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178Y1 - 이중 컵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컵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3178Y1
KR200473178Y1 KR2020130005120U KR20130005120U KR200473178Y1 KR 200473178 Y1 KR200473178 Y1 KR 200473178Y1 KR 2020130005120 U KR2020130005120 U KR 2020130005120U KR 20130005120 U KR20130005120 U KR 20130005120U KR 200473178 Y1 KR200473178 Y1 KR 2004731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double
pressing
adjusting member
heigh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1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구
Original Assignee
이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구 filed Critical 이준구
Priority to KR20201300051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7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2/00Pres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30B1/00 - B30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컵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중 컵의 내컵과 외컵을 누름 방식으로 간단하고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내컵과 외컵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이중 컵 결합장치는, 외컵 내로 내컵이 삽입된 상태의 이중 컵이 안착되는 받침부; 받침부의 상방 측에는 한 쌍을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해 받침부에 지지 설치되는 다단 형태를 갖는 위치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부; 고정부의 하방 측에 설치되어 고정부의 위치공으로 삽입 설치된 장볼트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외컵 또는 내컵의 외면을 눌러주는 누름부; 고정부에 결합되어 누름부를 하방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심 회전하는 누름작동부; 장볼트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누름부를 원위치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컵 결합장치{combination apparatus for double cup}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갖는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는 컵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누름 방식으로 간단하고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외컵과 내컵을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은 물이나 음료수 등의 내용물을 담아 마실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컵은 단일 형태 또는 외컵과 내컵으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를 갖는 이중 컵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컵은 합성수지인 플라스틱 및 유리, 금속재, 목재 등의 다양한 재질이 있다.
여기서는, 이중 구조를 갖는 이중 컵에 대한 것으로, 상기 이중 컵의 외컵 내에 내컵을 삽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컵에 힘을 가해 억지 끼움으로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는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기 위한 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려움은 물론 많은 작업시간, 인력, 비용 손실로 인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외컵과 내컵이 제대로 결합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외컵과 내컵이 분리되는 불량률이 높아짐은 물론 재작업을 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 하부 금형을 구비한 프레스 구조를 갖는 결합장치를 이용하는데, 즉 상기 결합장치의 상, 하부 금형 사이에 외컵과 내컵이 포개어진 상태인 이중 컵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상, 하부 금형을 이동시켜 상기 외컵과 내컵을 눌러주어 결합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중 컵 결합장치는 상, 하부 금형 및 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많은 구성들로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의 크기 및 무게가 상당히 많이 나감에 따라 어느 한 곳에서만 작업이 가능하고, 이중 컵 결합장치의 작동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이중 컵 결합작업에 따른 작업성이 저하되며,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중 컵을 받치는 받침부와, 상기 이중 컵의 내컵과 외컵을 결합하기 위해 내컵 또는 외컵을 누르는 누름부 및, 상기 누름부의 누름 및 누름 해제하도록 누름부를 작동시키는 누름작동부 등을 구비한 이중 컵 결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에 의해 이중 컵의 내컵과 외컵을 누름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함은 물론 상기 내컵과 외컵을 보다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의 크기 및 무게를 최소화함에 따라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중 컵 결합장치를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갖는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는, 상기 외컵 내로 내컵이 삽입된 상태의 이중 컵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방 측에는 한 쌍을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해 상기 받침부에 지지 설치되는 다단 형태를 갖는 위치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공으로 삽입 설치된 장볼트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도록 상기 외컵 또는 내컵 중 어느 하나의 컵 외면을 눌러주는 누름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하방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심회전하는 누름작동부; 상기 장볼트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를 원위치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받침부와 고정부 및 누름부와 누름작동부, 장볼트와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이중 컵 결합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의 받침부와 누름부 사이에 외컵 내에 내컵이 삽입된 이중 컵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편심회전하는 누름작동부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누름작동부의 편심부는 누름부를 하방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누름부는 상기 이중 컵의 외컵 또는 내컵의 외면을 눌러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므로,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를 이용한 누름 방식으로 인해 상기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보다 간단하면서도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외컵과 내컵은 정확한 위치에서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는 과정에서의 불량율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함에 따라 상기 이중 컵의 결합작업에 따른 시간이나 인력, 비용의 손실을 절감함은 물론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의 구조가 단순함은 물론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며,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를 손쉽고 용이하게 작동 가능함으로써,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의 제작비용 절감 및,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의 이동 및 휴대가 용이하며,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누구든지 손쉽게 작업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 이중 컵 결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이중 컵 결합장치의 각 구성을 분리한 상태로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이중 컵 결합장치의 상부 측 구조를 단면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와 도 5는 본 고안 이중 컵의 내컵과 외컵을 결합하기 위해 이중 컵 결합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단면 상태로 나타낸 단면도.
