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851B1 -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851B1
KR950011851B1 KR1019920019025A KR920019025A KR950011851B1 KR 950011851 B1 KR950011851 B1 KR 950011851B1 KR 1019920019025 A KR1019920019025 A KR 1019920019025A KR 920019025 A KR920019025 A KR 920019025A KR 950011851 B1 KR950011851 B1 KR 95001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ver
embossing
embossed
ho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867A (ko
Inventor
송완희
정현성
강상기
장덕식
Original Assignee
진양기계산업주식회사
송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양기계산업주식회사, 송완희 filed Critical 진양기계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19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1851B1/ko
Publication of KR940008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 예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면 예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옆지 공급장치와 엠보싱 몰드 장치의 구성를 보인 일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평면 예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된 옆지가 이송되며 엠보싱되어 옆지 이송장치로 이송되는 작동 상태도로써, 제5a도는 적층된 옆지가 흡착구에 의해 하방 테이블에 위치하여 옆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상태도, 제5b도는 옆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었던 옆지를 이송밀대가 엠보싱 몰드 장치내로 이송시키는 상태도, 제5c도는 엠보싱 몰드 장치내로 이송된 옆지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며 엠보싱되는 상태도,제5d도는 엠보싱된 옆지가 옆지 이송장치의 옆지 이송 회전판에 형성된 옆지 수용홈으로 이송된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엠보싱 몰드 장치와 옆지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
제7도는 제6도중 엠보싱 몰드 장치를 제거한 상태의 평면 예시도.
제8도는 제6도의 일측면 예시도.
제9도는 제7도의 A-A선 단면 예시도.
제10도는 제7도의 B-B선 단면 예시도.
제11도는 제7도의 C-C선 단면 예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엠보싱된 옆지의 일측 단부에 핫멜트를 도포해주는 핫멜트 도포장치의 평면 예시도.
제13도는 제12도의 D-D선 단면 예시.
제14도는 제12도의 E-E선 단면 예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엠보싱된 옆지의 이송공급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제16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성형구에 형성된 엠보싱 커버를 커버 이송장치의 커버 홀더내로 이송시키는 상태도로써, 제16a도는 성형구에 엠보싱 커버가 형성된 상태의 측면 예시도. 16b도는 피스톤의 작동으로 피스톤 로드와 신설된 이송핀에 의해 엠보싱 커버 홀더로 이송되는 상태의 측면 예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옆지 이송장치와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일측면 예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홀터의 연결구성을 보인 평면 일부 단면 예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F부분 회전 단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커버 이송장치의 단계별 작동 상태도로써, 제21a도는 성형구에 형성된 엠보싱 커버가 이송되기 전의 상태도, 제21b도는 커버 홀더가 힌지축과 일체로 연결 구성된 드라이브 레버와 드라이브 캠에 의해 동작되어 성형구에 형성된 엠보싱 커버를 이송받기 전의 상태도, 제21c도는 커버홀더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도로써 엠보싱 커버를 이송받기 전의 상태도, 제21d도는 성형구의 이송핀에 의해 엠보싱 커버가 커버홀더의 홀더 스프링에 이송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 제21e도는 커버 홀더가 상부판과 일체로 하강하며 내부 홀더내의 엠보싱 커버를 회전원판상의 컵 이송몰드에 안착도니 내부용기(핫멜트가 측벽에 도포되어짐) 외주벽으로 이송시키는 상태도,제21 f도는 제21e도의 단면도로써 엠보싱 커버의 정확한 이송을 위해 커버 누름구 홀더가 하강되는 상태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용기가 이송 적층되며, 투하되는 내부용기 투하 장치의 일측면 예시도.
제23도는 제22도의 타임밸트의 연결구성을 보인 평면예시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용기 투하장치로부터 낙하되는 내부용기를 용기 이송몰드로 정확히 안착시키는 제1프레스 장치의 일측면 예시도.
제25도는 제24도의 종단면도로써, 프레스 장치가 하강되어 내부용기를 용기 이송 몰드로 안착시키는 상태도.
제26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내부용기 외주벽에 핫멜트를 도포해 주며, 용기 상, 하로 수위량을 선정해주는 돌기와 완성된 용기 적층시 한 개씩 신속히 빼낼 수 있도록 한 환형돌기를 엠보싱시키는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와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 장치의 평면 예시도.
제27도는 제26도중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 장치의 발췌 예시도.
제28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 예시도.
제29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내부용기 외주벽에 씌워진 엠보싱 커버가 정확한 위치에 접착되도록 하는 제2프레스 장치의 일측면 예시도.
제30도는 본발명에 잇어서, 제2프레스 장치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로써 작동상태을 예시한 도면.
제31도는 본발명에 있어서, 완성된 컵라면 용기를 배출시키는 컵라면 용기의 이송장치.
제32도는 완성된 컵라면 용기 배출관의 종단면도로써, 동작상태 예시도.
제33도는 본발명에 의해 완성된 컵라면 용기의 사시도.
