트되었으면,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주모듈로 상태 체크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송신한다.(509) 선로 다중 접속장치는 이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의 동작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응답메시지를 송신한 후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를 클리어시키고(512), 해당 주모듈의 다운 카운터를 클리어시킨다(513). 이는 다운 카운터가 제한된 횟수(3회)를 초과하지 않으면, 즉 20초 동안 상태 체크 메시지의 수신확인이 안되더라도 그 다음 10초내에 수신확인이 되면 동작중으로 간주하기 위함이다.
그 다음 선로가 다중 접속장치(302)의 마지막 주모듈인가를 확인하고(514), 마지막 주모듈이 아니면, 다음 주모듈에 대한 체크에 들어간다. 만약 마지막 주모듈이면, 그 결과를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한다(516).
상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의 상태가 변할때마다 그 결과를 일반유저가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표시하며 이로 인하여 시스템 유지보수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시스템 관리장치와 선로 다중 접속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의 시스템 상태 체킹 방법에 있어서,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주모듈로부터 수신한 메시지가 상태 체크 메시지인가를 체킹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시지가 아닐때 부모듈에 대한 정보 비트를 세트시키고 상태 체크 메세지일때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를 세팅하고 해당 주모듈로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의 초기화 메시지 송신여부를 체킹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의 초기화 메세지 송신이 아닐시 시스템 관리장치가 초기화 되었다는 메세지를 송신하고 초기화 메세지 송신 완료 비트를 세트시킨 후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마지막 주모듈인가를 체킹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에서 마지막 주모듈이 아닐때 그 다음 주 모듈에 관해 체킹하고 마지막 주모듈일때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의 세팅여부를 체킹하는 제4과정과, 제4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 세팅시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주모듈로 상태 체크 메세지에 대해 응답하고 상태 체크 메시지 수신확인 비트를 클리어하며 해당 주모듈의 다운 카운터를 클리어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4과정에서 상태 체크 메세지 수신확인 비트가 세팅되어 있지 않을시 해당 주모듈이 다운 카운터를 1증가시켜 3회 이상인가를 체킹하여 3회 이상이면 주모듈을 다운으로 간주하는 제6과정과, 상기 제5,6과정을 실행후 선로 다중 접속장치의 마지막 주모듈일때 결과를 표시하고 마지막 주모듈 이전이면 그 다음 모듈에 대해 체킹하는 제7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 방법.
  2. 시스템 관리장치와 선로 다중 접속장치와 연결되는 시스템에서의 상기 선로 다중 접속상태 체킹방법에 있어서, 상태 체크 메세지를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 송신하여 타이머를 구동하여 설정시간이 지났는가를 체킹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설정시간이 지났을때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로부터 메세지 수신을 체크하여 수신시 초기 메세지인가를 체킹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초기화 메세지일때 부모듈의 상태 변화가 없을시 처음부터 다시 실행하고 초기화 메세지가 아니거나 상기 상태 변화가 있을시 부모듈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방법.
  3. 주모듈과 선로 다중장치 및 멀티플렉서로 구성되는 부모듈에서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주모듈 및 부모듈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선로 다중 접속장치와, 상기 각 주모듈은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접속되고, 이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갖는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의 상태 체크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모듈과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와 1 : 1의 통신채널(308)을 통해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교환함으로써 각 주모듈의 상태를 관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회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주모듈이 자신이 관장하고 있는 각 부모듈의 상태에 변화가 있을시만 그 상태를 통신채널(308)을 통해 상태 관리장치에 알리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회로.
  6. 제3항에 있어서, 시스템 상태 관리장치가, 자신이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한 상태 체크 메시지를 분석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게끔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보드상태 감시회로.
KR1019920013369A 1992-07-25 1992-07-25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KR950015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369A KR950015083B1 (ko) 1992-07-25 1992-07-25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3369A KR950015083B1 (ko) 1992-07-25 1992-07-25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38A KR940003238A (ko) 1994-02-21
KR950015083B1 true KR950015083B1 (ko) 1995-12-21

Family

ID=1933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3369A KR950015083B1 (ko) 1992-07-25 1992-07-25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50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3238A (ko) 199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0839C1 (ru) Система связи
KR950015083B1 (ko) 시스템 보드(board)상태 감시방법 및 회로
KR100214134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스탠바이 프로세서의 자기진단 방법
JPS6147455B2 (ko)
KR950010483B1 (ko) 전전자교환기의 신호단말망에 접속된 신호버스정합보드에서의 메시지 송신방법
KR100277830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이중화 관리 장치 및 그 동작 변경 방법
KR920010166B1 (ko) 원격 진단 방식
SU95516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нтрол и передачи информации
SU71774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пр жени диспле с цифровой вычислительной машиной
KR100202979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프로세서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엠버스 절제 장치
JPS56108138A (en) Monitor system for computer system
JP2703305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0157388B1 (ko) 클럭송수신장치
KR100347848B1 (ko) 교환기의 데이터 패스 상태 보고방법
JPS593641Y2 (ja) デ−タ伝送装置
KR950013102A (ko) 동기식 전송장치의 데이터 통신 채널 절환장치
JPH02207346A (ja) 光信号による電算機相互監視回路
JPS6281826A (ja) 光信号伝送方式
KR930020896A (ko) 패킷호 제어 프로세서 중재장치
JPS6376539A (ja) 中継呼出装置
JP2000078240A (ja) 回線終端装置
JPH02158227A (ja) 光伝送装置
JPH0888598A (ja) 二重系情報伝送装置
JPH0338928A (ja) 光インタフェイスケーブルのh/w接続チェック方式
JPH03163648A (ja) リモート制御装置の初期設定管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