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1538B1 - 세라믹제 축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세라믹제 축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1538B1
KR950011538B1 KR1019890019545A KR890019545A KR950011538B1 KR 950011538 B1 KR950011538 B1 KR 950011538B1 KR 1019890019545 A KR1019890019545 A KR 1019890019545A KR 890019545 A KR890019545 A KR 890019545A KR 950011538 B1 KR950011538 B1 KR 95001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ramic
outer ring
sliding
inner r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255A (ko
Inventor
테루노부 모모세
데쓰오 시바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윙·하이세라
데쓰오 시바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59348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17341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32593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001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윙·하이세라, 데쓰오 시바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윙·하이세라
Publication of KR90001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2Sliding-contact bearings
    • F16C23/04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 F16C23/043Sliding-contact bearings self-adjusting with spherical surfaces, e.g. spherical plain bea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04B35/111Fine ceram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48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zirconium or hafnium oxides, zirconates, zircon or hafnates
    • C04B35/486Fine ceramic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43Sliding surface consisting mainly of ceramics, cermets or hard carbon, e.g. diamond like carbon [D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라믹제 축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받이의 일부절결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받이의 사용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받이의 일부절결 분리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조립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축받이의 일부절결 분리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륜 1a : 바깥둘레부
1b, 1c : 끝단면 1d : 곡면(미끄러져 움직이는 면)
1e : 원추곡면 2 : 내륜
2a : 곡면(미끄러져 움직이는 면) 2b : 끝단면
2c : 원추곡면 3 : 축중심
4 : 관통구멍 5 : 축구멍
11 : 외륜 11c : 곡면(미끄러져 움직이는면)
12 : 내륜 12a : 곡면(미그러져 움직이는 면)
12b : 보스 12c : 맞닿는면
13, 14 : 절반체 15 : 홈
16 : 구멍 A : 축받이
B : 축 B1: 저널부
B2: 끝단면 H : 하우징
본 발명은, 세라믹제 내륜과 세라믹제 외륜을 조합하여 구성한 세라믹제 미끄럼 축받이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축을 프레임에 부착할 때에, 미끄럼 축받이 또는 회전축받이등의 축받이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하여 지고 있다.
회전축받이는, 기계 프레임등에 형성된 하우징에 끼워맞추게 되는 외륜과 회전축을 끼워 맞추는 내륜과의 사이에 볼 로울러, 니들등의 회동체를 형성하여 구동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되는 화동체에 따라서 볼베어링, 로울러베어링, 니들베어링드이 종류가 있고, 또한 하중의 받는 방식에 따라서 레디얼 축받이, 스러스트 축받이등의 종류가 있다.(일본국 특허공고공보소 49-41231호)
이들의 축받이중에서 깊은 홈형볼베어링, 앵글러형베어링, 테이퍼로울러베어링등의 축받이는, 래디얼 하중 및 스러스트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을 지지할 수 있는 축받이로서 이용되고 있다.
미끄럼 축받이에는, 강철, 주철, 동등의 금속 지지체에 화이트메탈층을 적층형성함과 동시에 이 메탈층을 기계가공에 의하여 소정의 치수로 가공하여 구성한 것이나, 동 청동등의 금속지지체에 기름이 함유된 합금층을 적층하거나, 또는 매설하여 구성한 것이었다.
금속지지체를 슬립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미끄럼축받이는, 래디얼하증을 지지하기 위한 축받이로서 이용되고 있다.(일본국 특허 공고공보소 49-18885호)
또한, 금속지지체를 디스크형상으로 형성하여 구성한 미끄럼축받이는, 스러스트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축방이로서 이용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고공보소 49-678호)
상기 회전축받이 및 미끄럼 축받이는 규격화되어서 일반에 시판되어 있는 것이 많고, 또한 이들의 축받이는 각각 고유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축받이의 설계에 있어서는 각각의 축받이가 가지는 특징을 고려하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회전축받이, 미끄럼 축받이라도 각각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회전축받이에 있어서는, 회전피로에 의하여 플레이킹(Flaking)이 발생하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수명이 정해지고, 또한 내열성이 낮고, 또는 구성부품의 갯수가 많기 때문에 코스트가 높고, 또한 회동체가 마모하였을 경우에는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끄럼축받이에 있어서는, 스러스트 하중과 래디얼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을 지지하는 경우에는, 슬립형상의 래디얼 축받이와 디스크형상의 슬립축받이와를 조합하여 이용되거나, 또는 그때마다 설계하여 이용하고 있다.
