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5771A -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5771A
KR20040025771A KR1020020056367A KR20020056367A KR20040025771A KR 20040025771 A KR20040025771 A KR 20040025771A KR 1020020056367 A KR1020020056367 A KR 1020020056367A KR 20020056367 A KR20020056367 A KR 20020056367A KR 20040025771 A KR20040025771 A KR 20040025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ylinder
paper
food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웅
Original Assignee
김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웅 filed Critical 김지웅
Priority to KR102002005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25771A/ko
Publication of KR20040025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577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 B65D3/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3/0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or peripheral walls of curved or partially-curved cross-section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without folding along defined lines characterised by shape essentially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통체를 2겹 이상으로 감을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된 옆지를 사용하여 겹층구조로 감아 제조함으로 하여 뜨거운 내용물이 담긴 그 통체를 손으로 잡을지라도 그 손이 뜨겁지 않도록 하였고 그 제조과정이 쉬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는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를 통해 마련되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재단되어 2겹 이상의 겹층구조의 통체를 감을 수 있도록 된 옆지; 및 상기 옆지에 의해 감겨진 통체의 개구된 하부를 수밀성 있게 막도록 설치되어 상기 통체가 음료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한 밑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CONTAINER FOR CONTAINING BEVERAGE, VERMICELL AND LIKE FOOD, METHOD FOR MANUFACTURING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용기의 통체를 2겹 이상으로 감을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된 옆지를 사용하여 겹층구조로 감아 제조함으로 하여 뜨거운 내용물이 담긴 그 통체를 손으로 잡을지라도 그 손이 뜨겁지 않도록 하였고 그 제조과정이 쉬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이나 커피 등의 음료나 식품은 그들을 휴대하기 쉽고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그들을 먹을 수 있도록 한 용기에 의해 포장되었던 것이 주지된 사실이였고, 특히 뜨거운 물을 통해 간편하게 익혀 먹도록 된 라면을 담는 용기일 경우, 그 용기는 그 뜨거운 물이 담긴 그의 통체를 손으로 잡을 때에도 손이 뜨겁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개량되어 오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였다. 더욱이, 이 라면용 용기의 주재로는 플라스틱 폼이였다.
하지만, 최근에 이 용기에 뜨거운 물을 담을 경우 그 플라스틱 폼으로부터 인체에 유해한 환경 호로몬이 발생됨이 발견되었고, 이를 통해 당업계에서는 이 플라스틱 폼을 대체할 새로운 용기의 개발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방안으로 그 플라스틱 폼 대신에 종이를 사용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이 종이로부터 생산된 용기가 라면을 담는 도구로 폭 넓게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와같이 종이를 주재로 한 용기는 열전도성이 상기 플라스틱 폼으로 한 용기보다 컸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방안이 또한 대두되었다.
따라서, 더 최근에는 종이를 사용하면서도 그 용기의 통체를 겹층 구조로 하여 상기된 문제점을 타계해 오고 있었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종이로부터 내용물을 담는 별도의 내층부용 통체를 별도로 마련한 다음, 그 내층부용 통체가 수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외층부용 통체를 종이로부터 제조한 후, 그 외층부용 통체에 상기 내층부용 통체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상기의 겹층 구조를 갖는 용기의 통체를 마련하였던 것이다.