제34도는 제33도의 종단면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종이재로된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기 자체를 종이재로 하되, 용기의 외주벽을 이중 구조로 형성하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 후 폐기 과정에서 공해를 방지할 수 있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용기는 프라스틱 또는 스치로폴재로 사출 성형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사용시 뜨거운 물과 점촉되면 그들 특유의 냄새가 나며 사용후에도 폐기과정에서 심각한 공해를 유발시키는 환경오염의 절대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프라스틱 또는 스치로폴로된 컵라면 용기를 지양할 수 있는 종이재로 된 컵라면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종이재로된 컵라면 용기에 관한 것인데, 이것은 종이재로된 내부용기와 내부용기를 감싸는 옆지로 형성되어 있다. 내부용기는 상부가 넓고 하부는 상부보다 좁은 형상으로 상주 주연부는 커링이 되어 있다. 옆지는 내부용기의 외부벽에 일체로 감싸도록 부채꼴 형상이며, 그 높이는 내부용기의 커링부 최하 정점에서부터 내부용기 최하단 까지이다.
상기 내부용기는, a)별도의 장치로부터 본체로 이송 적층되는 단계와,b)적층된 내부용기가 감지센서에 의해 한개씩 내부용기 이송몰드에 투하되는 단계와, c)내부용기가 투하된이송몰드가 이송되면, 내부용기 오지벽에 일정 간격으로 핫 멜트를 도포함과아울러 수위량 조절선 및 환형돌기를 엠보싱 하는 단계와, d) 핫멜트가 도포되고 수위량 조절선 및 환황돌기가 엠보싱된 내부용기가 이송몰드에 의해 이송되며, 싱기한 옆지가 내부용기 외부벽에 씌워질 수 있는 위치에서 대기한다. 상기 옆지는, a) 본체의 적층 테이블에 적층되며, 흡착구에 의해 한 장씩 낙하되며, 경사진 면을 따라 이송되어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는 단계와, b)스토퍼에 의해 정지된 옆지를 밀대가 고속으로 엠보싱 몰드 장치내로 이송키는 단계와, c) 엠보싱 몰드 내의 옆지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며, 엠보싱되는 단계와 d) 엠보싱된 옆지가 이송되며, 옆지 이송 회전판에 의해 이송테이블로 이송되는 단계와, e) 이송테이블에 이송된 옆지가 이송 체인의 체인 갈고리에 의해 이송되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고 감지센서에 감지되는 단계와, f)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핫멜트 도포장치가 작동되며, 옆지의 단부에 핫멜트를 도포하는 단계와, g) 핫메트가 도포된 옆지가 이송되며, 성형구의 권취구내로 이송되는 단계와, h) 권취구내로 이송된 옆지가 성형구에 권취되며, 누름 히팅구에 의해 원동 형상으로 권취되는 단계와 i)권취된 옆지(엠보싱 커버)가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에 의해 상기한 내부용기외부벽으로 씌워지는 단계와, j) 엠보싱 커버가 씌 워진 내부용기가 이송몰드에 의해 이송되며, 제2 프레스 장치에 의해 완전하게 결합되는 단계와, k) 완전하게 결합된 완성 용기가 이송몰드에 의해 이송되며, 배출관을 통해 이송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이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및 제2도로 첨부한 본 발명에 따른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의 평면 및 측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발명인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일측에 경사지게 적층된 옆지(L)를 한 장씩 이송시키는 옆지 공급장치(a)를 가지며, 그 옆에 옆지 공급장치로부터 한 장씩 이송 받은 옆지에 엠보싱해주는 엠보싱 몰드 장치(B)가 상기 옆지 공급장치(A)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옆에 엠보싱된 옆지(M)를 둥글게 말아주는 성형구(409)의 전취구(410)로 이송시키는 옆지 이송장치(C)가 부설되며, 그 일측에 옆지(M)의 단부에 접착제인 핫멜트를 도포해주는 핫멜트 도포장치(D)가 설치되며, 상기 옆지 이송장치(C)일측에 상기 성형구(409)에 이송되어 권취되는 옆지(M) 즉, 엠보싱 커버(N)를 내부용기(906)와 결합시키기 위한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의 외부벽에 접착제인 핫멜트를 도포해주는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가 상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 기(906) 외부벽에 수위량 조절선(907) 및 환형돌기(970)을 엠보싱해주는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 장치(613)가 설치되며, 상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로부터 내부용기(906)와 결합되어 엠보싱 커버(N)를 일체로 이송하며, 완전한 결합을 위해 눌러주는 제2프레스 장치(K)가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스 장치(K) 일측에 완성된 용기(I)를 배출시켜 주는 완성용기 이송장치(H)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를 적층시켜 주며 하나씩 투하시켜 주는 내부용기 투하장치(G)가 제1 및 제2 프레스장치 후방에 설치되며, 내부용기가 투하되는 이송몰드(521)로 정확히 내부용기를 안착시키는 상기 제1프레스 장치(J)가 상기 제2프레스 장치(K) 반대편에 설치된 것으로, 각각의 장치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옆지 공급장치(A)는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옆지 공급장치(A)는 옆지 적층테이블(10)과 하방테이블(106)로 구성되며, 옆지 적층테이블(10)은 그 중앙부로 옆지(L)가 공급될 수 있는 형상의 홈(112)이 천공되고, 홈과 근접되게 옆지를 받쳐주는 옆지 적층 가이드(111)가 다수개 볼트로 결합되어지며, 상부로는 옆지 적층 안내간(102)이 다수개 입설되어 있다.
