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3459B1 -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3459B1
KR950013459B1 KR1019880011916A KR880011916A KR950013459B1 KR 950013459 B1 KR950013459 B1 KR 950013459B1 KR 1019880011916 A KR1019880011916 A KR 1019880011916A KR 880011916 A KR880011916 A KR 880011916A KR 950013459 B1 KR950013459 B1 KR 950013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eous
absorbent material
absorbent
pressure
atmo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732A (ko
Inventor
월터 터어코 존
스티이브 체르윈스키 케니스
Original Assignee
1995년11월08일
다니엘 엘 쉬이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1995년11월08일, 다니엘 엘 쉬이퍼 filed Critical 1995년11월08일
Publication of KR89000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3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0Poisoning, narcotising, or burning insects
    • A01M1/2022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 A01M1/2027Poisoning or narcotising insects by vaporising an insecticide without heating
    • A01M1/2038Holders or dispensers for pressurized insecticide, e.g. pressurized vessels, c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와 그 방법
제 1 도는 이 발명에 따라 기체 물질을 대기로 방출하는 장치의 전체 사시도.
제 2 도는 제 1 도 2-2선 단면도.
제 3 도는 방출될 기체 물질을 흡수하여 머금고 있고 보기좋은 형태로 성형되어 있는 흡수재의 전체 사시도,
제 4 도는 기체 물질을 주위 공간으로 제어 방출하기 위해 공기 공급 시스템에 채용되고 있는 이 발명의 다른 적용에의 단면도 ; 및,
제 5 도는 기체 물질을 흡수재에 흡수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기술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공기 청정기 12:거부
14 : 상부 18,34:개구부
22,26 : 흡수재 36:공기 공급망
38 : 공기 공급도관 40:흡수재막
이 발명은 일반적으로 기체 물질을 대기로 방출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 발명은, 기체 물질이 흡수재에 흡수저장된 다음, 그 기체 물질이 방출되도록 선택적으로 대기에 노출되게 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 사용된 바의 "흡수"란 용어는 흡착제나 흡수재의 사용을 의미한다.
향긋한 향, 비방역 지역이나 여타 유익한 대기 상태들을 조성하기 위해, 방향제, 방역제나 방부제 또는 여타 의약물질과 같은 물질을 대기로 방출하기 위한 많은 장치들이 제공되어 왔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종래 장치들은 물질이 놓여 기화 과정에 의해 대기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는 심지나 여타 매체를 포함하고 있었다. 다른 경우들에서는, 대기로 방출된 수증기가 물질을 위한 운반체로 작용하는 기법에 의해 방출된 물질이 대기로 유출되었다. 그러나 전형적으로 그러한 종래 장치들은 대기로 방출될 물질을 비교적 조금 밖에 저장할 수 없었으므로 비교적 수명이 짧아서 자주 교체하고 정비하거나 재충전시켜야 했다. 또한, 물질을 대기로 유출하기 위한 운반체로서 방출 수증기를 사용하는 그러한 장치들은 비교적 제작비용이 비싸면서 복잡한 증기발생 기구들이 있어야 했으며, 또한 자주 정비를 하여야 하고 방출될 물질로 재충전하여야 한다.
전술된 종래 기술의 상태를 감안하여, 이 발명의 목적들중, 하나는, 비교적 제어되고 농축된 소정 수준에서 기체물질을 대기로 방출하고, 장치의 사용 수명을 상당히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방출 물질을 비교적 많이 저장할 수 있는 장치와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제작비용이 비싸고 복잡하며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기구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그러한 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발명에 따르면, 기체 물질을 대기로 방출하는 장치는, 소정 압력, 바람직하게는 대기압과 거의 같은 압력에서 소정량의 기체 물질을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를 사용한다.
바람직하게, 방출될 기체 물질의 증기압은 흡수재가 흡수하여 머금는 소정 압력보다 더 낮다. 또한, 이 장치는 기체물질이 탈착되어 방출될 수 있도록 흡수재를 대기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 발명에 따른 장치와 그 방법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기체 물질을 흡수하여 머금기 전에 흡수재가 먼저 소정의 포화 압력 수준보다 더 낮은 압력으로 압력에 낮아진다.