도 7a와 도 7b는 본 고안 이중 컵의 내컵과 외컵이 결합 전, 후 상태를 각각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컵 결합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이중 구조를 갖는 이중 컵(200)의 외컵(210)과 내컵(220)을 간단하면서도 손쉽고 용이하게 결합 및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중 컵(200)은 외컵(210)과 상기 외컵(210)의 내주면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외컵(210) 내로 삽입 결합되는 내컵(22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내컵(220)의 상부에는 내컵(220)의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하도록 하는 뚜껑(230)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 사이에는 광고 및 홍보 또는 컵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캐릭터와 같은 각종 그림이나 글 및 사진 등의 문양이나 도안이 프린팅된 프린트지(24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외컵(210)의 상부 내주면에는 홈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컵(220)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홈부(211)에 삽입되어 상기 외컵(210)과 상기 내컵(220)을 결합 고정하도록 하는 돌부(2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부(211)와 돌부(221)는 외, 내컵(210,220)의 내, 외주면을 따라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외컵(2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홈부(211)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내컵(220)의 내주면을 따라 각 홈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의 돌부(221)를 각각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이중 컵(2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결합방식, 제작여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은 합성수지 및 금속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가능하며, 상기 외컵(201)과 내컵(220)은 동일한 재질로 사용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을 혼용 사용가능하고, 상기 외컵(210)은 프린트지(240)가 외부로 보여질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이중 컵 결합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를 지면에 놓여 지도록 설치함은 물론 상기 외컵(210) 내로 내컵(220)이 삽입된 상태의 이중 컵(200)을 안착시키도록 하는 받침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안착된 이중 컵(200)을 정확한 위치에 놓여지도록 상기 이중 컵(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컵 위치 조절부재(11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컵 위치 조절부재(111)에는 상기 이중 컵(200)의 외컵(210) 또는 내컵(220) 중 어느 하나의 컵 하부면 즉, 상기 이중 컵(200)이 위치하는 형태에 따라 컵(210,220)의 하부면이 삽입 위치하는 위치홈(11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받침부(110)를 바닥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위치 및 상기 받침부(11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 또는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패킹(112)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패킹(112)은 받침부(110)의 하면 각 모서리에 위치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는 이중 컵(200)의 전체적인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130)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대(130)의 상단과 하단에는 상기 받침부(110)와 각 지지대(130) 또는 상기 각 지지대(130)와 후술할 고정부(120)를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체결되는 체결볼트(161)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공(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대(130)는 상기와 같이 볼트 등 같은 체결부재(161)에 의해 받침부(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거나 또는 용접 등에 의해 받침부(110)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데, 이는 이중 컵 결합장치(10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제작여건, 제작방식 또는 구매자의 요구사항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기 위함이다.