그리고, 옆지가 한 장씩 이송된 수 있도록 공기를 분사시켜 주는 공기 분사 노즐(103)이 저면상에 위치 고정되고, 일측으로 안전스토퍼(104)가 볼트에 의해 고정되어 필요시 안전 스토퍼를 입설시켜 옆지가 공급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도록 하며, 전면하부로 공급된 옆지를 1차적으로 정지시켜 주는 옆지 스토퍼(102)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안전 스토퍼와 옆지 스토퍼는 힌지축에 의해 좌, 우로 유동이 가능케 고정된다.
하방테이블(106)은 옆지를 한 장씩 흡착하여 이송시키는 흡착구(107)가 저면상으로 상, 하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홈(113)이 천공되고, 상기 옆지 스토퍼에 정지된 옆지를 고속으로 밀어주는 이송밀대(108)가 전, 후로 왕복운동할 수 있는 장홈(114)이 천공되었다.
그리고, 상기 흡착구는 원판 형상으로 다수의 공기공이 형성되었고, 이송밀대는 이송밀대축(109)을 따라 왕복운동을 하며, 옆지를 엠보싱 몰드장치(B)의 전측 상,하부 로울러(205)(208)로 이송시켜 준다.
상기 엠보싱 몰드 장치(B)는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엠보싱 몰드 장치(B)는 상부 몰드(20)가 4모서리의 안내축(202)을 따라 하강하면서 하부몰드(201)에 위치한 옆지를 소정의 형상으로 엠보싱 해준다.
엠보싱 몰드 장치(B)의 전축으로는 옆지를 받아 몰드내로 이송시켜 주는 전축 상부, 하부 로울러(205)(206)가 서로 면접되어 구동하며, 후측으로는 엠보싱된 옆지(M)를 다음장치로 이송시키는 후 측 상부, 하부 로울러(208)(209)가 기어(203)에 의해 구동된다.
이 때 엠보싱 된 옆지(M)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후측 상부, 하부 로울러가 소정의 간격을 기어에 의해 유지되며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송밀대(108)에 의해 이송되는 옆지(L)는 전측 상부, 하부 로울러에 의해 엠보싱 몰드장치(B)의 하부 몰드로 이송이 되고 스토퍼(도시않음)에 의해 정지되며, 상부 몰드가 하강하면서 옆지를 엠보싱함과 동시에 스토퍼는 내려가며, 엠보싱 옆지(M)는 후측 상부, 하부 로울러를 통해 다음 장치로 이송이 된다.
상기 옆지 이송장치(C)는 제6도 내지 제11도 및 제15도 내지 제18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옆지 이송장치(C)는 옆지 이송 회전판(30)과 이송 로울러(306), 이송테이블(301) 그리고, 옆지(M)를 말아주는 성형구(409)로 구성되며, 옆지 이송 회전판(30)은 제7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몰드(B)로부터 이송되며, 떨어지는 옆지(M)를 수용하는 옆지 수용홈(303)이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회전축(30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옆지 수용홈으로 이송되는 옆지의 쳐짐을 방지해 주는 수용가이드(304)가 다수개 입설된다.
그리고, 옆지(M)가 옆지 수용홈에 이송되어 옆지 이송 회전판이 회전하여 옆지(M)을 이송테이블(301)로 이송시킬시 옆지(M)의 정위치 선정과 이탈을 방지해 주는 옆지 이송가이드(305)가 브라켓트(330)에 고정되어 있다.
이송로울러(306)는 엠보싱된 옆지(M)의 손상을 방지해주기 위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후에 설명하는 이송체인(322)의 체인갈고리(323)가 걸리지 않도록 체인걸림 방지홈(30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송로울러(306)의 회전축(307)은 이송로울러 브라켓트(311)에 의해 지지되며, 이송로울러 브라켓은 지지간(31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지지간(312) 전면으로 감지센서 지지간 브라켓트(331)가 위치하며, 지지간(313)을 잡아준다.
상기 지지간(313)의 정, 중앙으로 감지센서 뭉치(316)가 축설되고 양측으로 판스프링(309)을 잡아주는 판스프링 브라켓트(310)가 축설되며, 브러쉬(321)가 식모된 브러쉬 홀더(320)를 잡아주는 브러쉬 홀더 브라켓트(319)가 축설되는데 또하나의 지지간(314)으로도 브러쉬 홀더 브라켓트(319)가 축설된다.
상기한 지지간(312)(313)(314)양측으로도 판스프링(318)(309)(420)을 잡아주는 판스프링 브라켓트(317)(310)(422)가 축설된다. 옆지 이송 회전판(30)에 의해 이송테이블(301)로 이송된 옆지(M)는 이송체인(322)의 체인갈고리(323)에 의해 이송되는데 먼저 이송로울러와(306)와 판스프링(318)(309)과 브러쉬(321)를 통과하면서 이송된다.
이때 이송로울러(306)를 통과하는 엠보싱된 옆지(M)를 일정하게 펴준다. 그리고, 이송로울러(306)양측 전방세 출몰되는 스토퍼(324)에 의해 옆지(M)가 정지되면 상기한 감지센서 뭉치(316)의 감지센서(도시않음)에 옆지가 감지되고, 후에 설명하는 핫멜트 도포장치(D)가 작동된다.