또한, 축과 축방이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이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하는 사이에 마모가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세라믹제 내륜과 세라믹제 외륜과를 미끄럼 접촉시킴과 동시에, 그 접촉면을 곡면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스러스트 하중과 래디얼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을 지지할 수 있는 세라믹제의 미끄럼 축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내륜과 외륜과를 세라믹에 의하여 구성함으로써 부품 갯수가 적은 축받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라믹제 축받이는 이들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쪽둘레에 곡면형상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한 세라믹제 외륜과, 바깥둘레에 상기 세라믹제 외륜의 안쪽둘레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과 꼭맞는 곡면으로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그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의 축중심과 같은 축중심위에 축을 끼워 맞춤하기 위한 축구멍을 형성한 세라믹제 내륜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세라믹제축받이는, 안쪽둘레에 곡면형상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한 세라믹제 외륜과, 바깥둘레에 상기 세라믹제 외륜이 안쪽둘레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에 꼭맞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의 축중심과 같은 축중심위에 축을 끼워 맞춤하기 위한 축구멍을 형성한 세라믹제 내륜과를 가지고, 상기 세라믹제 내륜을 상기 세라믹제 외륜에 수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과 같이, 안족둘레에 곡면형상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한 세라믹제 외륜(이하 "외륜"이라 칭한다.)과, 외륜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과 꼭맞는 곡면형상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측을 끼워 맞춤하기 위한 축구멍을 형성한 세라믹제(이하 "내륜"이라 칭한다.)와를 조합시킴으로써, 외륜 및 내륜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미끄럼면으로한 미끄럼축받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내륜을 분할형성한 외륜에 수납함으로써 미끄럼 축받이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내륜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외륜 및 내륜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곡면형상으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내륜에 형성한 축구멍에 래디얼 하중 및 스러스트 하중이 단독으로, 또는 동시에 작용하는 축을 끼워 맞춤하였을 경우에, 이들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즉, 래디얼 하중만이 작용하는 축을 지지하는 경우, 이 하중은 축중심과 평행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스러스트 하중만이 작용하는 축을 지지하는 경우, 이 하중을 축중심과 직각방향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으로 지지할 수 있다.
더우기, 래디얼 하중과 스러스트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을 지지하는 경우, 이들이 하중이 합성방향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축받이를 외륜과 내륜으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종래의 회전축받이와 비교하여 부품갯수를 절감시킬 수 있고, 이때문에 코스트를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외륜의 안쪽둘레와 내륜의 바깥둘레로 미끄럼 접촉하기 때문에 축과 내륜과의 사이에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장기간 사용하여도 축에 마모가 발생할 염려가 없다.
또한 외륜 및 내륜을 세라믹에 의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미끄럼 마찰이 적고, 따라서 마찰에 의한 발열을 낮게할 수가 있다.
또한 열에 의한 팽창이 작기 때문에, 기계프레임이나 축에 대한 응력의 발생을 적게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라믹제 내륜과 세라믹제 외륜에 의하여 구성한 세라믹제 축받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세라믹제 축받이의 제조방법은, 다수로 분할하여 성형한 세라믹제 외륜에 의하여 세라믹제 내륜을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세라믹제 외륜을 상호 고정 착설하고, 세라믹제 외륜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과 내륜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과의 간극에 연마제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세라믹제 외륜과 세라믹제 내륜과를 상대적으로 회전 시켜서 연마하고 그후 상기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의 간극에 유체를 주입하여 연마제를 유출시키고, 또는 상기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의 간극에 윤활유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다수로 분할성형한 외륜에 의하여 내륜을 수용하고, 이들의 외륜을 녹여붙임 또는 접착함으로써 외륜에 내륜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가 있다.
