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842B1 -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842B1
KR950011842B1 KR1019910013778A KR910013778A KR950011842B1 KR 950011842 B1 KR950011842 B1 KR 950011842B1 KR 1019910013778 A KR1019910013778 A KR 1019910013778A KR 910013778 A KR910013778 A KR 910013778A KR 950011842 B1 KR950011842 B1 KR 950011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n
paper sheets
deposition
paper
pap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5035A (ko
Inventor
리이찌 가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네이 쯔도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가네이 쯔도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20005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Conveyance By Endless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제2도에 도시한 지폐 인출 집적 기구의 한 실실예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엽류 퇴적 장치를 현금 거래 장치중의 지폐 취급 기구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블럭도.
제3a,b,c도는 제1도에 도시한 지폐 인출 집적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측면 설명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지폐 인출 집적 기구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출금구 2 : 감별부
3 : 만엔 상자 4 : 천엔 상자
5 : 리젝트 박스 6 : 카세트
7, 8, 9 : 지폐 인출 집적 기구 10 : 지폐 반송로
11, 12, 13 : 반송 벨트 14 : 게이트
15 : 축 16 : 지폐
17, 18 : 고무 롤러 19, 19a, 19b : 지폐
22 : 상단 검지 수단 23 : 압판
24 : 모터 25 : 전판
26 : 측판 27 : 후판
28 : 픽업롤러 29 : 피이드 롤러
30 : 게이트 롤러 31 : 제어부
32 : 압력 검지 수단 33 : 충만 검지 수단
34 : 모터 구동부 35 : 제어부
본 발명은 지염류 퇴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 등 여러가지 지엽류를 다수 퇴적하는 데 적당한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장치로서는 예를들면 일본 특개평 1-4878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장치는 퇴적 동작중에 압판을 하강시켜 퇴적 지엽의 상단 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하고 또 연속으로 다수의 지엽을 퇴적하는 경우에도 퇴적 동작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보통 현금 자동 취급 장치에 탑재되어 있는 지엽류 퇴적 장치와 같이 여러장의 지엽을 퇴적하는 경우, 그 퇴적 수납부가 측벽으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퇴적한 지엽의 일부는 측단면이 상기 측벽에 접촉한다. 그때, 접촉된 지엽의 측단면과 퇴적 수납부의 측벽과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한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장치와 같이 연속해서 지엽을 퇴적하고 퇴적한 지엽의 상단면을 상단 검지 수단의 신호에 기초해서 원하는 위치에 맞추도록 압판을 하강하는 상기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지엽의 측단면과 측벽 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여러장의 지엽을 퇴적한 상태에서 앞판을 하강한 경우, 상기 마찰력이 상방에 퇴적된 지엽의 중력보다 크면 지엽간에 틈새가 생겨서 정렬 불량으로 되고, 퇴적수납부에 퇴적되는 지엽의 장수가 원하는 장수에 도달하기 전에 충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 퇴적 수납부에 차례로 퇴적되는 지엽의 정렬성을 유지해서 수납할 수 있는 지엽의 장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지엽류 퇴적장법 및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지엽류 퇴적장치는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차례로 퇴적하는 퇴적 수납부, 상기 퇴적 수납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 위치를 검지하는 상단 검지 수단 및 상기 퇴적 수납부내의 압판상에 퇴적한 지엽류의 위치를 제어하는 압판 기구부를 구비하고,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퇴적 수납부로 보내는 수납 동작과, 상기 수납 동작 중에 상기 상단 검지 수단의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압판 기구부에 의해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을 원하는 위치에 맞추는 압판 위치 제어 동작에 의해 지엽류를 퇴적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퇴적 수납부의 상방에 압착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앞판 기구부는 상기 수납 동작이 정지하고 있을 때 상기 압판을 상승 시켜서 퇴적한 지엽류의 최상면을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시켜 퇴적 지엽류의 틈새를 없애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2지엽류 퇴적 장치는 , 상기 제1지엽류 퇴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수납부가 상기 압판 위치제어 동작중에 있어서 앞판 연속 하강 시간이 소정의 값을 넘은 때 수납 동작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지엽류 퇴적 장치는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차례로 퇴적하는 퇴적 수납부, 상기 퇴적 수납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 