상기 성형구(409)는 제17도 및 제18도에 도시돤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프레임(430)에 고정되고 양측으로 내부에서부터 장공이 천공되며, 그 내부로는 프레임(430)에 고정되는 피스톤 브라켓트(421)에 지지되는 피스톤(411)의 피스톤 로드(412)가 왕복이 되며, 피스톤 로드(412)의 끝단으로 상기 장공 밖으로 돌출리게 이송핀(413)을 연설하여, 옆지가 권취되면 이송핀을 피스톤 로드가 밀어 권취된 옆지 즉, 엠보싱 커버(N)를 다음 장치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성형구(409)의 하부 양측으로 옆지(M)를 권취하는 권취구(410)가 위치하며, 권취구(410) 표면은 엠보싱의 손상을 방지해주기 위해 연한 재질의 합성수지가 덧씌워져 있다.
또한, 상부로는 권취되는 옆지(M)의 접합부위를 눌러주는 누름히팅구(408)가 누름히팅구 프레임(431)에 연설되고, 누름히팅구 프레임(430)은 양단에 입설된 이동 축(432)을 따라 상, 하 왕복 운동한다.
상기 옆지 이송테이블(301)은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엠보싱된 옆지(M)가 옆지 이송 회전판(30)에 의해 엠보싱 몰드 장치(B)로부터 이송되면 체인기어(422)의 구동으로 이송체인(322)이 시계방향으로 이송되며, 옆지 이송테이블(301)상에 위치한 옆지(M)를 이송체인(322)과 일체로 고착된 체인갈고리(323)에 의해 성형구(409)로 이송케 하는 것으로 성형구(409)의 근접 위치까지 이송된 옆지(M)는 옆지 이송테이블(301) 하측으로 위치하는 밀대(414)에 의해 성형구(409)의 권취구(410) 내로 이송된다.
상기 밀대(414)는 작동편(416)과 작동간(418)이 연설되고 밀대(414) 저면으로 탄성스프링(415)이 유설되며, 상기 작동편(416)은 후단으로 탄발스프링(417)에 의해 항시 앞으로 전진하려 한다.
또한, 작동간(418)은 중단부에 작동핀(433)이 고착되어 작동캠(419)의 작동홈을 따라 이동하며, 작동간(418)을 전, 후진시키며 밀대(414)를 전진시켜 고정핀(435)에서 이탈되게 하며, 고정핀(435)에서 이탈된 밀대(414)는 하부의 탄성스프링(415)에 의해 상승되며, 옆지(M)를 권취구(410)로 이송케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간(418)의 작동핀(433)이 작동캠(419)의 외부 정점에 위치할 때는 밀대(414)가 완전히 후퇴한 상태이며, 작동홈(434) 내의 정중앙에 위치할 때에는 밀대(414)가 최대의 거리로 전진된 상태이다.
상기 핫멜트 도포장치(D)는 제12도 내지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핫멜트 도포장치(D)는 앞에서 언급한 옆지(M)가 스토퍼(324)에 정지되고, 감지센서(도시않음)에 의해 감지되면 동작을 시작하는 것으로 , 브라켓트(40)와, 피스톤(402), 이송구(405)로 구성되며, 피스톤(402)과 이송구(405)는 각기 피스톤 브라켓트(401), 이송구 브라켓트(404)로 브라켓트(40)에 연결 구성된다.
상기 이송구(405)는 저면으로 분사노즐(406)이 연설되고 피스톤로드(403)와, 이송구브라켓트(404)가 연결 구성되어 피스톤(402)의 동작에 의해 이송구 브라켓트(404)와 연결 구정된 이송구(405)가 상, 하의 이송축(407)과 피스톤 로드(403)을 따라 와복 운동하며, 필요에 따라 핫멜트 공급관(도시않음)으로 공급되는 핫멜트를 옆지(M)의 일측 단부에 도포시켜 준다.
상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는 제17도 내지 제21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는 성형구(409)에서 권취된 엠보싱 커버(N)를 이송받아 후에 설명한 내부용기 투하장치(G)로부터 투하되어 핫멜트가 도포되고 수위량 조절선이 엠보싱되어 이송되어진 내부용기(906) 외부에 씌워주는 것으로, 커버홀더(5)와 피스톤 브라켓트(509), 누름구 브라켓트(513), 커버 누름구 홀더(505), 힌지축 브라켓트(51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홀더(5)는 내부홀더(50)와 외부홀더(501)로 구성되고, 내부홀더(50)는 그 내부가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형상으로 내부 정중앙에 피스톤(518)이 내부홀더(50) 상부면에 고착된 피스톤 지지간(523)에 일체로 형성되며, 피스톤(518)의 피스톤 로드(519) 끝단과 피스톤 지지간(523)으로 홀더판 스프링(520)을 연설하였다.
그리고, 양측으로 누름축(502)이 돌설되고 타방향의 양측으로는 일정깊이 홈(525)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홀더(501)은 양측으로 힌지축 브라켓트(515)에 연설되는 힌지축(514)에 유설되고, 상기 내부홀더(50)의 양측에 돌설된 누룸축(502)이 상, 하 작동되게 누름축 가이드(503)가 형성되며, 전방으로 상기 내부홀더(50)의 홈(525)과 홈(5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홀더(50)와 외부홀더(501)는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내부홀더(50)에 돌설된 스프링 홀더(510)가 외부홀더(501)에 형성된 안내 홈(527)의 탄성스프링(511)에 의해 내부홀더(50) 하강 후 복원력을 주는 것이다.
