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786B1 -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50011786B1 KR950011786B1 KR1019920011104A KR920011104A KR950011786B1 KR 950011786 B1 KR950011786 B1 KR 950011786B1 KR 1019920011104 A KR1019920011104 A KR 1019920011104A KR 920011104 A KR920011104 A KR 920011104A KR 950011786 B1 KR950011786 B1 KR 9500117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und semiconductor
- type
- compound
- transistor
- np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4/00—Integrated devices formed in or on semiconductor substrates that comprise only semiconducting layers, e.g. on Si wafers or on GaAs-on-Si wafers
- H10D84/01—Manufacture or treatmen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15—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heterojunction interface channels or heterojunction gate electrodes, e.g. HEM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9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formation of epitaxial layers by a deposition proces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1/28537—Deposition of Schottky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80—Heterojunction BJTs
- H10D10/821—Vertical heterojunction BJ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40—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 H10D30/47—FETs having zero-dimensional [0D], one-dimensional [1D] or two-dimensional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having 2D charge carrier gas channels, e.g. nanoribbon FETs or high electron mobility transistors [HEM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2/00—Semiconductor bodies, or regions thereof,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2/10—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region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Shapes of the semiconductor bodies
- H10D62/17—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electrodes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channel regions
- H10D62/343—Gate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having PN junction gat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2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10D64/27—Electrode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gates
- H10D64/3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 H10D64/411—Gate electrodes for field-effect devices for FE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64/00—Electrodes of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D64/6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s
- H10D64/64—Electrodes comprising a Schottky barrier to a semiconduc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29—Gallium arsenide [Ga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Bipola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33)
- PNP형 트랜지스터내에서 전송되는 정공을 절연시키는 제1의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N형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상의 일부에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2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한적으로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가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일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위치한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 시키는 공정,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 이격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토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한적으로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피복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에 도달하고,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피복하고 있는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는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개재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손상시킴으로써, 상기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및 상기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에 의해 평탄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상에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이격된 부분을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반도체기판상의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가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이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며, 상기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각각 상기 반도체기판으로 부터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매개해서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으로 전송되는 전자를 절연시키고, 상기 이격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형성되는 상기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각각 개재되며, 상기 이격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각각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PNP형 NPN형 트랜지스터를 둘러싸는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주변부를 손상시키는 공정과,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손상된 주변부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반도체기판에 도달하도록, 상기 PNP형 및 NPN형 트랜지스터를 둘러싸는 상기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손상된 주변부내에 트랜치를 형성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치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저항 금속을 부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이격된 N형 화합물 반도체상에 쇼트키 금속을 부착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이격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상부를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과, 상기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및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저항 금속을 부착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은 금속 유기물 CVD법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내지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은 분자빔 에피택시법을 이용하여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은 베릴륨이온을 오프함으로써 실시되고,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1 및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은 베릴륨이온을 도프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손상시키는 공정은 H+이온 또는 B+이온을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이온주입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손상된 주변부상에 아르곤이온을 방사함으로써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의 화합물 반도체는 Al0.7Ga0.3As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및 제5의 화합물 반도체는 GaAs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Al0.7Ga0.3As의 조성에서 GaAs의 조성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얇은 그레이딩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키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PNP형 트랜지스터내에서 전송되는 정공을 절연시키는 제1의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N형 반도체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복수개의 개구부를 구비하고서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2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개구부를 매개해서 상기 반도체기판상에 직접 퇴적하고,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에서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일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위치한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 이격되고, 그 일부가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며, 나머지 부분이 상기 개구부의 바로 위에 설치되도록,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한적으로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피복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에 도달하고,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P+1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피복하고 있는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설치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의 상부에 도달하고, 원자 결합이 끊어지도록,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제4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개재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손상시키는 