위치를 검지하는 상단 검지 수단 및 상기 퇴적 수납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위치를 제어하는 압판 기구부로 이루어지고,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퇴적 수납부로 보내는 수납 동작과 상기 수납 동작중에 상기 상단 검지 수단의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압판 기구부에 의해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을 원하는 위치에 맞추는 압판 위치 제어 동작에 의해 지엽류를 퇴적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퇴적 수납부의 상방에 지엽류의 압착부를 설치하고, 또 상기 퇴적 수납부의 하방에 퇴적한 지엽이 충만인 것을 상기 앞판의 위치에서 검지하는 충만 검지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퇴적수납부는 충만 검지 수단이 지엽류가 충만인 것을 검지한 때 수납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압판 기구부 상기 수납 동작이 정지한 때 퇴적한 지엽의 최상면을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시켜서 퇴적 지엽류간의 틈새를 없애고, 그후 상기 압판 위치 제어 동작을 행해서 지엽류의 수납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지엽류 퇴적 장치는 상기 제1, 제2, 제3지엽류 퇴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는 퇴적한 지엽류를 상방에서부터 한장색 분리ㆍ인출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지엽류 퇴적 장치는 상기 제1, 제2, 제3의 지엽류 퇴적 장치에 있어서,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압판 기구부는 상기 압력 검지 수단이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한 것을 검지한 때 상승 상태에 있는 압판을 하강 상태로 변화시켜 압판 위치 제어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엽류 퇴적 방법은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퇴적 수납부로 보내서 수납ㆍ퇴적 동작을 행하고, 상기 수납ㆍ퇴적 동작중에 상기 퇴적 수납부내에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 위치를 검지하는 상단 검지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퇴적 지염류를 탑재하는 압판을 상하로 움직이는 압판 기구부에 의해 퇴적한지 엽류의 상단면을 원하는 위치에 맞추면서 지엽류를 퇴적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수납ㆍ퇴적 동작의 정지중에 상기 압판을 상승시켜서 퇴적 수납부의 상방에 설치된 압착 부재에 퇴적한 지엽류의 최상면을 접촉시키고, 그후 상기 압판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퇴적 수납부내에 퇴적된 지엽류의 틈새를 없애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지엽류 퇴적 장치 및 지엽류 퇴적 방법에 따르면 연속해서 지엽류를 퇴적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수납 동작을 일시 정지하고, 퇴적한 지엽류의 상면이 압착 부재에 접촉하도록 퇴적한 지엽류의 위치가 제어된다(이하, 압착 동작이라 한다.) 이것에 의해 퇴적한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부재에 접촉해서 상승하는 압판의 압력에 의해 퇴적한 지엽간의 틈새를 줄일 수 있어서, 퇴적 지엽의 정렬성을 향상시키고 퇴적 장수당의 지엽 용적을 줄일 수 있다. 또 이와 같은 압판 위치 제어 동작을 행함으로써 퇴적한 지엽의 상단면의 위치는 압착 동작 전과 변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제2지엽류 퇴적 장치는 상기 압착 동작은 연속해서 수납 동작을 행하는 경우, 예를들면 50장마다 또는 100장마다 정기적으로 수납 동작을 정지해서 행해도 좋으나, 상기 압착 동작에 의한 처리 시간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해 수납 동작시의 압판 위치제어 동작에 의한 압판 연속 하강 시간이 소정값을 넘었을 때만 퇴적한 지엽간에 틈새가 있다고 판단하여 수납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압착동작을 행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3지엽류 퇴적 장치에 따르면, 퇴적 수납부가 충만인 것을 연속 수납 동작중에 최초로 검지한 경우에 상기 압착 동작을 행함으로써 퇴적된 지엽류의 용적을 줄일 수 있고, 따라서 다시 수납 동작을 재개함으로써 충만에 도달하기까지 지엽의 장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지엽류 퇴적 장치에 따르면 상기 압착 부재로서 퇴적한 지엽류를 상방에서 1장씩 분리ㆍ인출하는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특별한 압착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실현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의 제5지엽류 퇴적 장치에 따르면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한 것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퇴적한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해서 상승하는 압판의 압력에 의해 퇴적한 지엽간의 틈새가 감소한 것을 검지할 수 있고, 그후 상승 상태에 있는 압판을 하강 상태로 변화시켜서 압판 위치 제어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지엽류 퇴적 장치를 현금 거래 장치중의 지폐 취급 기구에 적용한 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2도에 있어서, (1)은 지폐의 입출금을 행하는 입출금구,(2)는 입금 또는 출금하는 지폐의 종별 및 진위를 판정하는 감별부, (3 및 4)는 입금된 지폐 및 출금용 지폐를 액수 종류별로 저장하는 만엔 상자 및 천엔 상자, (5)는 감별부(2)에 의해 리젝트해야 할 지폐로 판별된 지폐가 보내지는 리젝트 박스, (6)은 만엔 상자(3)과 천엔 상자(4)에 지폐를 장전하거나, 만엔 상자(3)과 천엔 장자(4)중의 지폐를 회수하기 위한 카세트, (7, 8, 및 9)는 각각 만엔 상자(3)중의 지폐, 천엔상자(4)중의 지폐,카세트(6)중의 지폐를 한장씩 지폐 반송로(10)으로 인출하고 또 지폐 반송로(10)에서 보내져 온 지폐를 1장씩 집적하는 지폐 인출 집적 기구,(10)은 지폐 반송로이다.
