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2705B1 -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2705B1
KR102642705B1 KR1020220050535A KR20220050535A KR102642705B1 KR 102642705 B1 KR102642705 B1 KR 102642705B1 KR 1020220050535 A KR1020220050535 A KR 1020220050535A KR 20220050535 A KR20220050535 A KR 20220050535A KR 102642705 B1 KR102642705 B1 KR 102642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shaped
supply
shaped part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0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51186A (ko
Inventor
김기성
한상대
홍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양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양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양정밀
Priority to KR1020220050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2705B1/ko
Publication of KR20230151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2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2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045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21/2063Mechanical means for guiding or retaining the load on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elements not movable in the direction of load-transport
    • B65G21/2072Laterial guidanc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액정표시모듈 패널의 OCR 합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진공챔버 내부의 작업플레이트에 LCM 패널을 적재하는 LCM 패널 적재단계; 공기가압수단을 통해 LCM 패널의 상판 부착면의 평평도를 교정하는 교정단계; LCM 패널의 상판 부착면에 OCR이 도포된 상판을 진공 합착하는 합착단계; 작업플레이트에서 상판이 OCR 합착된 LCM 패널을 분리하는 LCM 패널 하역단계;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작업플레이트에 적재한 LCM 패널의 상판 접착면을 공기가압수단을 통해 평평한 상태로 교정한 후에 상판을 OCR 합착함으로써 합착 두께의 균일성(Uniformity)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합착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액정표시모듈 패널 제품의 품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AUTO FEEDER FOR RING TYPE PARTS}
본 발명은 오일씰과 같은 링형 부품을 하나씩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링형 부품의 하나인 오일씰은 금속재 링형 부품과 고무재 링형 부품을 조립하여 성형장치로 이송한 후 성형장치의 성형금형을 통해 합착 및 성형하여 제조하게 된다.
상기 오일씰을 제조하는 설비는 금속재 링형 부품에 고무재 링형 부품을 올려놓은 후 조립된 링형 부품을 하나씩 적재지그에 적재하여 성형장치 쪽으로 이송하게 되는 예가 많다.
본 발명은 특히 오일씰과 같은 링형 부품을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로 하나씩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관계한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다양한 기계, 전자제품의 부품 중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어떠한 형상이나 형태는 갖추고 있지만, 밀도가 낮은 부품을 이송시켜 다음 공정에 정확한 자세로 전달하기 위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432호(2015년 10월 23일 등록)
종래 기술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특허문헌 1과 같이 컨베이어벨트에 일렬로 링형 부품이 적재되기 때문에 링형 부뭄이 컨베이어벨트에 유입되는 쪽이나 컨베이어벨트에서 배출된 어느 한 쪽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면 작동을 정지하여야 한다.
이에 컨베이어벨트에 다수의 링형 부품을 적재한 후 하나씩 배출하도록 하는 방식의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방식을 채택한 종래 기술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컨베이어벨트에서 다수의 링형 부품이 적재되는 과정에 링형 부품이 빠져나가는 배출부위 쪽에서 링형 부품이 적체되어 컨베이어벨트의 전체 면적에 걸쳐 많은 양의 링형 부품을 적재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링형 부품이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 쪽으로 하나씩 빠져나가는 부위에서 두 개이상의 링형 부품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하나의 링형 부품도 빠져나가지 못하는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될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링형 부품을 하나씩 안정적으로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링형 부품을 컨베이어벨트에 적재하는 과정에서 링형 부품이 컨베이어벨트의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많은 향의 링형 부품을 컨베이어벨트에 동시 적재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링형 부품이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 쪽으로 하나씩 이송되는 통로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보다 원활하게 링형 부품을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컨베이이벨트 및 가이드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장방형의 메인프레임; 메인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링형 부품을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 메인프레임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 전방에 중앙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도경사부가 마련되고, 유도경사부의 후방에 링형 부품의 이송방향과 직각인 진입부가 마련되고, 진입부의 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받침부가 마련되고, 유도경사부의 선단부에 제1유도부재가 설치되고, 유도경사부의 제1유도부재의 후방에 제2유도부재가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 가이드플레이트의 유도경사부의 제1유도부재와 제2유도부재 사이에 유도경사부의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부재; 가이드플레이트의 받침부에 받침부와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병목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가이드플레이트의 내부의 진입부 쪽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진입부를 통해 가아드플레이트의 내부로 진입한 링형 부품이 대기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게이트부재; 가이드플레이트의 내부의 대기게이트부재의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기위치에서 이동하는 링형 부품이 공급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게이트부재; 