그리고 외륜과 내륜과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에 아이아몬드파우더등의 연마제를 주입하여 양자를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미끄러져 움직은 면을 연마하고, 그후 외륜과 내륜과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에 유체를 주입하여 연마제를 유출시키고, 또는 상기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에 윤활유를 주입함으로써,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내륜을 갖는 미끄럼축받이를 제조할 수가 있다.
[제1실시예]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축받이(A)는 외륜(1)과 내륜(2)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외륜(1)은 PSZ(부분안정화 지르코니아 : partially stabillzed zireonia)또는 알루미나등을 소재로하는 산화물계 세라믹원료를 성형금형에 충전하여 프레스성형하고, 성형한 것을 1500℃로 소성하여 형성되어 있다.
외륜(1)의 외형은, 원통형상의 바깥둘레부(1a)와, 끝단면(1b), (1c)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바깥둘레부(1a)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기계프레임에 형성한 하우징(H)에 정착되는 때의 끼워 맞춤면으로 되는 편이다.
그때문에, 바깥둘레부(1a)는 외륜(1)의 축중심(3)과 평행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소정의 지름과 그 지름에 대한 공차(公差)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끝단면(1b)에는, 축(B)을 유동가능하게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4)이 형성되어 있다.
외륜(1)의 안쪽둘레에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이 되는 곡면(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곡면(1d)은 후술하는 내륜(2)의 외형에 형성한 곡면(2a)과 미끄럼 접촉하는 면으로 되는 것이다.
이 곡면(1d)은 끝단면(1c)을 개방면으로 하는 오목형상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곡면(1d)의 형상은, 축중심(3) 위에 중심을 설정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구면을 연속시킨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축중심(3)을 축으로 하는 2차곡선에 의하여 구성되는 곡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내륜(2)은, PSZ 또는 알루미나등의 산화물계 세라믹원료를 성형금형에 충전하여 프레스 성형하고, 성형한 것을 1500℃내지 1600℃로 소성하여 형성되어 있다.
내륜(2)의 외형은, 외륜(1)의 안쪽둘레에 형성한 곡면(1d)과 꼭맞는 곡면(2a)과, 축(B)의 끝단면(B2)과 닿게하여 이 축(B)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을 전달하는 끝단면(2b)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륜(2)의 중심에는, 축의 중심(3)과 일치하여 축(B)저널부(B1)를 끼워 맞추기 위한 축구멍(5)이 형성되어 있다.
곡면(2a)은, 외륜(1)의 안쪽둘레에 형성한 곡면(1d)과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으로 되는 곡면이다.
그때문에, 곡면(2a)은 볼록형상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 곡면(2a)의 중심은 축중심(3)위에 설정되어 있다.
내륜(2)에 형성된 끝단면(2b)은, 축중심(3)에 대하여 정밀도가 높은 직각면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축구멍(5)은, 축(B)의 저널부(B1)의 지름에 대하여 소정의 공차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축받이(A)에 의하여 스러스트 하중과 래디얼 하중이 동시에 작용하는 축(B)을 지지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축받이(A)는 외륜(1)이 기계프레임에 형성한 하우징(H)에 수납되어 있다.
또한 내륜(2)에 형성한 축구멍(5)에 축(B)의 저널부(B1)가 끼워맞춤되어 있고, 이 상태에서 내륜(2)에 형성한 곡면(2a)과 외륜(1)에 형성한 곡면(1d)이 서로 접촉하고 있다.
축(B)에는, 스러스트 하중(Fs)과 래디얼 하중(Fr)이 작용하고 있고, 이들의 하중에 의하여 합성하중(F)이 작용하고 있다.
스러스트 하중(Fs)은 축(B)의 끝단면(B2)을 통하여 내륜(2)으로 전달되고, 또한 래디얼 하중(Fr)은 축(B)의 저널부(B1)을 통하여 내륜(2)으로 전달된다.
