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442Y1 -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442Y1
KR950010442Y1 KR92013188U KR920013188U KR950010442Y1 KR 950010442 Y1 KR950010442 Y1 KR 950010442Y1 KR 92013188 U KR92013188 U KR 92013188U KR 920013188 U KR920013188 U KR 920013188U KR 950010442 Y1 KR950010442 Y1 KR 950010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guide rail
guide
shu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3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358U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문정환
Lg 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Lg 일렉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92013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442Y1/ko
Publication of KR9400043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3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4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제1도는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디바이스 2 : 안내레일
5 : 상부가이드 6 : 힛팅부재
7 : 센서
본 고안은 디바이스의 피딩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러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를 분리하여 피딩시 발생되는 이송불량을 방지하여 원활한 이송이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 핸들러에 설치되는 디비아스의 피딩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디바이스(1)가 이송되는 안내레일(2a)의 하부에 안내레일(2a)을 관통하여 승강하며 후방의 디바이스(1b)를 홀딩시키는 홀딩스톱퍼(3)와 그 전방에 전방의 디바이스(1a)의 피딩을 차단시키는 셧(Shut) 스톱퍼(4)가 설치되고, 셧스톱퍼(4) 하부의 안내레일(2a)에는 테스트핑거(8)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2a)의 상부에는 디바이스(1)의 이송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5a)가 설치된다.
따라서, 안내레일(2a)에 복수개의 디바이스(1)가 놓여있을때 전방의 디바이스(1a)를 이송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안내레일(2a) 하부의 홀딩스톱퍼(3)가 상승하여 후방의 디바이스(1b)를 홀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홀딩스톱퍼(3) 전방의 셧스톱퍼(4)가 상기 안내레일(2a)을 관통해서 상승하여 안내레일(2a)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셧스톱퍼(4)가 하강하게 되면, 전방의 디바이스(1a)가 진행방향으로 분리 이송되어 내려감과 동시에 후방의 디바이스(1b)가 그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디바이스의 피딩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디바이스(1) 특유의 몰딩 엔드 플래쉬(Molding End Flash)로 인한 셧스톱퍼(4)가 하강하여 전방의 디바이스(1a)가 이송시 후방의 디바이스(1b)와 전방의 디바이스(1a)가 빈번하게 상호 맞물리는 현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홀딩스톱퍼(3)와 셧스톱퍼(4)가 작동을 하더라도 효율적인 분리이송시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인해 작업상의 많은 불편함을 초래하여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것으로서, 본 고안은 핸들러에서 각각의 디바이스를 분리하여 피딩시 발생되는 이송불량을 방지하여 원활한 이송을 시킬수 있는 디바이스의 피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상부가이드를 관통하여 안내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전,후방의 디바이스의 상호 맞물림을 분리시키기 위해 승강하는 힛팅부재가 설치된 디바이스의 피딩장치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주도면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핸들러의 디바이스(1)가 이송되는 안내레일(2)의 하부에 안내레일(2)을 관통하여 승강하며 후방의 디바이스(1b)를 홀딩시키는 홀딩스톱퍼(3)가 설치되고, 홀딩스톱퍼(3)의 전방에는 전방의 디바이스(1a)의 피딩을 차단시키는 셧스톱퍼(4)가 설치되며, 상기 안내레일(2)의 상부에는 디바이스(1)의 이송을 안내하는 상부가이드(5)가 설치된다.