상기 피스톤 브라켓트(509)와 누름구 브라켓트(513), 커버 누름구 홀더(505)는 상, 하로 작동되는 상부판(423)에 위치하고, 커버 누름구 홀더(505)는 피스톤 브라켓트(509)의 피스톤 로드(528)의 동작으로 커버누름구 홀더 가이드(504)와 일체로 상, 하 작동되며, 누름구 브라켓트(513)의 누름구(512)는 상기한 커버홀더(5)의 누름축(502)을 하부로 눌러 준다. 그리고, 커버 누름구 홀더(505) 하부로는 커버 누름축(506)에 커버누름구(507)가 고착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 브라켓트(515)는 본체의 측면에 고착되며, 연설된 힌지축(514)으로 커버홀더(5)를 동작시키고, 한지축(514)은 드라이브 레버(516)와 드라아브캠(517)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는 제2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홀더(5)가 하향된 위치에서 동작이 시작되며, 성형구(409)에 옆지(M)가 권취되어 엠보싱 커버(N)가 되면 커버홀더(5)가 힌지축(514)을 중심으로 하방부가 성형구(409)로 위치하고, 성형구(409)의 엠보싱 커버(N)가 이송핀(413)에 의해 앞으로 전진하며, 커버홀더(5)의 내부홀더(50)내로 이송케 되며, 내부홀더(50) 내의 피스톤(518)의 피스톤 로드(519)가 후퇴하면서 홀더 판스프링(520)을 벌려주어 엠보싱 커버(N)를 내부홀더(50)의 내부축벽에 밀착시켜 준다.
그리고, 커버홀더(5)는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며, 하부로 이송몰드(521)에 의해 이송되어진 내부용기(906) 상부에서 상부판(423)이 하향되며, 누름구 브라켓트(513)의 누름구(512)가 자연적으로 커버홀더(5)의 누름축(502)을 하향되게하여 내부홀더(50)를 내부용기(906) 외부벽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내부홀더(50)내의 피스톤(518)의 피스톤 로드(519)가 전진되며, 엠보싱 커버(N)를 밀착하고 있던 홀더 판스프링(520)을 좁게하여 엠보싱 커버(N)를 자연적으로 낙하시키면 피스톤 브라켓트(509)의 피스톤(508)이 동작되어 피스톤 로드(508)와 커버 누름구 홀더 가이드(504), 커버 누름구 홀더(505), 커버 누름축(506), 커버 누름구(507)가 일체로 하향되며, 엠보싱 커버(N)를 내부용기(906) 외부벽에 안착시켜 준다.
다음 동작은 역순으로 원래 위치로 돌아가며, 엠보싱 커버(N)가 씌워진 내부용기(906)는 이송몰드(521)에 의해 후에 설명할 제2프레스 장치(K)로 이송된다. 상기 내부용기 투하장치(G)는 제22도 및 제2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내부용기 투하장치(G)는 내부용기(906)를 이송관(704)을 통해 이송받아 적충시키며 감지센서(703)에 의해 타임밸트(70)를 동작시켜 한 개씩 이송몰드(521)내로 투하시킨다.
상기 제1프레스 장치(J)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1프레스 장치(J)는 내부용기 투하장치(G)에서 이송몰드(521)로 투하된 내부용기(906)를 이송몰드(521)에 정확히 안착시켜 주기 위한 장치로 상부판(423)이 하강되면 몰드 가이드(901) 하방의 스프링(902)의 탄성에 의해 프레스 몰드(90)가 내부용기(906)를 이송몰드(521)에 안착시켜 준다.
상기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는 제26도 내지 제28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는 이송몰드(521)에 안착 이송된 내부용기(906) 외부벽에 할멜트를 도포해 주며, 이와 동시에 수위량 조절선 및 환형돌기를 엠보싱해 주는 것으로, 핫멜트를 수용받는 핫멜트 공급라인(60) 하부로 원추형상의 핫멜트로울러(608)가 위치하며, 하부의 모터(604)의 회전으로 풀리(606)(602)와 연설된 벨트(607)(603)의 동작으로 회전축(605)(601)의 회전으로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핫멜트로울러(608)와 면접되는 원판형상의 제1 로울러(609), 제2로울러(610), 제3로울러(611)가 회전되면서 핫멜트를 내부용기(906)의 외부벽에 일정 간격으로 도포해 준다.
상기 로울러(609)(610)(611)가 내부용기(906) 측벽에 핫멜트를 도포해 줌과 동시에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 일측벽에 연설된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장치(613)의 상, 하로 엠보싱 원판(614)(614')이 회전되면서 수위조절돌기(907) 및 환형돌기(970)을 엠보싱 해준다.
상기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 장치(613)는 상, 하 일체로 구성되어 전측으로 엠보싱 원판(614)(614')이 엠보싱원판 브라켓트(617)에 연설된 엠보싱 원판 지지구(615)(615')에 축설되며, 거리조절노브(616)(616')에 의해 간격을 조절한다.