그리하여 합성하중(F)의 작용방법에 따라서 내륜(2)의 곡면(2a)과 외륜(1)의 곡면(1d)이 접촉하고, 그 접촉 위치에서 미끄러져 움직인다.
상기곡면(2a)와 곡면(1a)과의 접촉위치에 있어서, 합성하중(F)에 의한 곡면(2a), (1d)의 접선방향으로 나누어진 힘이 발생하고, 이 나누어진 힘이 내륜(2)을 축중심(3)의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조심력(調心力)으로서 작용을 한다.
그 때문에, 축(B)은 항상 축중심(3)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제2실시예]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축받이(C)는, 분할성형된 외륜(11)에 내륜(12)을 회전가능하게 또는 축방향에 대하여 이동이 불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외륜(11)은 대칭형으로 성형된 2개의 절반체(13)(14)를 대향시킴과 동시에, 대향면을 융착 또는 접착함으로써 교착하여 구성되어 있다.
외륜(11)의 안쪽둘레에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으로 되는 오목형상의 곡면(1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곡면(11e)은 후술하는 내륜(12)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12a)과 미끄럼접촉하는 곡면이다.
내륜(12)의 바깥둘레에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으로 되는 볼록형상의 곡면(12a)과, 이 곡면(12a)의 축방향 안쪽에 연속하는 보스(12b)가 형성되어 있다.
곡면(12a)은, 외륜(11)의 안쪽둘레에 형성한 곡면(11c)과 미끄럼 접촉하는 곡면이다.
곡면(12a)의 중심은 축중심(3)상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곡면(12a)의 형상은, 축중심(3)위에 중심을 가진 구면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나, 다른 곡면 예를들면 축중심(3) 위의 다른점을 중심으로 하고, 또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구면을 연속시킨 곡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맞닿는면(12c)은 축(B)에 형성한 끝단면(B2)과 맞닿아서 이 축(B)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이 전달된다.
그 때문에, 맞닿는면(12c)은 축중심(3)에 대하여 정밀도가 높은 직각면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맞닿는 면(11e)은 외륜의 끝단면(11b)보다도 돌출한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륜(12)의 맞닿는면(12e)에 축(B)의 끝단면(B2)이 맞닿을때, 축(B)의 끝단면(B2)이 외륜의 끝단면(11b)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내륜(12)의 축중심(3)방향의 길이, 즉, 맞닿는면(12c) 사이의 거리는 외륜(11)의 축중심(3)방향의 길이, 즉 외륜(11)의 두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륜(11)에 형성한 곡면(11c)은, 내륜(12)에 형성한 곡면(12a)의 형상과 대략 일치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륜(12)에 끼워 맞춤한 축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 정도의 간극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곡면(11c)의 정상부에 링 형상의 홈(15)이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홈(15)은 외륜(11)과 내륜(12)을 겹치는 경우에 곡면 (11c), (12a)에 연마제를 공급하거나 또는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외륜(11)의 바깥둘레부(11a)에는, 홈(15)과 연이어 통하는 많은 수의 구멍(16)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6)은, 외륜(11)의 외부에서 홈(15)으로 연마제나 윤활유를 공급하고, 또는 홈(15)에 공급된 연마제나 윤활유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외륜(11)과 내륜(12)에 의하여 축받이(C)를 구성하는 데는, 절반체(13), (14)를 각각의 절반체(13), (14)에 형성한 곡면(11c)을 마주보게하는, 이들의 절반체(13), (14)에 의하여 내륜(12)을 내포하고, 절반체(13), (14)의 마주보는 면을 융착 또는 접착하여 상호고착함으로써 내륜(12)을 외륜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수용하고, 이것에 의하여 축받이(C)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구성된 축받이(C)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축(B)에 작용하는 스러스트 하중과 래디얼 하중과의 합성하중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축받이(A), (C)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축받이(A)에 있어서는, 외륜(1)에 형성한 곡면(1d) 및 내륜(2)에 형성한 곡면(2a)에 직접, 또는 축받이(C)에 있어서는 외륜(11)에 형성한 구멍(16), 홈(15)을 통하여, 곡면(11c) 및 내륜(12)에 형성한 곡면(12a)에 다이아몬드파우더등의 연마제를 공급하고, 외륜(1), (11)과 내륜(2), (12)과를 상대적을 회전시킴으로서, 곡면 (1d), (2a) 또는 (11c), (12a)를 길들임과 동시에 원활한 곡면으로 가공한다.