공정 및, 상기 손상된 부분간에 각각 형성되고, 원자결합가 끊어지며,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촉층으로 기능하고, 그 평탄면이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 및 손상된 공간부분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이격된 부분을 손상시키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상에 설치된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는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가능하고, 상기 개구부의 바로 위에 설치된 제4의 화합물 반도체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며, 상기 개구부의 바로 위에 설치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PNP형 트랜지스터가 탑재되는 반절연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내에서 전송되는 정공을 절연시키는 N형 제1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반절연 기판상에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상에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2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한적으로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형성된 부분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제3의 화합불 반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일부에 도달하도록,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상에 위치한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의 바로 위에 퇴적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한적으로 퇴적시키는 공정,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피복하도록, 상기 제3 및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키는 공정,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표면으로부터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에 도달하고,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도록, 상기 P+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를 피복하고 있는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는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3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는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및,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및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손상시킴으로써, 상시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의 상부에 도달하고, 원자결합이 끊어지며, 그 평탄면이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및 상기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에 의해 형성되도록 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 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된 N형 제3 및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개재된 P형 제6의 화합물 반도체를 퇴적시킴으로써,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형성된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공정과,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3부분상에 형성된 N형 제3 및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촉층으로서 가능하는 N+형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키는 공정,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있는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제3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로 강하게 변환시킴으로써, 상기 제3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접촉층으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상에 있는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는 공정 및,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의나머지 부분상에 있는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이외의 상기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손상시킴으로써, 상기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의 상부에 도달하고, 상기 손상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원자결합이 끊어지도록 하는 공정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제15하아에 있어서, 상기 반절연 기판은 N형 GaAs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 PNP형 트랜지스터를 탑재하고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내에서 전송되는 정공을 절연시키는 제1의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N형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일부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2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여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전자를 인가받는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된 부분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접촉층으로서 기능하는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로 정공을 인가하고, 그 표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상기 제5의 화합물 반도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에미터 접촉층 및, 상기 에미터 접촉층과 상기 제5의 화합ㅁ루 반도체간에 개재되어 제2의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제4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 상기 에미터 접촉층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격리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의나머지 일부에 설치되어 각각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이격된 N형 제6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각각 개재되어 하나의 제6의 화합ㅁ루 반도체를 다른 제6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이격된 P형 제7의 화합물 반도체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고,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나머지 부분의 바로 밑에 형성된 제3의 화합물 반도체는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영역내의 원자결합이 끊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PNP형 NPN형 트랜지스터를 둘러싸서 상기 PNP형 NPN형 트랜지스터를 모두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트렌치 격리영역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의 화합물 반도체가 Al0.7Ga0.3As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4 및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가 GaAs재료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에피택셜 성장된 얇은 그레이딩층을 더 구비하고 있고, 상기 얇은 그레이딩층의 조성이 Al0.7Ga0.3As의 조성에서 GaAs의 조성으로 점진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의 면적은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의 면적보다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의 상부가 각각 N+도전형으로 강하게 변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N형 기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NPN형 트랜지스터를 탑재하는 반절연 기판과,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를 둘러싸서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로부터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트렌치 격리영역, 상기 반절연 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N형 제6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상에 제한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의 전자를 인가받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콜렉터 접촉층, 제6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P형 제7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7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7의 화합물 반도체의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베이스 접촉층, 상기 제7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상에 제한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N형 제8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8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8의 화합물 반도체에 전자를 인가하고, 그 표면이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에미터 접촉층 및, 상기 콜렉터 접촉층과 상기 에미터 접촉층 및 상기 베이스 접촉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격리영역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PNP형 트랜지스터를 탑재하고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내에서 전송되는 정공을 절연시키는 제1의 화합물 반도체로 이루어진 N형 기판과, 상기 기판상의 일부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2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기판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고, 상기 기판으로부터의 전자를 인가받는 N형 제3의 호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의 바로 위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이격된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간과 상기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이격된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간과 상기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각각 개재되어 서로로부터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를 전깆거으로 격리시키고, 서로로부터 상기 이격된 제5의 화합물 반도체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콜렉터 격리영역,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로 