따라서, 내부용기(906) 하부에 돌설된 환형돌기(970)와 상부의 수위량 조절선(907)에 의해 컵라면 용기가 사용될시(라면을 실장하기 위하여 컵라면 용기 이송공급장치) 다수 중첩된 상태에서 하나씩 인출할 때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2프레스 장치(K)는 제29도 및 제30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 제2프레스 장치(K)는 엠보싱 커버(N)가 내부용기(906)에 씌원진 상태로 이송몰드(521)에 의해 이송되면 상부판(423)이 하강되면서 프레스 몰드 가이드(911)의 스프링(904)(905)의 탄성에 의해 프레스 몰드(903)가 엠보싱 커버(N)를 내부용기(906)와 정확히 결합시켜 준다.
상기 완성용기 이송장치(H)는 제31도 및 제32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제2프레스 장치(H)에 의해 완성된 완성용기 즉, 컵라면 용기를 배출시켜 주는 것으로, 완성용기 배출관(80)과 이송관(802) 그리고 이송관(802)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주기 위한 공기공급관(804)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완성용기 배출관(80)은 4방향으로 하부가 고리 형상을 한 완성용기 갈고리(801)가 축설되고, 상부로 이송관(802)이 (805)에 이송관 홀더(803)로 지지 연설되며, 지지관 일측으로 송품기(806)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기 공급한 (804)이 연설되어 있다.
상기 완성용기 배출관(80)은 상부판(423)이 하강하면서 완성용기(I) 외부로 위치되며, 완성용 걸고리(801)가 완성용기 (I)의 키링부를 걸어 상부판(423)의 상승과 동시에 공기 공급관(804)으로 공급되는공기에 의해 진공상태로빨려 들어가면서 이송관(802)을 통해 배출케 된다.
상기 완성용기 (I)는 제33도 및 제3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엠보싱 커버(N)가 내부용기(906) 외부벽에 핫멜트에 의해 접착 결합되어 있으며, 내부용기(906) 내부로는 수위량 조절돌기(907)가 엠보싱되어 있고, 엠보싱 커버(N)는 ""부(908)와 ""부(909)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송몰드(521)는 내부용기(906)가 씌워질 수 있는 크기로 핫멜트가 도포되는 도포부위(612)와 일치되는 홈(522)이 형성되어 오동작시 이송몰드(521)에 내부용기(906)가 투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핫멜트가 접착될시 로울러(609)(610)(611)에 묻은 핫멜트가 이송몰드(521)에 묻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송몰드(521)는 자체 회전되는 것이 아니고 다른 장치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중 미설명부호 105는 옆지 적층 테이블 지지구, 110은 옆지(L) 적층시 적층량을 감지해 주는 감지센서, 207은 엠보싱 몰드 장치(B)의 로울러를 구동해 주는 체인, 701은 풀리, 702는 안내 가이드이다.
다음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먼저, 옆지 공급장치(A)의 옆지 적층 테이블(10)에 적층된 옆지(L)가 하방의 흡착구(107)에 의해 한 장씩 이송되며, 옆지 스토퍼(102)에 의해 정지되고, 이송밀대(108)가 고속으로 밀며 옆지(L)를 엠보싱몰드 장치(B)의 전측로울러(205)(206)로 이송시켜 전측로울러(205)(206)의 구동을옆지(L)가 이송되며, 엠보싱 몰드장치(B)의 하부몰드(201)에 스토퍼(도시않음)에 의해 정지되고, 상부몰드(20)가 하강되면서 엠보싱 됨과 동시에 스토퍼(도시않음)가 내려가며, 엠보싱된 옆지(M)는 후측 로울러(208)(209)를 통과하여 옆지 이송장치(C)의 옆지 이송 회전판(30)으로 이송된다.
옆지 이송 회전판(30)의 옆지 수용홈(303)에 수용된 옆지(M)는 옆지 이송 회전판(30)의 회동에 의해 이송테이블(301)로 이송되며, 이송된 옆지(M)는 이송 체인(322)의 체인 갈고리(323)에 의해 진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되는 옆지(M)는 이송로울러(306)를 통과하면서 골고루 펴지게 되며, 스토퍼(324)에 의해 정지되고 감지센서뭉치(316)의 감지센서(도시않음)에 감지되면 핫멜트 도포장치(D)가 작동되며, 옆지(M)의 단부에 핫멜트를 이송구(405)의 분사노즐(406)이 도포해 준다.
핫멜트가 도포된 옆지(M)는 이송되며, 성형구(409)의 권취구(410) 상부로부터 하강되는 누름히팅구(408)에 의해 권취되며, 엠보싱 커버(N)로 된다. 엠보싱 커버(N)는 성형구(409) 측벽에 형성된 이송핀(413)에 의해 전진되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의 커버홀더(5)내로 이송 되는데 커버홀더(5)의 내부홀더(50)내의 피스톤(518)의 동작으로 홀더 판스프링(520)이 벌어지며, 엠보싱 커버(N)를 내측벽에 밀착시켜 준다.