메인프레임의 상단 우측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위치에서 이동하는 링형 부품이 하역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스톱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교반부재는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단 전방 좌측에 유도경사부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실린더의 작동로드에 접속되고, 병목방지부재는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단 후방 좌측에 받침부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병목방지실린더의 작동로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상단 전방 좌측부위와 메인프레임의 상단 좌측단 후방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을 감지하여 교반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센서; 메인프레임의 상단 우측 전방과 상단 우측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의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을 감지하여 병목방지실린더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병목방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는 메인프레임의 상단 좌측 전방과 상단 좌측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에 동시 적재되는 링형 부품의 최대적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적재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에 다수의 링형 부품을 적재한 후 하나씩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의하면, 컨베이어벨트에 다수의 링형 부품을 적재하는 과정에서 링형 부품을 컨베이어벨트 전체 면적에 골고루 분산시켜 적재함으로써 보다 많은 링형 부품을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에 의하면, 링형 부품이 이송장치 또는 성형장치 쪽으로 배출되는 진입부가 막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링형 부품이 안정적으로 진입부를 통과할 수 있게 되어 원활하게 링형 부품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대기게이트 및 공급게이트 부위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대기게이트 및 공급게이트 부위의 우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링형 부품 병목상태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링형 부품 병목 해제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메인프레임(110), 컨베이어벨트(120), 가이드플레이트(130), 교반부재(140), 병목방지부재(150), 대기게이트부재(160), 공급게이트부재(170), 하역스톱퍼부재(180)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장방형의 형태이고, 컨베이이벨트(110) 및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컨베이어벨트(120)는 링형 부품(P)을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설치된다.
컨베이어모터(121)를 통해 컨베이어벨트(120)를 구동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가이드플레이트(130)는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적재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되는 링형 부품(P)을 공급위치로 가이드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부 우측에 설치된다.
가이드플레이트(130)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 전방에 중앙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도경사부(a)가 마련되고, 유도경사부(a)의 후방에 링형 부품(P)의 이송방향과 직각인 진입부(b)가 마련되고, 진입부(b)의 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받침부(c)가 마련된다.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유도경사부(a)의 선단부에는 제1유도부재(131)가 설치되고,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유도경사부(a)의 제1유도부재(131)의 후방에는 제2유도부재(132)가 설치된다.
교반부재(14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제1유도부재(131) 쪽에서 제2유도부재(132) 쪽으로 이동하는 링형 부품(P)을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중앙부 쪽으로 이동시켜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전체 면적에 링형 부품(P)을 최대한 많이 적재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유도경사부(a)의 제1유도부재(131)와 제2유도부재(131) 사이에 유도경사부(a)의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교반부재(14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단 전방 좌측에 유도경사부(a)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실린더(141)의 작동로드에 접속된다.
병목방지부재(15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진입부(b)에서 두 개의 링형 부품(P)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겹쳐서 어떠한 힝형 부품(P)도 진입부(b)를 통과하지 못하는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받침부(c)에 받침부(c)와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병목방지부재(15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단 후방 좌측에 받침부(c)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병목방지실린더(151)의 작동로드에 접속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대기게이트 및 공급게이트 부위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대기게이트 및 공급게이트 부위의 우측면도이다.
대기게이트부재(160)는 진입부(b)를 통해 가아드플레이트(130)의 내부로 진입한 링형 부품(P)이 대기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내부의 진입부(b) 쪽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대기게이트부재(16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단의 진입부(b) 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대기게이트실린더(161)의 작동로드에 접속된다.
상기에서 대기실린더(161) 및 대기게이트부재(160)의 위치, 그리고 그에 따른 링형 부품(P)의 대기위치는 링형 부품(P)의 크기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변경 가능하다.
공급게이트부재(170)는 대기위치에서 이동하는 링형 부품(P)이 공급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내부의 대기게이트부재(160)의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급게이트부재(17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단의 대기게이트실린더(161)의 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공급게이트실린더(171)의 작동로드에 접속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미설명부호 190은 가이드브라켓트이다.