상기 받침부(110)의 상방 측에 위치 및 상기 각 지지대(130)의 상단에는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 안착된 이중 컵(200)의 외컵(210)과 내컵(220)을 결합하기 위한 후술할 누름부(140) 및 누름작동부(150)가 결합되는 고정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양측부에는 상기 고정부(120)를 각 지지대(130)에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각 지지대(130)의 각 체결공(131)과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61)가 삽입 체결되도록 하는 고정공(122)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에는 이중 컵(200)의 외컵(210) 또는 내컵(220)의 외면을 눌러주기 위한 후술할 누름부(140)를 결합하기 위한 장볼트(160)가 삽입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위치공(1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위치공(121)은 도 3에서와 같이 장볼트(160)가 삽입되어 통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후술할 탄성스프링(170)이 고정부(120)의 하방측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부 측의 직경보다 하부 측의 직경이 작은 다단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하방 측에는 후술할 누름작동부(150)의 작동에 따라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중 컵(200)의 외컵(210)과 내컵(22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외컵(210) 또는 내컵(220)의 외면 즉, 컵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외컵(210) 또는 내컵(220) 중 어느 하나의 컵(210,220) 단부를 눌러주도록 하는 누름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140)에는 상기 고정부(120)의 하방 측에 누름부(140)가 왕복이동가능하게 위치 설치되도록 상기 고정부(120)의 각 위치공(121)에 각각 삽입된 장볼트(160)의 단부가 삽입 체결되기 위한 결합공(1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결합공(141)은 누름부(140)에 관통 형성하거나 또는 누름부(140)의 상면에 관통되지 않은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위치공(121)에 삽입 설치된 장볼트(160)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누름작동부(160)에 의해 하방 측으로 이동한 누름부(140)에 가해진 힘을 제거할 경우 상기 누름부(140)를 원위치시키도록 일정 탄성을 갖는 탄성스프링(17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에는 상기 누름부(140)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140)를 하방 측으로 이동 즉, 이중 컵(200)의 외컵(210)과 내컵(22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120)의 하방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심 회전하는 누름작동부(15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누름작동부(15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의 전면과 후면에는 누름부(140)를 눌러주기 위하여 상기 누름부(140)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편심 회전하도록 상기 고정부(120)에 편심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편심부(15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편심부(151)의 상부에는 상기 각 편심부(151)를 편심 회전시키기 위해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152)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각 편심부(151)의 외면에는 상기 누름부(140)의 상면에 접촉됨은 물론 상기 손잡이부(152)의 작동에 따라 편심회전하는 편심부(151)와 같이 회전 및 이동하면서 상기 누름부(140)를 고정부(120)의 하방 측 즉, 이중 컵(200) 측으로 밀어주는 베어링(153)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누름부(140)의 상면에는 상기 누름작동부(150)의 편심부(151) 외주면이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편심부(151)의 외주면과 베어링(151)의 외주면이 동시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베어링(151)의 외주면만 접촉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누름작동부(150)의 사용목적이나 효과 및 구매자의 요구사항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갖는 누름작동부(150)를 구비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에 의해 외컵(210)과 내컵(220)이 결합되는 이중 컵(200)의 전체적인 길이에 따라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의 받침부(110) 상면과 상기 누름부(140) 하면 간의 높이를 달리하여야 한다.
즉, 상기 이중 컵(200)의 크기는 대, 중, 소 등 다양한 길이 즉, 높이를 가짐에 따라 상기 이중 컵(200)의 높이에 대응하여 상기 받침부(110)와 누름부(140) 간의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110)와 누름부(140) 간의 간격 즉,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 설치된 컵 위치 조절부재(111)의 위치홈(111a)에 끼워지면서 상기 컵 위치 조절부재(111)의 상면에 얹혀져 상기 받침부(110)와 누름부(140) 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높이조절부재(181)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상면에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상면에 얹혀져 상기 받침부(110)와 누름부(140) 간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높이조절부재(18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상부면에는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을 결합하기 위한 이중 컵(200)이 안착되는 안착면판부(18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하부면 중앙부에는 컵 위치 조절부재(111)의 위치홈(111a)에 삽입 위치하는 삽입위치판부(18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위치판부(1812)는 위치홈(111a)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위치홈(111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82)의 상부에는 외컵(210)과 내컵(220)을 결합하기 위한 이중 컵(200)이 안착되는 위치조절판(182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위치조절판(1821)에는 외컵(210) 또는 내컵(220) 중 어느 하나의 컵(210,220) 외면 즉, 하부면이 삽입 위치하는 삽입홈(18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82)의 하부에는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 또는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안착면판부(1811)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제2높이조절부재(182)를 안착시키는 하부면판부(182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면판부(1822)의 하면에는 상기 받침부(110)에 제2높이조절부재(182)만을 설치할 때 상기 받침부(110)에 제2높이조절부재(182)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받침부(110)의 컵 위치 조절부재(111)의 위치홈(111a)에 삽입 위치하는 원형 형상을 갖는 삽입형상부를 더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안착면판부(1811) 및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82)의 하부면판부(1822)는 상기 제1,2높이조절부재(181,182)가 서로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자석은 고무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중 컵(20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에서는 높이조절부재를 사용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제1,2높이조절부재(181,182)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2높이조절부재(181,182)를 겹쳐놓은 상태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이중 컵 결합장치(100)의 받침부(110) 상면과 누름부(140) 사이에 외컵(210) 내에 프린트지(240)와 내컵(220)이 삽입된 상태의 이중 컵(200)을 위치시킨다.