제1도는 제2도에 도시한 만엔짜리용 지폐 인출 집적기구(8)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측면 설명도로, 천엔짜리용의 지폐 인출 집적 기구(9) 및 카세트(6)의 지폐 인출 집적 기구(7)도 동등한 구성을 갖는다. 제1도에 있어서 반송 벨트(11, 12 및 13)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고 반송벨트(11, 12 및 13)은 사이에 끼워진 지폐(16)을 화살표(A, B 및 C)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반송한다. 또(14)는 도시되어 있지않은 구동원에 의해 축(15)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도면의 좌방에서 반송되어 오는 지폐(16)을 반송 벨트(13)에 끼워 지지되는 방향(화살표 B의 방향) 또는 천엔 상자(3)(화살표 C의 방향)으로 인도하기 위한 전환게이트이다. (17 및 18)은 전환게이트 (14)에 의해 인도되어 온 지폐를 만엔 상자(3)내로 보내기 위해 서로 대향해서 설치된 고무 롤러로 서로 압력을 가지고 접하고, 또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 [반송 벨트(11, 12 및 13)의 구동원과 동일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어 지폐를 화살표(D)의 방향으로 보내도록 회전한다. (21)은 고무롤러(17 및 18)에 의해 보내져 온 지폐를 만엔 상자(3)내에 집적하도록 안내하고, 또 퇴적 지폐(19)의 상단면에 접하도록 화살표(E)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가이드이다. (22)는 상단 검출수단으로, 발광 소자와 수광소자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광센서이다. 가이드(21)이 상승하여 최상위 위치에 위치하여,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로 들어가는 광을 차단하면, 수광 소자는 발광 소자로부터 광이 차단되어 어두워지기 때문에 다크(dark)를 검지하게 된다. 가이드(21)이 최상위 위치에서 하강하여 수광 소자 사이의 광이 차단되지 않게 되면, 수광 소자는 발광 소자로부터 광을 수광하여 라이트(light)를 검지하게 된다. 또, (23)은 보내져 오는 지폐를 싣고 상승하강이 가능한 압판으로 M모터(24)에 의해 구동된다. 또, (25)는 만엔 상자로 보내져 온 지폐의 반송 방향 정지 부재의 전판이다. (26)은 반송폭 방향의 위치를 규제하는 측판이고, 전판(25)와 후판(27)과 함께 만엔 상자(3)을 형성하고 있다. 또, (28-30)은 지폐인출용 롤러이다. 이중, (28)은 집적된 지폐(19)중 최상면의 지폐에 스프링(31)의 탄성력을 주어 상기 최상면의 지폐를 도면의 왼쪽 방향으로 인출하는 픽업롤러, (29)는 지폐를 1장씩 분리해서 송출하는 피이드 롤러, (30)은 피이드 롤러(29)와 미소한 틈새를 가지고 배치된 게이트 롤러로 상기 최상면의 지폐를 화살표(A)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이다. (32)는 상기 픽업 롤러(28)이 상승하면 다크, 하강하면 라이트를 검지하는 광센서에 의한 압력 검지수단이다. 압력 검지수단(32)도 상단 검출수단(22)와 같은 원리의 광센서이다.