바람직하게, 불필요하게 흡수된 오염물들이나 여타 물질들을 흡수재에서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그러한 압력 강하중에 흡수재가 가열되므로써, 대기로 방출될 소정 기체 물질에 대한 흡수재의 흡수, 저장 능력을 증가시켜 준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5 도는 예시를 위해 이 발명의 여러 모범적인 실시예들을 보이고 있다. 이 분야에 능숙한 자는 이 발명의 원리들이 도면들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장치들과 적용들이 아닌 장치들과 적용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다음의 설명에서 쉽게 알게 될 것이다.
제 1,2 도에서, 이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전형적으로 기부(12)와 상부(14)를 포함하는데, 상부(14)와 미끄럼 결합하도록 기부(12)에서 다수의 탭들(16)이 돌출하여 있다. 상부(14)가 기부(12)에서 멀리 미끄럼 이동되면, 공기 청전기(10)의 내부를 대기에 노출시키도록 그 상부와 기부사이에 많은 개구부들(18)이 생긴다.
공기 청정기(10)의 내부내에 흡수재(22)를 보유하기 위해 많은 돌기들(20)이나 여타 비슷한 적당한 구조물들이 그 공기 청정기(10)내에 마련되어 있다. 흡수재(22)는 그 흡수재가 부착되었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그 소정 형태로 형성되는 망사 또는 직물 타입을 포함하여 여러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개구부들(18)이 생기도록 상부(14)가 거부(12)에서 멀리 이동되면, 대기의 공기가 자유롭게 공기 청정기(10)의 내부로 흘러들어와 흡수재(22)와 접촉하다. 흡수재(22)는 대기로 방출될 소정량의 기체 물질을 이미 흡수하여 머금고 있다. 그러한 기체 물질은 바람직하게 대기압과 거의 같은 소정 압력에서 이미 흡수재(22)에 흡수되어 저장되어 있다.
방출될 기체 물질의 바람직하게 낮은 증기압 때문에, 소정의 소량의 기체 물질이 공기 청정기(10)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 안으로 한꺼번에 방출되어 대기로 분산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활성 탄소, 지오라이트, 실리카겔 또는 점토와 같은 흡착제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택일적으로 흡수재로 구성될 수도 있는 흡수재의 고저장 성능 때문에, 공기 청정기(10)의 사용 수명이 전술된 공지의 공기 청정기의 사용 수명에 비해 크게 증가된다.
흡수재(22)에 흡수되어 스며든 기체 물질은 대기에 향긋한 향을 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방향재일 수 있거나, 또한 택일적으로 방출 물질은 비교적 방역을 안해도 되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는 방역재일 수도 있고, 심지어는 무세균 환경을 조성하거나 여타 의학 처리들에 도움을 주도록 되어 있는 방부재나 여타 의약물질일 수도 있다.
제 1,2 도의 공기 청정기(10) 대신, 흡수재가 제 3 도의 장식적인 흡수재(26) 형태와 같은 고체 형태로 주조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이 장식 흡수재(26)는 기체 물질이 방출되는 지역의 편리한 장소에 놓여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 분야에 능숙한 자동에게 잘 알려져 있는 여러 장착 또는 체결 기술들에 의해 그 지역의 어떤 편리한 물체에도 부착될 수 있다.
제 4 도는 이 발명의 다른 모범적인 적용을 보이는데, 여기서는 구조물(30)은 벽(32)을 포함하며, 이 벽(32)에는 공기 공급망(36)을 수용하여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34)가 있다.
이 공기 공급망(36)은 공기 공급 도관(38)과 유체 소통하게끔 연결되어 있다. 공기 공급망(36)의 상류에서, 공급 도관(38)에는 흡수재가 부착되는 흡수재막(40)이나 여타 적당한 다공성 매체가 들어 있고, 이 흡수재막(40)은, 공기 공급 도관(38)의 공기가 그 흡수재막(40)과 공기 공급망(36)을 통하여 공간(42)안으로 흐르도록 공기 스트림에 놓인다.
제 1,2 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식으로, 흡수재막(40)도 공간(42) 안으로 방출된 기체 물질을 사진에 흡수하여 머금고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공간(42)(에 무세균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공간(42)에 향긋한 향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방출 기체 물질은 방부제이거나, 또한 택일적으로 공간(42)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방역제일 수도 있다.
제 5 도는 이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해 흡수재를 준비하는 기술을 보이고 있다. 제 5 도에는 제 1,2 도의 흡수재(22)가 대략적으로 나타나있지만, 제 5 도의 설명된 원리들도 이 발명의 어느 실시예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발명이 바람직한 형태에서, 먼저 흡수재(22)가 제 5 도에 도시된 진공 표시 화살(46)로 대략 표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거의 대기압 이하의 감소된 압력을 받는다.