이 때 커버홀더(5)는 하향된 위치에서 힌지축(514)의 드라이브 레버(516) 및 드라이브 캠(517)의 동작으로 성형구(409)의 방향으로 위치 변환된다. 엠보싱 커버(N)를 수용한 커버홀더(5) 다시 원상태로 돌아오며, 상부판(423)이 하강되며, 이와 일체인 누름구 브라켓트(513)의 누름구(512)가 커버홀더(5)의 누름축(502)을 누르면서 하강되어 내부홀더(50)가 이송몰드(521)의 내부용기(906) 외부에 위치되며, 피스톤(518)의 동작으로 홀더 판스프링(520)이 좁아지며, 엠보싱 커버(N)를 낙하시킨다.
이와 동시에 피스톤(508)이 동작되며, 커버 누름구 홀더(505)가 하강하며, 누름구(512)가 엠보싱 커버(N)를 내부용기(906) 외부벽에 밀착시킨다. 이송몰드(521)에 안착된 내부용기(906) 외부벽에 위치한 엠보싱 커버(N)는 이송몰드(521)에 의해 제2프레스 장치(K)로 이송되며, 상부판(423)이 하강되면서 프레스 몰드(903)에 의해 엠보싱 커버(N)가 내부용기(906)에 밀착 결한된다.
그리고, 완성된 컵라면 용기는 이송몰드(521)에 의해 이송되어 완성용기 이송장치(H)의 완성용기 배출관(80)과 이송관(802)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한 내부용기(906)는 별도의 장치로부터 내부용기 투하장치(G)로 이송 적충되며, 감지센서(703)에 의해 타임벨트(70)가 작동되어 한 개씩 이송몰드(521)내로 투하되고, 투하된 내부용기(906)는 이송되며, 외부벽으로 핫멜트를 도포해 주며, 수위량 조절선 및 환형돌기를 엠보싱 해주는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로 이송된다.
그리고, 핫멜트가 도포되고 수위량 조절선 및 환형돌기가 엠보싱된 내부용기(906)는 이송몰드(521)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한 커버홀더(5) 하부로 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모든 공정이 신속 정확하게 수행되며, 기계의 오동작시 옆지 공급을 중단하거나 내부용기가 이송몰드에 핫멜트가 묻지 않게 되며, 단시간내에 많은 량의 컵라면 용기를 제조할 수 있어 환경 오염의 주범인 플라스틱 또는 스치로폴재의 컵라면 용기를 지양할 수 있는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2)

  1. 종이재로 된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옆지 공급장치의 객층테이블에 적층된 옆지를 흡착구에 의해 한 장씩 낙하되며, 경사진면을 따라 이송되어 스토퍼에 정지되는 단계와, b) 스토퍼에 정지된 옆지를 이송밀대가 고속으로 엠보싱 몰드 장치내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c) 엠보싱 몰드내로 이송된 옆지가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며, 엠보싱되는 단계와, d) 엠보싱된 옆지가 이송되며, 옆지 이송 회전판에 의해 이송테이블로 이송되는 단계와, e) 이송테이블에 이송된 옆지가 이송체인의 체인 갈고리에 의해 이송되며, 스토퍼에 의해 정지되고, 감지센서에 감지되는 단계와, f) 감지센서의 신호에 의해 핫멜트 도포장치가 작동되며, 옆지의 단부에 핫멜트를 도포해 주는 단계와, g) 핫멜트가 도포된 옆지가 이송되며, 성형구의 권취구내로 이송되는 단계와, h) 권취구내로 이송된 옆지가 성형구에 권취되며, 누름히팅구에 의해 원통 형상으로 권취되는 단계와,i) 권취된 옆지 즉, 엠보싱 커버가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의 커버홀더 내부에 안착되는 단계와, j) 별도의 장치로부터 본체로 이송되어 적층된 내부용기를 한 개씩 이송몰드에 투하되는 단계와, k) 이송몰드가 이송되며, 내부용기 측벽에 핫멜트를 도포해 주며, 수위량 조절선 및 환형돌기를 엠보싱해 주는 단계와, l) 이송몰드가 이송되며, 상기한 커버홀더 하부로 위치되는 단계와, m) 커버 홀더내의 엠보싱 커버를 상기 내부용기 외부벽으로 씌우는 단계와, n) 엠보싱 커버가 씌워진 내부용기가 이송몰드에 의해 이송되며, 제2프레스 장치에의해 완전하게 결합되는 단계와, o) 완전하게 결합된 컵라면 용기를 이송몰드에 의해 이송되며,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공급장치와 엠보싱 몰드 장치의 설치 각도가 45°의 경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용기 내측 상, 하부로 수위량 조절선 및 환형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4. 종이재로된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경사지게 적층된 옆지(L)를 한 장씩 이송시키는 옆지 공급장치(A)를 가지며, 그 옆에 옆지 공급장치로부터 한 장씩 이송 받은 옆지에 엠보싱해주는 엠보싱 몰드장치(B)가 상기 옆지 공급장치(A)와 마찬가지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그 옆에 엠보싱된 옆지(M)를 둥글게 말아주는 성형구(409)의 권취구(410)로 이송시키는 옆지 이송장치(C)가 부설되며, 그 일측에 옆지(M)의 단부에 접착제인 핫멜트를 도포해주는 핫멜트 도포장치(D)가 설치되며, 상기 옆지 이송장치(C) 일측에 상기 성형구(409)에 이송되어 권취되는 옆지(M) 즉, 엠보싱 커버(N)를 내부용기(906)와 결합시키기 위한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의 외부벽에 접착제인 핫멜트를 도포해주는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가 상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F) 하방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906) 외부벽에 수위량 조절선(907) 및 환형돌기(970)을 엠보싱해주는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 장치(613)가 설치되며,상기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로부터 내부용기(906)와 결합되어진 엠보싱 커버(N)를 일체로 이송하며, 완전한 결합을 위해 눌러주는 제2프레스 장치(K)가 엠보싱 커버 이송장치(E)의 일측 상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스 장치(K) 일측에 완성된 용기(I)를 배출시켜 주는 완성 용기 