계속하여, 상기연마가 끝났을때, 축받이(A)에서는 곡면(1d)(2a)의 접촉면을 분리하여 각각의 곡면(1d), (2a)을 물등의 유체에 의하여 연마제를 세정한다.
또한 축받이(C)에서는 구멍(16), 홈(15)을 통하여 곡면(11c), (12a)에 유체를 공급하고, 이 유체에 의하여 연마제를 배출함과 동시에 각각의 곡면(11c), (12a)을 청소한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축받이(A), (C)를 제조함으로써, 곡면(1d)(2a) 혹은 곡면 (11c), (12a)을 길들이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는 축받이 (A), (C)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받이(A)에 있어서는 곡면(1d), (2a)에 윤활유를 공급하고, 축받이(C)에 있어서는 구멍(16), 홈(15)을 통하여 곡면(11c), (12a)에 윤활유를 공급함으로써, 이들의 곡면(11c), (12a)에 윤활유를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축받이(A), (C)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윤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각의 축받이(A), (C)의 미그러져 움직이는 면에 공급하는 윤활유를 순환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을 경우에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에 있어서의 발열을 냉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실시예]
상기의 제1, 제2실시예에서는 외륜(1), (11) 및 내륜(2), (12)에 각각 곡면을 형성하여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을 형성하였으나, 이들의 곡면을 제5도에 나타낸 것같이 원추곡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즉, 외륜(1)의 안쪽둘레에는 오목현상의 원추곡면(1e)과, 이 원추곡면(1e)과 연속하여 직선부(1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륜(2)의 바깥둘레에는, 원추곡면(1e)과 꼭맞는 볼록형상의 원추곡면 (2e)과, 이 원추곡면(2c)과 연속하여 직선부(2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축(B)에 작용하는 합성하중은 내륜(2)에 형성한 원추곡면(2c)과 외륜(1)에 형성한 원추곡면(1e)과의 미끄럼 접촉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때, 원추곡면(2c), (1e)이 선(線)접촉함으로서, 접촉압력을 작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각 축받이(A), (C)에 있어서, 외륜(1), (11)와 내륜(2), (12)이 미끄럼 접촉함으로써, 미끄럼 마찰에 의하여 열이 발생하나, 외륜(1), (11) 및 내륜(2), (12)이 각각 세라믹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축받이(A), (C)에 대한 열의 영향이 적다.
즉 세라믹의 열팽창계수가 약 3내지 11×10-6/0C이기 때문에 열팽창에 의한 과대한 응력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또한 열에 의하여 축받이(A), (C)가 열화하는 일도 없다.

Claims (4)

  1. 안쪽둘레에 곡면형상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1d), (1c)을 형성한 세라믹제 외륜(1), (11)과 바깥둘레에 상기 세라믹제외륜(1), (11)의 안쪽둘레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1d), (1c)과 꼭맞는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2a), (2a)을 형성함과 동시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2a), (2a)의 축중심(3)과 같은 축 중심상에 축(B)의 저널부(B1)를 끼워 맞추기 위한 축구멍(5)을 형성한 세라믹제 내륜(2), (12)을 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제 축받이.
  2. 제1항에 있어서, 세라믹제 외륜(11)에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11c)으로 윤활유를 공급하기 위한 구멍(16)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제 축받이.