바람직하게, 흡수재(22)에 의해 사전에 흡수되 불필요한 오염물이나 여타 물질들을 조금이라도 전부 방출하도록 하기 위해, 그러한 압력 강하중에 가열 표시 화살(48)로 대략 표시된 바와 같이 열이 가해진다. 그 다음, 흡수재(22)가 방출될 소정 기체 물질을 흡수하여 머금도록 대기로 방출될 소정 기체 물질이 제 5 도에 기체 표시 화살(50)로 대략 표시된 바와 같이 흡수재(22)로 들어온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흡수하여 머금는 작용은, 바람직하게 대기압과 거의 같은 소정 압력 수준에서 흡수하여 머금도록 기체 물질을 압력하에서 주입시키므로써 달성된다.
다음, 흡수재(22)는 사전에 흡수 저장된 기체 물질의 대기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제 1,2 도의 공기 청정기(10)와 같이 대기의 공기와 소통하도록 놓인다.
그러한 방출은 방출된 기체 물질의 낮은 증기압 때문에 주로 일어나지만, 또한 흡수재(22)에 의해 차별적으로 흡수되는 대기의 여타 물질들에 의해 기체 물질이 흡수재(22)에 이동된 결과로도 일어날 수 있다. 흡착제 또는 흡수재(22)의 고용량 저장 성능 때문에, 이 발명에 따라 사용된 공기 청정기(10)나 여타 장치들은 기체 물질을 대기로 방출하기 위한 간단하고 수명이 길며 유지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적인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8)

  1. 소정 압력보다 더 낮은 증기압을 갖는 소정량의 기체 물질을 상기 소정 압력에서 흡수하여 머금는 흡수재와, 상기 기체 물질이 대기로 탈착되어 방출되도록 상기 흡수재를 대기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는,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압력은 대기압과 거의 같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기체물질을 흡수하여 머금기 전에 상기 제1소정 압력보다 더 낮은 압력으로 압력강하되는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압력 강하중 가열되는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압력은 대기압과 거의 같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를 상기 장치에 보유시키는 보유 수단으로 더 구성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수단은 상기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를 안에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단에는 상기 하우징 수단의 내부와 대기 사이 가유체 소통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1개의 개구부가 있는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수단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흡착제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활성 탄소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흡수재인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향제인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역제인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부제인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기체 상태에서 상기 흡수재에 주입되므로써 흡수되어 머금게되는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액체상태에서 상기 흡수재에 흡수되고, 상기 증기압은, 적어도 상기 소정량의 기체물질 일부가 기체 상태에서 상기 흡수재에 의해 흡수되게 할만큼 충분히 낮은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 위로 공기를 강제로 보내고 다시 대기로 보내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흡수재를 대기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들이 뚫어져 있는 다공재에 의해 저지되는 장치.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소정의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소정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시스템의 공기 흐름속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물질은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소정 공간에 공급되기 전에 상기 공기 흐름 안으로 탈착 방출되는 장치.
  21. 대략 대기압에서 소정량의 기체물질을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와 상기 기체물질이 대기로 탈착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완전히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를 대기에 선택적으로 노출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체 물질은 그 증기압이 대기압보다 더 낮고, 상기 흡수재는 대략 대기압에서 상기 기체물질을 흡수하여 머금기전에 가열되고 대기압보다 거의 더 낮은 압력으로 압력강하되는, 기체물질을 대기로 방출하는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안에 상기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를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 수단으로 더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 수단에는, 상기 하우징 수단의 내부와 대기 사이가 유체 소통되게 하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폐쇄 수단이 있는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흡착제인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활성 탄소를 포함하는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흡수재인 장치.
  26.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향제인 장치.
  27.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역제인 장치.
  28.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부제인 장치.
  29.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소정 공간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 시스템의 공기 흐름속에 배치되고, 상기 기체물질은 상기 공기 흐름이 상기 소정 공간에 공급되기 전에 상기 공기 흐름안으로 탈착 방출되는 장치.
  30.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되는,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방법, 흡수재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흡수재를 가열하고 대기압보다 더 낮은 압력으로 압력 강하하는 단계 ; 상기 압력 강하된 흡수재가 대기압보다 더 낮은 증기압을 갖는 소정량의 기체물질을 대략 대기압에서 흡수하여 머금는 단계 ; 및 상기 기체물질이 대기로 탈착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수하여 머금은 흡수재를 대기에 노출시키는 단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흡착제인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는 활성 탄소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흡수재인 방법.