픽업 롤러(28)의 위치에 따라 압력 검지수단(32)가 다크 또는 라이트를 검지한다. 압력 검지수단(32)는 압력을 검지하는 수단이 아니라. 이를테면 픽업 롤러(28)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고, 그 위치에 따라서 지폐의 압력을 검지한다는 의미에서 압력 검지 수단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픽업 롤러(28)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밀어 올려지면 압력 검지 수단(32)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에 들어온 광이 차단되어 수광 소자는 다크를 검지한다. 픽업 롤러(28)이 밑으로 내려가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의 광이 차단되지 않게 되어 수광 소자는 라이트를 검지하게 된다. (33)은 압판(23)이 하한까지 하강해서 수납부가 충만으로 되면 다크를 검지하는 광센서에 의한 충만 검지 수단이다. 충만 검지 수단(33)도 상단 검지 수단(22)와 같은 원리의 광센서이다. 지폐가 집적(集積)되어 압판(23)이 내려가서 충만 검지수단(33)의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에 들어와서 광을 차단하면 수광 소자는 다크를 검지하고, 수납부가 지폐로 충만된 것을 감지한다. 지폐가 이송되어 압판(23)이 올라가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 사이를 차단하게 되면 수광 소자는 라이트를 검지하게 된다. 또, (34)는 모터 구동부, (35)는 제어부이다. 다음에, 제1도에 도시하는 지폐 인출 집적 기구에 있어서, 지폐의 집적 동작과 인출 동작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지폐에 집적 동작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즉 반송 벨트(11 및 12)에 의해 끼워져 반송되어 온 지폐(16)은 게이트(14)에 의해 안내되어 고무 롤러(17 및 18)의 끼워져 지지하는 점으로 향한다. 고무 롤러(17 및 18)에 의한 반송력에 의해 지폐(16)은 가이드(21) 및 측판(26)에 따라 진행하여 전판(25)에 닿고 이것에 의해 이미 집적된 지폐(19)상에 1장씩 집적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상단 검지 수단(22)가 다크를 검지하면 제어부(35)는 상단 검지 수단(22)가 라이트를 검지할 때까지 모터(24)를 회전 구동해서 압판(23)을 하강시킨다.
또 , 지폐의 인출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지폐 인출시에 제어부(35)는 압력 검지 수단(32)가 다크를 검지하기까지 모터(24)를 회전구동해서 압판(23)을 상승시킨다. 이것에 의해 집적된 지폐(19)의 최상면의 지폐에 픽업 롤러(28)이 접촉해서 픽업 롤러(28)과 피이드 롤러(29)의 회전에 의해 지폐가 한장씩 분리되어 화살표(A) 방향으로 인출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지폐 수납 동작중에 있어서의 압판 위치 제어 동작에 대해 제4도의 플로우차트를 중심으로 제1도와 제3a,b,c에 도시하는 기구상태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먼저, 수납 동작 개시시에 있어서는(단계 S1), 제1도에 도시한 가이드(21)의 정지위치처럼 상단 검지수단(22)가 라이트를 검지하도록 지폐(19)의 상단면이 제어된다. 이 상태에서 지폐 수납 동작이 개시되어 점차로 지폐가 퇴적되어 가면 가이드(21)이 상방으로 올려져, 제3a도에 도시한 것처럼 상단 검지 수단(22)가 다크를 검지한다(단계 S2), 다음에 상기 다크 검지에 기초해서 모터(24)가 압판(23)을 하강시키도록 회전을 시작하고(단계 S3), 다시 제1도에 도시한 것같은 배치로 상단 검지 수단(22)가 라이트를 검지한 때 압판(23)의 구동을 정지한다(단계 S5, S6)이 사이에, 단계 S4에서는 타이머를 스타트시킨다. 다음에, 단계 S7에 있어서 지폐 수납 동작이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하여 종료하지 않은 경우에는 다시 단계 S1로 돌아가서 상기 처리가 반복된다. 이상 설명한 단계 S1-S7에 있어서의 동작은 통상 동작시의 흐름이다.