이와같이 마련된 겹층 구조를 갖는 용기에서, 그 용기에 뜨거운 물이 담길 경우에도 각 층의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통해 내층부용 통체로부터의 열이 외층부용 통체로 전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따라서 이 용기를 잡고 있는 손은 뜨겁지 않게 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 용기는 상기된 바와 같이 복잡한 제조과정을 통해 제조되었기에 그 제조과정이 상당히 번거로웠고, 이를 통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용기의 통체를 2겹 이상으로 감을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된 옆지를 사용하여 겹층구조로 감아 제조함으로 하여 뜨거운 내용물이 담긴 그 통체를 손으로 잡을지라도 그 손이 뜨겁지 않도록 하였고 그 제조과정이 쉬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 있어서, 옆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다른 예의 재단방법으로 완성된 옆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3에 있어서, 다른 예의 옆지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서, 옆지 감는방법 및 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서, 통체를 컬링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 발명의 용기3 : 통체
5 : 옆지7a,7b : 단턱
11 : 선형의 돌기13 : 선형의 엠보싱
15 : 밑지17 : 플랜지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는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를 통해 마련되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재단되어 2겹 이상의 겹층구조의 통체를 감을 수 있도록 된 옆지; 및 상기 옆지에 의해 감겨진 통체의 개구된 하부를 수밀성 있게 막도록 설치되어 상기 통체가 음료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한 밑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옆지는 상기 원지로부터 상기 단턱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재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옆지는 상기 원지로부터 기 재단된 2개의 부재로부터 상기 단턱이 형성되게 부착함으로 인해 재단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옆지의 일면에는 상기 통체의 겹층 사이를 띄어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선형의 돌기가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 선택적으로, 상기 옆지의 일면에는 상기 통체의 겹층 사이를 띄어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선형의 엠보싱이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통체의 개구된 상부 주연부에는 플랜지가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옆지는 원호상으로 재단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옆지는 직방체로 재단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를 통해 마련되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본 발명의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는 옆지를 재단하기 위한 옆지 재단단계; 재단된 상기 옆지를 회전하는 몰드와 대응 회전하는 회전롤러의 지지를 받으며 그 몰드에 감아 2겹 이상으로 감긴 통체를 감기 위한 옆지 감는단계; 2겹 이상으로 감긴 상기 통체의 각 끝단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그 통체에 부착시킴으로 하여 상기 통체가 되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통체 부착단계; 및 상기 몰드에서 분리된 통체의 개구된 하부에 밑지를 삽입하고 상기 통체가 수용 공간을 갖도록 이 밑지에 대해 그 하부 주연부를 제1 컬링몰드에 의해 컬링한 다음, 상기 통체의 개구된 상부 주연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그 주연부를 제2 컬링몰드에 의해 컬링하기 위한 통체 컬링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단턱이 형성된 상기 옆지를 상기 원지로부터 일체로 재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원지로부터 2개의 부재를 재단한 다음, 기 재단된 이 부재들을 상기 단턱이 형성되게 부착함으로 인해 상기 옆지를 재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원지로부터 재단된 옆지의 일면으로 길이를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선형의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돌기가 형성된 옆지는 상기 통체 감는단계에서 그 돌기가 형성된 일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몰드에 감기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또 선택적으로,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원지로부터 재단된 옆지의 일면으로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선형의 엠보싱이 더 돌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엠보싱이 형성된 옆지는 상기 통체 감는단계에서 그 엠보싱이 형성된 일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몰드에 감기도록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용기는 라면 포장용기, 아이스크림 포장용기, 일회용 종이컵과 같이 음료나 식품을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 및 다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설명으로 부터 명백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자명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이하,"용기"라고 한다)(1)는 겹층 구조를 갖는 통체(3)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체(3)는 특별하게 재단된 옆지(5)를 통해 제조되며, 이 옆지(5)는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로부터 재단된다. 한편, 통상의 종이에 수지 예컨대, 비닐지 등을 피막 처리하는 기술은 잘 알려진 기술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우선 이하에서는 옆지(5)에 대한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 있어서, 옆지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B-B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 있어서, 다른 예의 재단방법으로 완성된 옆지를 나타낸 평면도, 및 도 6은 도 3에 있어서, 다른 예의 옆지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옆지(5)는 상기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7a,7b)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재단된 것이다. 