  3. 제1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세라믹제 외륜(1), (11)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의 형상이 오목형상 곡면(1d), (1c) 또는 오목형상 원추면(1e)이고, 세라믹제 내륜 (2), (12)의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의 형상이 볼록형상 곡면(2a), (12a) 또는 볼록형상 원추면(2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제 축받이.
  4. 복수로 분할하여 성형한 세라믹제 외륜(11)에 의하여 세라믹제 내륜(12)을 내부로 수용함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세라믹제 외륜(11)을 서로 고정 설치하고, 세라믹제 외륜(11)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11c)과 내륜(12)에 형성한 미끄러져 움직이는 면(12a)의 간극에 연마제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세라믹제 외륜(11)과 세라믹제 내륜(12)을 상대적으로 회전시켜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라믹제 축받이의 제조방법.
KR1019890019545A 1988-12-26 1989-12-26 세라믹제 축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11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5933 1988-12-26
JP88-325933 1988-12-26
JP32593488A JPH02173415A (ja) 1988-12-26 1988-12-26 セラミックス製軸受及び該軸受の製造方法
JP63325933A JPH0810013B2 (ja) 1988-12-26 1988-12-26 セラミックス製軸受
JP88-325934 1988-12-26
JP325934 1988-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255A KR900010255A (ko) 1990-07-07
KR950011538B1 true KR950011538B1 (ko) 1995-10-06

Family

ID=2657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545A KR950011538B1 (ko) 1988-12-26 1989-12-26 세라믹제 축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54940A (ko)
EP (1) EP0376647A3 (ko)
KR (1) KR950011538B1 (ko)
AU (1) AU634735B2 (ko)
CA (1) CA200652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986B1 (ko) * 1989-10-02 1996-01-15 가부시끼가이샤 윙· 하이세라 세라믹제 축받이
JPH03149415A (ja) * 1989-10-12 1991-06-26 Uingu Haisera:Kk セラミックス製軸受
AU639479B2 (en) * 1990-09-12 1993-07-29 Wing Highcera Co. Ltd. Ceramic bearing
DE4032803A1 (de) * 1990-10-16 1992-04-30 D O R N E Y Technologie Gmbh Formteil aus einem metallischen und einem keramischen koerper
DE4033630A1 (de) * 1990-10-23 1992-04-30 Busch Dieter & Co Prueftech Erdlot zum bestimmen von senkrechten und waagrechten
US5190450A (en) * 1992-03-06 1993-03-02 Eastman Kodak Company Gear pump for high viscosity materials
DE4404534C2 (de) * 1994-02-12 1997-03-20 Trw Fahrwerksyst Gmbh & Co Kugelkupplung
US5556499A (en) * 1994-12-01 1996-09-17 Polaroid Corporation Delaminating method and apparatus
EP0780586B1 (en) * 1995-12-22 2001-1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Hemispherical fluid bearing
CN1072332C (zh) * 1995-12-28 2001-10-03 三星电子株式会社 半球形流体轴承
DE19727338C2 (de) * 1997-06-27 2003-10-30 Jost Werke Gmbh & Co Kg Sattelkupplung
US5828151A (en) * 1997-08-27 1998-10-27 Cts Corporation Self aligning actuator with low bearing wear
US6206264B1 (en) * 1998-05-18 2001-03-27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abrasive web of indeterminate length
US5982058A (en) * 1998-09-02 1999-11-09 Cts Corporation Two-phase stepper motor
US6198182B1 (en) * 1998-09-02 2001-03-06 Cts Corporation Two-phase stepper motor having two disk stators with salient poles positioned on either side of two disk rotors
DE10042405A1 (de) * 2000-08-30 2002-03-21 Bosch Gmbh Robert Lageraufnahme
JP2002250343A (ja) 2001-02-21 2002-09-06 Minebea Co Ltd 特殊軸受装置