그러나, 제4도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중의 단계 S4에 있어서 카운트를 개시한 압판 구동 모터의 연속하강 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가 상단 검지수단(22)가 다크상태에서(위까지 지폐가 쌓여 있다). 또 충만 검지수단(33)이 라이트 상태인채(지폐는 충만이 아니다), 예를 들면 1초나 2초 타이머 설정치를 넘어서 타임 아웃이 되는 일이 있다.(단계 S5, S8, S9). 이것은 다음과 같은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즉, 제3b도에 도시한 것처럼, 수납된 몇장의 지폐(19a)는 중력 G 및 가이드(21)의 압력 F을 아래 방향으로 받고, 또 측벽(26)에서부터 마찰 저항력(R1+R2)을 윗 방향으로 받는다. 이러한 역학 관계에서 상기 마찰 저항력(R1+R2)가 커서, (R1+R2)>(F+G)의 관계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관계가 성립하면 지폐(19a)가 측벽(26)에 걸려서 하방에 이미 수납되어 있는 지폐(19b)와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고, 상단 검지수단(22)가 라이트로 되지 않는 현상이 생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수납된 지폐와 측벽과의 사이의 여유가 작고, 또 지폐간에 강한 정전기에 의한 흡착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경우에는, 제4도의 플로우 차트에 도시한 것처럼 먼저 단계 S10에 있어서 수납 동작을 일단 정지한다. 다음에, 단계 S11, S12에 있어서 압력 검지 수단(32)가 라이트로 될 때까지 압판을 상승시켜 제3c도에 도시한 것처럼 지폐(19a 와 19b)의 사이의 틈새로 없앤 상태로 한다. 다음에, 단계 S13, S14, S15에 있어서 상단 검지 수단(22)가 라이트로 될 때까지 압판을 하강해서 수납 동작을 재개하다.
상기와 같이 측판(26)에서 강한 마찰 저항력을 받고 있는 지폐를 상하로 이동하고, 특히 도중에서 픽업 롤러(28) 등의 중력으로 이루어지는 강한 압력(Fp)를 걸리게 함으로써 지폐간의 틈새를 없애서 지폐의 마찰 저항력(R1+R2)를 당초의 값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또, 제4도에 도시한 플로우 차트에 있어서 지폐 수납 동작이 종료하지 않았는데 수납 상자가 가득차는 경우, 즉 충만 검지수단(33)이 다크를 검지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수납된 지폐에 접은 자국이나 주름이 있어서 1장당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도 발생하나, 접히거나 주름이 없어도 상기와 같은 측벽과의 마찰 저항이 클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타임 아웃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수납 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다음에 타임 아웃이 발생한 경우의 처리와 마찬가지로 수납 동작을 일단 정지하고 다음에 압력 검지 수단(32)가 라이트로 되기까지 압판을 상승시켜서 지폐간의 틈새를 없앤 상태로 하고, 또 상단 검지 수단(22)가 라이트로 되기까지 압판을 하강하여 수납 동작을 재개하는 알련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지폐 사이의 간격을 좁힐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해지듯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납한 지폐 사이의 큰 틈새가 생기는 지폐 정렬 상태의 악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수납 용량을 증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격납된 지폐 간에 큰 틈새가 있어서 정렬 불량으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측벽과의 저항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지폐간 틈새를 작게 해서 수납 용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6)

  1.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차례로 퇴적하는 퇴적 수납부(3, 4), 상기 퇴적 수납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 위치를 검지하는 상단 검지 수단(22), 및 상기 퇴적 수납부내의 압판 상에 퇴적한 지엽류의 위치를 제어하는 압판 기구부(24, 34, 35)를 구비하고,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퇴적 수납부로 보내는 수납 동작과, 상기 수납 동작중에 상기 상단 검지 수단의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압판 기구부에 의해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을 원하는 위치에 맞추는 압판 위치 제어 동작에 의해 지엽류를 퇴적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납 동작이 정지해 있을 때 상기 압판 기구부에 의해 상기 압판이 상승 되므로써 퇴적한 지엽류의 최상면이 자신에 접촉되어 퇴적 지엽류의 틈새를 없앨 수 있는 상기 퇴적 수납부의 상방에 설치된 압착 부재(28, 3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 수납부(3, 4)는 상기 압판 위치 제어 동작 중에 있어서 압판 연속 하강 시간이 소정의 값을 넘었을 때 수납 동작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
  3.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차례로 퇴적하는 퇴적 수납부(3, 4), 상기 퇴적 수납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 위치를 검지하는 상단 검지 수단(22), 및 상기 퇴적 수납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위치를 제어하는 압판 기구부(24, 34, 35)로 이루어지고,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퇴적 수납부로 보내는 수납 동작과 상기 수납 동작중에 상기 상단 검지 수단의 신호에 기초해서 상기 압판 기구부에서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을 원하는 위치에 맞추는 압판 위치 제어 동작에 의해 지엽류를 퇴적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퇴적 수납부의 상방에 설치된 지엽류의 압착 부재(28, 31): 및 상기 퇴적 수납부의 하방에 퇴적한 지엽이 충만으로 된 것을 상기 압판의 위치로서 검지하는 충만 검지 수단(33)을 구비하고, 상기 퇴적 수납부는 충만 검지 수단이 지엽류가 충만인 것을 검지했을 때 수납 동작을 정지하고, 상기 압판 기구부는 상기 수납 동작이 정지했을 때 퇴적한 지엽의 최상면을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시켜 퇴적 지엽류의 틈새를 없앤 다음에 상기 압판 위치 제어 동작을 행해서 지엽류의 수납 동작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 부재(28, 31)는 퇴적한 지엽류를 위에서부터 한장씩 분리ㆍ인출하는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검지하는 압력 검지 수단(32)을 구비하고, 상기 압판 기구부는 상기 압력 검지 수단이 지엽류의 최상면이 상기 압착 부재에 접촉한 것을 검지했을 때 상승 상태에 있는 압판을 하강 상태로 변화시키고 압판 위치 제어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퇴적 장치.