이 옆지(5)는 소정 넓이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면서 2번 이상 즉, 720°이상 원회전하며 감길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옆지(5)는 그의 끝단들이 상기 통체(3)의 내외부에서 각 단턱(7a,7b)에 일치되게 감겨진 상태에 있도록 하는 길이로 재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옆지(5)는 상기 원지로부터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되게 일체로 재단될 수 있고(도 3 참조), 이와는 달리 상기 원지로부터 기 재단된 2개의 별도의 부재 예컨대, 상기 원지로부터 직방체로 재단된 2개의 부재(9a,9b)로부터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되게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함으로 인해 재단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들의 방법에서, 후자의 방법으로 옆지(5)를 재단할 경우에는 원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같이 재단된 상기 옆지(5)의 일면에는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선형의 돌기(11)가 그 옆지(5)의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더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는 접착물질이 상기 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선형으로 도포된 후 경화되어 형성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 일면에는 선형의 엠보싱(13)이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엠보싱(13) 또한 단턱(7a,7b)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형성되며, 상기 돌기(11)가 형성된 옆지(5)의 일면에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옆지(5)에 선형의 엠보싱(13)을 처리하는 기술은 잘 알려진 기술로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더욱이, 이 엠보싱(13)은 특히, 라면 등을 담는 용기(1)에서 물 붓는량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이 용기(1)에서 엠보싱(13)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뜨거운 물을 부으면 라면이 맛있게 조리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옆지는 상기 돌기(11)와 엠보싱(13) 모두를 포함할 수 있고, 그들 중 하나만을 취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 돌기(11)와 엠보싱(13) 모두는 상기 겹층 구조의 통체(3)에서 그 겹층이 서로 접하지 못하도록 하게 함과 아울러 그 통체(3)의 겹층 사이를 더 띄어 더 확장된 공간을 형상하게 한다. 따라서, 용기(1)에 뜨거운 물이 부어진 경우에서 그 물의 열은 상기 공간으로 인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그 용기(1)를 뜨겁지 않게 손으로 안전하게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옆지(5)는 원호상으로 재단될 수 있고(도 3 참조), 이와는 달리 직방체로 재단될 수 있다(도 6 참조). 원호상으로 재단된 옆지(5)는 역 재두원추형(즉, 역 원뿔대형)의 용기(1)를 형성하게 할 것이고(도 1 참조), 직방체로 재단된옆지(5)는 원통형의 용기(1)를 형성하게 할 것이다. 따라서, 옆지(1)는 용기(1)의 사용용도, 사용목적 또는 사용자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로 돌아가면, 상기된 바와 같은 옆지(5)로부터 본 발명의 용기(1)의 통체(3)가 제조된다. 즉, 이 통체(3)는 상기 옆지(5)로부터 소정 넓이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게 2겹 이상으로 감겨진 겹층 구조로 제조된다. 게다가, 옆지(5)에 형성된 상기 돌기(11) 및/또는 엠보싱(13)은 그 통체(3)의 겹층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통체(3)의 개구된 하부에는 밑지(15)가 그 통체(3)로부터 수밀성 있게 설치되고, 이를 통해 상기 통체(3)는 이 밑지(15)를 통해 음료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게 되며, 이러한 밑지(15)는 상기 옆지(5)의 단턱(7a,7b) 중 하부 단턱(7b)의 컬링(curling)에 의해 그 통체(3)에 견고히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완성된 통체(3)의 개구된 상부 주연부에는 플랜지(17)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 플랜지(17)는 상기 옆지(5)의 단턱(7a,7b) 중 상부 단턱(7a)이 컬링되어 완성된 것이다. 이 플랜지(17)는 상기 용기(1)에서 립(lip)의 역할을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옆지(5)에 형성된 단턱(7a,7b)은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를 구성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서, 옆지 감는방법 및 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서, 통체를 컬링하기 위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용기(1)의 제조방법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지만 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용기(1)를 제조하는 장치는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것으로, 따라서 그 구조 및 작동 원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하지만 본 발명의 용기(1)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장치만은 간단히 소개한다.
우선,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7a,7b)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는 옆지(5)를 재단한다. 이 옆지(5)의 재단단계는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되게 상기 옆지(5)를 상기 원지로부터 사출을 통해 일체로 재단하는 것일 수 있고(도 3 참조), 또한 상기 원지로부터 2개의 부재(9a,9b)를 재단한 다음, 기 재단된 이 부재(9a,9b)들을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되게 부착함으로 인해 상기 옆지(5)를 재단하는 것일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이 옆지(5) 재단단계는 상기 옆지(5)의 일면으로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선형의 돌기(11)가 형성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이 옆지(5) 재단단계는 상기 옆지(5)의 일면으로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7a,7b)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선형의 엠보싱(13)이 더 돌출 형성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옆지(5)의 일면에 이 선형의 엠보싱(13)이 돌출 형성되게 하기 위한 단계는 상기 돌기(11)가 상기 옆지(5)에 돌출 형성되게 하는 단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후에, 재단된 상기 옆지(5)는 회전하는 몰드(즉, 석션(suction)몰드)(20)와 이에 대응 회전하는 회전롤러(21)의 지지를 받으며 그 몰드(20)에 감겨 2겹 이상으로 감긴 상기 통체(3)를 제조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옆지(5)는 돌기(11) 및/또는 엠보싱(13)이 형성된 그의 일면이 외부로 향하면서 상기 몰드(20)에 감기도록 되어 있다.
이후에, 2겹 이상으로 감긴 상기 통체(3)의 끝단에는 초음파가 조사되고, 이를 통해 그 끝단을 통체(3)에 부착시킴으로 하여 그 통체(3)가 되풀리지 않도록 한다. 이 통체(3)를 제조하는 옆지(5)에는 상기된 바와 같이 수지가 피막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따라서 이 옆지(5)에 초음파를 조사하면 그 수지에는 그 초음파의 진동으로 인한 열 마찰이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기 수지가 약간 녹은 상태가 되면서 그 통체(3)에 부착되게 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기술은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초음파 조사는 수초내에 이루어지며 상기 몰드(20)로부터 상기 회전롤러(21)가 분리되는 순간에 이루어진다.