이때, 도 7a에서와 같이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은 결합된 상태가 아닌 그냥 삽입 즉, 상기 외컵(210)의 홈부(211)와 상기 내컵(220)의 돌부(221)는 서로 끼움 결합된 상태가 아닌 형태로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은 위치되어 있다.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에 위치하는 이중 컵(200)의 외컵(210) 또는 내컵(220) 중 어느 하나의 컵(210,220) 하단 즉, 이중 컵(2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이중 컵(200)의 외컵(210) 또는 내컵(220) 중 어느 하나의 컵(210,220) 하단 은 상기 받침부(110)의 컵 위치 조절부재(111)에 형성된 위치홈(111a)으로 삽입 위치하므로 상기 이중 컵(200)은 결합 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받침부(110)의 상방 측에 설치된 고정부(120)에 편심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누름작동부(150)의 손잡이부(152)를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52)를 도 4의 위치에서 도 5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누름작동부(150)의 한 쌍으로 이루어진 편심부(151)는 상기 손잡이부(152)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고정부(120)에서 편심 회전되고, 상기 편심 회전된 각 편심부(151)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결합됨은 물론 상기 누름판(140)의 상면에 접촉된 베어링(153)도 상기 각 편심부(151)와 함께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고정부(120)의 각 위공(121)에 삽입 설치됨은 물론 단부에 누름부(140)가 결합된 각 장볼트(160)도 하방 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각 장볼트(160)의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170)은 압축된다.
그러므로, 상기 편심 회전하는 편심부(151)와 각 베어링(153)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상기의 누름부(140)는 상기 고정부(120)의 하방 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하방 측으로 이동하는 누름부(140)는 이중 컵(200)의 외컵(210) 또는 내컵(220)의 하단을 눌러준다.
상기 누름부(140)에 의하여 이중 컵(20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하여 상기 이중 컵(200)의 외컵(210) 내로 내컵(220)은 삽입됨은 물론 상기 내컵(220)의 돌부(221)는 상기 외컵(210)의 홈부(211) 내로 도 7b에서와 같이 삽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은 분리되지 않는 상태로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외컵(210) 내에 내컵(220)이 끼움 결합된 이중 컵(200)을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누름작동부(150)의 손잡이부(15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상기 장볼트(160)의 외주면에 설치된 탄성스프링(170)의 탄성력 즉,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힘에 의하여 상기 장볼트(160)은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장볼트(160)의 단부에 결합된 누름부(140) 또한 상방 즉, 고정부(120) 측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누름작동부(150)의 작동에 따라 하방 측으로 이동하는 누름부(140)에 의해 이중 컵(200)에 가해졌던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상기 탄성스프링(170)에 의해 누름부(14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럼에 따라, 상기 이중 컵(200)과 상기 누름부(140)는 서로 이격되므로, 상기 외컵(210)과 내컵(220)이 결합된 이중 컵(200)을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로부터 빼내면 된다.