또한, 상부가이드(5)의 상부에는 상부가이드(5)를 관통해서 승강하여 안내레일(2)을 따라 이송되는 전,후방의 디바이스(1a), (1b)에 상호 맞물림을 방지시키는 힛팅(Hitting)부재(6)가 설치되고, 셧스톱퍼(4) 전방의 상부가이드(5)와 안내레일(2)에는 각각 상기 전, 후방의 디바이스(1a), (1b)의 상호 맞물림을 감지하는 센서(7)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핸들러의 안내레일(2)에 복수개의 디바이스(1)가 놓여있을때 전방의 디바이스(1a)를 이송시키고자 할때에는 상기 안내레일(2) 하부의 홀딩스톱퍼(3)가 상승하여 후방의 디바이스(1b)를 홀딩시킴과 동시에 상기 홀딩스톱퍼(3) 전방의 셧스톱퍼(4)가 상기 안내레일(2)을 관통해서 상승하여 안내레일(2)을 차단시킨 상태에서 상기 셧스톱퍼(4)가 하강하게 되면 전방의 디바이스(1a)가 진행방향으로 분리이송되어 내려감과 동시에 후방의 디바이스(1b)가 그 자리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셧스톱퍼(4)가 하강시 안내레일(2)을 따라 이송되는 전,후방 디바이스(1a)(1b)의 상호 맞물림이 발생하게 되어 전방의 디바이스(1a)가 이송되지 않게 되면, 상기 셧스톱퍼(4) 전방의 상부가이드(5)와 안내레일(2)에 설치된 센서(7)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이와동시에, 상부가이드(5) 상부에 설치된 힛팅부재(6)가 상기 상부가이드(5)를 관통해서 하강하여 상기 전,후방의 디바이스(1a)(1b)의 상호 맞물린 부위를 살짝 때려 분리시키므로 인해 디바이스(1)의 이송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원활한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고안은 핸들러의 상부가이드(5)상부에 상부가이드(5)를 관통해서 승강하여 안내레일(2)을 따라 이송되는 전,후방의 디바이스(1a),(1b)의 상호 맞물림을 방지시키는 힛팅부재(6)가 설치되므로써, 전,후방 디바이스(1a),(1b)의 상호 맞물림이 발생시 상기 상부가이드(5)와 안내레일(2)에 설치된 센서(7)가 이를 감지함과 동시에 힛팅부재(6)가 하강하여 상기 전, 후방디바이스 (1a),(1b)의 상호 맞물린 부위를 분리시키므로 인해 디바이스(1)를 분리하여 피딩시 발생되는 이송불량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이송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서 장치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상부가이드(5)를 관통하여 안내레일(2)을 따라 이송되는 전,후방의 디바이스(1a), (1b)의 상호 맞물림을 분리시키기 위해 승강하는 힛팅부재(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5)와 안내레일(2)에 각각 전, 후방의 디바이스(1a)(1b)의 상호 맞물림을 감지하는 센서(7)가 설치된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KR92013188U 1992-07-16 1992-07-16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KR9500104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88U KR950010442Y1 (ko) 1992-07-16 1992-07-16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3188U KR950010442Y1 (ko) 1992-07-16 1992-07-16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58U KR940004358U (ko) 1994-02-24
KR950010442Y1 true KR950010442Y1 (ko) 1995-12-13

Family

ID=19336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3188U KR950010442Y1 (ko) 1992-07-16 1992-07-16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4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358U (ko) 1994-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2852B1 (ko) 천정 주행차
KR100217286B1 (ko) 웨이퍼링의 공급.반송장치
KR950010442Y1 (ko) 디바이스의 피딩장치
KR100760466B1 (ko) 형강재의 이송 정렬장치
US6016903A (en) Conveyor track for pallets
KR0174985B1 (ko) 반도체 웨이퍼 가이드
JP2011046524A (ja)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KR200159194Y1 (ko) 반도체 소자검사기용 트랜스퍼의 충돌방지장치
ATE219712T1 (de)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beladen von werkstückpaletten
KR100208481B1 (ko) 반도체 리드프레임 로딩장치
KR102642705B1 (ko)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KR0148967B1 (ko) 건전지소자의 이재 및 위치결정장치
KR100634160B1 (ko) 반도체 웨이퍼의 이송 장치
JPS62149152A (ja) ウエ−ハ移替装置
KR100732529B1 (ko) 벌크 방식의 테스터 핸들러 로더/언로더
KR0110484Y1 (ko) 웨이퍼로딩 머신의 웨이퍼 감지장치
JPS5817063A (ja) シ−ト分類装置
KR0140511B1 (ko) 부품 조립장치
JPH01261842A (ja) ウェハ搬送機構
KR200183932Y1 (ko) 피시비 다열공급장치
KR950010444Y1 (ko) 핸들러의 디바이스 공급장치
KR940008648Y1 (ko) 자동삽입기의 오삽기판 자동적재장치
KR19980020013U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장비의 트레이 고정장치
KR100354089B1 (ko) 워크리프터
JPS61406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