  6. 반송되어 오는 지엽류를 퇴적 수납부에 보내서 수납, 퇴적 동작을 행하고, 상기 수납, 퇴적 동작중에 상기 퇴적 수납부 내에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 위치를 검지하는 상단 검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퇴적 지엽류를 탑재하는 압판(23)을 상하고 움직이는 압판 기구부에 의해 퇴적한 지엽류의 상단면을 원하는 위치에 맞추면서 지엽류를 퇴적하는 지엽류 퇴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납ㆍ퇴적 동작의 정지중에 상기 압판을 상승시켜 퇴적 수납부의 상방에 설치된 압착 부재에 퇴적한 지엽류의 최상면을 접촉시키고, 그 후 상기 압판을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퇴적 수납부내에 퇴적된 지엽류의 틈새를 없애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퇴적 방법.
KR1019910013778A 1990-08-10 1991-08-09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KR950011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10470A JP2908852B2 (ja) 1990-08-10 1990-08-10 紙葉類堆積装置
JP02-210470 1990-08-10
JP90-210470 1990-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5035A KR920005035A (ko) 1992-03-28
KR950011842B1 true KR950011842B1 (ko) 1995-10-11

Family

ID=1658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778A KR950011842B1 (ko) 1990-08-10 1991-08-09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08852B2 (ko)
KR (1) KR9500118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8897A (ja) * 1992-06-08 1993-12-21 Laurel Bank Mach Co Ltd 紙幣集積装置
KR100596312B1 (ko) * 2004-04-27 2006-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리사이클박스의 입출금 제어장치 및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JP5045164B2 (ja) * 2007-03-13 2012-10-1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自動入出金機
JP6283605B2 (ja) * 2014-12-17 2018-02-21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カセット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CN109427128B (zh) * 2017-08-25 2021-03-19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钞箱及使用该钞箱的存取款机
US11568698B2 (en) * 2021-01-12 2023-01-31 Ncr Corporation Media storage bin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908852B2 (ja) 1999-06-21
KR920005035A (ko) 1992-03-28
JPH0494373A (ja) 1992-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8806B1 (ko) 거래처리장치
EP1637487B1 (en) Sheet handling apparatus
JPH06318281A (ja) 紙葉類処理装置
TW200911668A (en) Paper leaf accumulation apparatus
JP2010044717A (ja) 紙葉類処理装置
KR950011842B1 (ko) 지엽류 퇴적 방법 및 장치
JP2006111446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323465B2 (ko)
KR101607339B1 (ko) 집적 공간 조절 가이드를 구비한 지폐취급장치와 지폐취급방법
JP3703598B2 (ja) 紙葉類繰出し装置
JP2018128971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577779B2 (ja) 紙葉類区分方法
KR100600399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분리제어방법
JP4089021B2 (ja) 自動取引装置
JP4764113B2 (ja) 紙幣処理装置
JPH05147749A (ja) 紙葉類繰出し機構
JP4608814B2 (ja) 媒体処理装置
JPH04125237A (ja) 紙葉類自動取扱い装置
JP6649140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539581Y2 (ja) 硬貨入出金機における硬貨収納繰出装置
JP2598427Y2 (ja) スタッカのステージ機構
JP2673723B2 (ja) 紙葉類の堆積装置
JP2692258B2 (ja) 紙葉類集積装置
JPH0328023Y2 (ko)
JP3486109B2 (ja) 媒体収納繰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13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