  34.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향제인 방법.
  35.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역제인 방법.
  36.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방부제인 방법.
  37.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기체 상태에서 상기 흡수재로 흡수되므로써 흡수되어 머금계되는 방법.
  38.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물질은 액체 상태에서 상기 흡수재에 흡수되고, 상기 증기압은, 적어도 상기 소정량의 기체물질 일부가 기체 상태에서 상기 흡수재에 의해 흡수되게 할 만큼 충분히 낮은 방법.
KR1019880011916A 1987-09-16 1988-09-15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와 그 방법 KR950013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7,798 1987-09-16
US07/097,798 US4815659A (en) 1987-09-16 1987-09-16 Method for releasing a gas into the atmosphe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732A KR890004732A (ko) 1989-05-09
KR950013459B1 true KR950013459B1 (ko) 1995-11-08

Family

ID=2226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1916A KR950013459B1 (ko) 1987-09-16 1988-09-15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815659A (ko)
EP (1) EP0308113B1 (ko)
JP (1) JPH0634896B2 (ko)
KR (1) KR950013459B1 (ko)
CN (1) CN1009800B (ko)
AU (1) AU613950B2 (ko)
CA (1) CA1318286C (ko)
DE (1) DE3886489T2 (ko)
DK (1) DK170140B1 (ko)
MX (1) MX165520B (ko)
NO (1) NO884108L (ko)
NZ (1) NZ2260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9973B1 (en) * 2007-02-21 2010-09-07 Barton Frances B Utility was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8682A (en) * 1988-02-05 1990-04-17 Tandy Corporation Ablative and bump-forming optical recording media including a metallic reflective layer
ES1008185Y (es) * 1988-11-07 1989-09-01 Industrias Techno-Matic, S.A. Caja de ambientador para visera parasol de vehiculos automoviles.
GB2256589B (en) * 1991-06-13 1995-06-28 Turtle Wax Manufacturing Limit Multi-compartment air freshener device
US5304358A (en) * 1992-08-31 1994-04-19 Ralph Muniz Air freshener device
CN1046952C (zh) * 1995-10-27 1999-12-01 王南 聚氨酯-聚丙烯酸酯复合皮革涂饰剂
DE29621285U1 (de) * 1996-11-29 1997-02-27 Rao Ved Ashok Regulierbarer Raumduftspender
GB2324963B (en) * 1997-05-06 1999-03-17 Frederick Frank Waghorn Aroma dispenser
US6102300A (en) * 1999-05-03 2000-08-15 Bruckner; Tony A. Aromatherapy scent dispenser having casing with living hinge attached snap fit lid
FR2793692B1 (fr) * 1999-05-21 2001-06-15 Pierre Vasseur Dispositif et procede de desinfection par voie aerienne
KR100421296B1 (ko) * 2001-05-14 2004-03-09 주식회사 엠스페이스 고흡수성 다공질 발향 담체 및 그 제조방법
US20040255508A1 (en) * 2003-06-19 2004-12-23 Cpd Associates, Inc. Adjustable insect attractant dispenser
GB2406054A (en) * 2003-09-19 2005-03-23 Reckitt Benckiser Air feshening or purifying device
KR20050031603A (ko) * 2003-09-30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탈취제
US20060064925A1 (en) * 2004-09-24 2006-03-30 Mary Morgan Pest repellant supporting rack system
JP4674699B2 (ja) * 2004-10-15 2011-04-20 長谷川香料株式会社 薬剤揮散装置
US7380370B2 (en) * 2004-12-22 2008-06-03 Armex, Llc Repelling rodents
JP2006271811A (ja) * 2005-03-30 2006-10-12 Duskin Co Ltd 芳香剤容器及び芳香具
US20070228184A1 (en) * 2006-04-03 2007-10-04 Yu-Gang Chen Aromatic container
MX2009006870A (es) * 2006-12-21 2009-07-03 Schering Plough Healthcare Dispositivo para mitigar el olor en un articulo de ropa o calzado.