이송장치(H)가 설치되며, 상기 내부용기를 적층시켜 주며 하나씩 투하시켜 주는 내부용기 투하장치(G)가 제1 및 제2 프레스 장치 후방에 설치되며, 내부용기가 투하되는 이송몰드(521)로 정확히 내부용기를 안착시키는 상기 제1프레스 장치(J)가 상기 제2프레스 장치(K) 반대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공급장치(A)는 옆지 적층 테이블(10)의 옆지 적층가이드(111)와 옆지 적층 안내간(102)에 의해 적층된 옆지(L)를 흡착구(107)로 한 장씩 이송시키며, 옆지 스토퍼(102)에 정지시키고, 이송밀대(108)로 고속으로 엠보싱 몰드장치(B)내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공급장치(A)의 일측으로 안전스토퍼(104)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옆지 이송장치(C)는 옆지 수용홈(303)이 형성된 옆지 이송회전판(30)과 체인 걸림 방지홈(308)이 형성된 이송로울러(30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 도포장치(D)는 브라켓트(40)에 피스톤(402)이 고착된 피스톤 브라켓트(401)와 분사노즐(406)이 일체로 형성된 이송구(405)에 연설된 이송구 브라켓트(40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홀더(5)는 내부 정중앙에 피스톤(518)이 피스톤 지지간(523)에 일체로 형성되고, 피스톤의 피스톤 로드(519) 끝단과 피스톤 지지간으로 홀더 판스프링(520)을 연설하며, 양측으로 누름축(502)이 돌설되고, 홈(525)이 형성된 내부홀더(50)와 힌지축(514)에 유설되고, 누름축 가이드(503)가 형성디며, 홈(526)이 형성된 외부홀더(50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는 핫멜트공급라인(60)과 원추형상의 핫멜트로울러(608)와 원판형상의 제1로울러(609), 제2로울러(610), 제3로울러(6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몰드(521)를 일정 간격으로 홈(5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위량 및 환형돌기 엠보싱 장치(613)는 측벽 핫멜트 도포장치(F)일측벽에 연설된 엠보싱 원판 브라켓트(617) 상,하로 돌설된 엠보싱 원판지지구(615)(615')끝단에 엠보싱 원판(614)(614')이 축설되며,엠보싱 원판 지지구(615)(615')와 내부용기(906)의 간격을 조절해주는 거리조절노브(616)(616')가 축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라면 용기의 제조장치.
KR1019920019025A 1992-10-16 1992-10-16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95001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9025A KR950011851B1 (ko) 1992-10-16 1992-10-16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9025A KR950011851B1 (ko) 1992-10-16 1992-10-16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867A KR940008867A (ko) 1994-05-16
KR950011851B1 true KR950011851B1 (ko) 1995-10-11

Family

ID=19341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025A KR950011851B1 (ko) 1992-10-16 1992-10-16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18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78Y1 (ko) * 2013-06-25 2014-06-16 이준구 이중 컵 결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771A (ko) * 2002-09-17 2004-03-26 김지웅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178Y1 (ko) * 2013-06-25 2014-06-16 이준구 이중 컵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867A (ko) 199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48260C (zh) 胶囊填充封口装置
KR100808507B1 (ko) 낱장 김을 연속으로 이어 만든 롤형 이음 김의 제조장치
CN111497318B (zh) 一种方形纸质容器及其盖体的加工设备及制作工艺
KR950011851B1 (ko)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US4805758A (en) Crossed turret cup feeder
US20060231210A1 (en) Device for making containers
KR102220453B1 (ko) 우드스트로우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0774666A (zh) 一种新型纸盖成型机
JPH09500856A (ja) 包装容器のラベル貼り方法とラベル貼り装置
EP0252015B1 (en) Automatic machine for forming boxes of the double-plinth type
KR100843335B1 (ko) 원추용기 제조장치
KR101337309B1 (ko) 종이컵 제조장치
CN108482724B (zh) 盖体供料机构
US4465541A (en) Grouping single dose containers
CN108516156B (zh) 吸料机构
JP4342028B2 (ja) 蓋体組付装置
JP4105431B2 (ja) 断熱容器のブランク供給装置
KR950007085Y1 (ko) 종이컵 제조장치에 있어서, 컵배출 및 불량컵 회수장치
JP2005254747A (ja) ブランクの糊付け装置
JPH0231365Y2 (ko)
CN112621640B (zh) 一种全自动高速卸钻装置
JP4030303B2 (ja) 断熱容器のスリーブ排出装置
CN108639437B (zh) 用于带式包装盒进行包装的设备
KR930005645Y1 (ko) 종이컵의 커링(curring) 및 밑받침구 고정장치
CN108482735B (zh) 菊花茶包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