한편, 상기 이중 컵(200)은 대, 중, 소 등 다양한 크기 및 길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의 받침부(110) 상면과 누름부(140) 하면 사이의 간격 즉,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 2와 도 9에서와 같은 형태의 제1,2높이조절부재(181,18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대형의 이중 컵(200)인 경우에는 제1,2높이조절부재(181,182)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100)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이중 컵(200)의 외컵(210)과 내컵(220)을 결합한다.
상기 중형의 이중 컵(200)인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110)와 누름부(140) 사이에 중형의 이중 컵(200)을 위치시킬 경우 상기 일정 길이만큼만 이동하는 누름부(140)는 이중 컵(200)의 하단과 접촉되지 않으므로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 제1높이조절부재(181)를 안착 설치한다.
즉, 상기 컵 위치 조절부재(111)의 위치홈(111a)에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삽입위치판부(1812)를 삽입 위치시켜 상기 받침부(110)의 상면에 제1높이조절부재(181)를 안착시키고 나서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안착면판부(181)에 중형의 이중 컵(200)을 세워 안착한 다음 상기 누름작동부(150)를 작동시켜 편심부(151)와 베어링(153)을 편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베어링(153)은 누름부(140)의 상면을 누르면서 하방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외컵(210) 내로 내컵(220)이 끼움 결합된 중형의 이중 컵(200)이 제작된다.
그리고, 소형의 이중 컵(200)인 경우에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 만으로는 상기 받침부(110)와 누름부(140) 사이에 위치하는 소형의 이중 컵(200) 하단에 상기 누름부(140)가 접촉되지 않음에 따라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상면에 제2높이조절부재(182)를 안착 설치한다.
즉, 이중 컵 결합장치(100)의 받침부(110) 상면에 안착 설치된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상면에 제2높이조절부재(182)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안착면판부(1811)와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82)의 하부면판부(1822)가 서로 다른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자석인 안착면판부(1811)과 하부면판부(1822)는 부착되면서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181)의 상면에 제2높이조절부재(182)를 안착 설치하고 나서 상기 제2높이조절부재(182)의 위치조절판(1821)에 형성된 삽입홈(1821a)으로 소형의 이중 컵(200) 하단을 삽입한 상태로 세워 안착한 다음 상기 누름작동부(150)를 작동시켜 편심부(151)와 베어링(153)을 편심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베어링(153)은 누름부(140)의 상면을 누르면서 하방 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상기 외컵(210) 내로 내컵(220)이 끼움 결합된 소형의 이중 컵(200)이 제작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는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고안의 기술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되는 것이다.
100: 이중 컵 결합장치 110: 받침부
111: 컵 위치 조절부재 111a: 위치홈
112: 패킹 120: 고정부
121: 위치공 122: 고정공
130: 지지대 131: 체결공
140: 누름부 141: 결합공
150: 누름작동부 151: 편심부
152: 손잡이부 153: 베어링
160: 장볼트 161: 체결볼트
170: 탄성스프링 181,182: 제1,2높이조절부재
1811: 안착면편부 1812: 삽입위치판부
1821: 위치조절판 1821a: 삽입홈
1822: 하부면판부 200: 이중 컵
210: 외컵 211: 홈부
220: 내컵 221: 돌부
230: 뚜껑 240: 프린트지

Claims (5)

  1. 이중 구조를 갖는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컵 결합장치는, 상기 외컵 내로 내컵이 삽입된 상태의 이중 컵이 안착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상방 측에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지지대에 의해 상기 받침부에 지지 설치되는 다단 형태를 갖는 위치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방 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부의 위치공으로 삽입 설치된 장볼트에 의해 결합됨은 물론 상,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중 컵의 외컵과 내컵을 결합하도록 상기 외컵 또는 내컵 중 어느 하나의 컵 외면을 눌러주는 누름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부를 하방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편심회전하는 누름작동부; 상기 장볼트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부를 원위치시키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되되,
    상기의 누름작동부는, 상기 고정부의 전, 후면에 편심 회전가능하도록 편심 결합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편심부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편심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편심부를 편심 회전시키도록 손으로 잡는 손잡이부와,
    상기 각각의 편심부의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부의 상면에 접촉됨은 물론 누름부를 하방 측으로 밀어주는 베어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부의 상면에는 안착된 이중 컵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이중 컵의 외컵 하부면이 삽입 위치하는 위치홈을 갖는 컵 위치 조절부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받침부의 상면에는 컵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받침부의 상면과 누름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하는 높이조절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의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받침부의 상면에 설치된 컵 위치 조절부재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부면에는 상기 컵 위치 조절부재의 위치홈으로 삽입 위치하는 삽입위치판부 및 상부면에는 이중 컵이 안착되는 안착면판부가 설치된 제1높이조절부재와,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의 상면에 얹혀지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부에는 상기 제1높이조절부재의 안착면판부 상면에 안착되는 하부면판부 및 상부에는 이중 컵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상기 이중 컵의 외컵 하부면이 삽입 위치하는 삽입홈을 갖는 위치조절판이 설치된 제2높이조절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제1높이조절부재의 안착면판부 및 제2높이조절부재의 하부면판부는 상기 제1,2높이조절부재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서로 다른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형성되며, 상기의 자석은 고무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컵 결합장치.