US9591842B2 (en) * 2013-08-30 2017-03-14 S. C. Johnson & Son, Inc. Passive volatile dispensing device
DE102014102683B4 (de) * 2014-02-28 2017-09-28 Denk Keramische Werkstätten e.K. Duftverteiler mit einem Porenkörper
USD809116S1 (en) * 2015-11-02 2018-01-30 Pura Scents Dispenser
US11207439B2 (en) * 2018-05-01 2021-12-28 Novia Products, Llc Scent dispenser/absorb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0309A (en) * 1972-10-16 1974-06-28 Multiform Desiccant Prod Inc Adsorbent cartridge
LU67231A1 (ko) * 1973-03-16 1974-10-09
US4014501A (en) * 1976-02-24 1977-03-29 Airwick Industries, Inc. Container for air treating material
US4346840A (en) * 1976-11-17 1982-08-31 Gaiser Laurel A Volatile dispensing composition and method
US4161283A (en) * 1977-06-03 1979-07-17 Sy Hyman Article for the dispensing of volatiles
SU797760A1 (ru) * 1979-04-12 1981-01-23 Институт Коллоидной Химии Ихимии Воды Ah Украинской Ccp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адсорбента
US4372490A (en) * 1980-11-20 1983-02-08 The Coca-Cola Company Pull pad concentrated air deodorizer
US4476171A (en) * 1982-02-22 1984-10-09 Hakugen Co., Ltd. Fragrance releasing articles
US4548764A (en) * 1983-02-23 1985-10-22 International Flavors & Fragrances Inc. Insect repellent, pheremonal, animal repellent, diagnostic or aroma enhanc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psilon caprolactone) having embedded therein functional substances
US4549693A (en) * 1983-06-20 1985-10-29 Barlics John J Container
IT1174572B (it) * 1984-07-06 1987-07-01 Montedison Spa Erogatore a lento rilascio di prodotti volatili
JPS63139557A (ja) * 1986-12-01 1988-06-11 新東工業株式会社 芳香放散物体およびそ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89973B1 (en) * 2007-02-21 2010-09-07 Barton Frances B Utility 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512688D0 (da) 1988-09-15
CN1009800B (zh) 1990-10-03
CN1032097A (zh) 1989-04-05
EP0308113A3 (en) 1990-04-25
DK512688A (da) 1989-03-17
US4815659A (en) 1989-03-28
KR890004732A (ko) 1989-05-09
DK170140B1 (da) 1995-06-06
DE3886489D1 (de) 1994-02-03
JPH0634896B2 (ja) 1994-05-11
AU613950B2 (en) 1991-08-15
JPH01119322A (ja) 1989-05-11
MX165520B (es) 1992-11-18
CA1318286C (en) 1993-05-25
NO884108D0 (no) 1988-09-15
AU2187988A (en) 1989-03-16
NO884108L (no) 1989-03-17
DE3886489T2 (de) 1994-04-14
EP0308113A2 (en) 1989-03-22
NZ226081A (en) 1992-05-26
EP0308113B1 (en) 1993-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3459B1 (ko) 기체물질을 대기에 방출하는 장치와 그 방법
JP4499189B2 (ja) 物質の制御放出
US4341348A (en) Direct and indirect fragrance dispensing device
EP0253640A2 (en) A method for killing insects by heating fumigation
US6520826B2 (en) Plush fragrancing system
US6699432B2 (en) Air freshener device and method of freshening air
SK74893A3 (en) Dispenser adapted for combined continous and instant operation
KR20050057630A (ko) 다양한 다공성부를 갖는 위크를 구비하는 위크 기반 배출시스템
EP0850563A3 (en) A harmful insect extermination device
JP2005218305A (ja) 薬剤揮散装置
JP3978275B2 (ja) 拡散器
KR860000945B1 (ko) 탈취장치(脫臭裝置)
JPS6374440A (ja) 加熱蒸散用吸液芯
JPS61174922A (ja) 脱臭装置
JPH0511868Y2 (ko)
JPH07289139A (ja) 加熱蒸散装置および加熱蒸散殺虫方法
WO1994005905A1 (en) Delivery system and method for combustion enhancing material
JPH0121014Y2 (ko)
JP2763629B2 (ja) 冷蔵庫
JPH038301Y2 (ko)
JPS6320297Y2 (ko)
JPS627111Y2 (ko)
JPS60153463A (ja) 蒸発燃料排出抑止装置
KR200213155Y1 (ko) 방향튜브가 내장된 전열매트의 온도 조절기
JPS61259673A (ja) 香料から芳香を発散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