하역스톱퍼부재(180)는 공급위치에서 이동하는 링형 부품(P)이 하역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우측 후방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적재로봇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좌측 전방의 적재위치에 연속 적재되는 링형 부붐(P)을 하나씩 하역위치로 이송하여 하역로봇을 통해 성형장치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에서 링형 부품(P)은 적재로봇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좌측 전방부에 적재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좌측 전방부에 적재된 링형 부품(P)은 컨베이어벨트(120)의 작동을 통해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유도경사부(a)의 선단부에 설치된 제1유도부재(131), 교반부재(140), 제2유도부재(132)를 통해 가이드되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진입부(b)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진입부(b) 쪽으로 이동한 링형 부품(P)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브라켓트(190)를 통해 가이드되고, 대기게이트와 공급게이트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하역스톱퍼부재(180)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대기게이트실린더(161)의 상승 작동으로 대기게이트부재(160)가 상승하게 되면 대기위치의 링형 부품(P)이 대기게이트를 통과하여 공급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게 되고, 공급게이트실린더(171)의 상승 작동으로 공급게이트부재(170)가 상승하게 되면 공급위치의 링형 부품(P)이 하역스톱퍼부재(180)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제어유니트(미도시)는 공급게이트실린더(171)의 상승 작동으로 공급게이트가 개방되어 공급위치의 링형 부품(P)이 하역스톱퍼부재(180) 쪽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대기게이트실린더(161)의 하강 작동으로 대기게이트가 폐쇄되어 대기위치의 링형 부품(P)이 공급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어유니트는 공급위치의 링형 부품(P)이 공급게이트를 완전히 빠져나간 후에 공급게이트실린더(171)를 하강 작동하는 동시에 대기게이트실린더(161)를 상승 작동하여 대기위치의 링형 부품(P)이 공급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대기게이트와 공급게이트를 차례로 통과한 후 하역스톱퍼부재(180)에 의해 하역위치에서 정지된 링형 부품(P)은 하역로봇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0)에서 하역되어 성형장치로 공급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교반실린더(141)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센서(S1), 컨베이어벨트(120)에 동시 적재되는 링형 부품(P)의 최대적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적재센서(S2), 병목방지실린더(151)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병목방지센서(S3)를 포함한다.
교반센서(S1)는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전방 좌측부위와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좌측단 후방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경사방향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교반센서(S1)의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을 감지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링형 부품 적재과정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a와 같이 한 쌍의 교반센서(S1) 사이에 링형 부불(P)이 일정시간동안 감지되는 경우 제어유니트(미도시)는 교반실린더(141)를 신장작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6b 및 도 6c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유도경사부(a)로부터 교반부재(140)가 돌출되면서 교반부재(140)에 접촉되는 링형 부품(P)을 컨베이어벨트(120)의 중앙 쪽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도 6d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적재된 링형 부품(P)이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전체 면적에 고르게 분산 적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적재로봇을 통한 링형 부품(P)의 적재 유입속도가 하역로봇을 통한 링형 부품(P)의 하역 배출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되고, 그에 따라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최대한 많은 양의 링형 부품(P)이 적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최대적재센서(S2)는 컨베이어벨트(120)에 동시 적재되는 링형 부품(P)의 최대적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좌측 전방과 상단 좌측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많은 양의 링형 부품(P)이 적재되고, 그에 따라 도 6d와 같이 한 쌍의 최대적재센서(S2)의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이 일정시간동안 감지되는 경우 제어유니트는 적재로봇의 작동을 정지하여 링형 부품(P)의 추가 적재를 중지하게 된다.
병목방지센서(S3)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진입부(b)의 병목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우측 전방과 상단 우측 후방에 각각 설치된다.
한 쌍의 병목방지센서(S3)는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을 감지하여 병목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링형 부품 병목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의 링형 부품 병목 해제상태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좌측 부분에 적재된 링형 부품(P)은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진입부(b) 쪽으로 이동하고, 대기게이트와 공급게이트를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하역스톱퍼부재(180)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다수의 링형 부품(P)이 적재되어 있는 정상 작동상태라면 공급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공급위치에 링형 부품(P)이 당연히 위치하여야 한다.
그런데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다수의 링형 부품(P)이 적재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 7a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진입부(b)의 입구에서 두 개의 링형 부품(P)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게 되면 그 두 개 중의 어느 하나의 링형 부품(P)도 대기게이트 쪽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는 병목현상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병목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대기위치 및 공급위치로 링형 부품(P)이 이동하지 못하게 되며, 이때 한 쌍의 병목방지센서(S3)를 통해 링형 부품(P)가 감지되지 않게 된다.