이후에, 상기 몰드(20)에서 분리된 통체(3)의 개구된 하부에는 상기 밑지(15)가 삽입되고 이 밑지(5)는 제1 컬링몰드(즉, 하부컬링몰드)(30)를 통해 상기 통체(3)가 음료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게 그 하부에 수밀성 있게 견고히 설치된다. 이 밑지(5)에 대한 하부 컬링이 완료되면, 이후에 상기 통체(3)의 개구된 상부 주연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되게 제2 컬링몰드(즉, 상부컬링몰드; 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서 컬링되며, 상기 제1(30) 및 제2 컬링몰드는 잘 알려진 기술로서 그에 대한 구성 및 그 작동원리는 생략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31)은 상기 통체(3)를 홀딩하는 다이스, 참조부호 (33)은 상기 통체(3)를 커링하기 위해 그 통체(3)를 타격하는 타격판, 참조부호 (34)는 상기 제1 컬링몰드(30)를수용 설치하는 제1 하우징 및 참조부호 (36)은 상기 타격판(33)을 수용 설치하는 제2 하우징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용기(1)가 완성되며, 완성된 이 용기(1)의 내부에 내용물 예컨대, 라면이 담겨진 후 그 용기(1)의 개구된 상부에 덮개(도시하지 않았음)를 박리가능하게 설치되면 컵 라면으로 시중에 판매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1)는 2겹 이상으로 감길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된 옆지(5)를 감음으로 인해 제조된 겹층 구조를 갖는 통체(3)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그 옆지(5)에는 그로부터의 통체(3)의 겹층을 더 띄을 수 있는 돌기(11) 및/또는 엠보싱(13)이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따라서 본 발명의 용기(1)에 뜨거운 물이 담길 경우에도 그 물의 열이 그 통체(3)의 겹층 구조 및 그 겹층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인해 외부로 전달되지 못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그 뜨거운 물이 담긴 용기(1)의 통체(3)를 뜨거움 없이 안전하게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1)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내외층부용 통체를 마련한 후 그들을 통해 겹층 구조의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과 달리 2겹 이상으로 감길 수 있도록 재단된 옆지(5)를 통해 겹층 구조의 통체(3)를 한번에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용기(1)는 종래의 그 용기 제조방법보다 더 쉽게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발명의 용기(1)는 그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된 판매단가로 시중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1)는 종이로 제조되었기 때문에 환경 호로몬이 충분히 방지될 수 있고, 재활용 될 수 있어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용기(1)는 라면 포장용기, 아이스크림 포장용기, 일회용 종이컵과 같이 음료나 식품을 담기 위한 폭 넓은 용도로 충분히 사용될 수가 있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한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통체가 2겹 이상으로 감을 수 있는 길이로 재단된 옆지로부터 한번에 겹층 구조로 제조되기 때문에, 그 통체에 뜨거운 내용물이 담길 경우에도 그 통체를 뜨겁지 않게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용기의 통체는 상기된 옆지를 통해 쉽게 제조되기 때문에 그 용기의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판매원가를 절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를 통해 마련되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도록 재단되어 2겹 이상의 겹층구조의 통체를 감을 수 있도록 된 옆지; 및
    상기 옆지에 의해 감겨진 통체의 개구된 하부를 수밀성 있게 막도록 설치되어 상기 통체가 음료나 식품을 담을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한 밑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는 상기 원지로부터 상기 단턱이 형성되도록 일체로 재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는 상기 원지로부터 기 재단된 2개의 부재로부터 상기 단턱이 형성되게 부착함으로 인해 재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의 일면에는 상기 통체의 겹층 사이를 띄어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선형의 돌기가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더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의 일면에는 상기 통체의 겹층 사이를 띄어 공간이 형성되게 하는 선형의 엠보싱이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더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체의 개구된 상부 주연부에는 플랜지가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는 원호상으로 재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는 직방체로 재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9. 수지로 피막 처리된 원지를 통해 마련되어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지로부터 양 길이단의 중앙에 상호 선대칭인 한 쌍의 단턱이 형성되게 소정 길이를 갖는 옆지를 재단하기 위한 옆지 재단단계;
    재단된 상기 옆지를 회전하는 몰드와 대응 회전하는 회전롤러의 지지를 받으며 그 몰드에 감아 2겹 이상으로 감긴 통체를 감기 위한 옆지 감는단계;
    2겹 이상으로 감긴 상기 통체의 각 끝단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그 통체에 부착시킴으로 하여 상기 통체가 되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통체 부착단계; 및