정공을 인가하고, 그 표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상기 제5의 반도체 화합물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에미터 접촉층 및, 상기 에미터 접촉층과 상기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개재되어 상기 이격된 P+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이격된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 상기 에미터 접촉층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에미터 격리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PNP형 트랜지스터를 탑재하는 반절연 기판과, 상기 반절연 기판상에 설치되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내에서 전송되는 정공을 절연시키는 N형 제1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1의 반도체의 제1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PNP 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2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1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로부터 정공을 인가받는 콜렉터 접촉층,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된 부분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N형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된 부분이 상기 PNP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는 P형 제4의 화합물 반도체,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4의 화합물 반도체로 정공을 인가하고, 그 표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상기 콜렉터 접촉층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에미터 접촉층, 상기 제2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3부분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에 부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베이스 접촉층,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어 상기 에미터 접촉층과 상기 베이스 접촉층 및 상기 콜렉터 접촉층을 서로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그 각 표면의 높이가 상기 평탄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격리영역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N형 제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의 바로 위에 제한적으로 설치된 부분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P형 제6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3의 화합물 반도체로 부터의 전자를 인가받고,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3부분상에 제한적으로 설치되며,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콜렉터 접촉층,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일부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에 정의 전압을 인가하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베이스 접촉층, 상기 제6의 화합물 반도체상의 나머지 부분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로서 기능하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형 제5의 화합물 반도체 및, NPN형 콜렉터 접촉층과 제5의 화합물 반도체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5의 화합물 반도체와 상기 NPN형 베이스 접촉층으로부터 상기 NPN형 콜렉터접촉층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고, 그 표면이 상기 평탄면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NPN형 격리영역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화합물 반도체의 제2부분상에 위치한 제3의 화합물 반도체가 상기 NPN형 트랜지스터의 콜렉터로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호합물 반도체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영역과 상기 NPN형 격리영역내의 원자결합이 끊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PNP형과 NPN형 트랜지스터 모두를 둘러싸서 상기 PNP형과 NPN형 트랜지스터 모두를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는 트렌치 격리영역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반절연 기판은 N형 GaAs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반절연형 기판은 P형 GaAs재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1-153479 | 1991-06-25 | ||
JP3153479A JP2862705B2 (ja) | 1991-06-25 | 1991-06-25 | ヘテロ接合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3318549A JP2904981B2 (ja) | 1991-11-07 | 1991-11-07 | 半導体集積回路装置 |
JP91-218549 | 1991-11-07 | ||
JP92-071449 | 1992-03-27 | ||
JP4071449A JP2835237B2 (ja) | 1992-03-27 | 1992-03-27 | ヘテロ接合半導体集積回路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1492A KR930001492A (ko) | 1993-01-16 |
KR950011786B1 true KR950011786B1 (ko) | 1995-10-10 |
Family
ID=27300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11104A Expired - Fee Related KR950011786B1 (ko) | 1991-06-25 | 1992-06-25 |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5376822A (ko) |
KR (1) | KR9500117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31523B2 (ja) * | 1993-04-16 | 2002-10-07 |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 カレントミラー回路 |
DE10327709A1 (de) | 2003-06-21 | 2005-01-13 | Infineon Technologies Ag | Integrierte Schaltungsanordnung mit npn- und pnp-Bipolartransistoren sowie Herstellungsverfahren |
KR20080046097A (ko) * | 2006-11-21 | 2008-05-26 | 삼성코닝정밀유리 주식회사 | 화합물 반도체 기판 및 그 전기적 특성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99635A (en) * | 1975-08-28 | 1986-07-08 | Hitachi, Ltd.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
US4258379A (en) * | 1978-09-25 | 1981-03-24 | Hitachi, Ltd. | IIL With in and outdiffused emitter pocket |
US4573064A (en) * | 1981-11-02 | 1986-02-25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GaAs/GaAlAs Heterojunction bipolar integrated circuit devices |
US4644381A (en) * | 1985-04-08 | 1987-02-17 | Siemens Corporate Research & Support, Inc. | I2 L heterostructure bipolar transistor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
-
1992
- 1992-06-15 US US07/898,835 patent/US5376822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2-06-25 KR KR1019920011104A patent/KR950011786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376822A (en) | 1994-12-27 |
KR930001492A (ko) | 1993-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83487A (en) |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 |
US5903018A (en) | Bipolar transistor including a compound semiconductor | |
US6057567A (en) |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 |
US5324671A (en) | Method of fabrication an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bipolar and field effect devices | |
US4751195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 |
EP0177246B1 (en) |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6462362B1 (en) |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having prevention layer between base and emitter | |
JP4999246B2 (ja) | コレクタ−アップ・ヘテロ接合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とその製造方法 | |
US5344786A (en) | Method of fabricating self-aligned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s | |
US5098853A (en) | Self-aligned, planar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 |
US4837178A (en) | Method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having an improved isolation structure | |
US6873029B2 (en) | Self-aligned bipolar transistor | |
US4529996A (en) | Indium phosphide-boron phosphid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 |
EP0197424B1 (en) | Process of fabricating a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 |
KR950011786B1 (ko) | 헤테로접합형 화합물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US5471078A (en) | Self-aligned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 |
JP3874919B2 (ja) | 化合物半導体装置 | |
EP0305121A2 (en) |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 |
US5389562A (en) | Double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the method of manufacture therefor | |
US5153692A (en) | Semiconductor device | |
JP3235574B2 (ja) | ヘテロ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JP2623655B2 (ja) | 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S63200567A (ja) | ヘテロ接合バイポ−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0082325B1 (en) |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metallic conductor | |
JP4405060B2 (ja) | ヘテロ接合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PG1605 |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926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101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1011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