KR2020130005120U 2013-06-25 2013-06-25 이중 컵 결합장치 KR2004731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20U KR200473178Y1 (ko) 2013-06-25 2013-06-25 이중 컵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120U KR200473178Y1 (ko) 2013-06-25 2013-06-25 이중 컵 결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78Y1 true KR200473178Y1 (ko) 2014-06-16

Family

ID=5149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120U KR200473178Y1 (ko) 2013-06-25 2013-06-25 이중 컵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7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289Y1 (ko) * 1986-06-27 1989-05-17 이항섭 종이컵 하단받침대의 자동성형장치
KR920003411B1 (ko) * 1989-09-04 1992-04-30 임경택 종이컵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6156590A (ja) * 1992-08-20 1994-06-03 Cie Generale Des Matieres Nucleares (Cogema) 缶の蓋を切る機械
KR950011851B1 (ko) * 1992-10-16 1995-10-11 진양기계산업주식회사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3289Y1 (ko) * 1986-06-27 1989-05-17 이항섭 종이컵 하단받침대의 자동성형장치
KR920003411B1 (ko) * 1989-09-04 1992-04-30 임경택 종이컵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6156590A (ja) * 1992-08-20 1994-06-03 Cie Generale Des Matieres Nucleares (Cogema) 缶の蓋を切る機械
KR950011851B1 (ko) * 1992-10-16 1995-10-11 진양기계산업주식회사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47798A (zh) 一种压装发动机缸盖座圈的装置
CN203792939U (zh) 一种组装式文件整理框
CN105773049A (zh) 一种可快速取料的双工位联动定位装置
KR200473178Y1 (ko) 이중 컵 결합장치
KR200465696Y1 (ko) 높이 조절이 편리한 마루틀 시스템
CN204437595U (zh) 小型家电固定夹
CN211145152U (zh) 一种偏心轮轴部件
CN104339335A (zh) 一种凸轮夹持机构
CN205130656U (zh) 一种铭牌打标机用快速夹具
CN205660327U (zh) 一种可快速取料的双工位联动定位装置
CN105817819A (zh) 一种双工位联动定位装置
CN207326492U (zh) 快速夹具
CN206445416U (zh) 一种组合焊接夹具
CN204687561U (zh) 钥匙铣牙机用自动打码送料装置
KR101629355B1 (ko) 팸너트 압착장치
KR101888945B1 (ko) 휴대용 모양커팅기
CN209528343U (zh) 桌面材质可以更换的桌面结构及其书桌
CN206765382U (zh) 一种装饰条压合装置
CN104564946B (zh) 刹车片生产流水线上基于凸轮滑块夹紧松开机构
CN210055697U (zh) 饮水机门体组件的安装结构
CN104172675A (zh) 一种隐形拉链的拉头
CN214143054U (zh) 一种用于装饰纸试样的架体组件
CN105415017A (zh) 升降式垫板
CN204560781U (zh) 一种家用圆形食品打孔装置
CN210164885U (zh) 超高压容器位置自动调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