    상기 몰드에서 분리된 통체의 개구된 하부에 밑지를 삽입하고 상기 통체가 수용 공간을 갖도록 이 밑지에 대해 그 하부 주연부를 제1 컬링몰드에 의해 컬링한 다음, 상기 통체의 개구된 상부 주연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도록 그 주연부를 제2 컬링몰드에 의해 컬링하기 위한 통체 컬링단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단턱이 형성된 상기 옆지를 상기 원지로부터 일체로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원지로부터 2개의 부재를 재단한 다음, 기 재단된 이 부재들을 상기 단턱이 형성되게 부착함으로 인해 상기 옆지를 재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원지로부터 재단된 옆지의 일면으로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선형의 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돌기가 형성된 옆지는 상기 통체 감는단계에서 그 돌기가 형성된 일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몰드에 감기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제조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옆지 재단단계는 상기 원지로부터 재단된 옆지의 일면으로 길이를 따라 상기 단턱이 형성된 부위에 까지 선형의 엠보싱이 더 돌출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 엠보싱이 형성된 옆지는 상기 통체 감는단계에서 그 엠보싱이 형성된 일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하여 상기 몰드에 감기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9 항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용기는 라면 포장용기, 아이스크림 포장용기, 일회용 종이컵과 같이 음료나 식품을 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의 용도.
KR1020020056367A 2002-09-17 2002-09-17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KR20040025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67A KR20040025771A (ko) 2002-09-17 2002-09-17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6367A KR20040025771A (ko) 2002-09-17 2002-09-17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934U Division KR200301979Y1 (ko) 2002-09-17 2002-09-17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5771A true KR20040025771A (ko) 2004-03-26

Family

ID=37328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6367A KR20040025771A (ko) 2002-09-17 2002-09-17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2577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6978U (ko) * 1973-10-22 1975-06-16
JPH0441815A (ja) * 1990-06-07 1992-02-12 Shiraishi:Kk ジャッキアップによる仮壁撤去方法
JPH0497018U (ko) * 1991-01-07 1992-08-21
KR940008867A (ko) * 1992-10-16 1994-05-16 송완희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H08276927A (ja) * 1995-03-31 1996-10-22 Toppan Printing Co Ltd 断熱カップ容器
JP2000016419A (ja) * 1998-06-30 2000-01-18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断熱容器
JP2000109046A (ja) * 1998-10-08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紙カップ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66978U (ko) * 1973-10-22 1975-06-16
JPH0441815A (ja) * 1990-06-07 1992-02-12 Shiraishi:Kk ジャッキアップによる仮壁撤去方法
JPH0497018U (ko) * 1991-01-07 1992-08-21
KR940008867A (ko) * 1992-10-16 1994-05-16 송완희 컵라면 용기의 제조방법 및 장치
JPH08276927A (ja) * 1995-03-31 1996-10-22 Toppan Printing Co Ltd 断熱カップ容器
JP2000016419A (ja) * 1998-06-30 2000-01-18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断熱容器
JP2000109046A (ja) * 1998-10-08 2000-04-18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紙カ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57897C2 (ru) Термоизоляционная обертка стакана и термоизолированная емкость с такой оберткой
US7938313B1 (en) Disposable thermally insulated cup and blank therefor
JP5776325B2 (ja) カップ型紙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01979Y1 (ko)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KR20040025771A (ko) 음료나 식품을 담도록 한 용기,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JP4043815B2 (ja) 隠し絵付き断熱容器
JP2004231197A (ja) 発泡紙カップ容器
JP5233060B1 (ja) 即席食品容器
JP2001031152A (ja) 断熱容器
JP2003191940A (ja) 断熱紙容器
JP2012091808A (ja) どんぶり型紙製容器
JP2000344281A (ja) 断熱容器
CN103079963A (zh) 用于冰激凌的包装
JP4226565B2 (ja) 断熱容器
JP2004315032A (ja) カップ型断熱容器
JP2576234Y2 (ja) 簡易容器
JP2000177724A (ja) 断熱性紙カップ
JP2005035635A (ja) アルミレス蓋材及び容器
EP2994396B1 (en) Pop-out constructible utensil
JP2006044724A (ja) カップ状容器
JP2004224352A (ja) 断熱紙カップ
JP3480352B2 (ja) 即席食品入り容器
KR20100083465A (ko) 일회용 단열용기와 그 제조방법
JPS6011068Y2 (ja) 断熱容器
JP2567944Y2 (ja) 断熱性カ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