US6505974B2 (en) 2001-05-02 2003-01-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eramic ball bearings and assembly
US7116210B2 (en) 2004-05-05 2006-10-03 Cts Corporation Actuator with integral position sensor
US20070008063A1 (en) * 2004-08-13 2007-01-11 Cts Corporation Rotary actuator with non-contacting position sensor
US20070223852A1 (en) * 2006-03-21 2007-09-27 Lee Yu H Ceramic bearing
JP4948147B2 (ja) * 2006-12-15 2012-06-06 富士通株式会社 複合コンテンツファイルの編集方法および装置
WO2010096365A1 (en) 2009-02-17 2010-08-26 Cts Corporation Rotary position sensor
BRPI0921939A2 (pt) * 2009-06-16 2016-01-05 Mitsubishi Heavy Ind Ltd gerador de turbina eólica
US20110000342A1 (en) * 2009-07-02 2011-01-06 TR Tools, L.L.C. Wrench
CN103228889B (zh) * 2010-12-08 2015-11-25 博格华纳公司 排气涡轮增压器
EP3271597B1 (de) * 2015-03-18 2021-03-10 BMTS Technology GmbH & Co. KG Abgasturbolader
DE102015211739A1 (de) * 2015-06-24 2016-12-29 Aktiebolaget Skf Gleitlager
DE202016105071U1 (de) * 2016-09-13 2016-11-03 Martin Berger Hydrodynamisches Gleitlager und Abgasturbolad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907659A (fr) * 1941-11-12 1946-03-19 Leitz Ernst Gmbh Palier à glissement pour arbres, broches et pièces analogues
CH373242A (de) * 1962-09-20 1963-11-15 Landis & Gy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leitlagers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Gleitlager sowie dessen Verwendung
GB1296830A (ko) * 1969-02-21 1972-11-22
GB2020379A (en) * 1978-03-17 1979-11-14 Mono Pumps Ltd Bearings
JPS60208626A (ja) * 1984-03-30 1985-10-21 Koyo Seiko Co Ltd 腐食環境下で使用する回転部材支持装置
US4767901A (en) * 1984-12-21 1988-08-30 Simmons-Rand Corporation Process for making an enclosure outlet connection device
WO1990005247A1 (en) * 1988-11-09 1990-05-17 Allied-Signal Inc. High temperature bearing
JPH0814284B2 (ja) * 1989-02-02 1996-02-14 株式会社ウイング・ハイセラ セラミックス製軸受
KR960000986B1 (ko) * 1989-10-02 1996-01-15 가부시끼가이샤 윙· 하이세라 세라믹제 축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255A (ko) 1990-07-07
EP0376647A3 (en) 1991-08-14
AU634735B2 (en) 1993-03-04
EP0376647A2 (en) 1990-07-04
US5054940A (en) 1991-10-08
AU4710789A (en) 1990-06-28
CA2006521A1 (en) 1990-06-26
CA2006521C (en) 1995-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1538B1 (ko) 세라믹제 축받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00986B1 (ko) 세라믹제 축받이
EP0381336B1 (en) Ceramic bearing
KR950008331B1 (ko) 세라믹제 축받이
JPH0835519A (ja) 組合せすべり軸受
TW201530008A (zh) 滾珠軸承用保持器
US3782795A (en) Tapered roller bearing
GB2117088A (en) Universal joint components
KR950008332B1 (ko) 세라믹제 축받이
JP2002310167A (ja) ローラベアリング
US2530665A (en) Bearing
JP2011202799A (ja) スラスト円筒ころ軸受
JPS62266216A (ja) セラミツクス軸受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72435B (zh) 滾動軸承及滾動軸承的製造方法
JPH02173415A (ja) セラミックス製軸受及び該軸受の製造方法
JPH0810013B2 (ja) セラミックス製軸受
JPH0914281A (ja) 等速自在継手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1223434A (en) Universal joint cross member trunnion and method
JPH02173417A (ja) セラミックス製軸受
JPH1026141A (ja) ころ軸受の保持器
JPH07103243A (ja) 転がり軸受
JPH03121307A (ja) セラミックス製軸受
JPS63308217A (ja) セラミックス軸受
AU639479B2 (en) Ceramic bearing
JPH09151957A (ja) ユニバーサル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