한 쌍의 병목방지센서(S3)의 사이에 링형 부품(P)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제어유니트는 병목방지실린더(151)를 신장 작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도 7b와 같이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받침부(c)로부터 병목방지부재(150)가 돌출되면서 진입부(b)의 입구에서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한 두 개의 링형 부품(P) 중에서 후방의 것을 받침부(c)와 직각방향인 중앙 좌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므로 두 개의 링형 부품(P) 중에서 전방의 것이 진입부(b)를 통해 대기게이트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병목방지실린더(151) 및 병목방지부재(150)는 병목방지센서(S3)가 병목현상을 감지한 때에 작동하여 병목현상을 해소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에서 병목방지실린더(151) 및 병목방지부재(150)는 병목현상의 발생여부와 관계없이 주기적으로 작동하여 병목현상이 방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100)는 다수의 링형 부품(P)을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에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게 되고, 컨베이어벨트(120)에 적재된 다수의 링형 부품(P)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하역위치로 이송하여 안정적으로 후속 성형장치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110 : 메인프레임
120 : 컨베이어벨트
130 : 가이드플레이트
140 : 교반부재
150 : 병목방지부재
160 : 대기게이트부재
170 : 공급게이트부재
180 : 하역스톱퍼부재

Claims (5)

  1. 컨베이이벨트(110) 및 가이드플레이트(120)가 설치되는 장방형의 메인프레임(110);
    메인프레임(110)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링형 부품(P)을 좌우방향으로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120);
    메인프레임(110)의 상부 우측에 설치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 전방에 중앙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유도경사부(a)가 마련되고, 유도경사부(a)의 후방에 링형 부품(P)의 이송방향과 직각인 진입부(b)가 마련되고, 진입부(b)의 후방에 후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받침부(c)가 마련되고, 유도경사부(a)의 선단부에 제1유도부재(131)가 설치되고, 유도경사부(a)의 제1유도부재(131)의 후방에 제2유도부재(132)가 설치된 가이드플레이트(130);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유도경사부(a)의 제1유도부재(131)와 제2유도부재(131) 사이에 유도경사부(a)의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교반부재(140);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받침부(c)에 받침부(c)와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병목방지부재(150);를 포함하며,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내부의 진입부(b) 쪽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진입부(b)를 통해 가아드플레이트(130)의 내부로 진입한 링형 부품(P)이 대기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대기게이트부재(160);
    가이드플레이트(130)의 내부의 대기게이트부재(160)의 우측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대기위치에서 이동하는 링형 부품(P)이 공급위치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게이트부재(170);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우측 후방에 설치되고, 공급위치에서 이동하는 링형 부품(P)이 하역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하역스톱퍼부재(180);를 포함하고,
    교반부재(14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단 전방 좌측에 유도경사부(a)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교반실린더(141)의 작동로드에 접속되고,
    병목방지부재(150)는 가이드플레이트(130)의 상단 후방 좌측에 받침부(c)의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병목방지실린더(151)의 작동로드에 접속되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전방 좌측부위와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좌측단 후방부위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을 감지하여 교반실린더(141)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교반센서(S1);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우측 전방과 상단 우측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의 공급위치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을 감지하여 병목방지실린더(151)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병목방지센서(S3);를 포함하며,
    메인프레임(110)의 상단 좌측 전방과 상단 좌측 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그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을 감지하여 컨베이어벨트(120)에 동시 적재되는 링형 부품(P)의 최대적재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최대적재센서(S2);를 포함하되;
    제어유니트는 공급게이트실린더(171)의 상승 작동으로 공급게이트가 개방되어 공급위치의 링형 부품(P)이 하역스톱퍼부재(180) 쪽으로 이동하는 때에는 대기게이트실린더(161)의 하강 작동으로 대기게이트가 폐쇄되어 대기위치의 링형 부품(P)이 공급위치로 이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며,
    제어유니트는, 공급위치의 링형 부품(P)이 공급게이트를 완전히 빠져 나간 후에 공급게이트실린더(171)를 하강 작동하는 동시에 대기게이트실린더(161)를 상승 작동하여 대기위치의 링형 부품(P)이 공급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제어유니트는, 한 쌍의 교반센서(S1) 사이에 링형 부품(P)이 일정시간 동안 감지되는 경우 교반실린더(141)를 신장작동하며,
    제어유니트는, 한 쌍의 최대적재센서(S2)의 사이에 위치하는 링형 부품(P)이 일정시간동안 감지되는 경우 적재로봇의 작동을 정지하여 링형 부품(P)의 추가 적재를 중지하며,
    제어유니트는, 한 쌍의 병목방지센서(S3)의 사이에 링형 부품(P)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병목방지실린더(151)를 신장 작동하고,
    링형 부품(P)은 적재로봇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0)의 상단 좌측 전방부에 적재되고,
    하역스톱퍼부재(180)에 의해 하역위치에서 정지된 링형 부품(P)은 하역로봇을 통해 컨베이어벨트(120)에서 하역되어 성형장치로 공급되며,
    적재로봇을 통한 링형 부품(P)의 적재 유입속도가 하역로봇을 통한 링형 부품(P)의 하역 배출속도보다 빠르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20050535A 2022-04-25 2022-04-25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KR102642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35A KR102642705B1 (ko) 2022-04-25 2022-04-25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0535A KR102642705B1 (ko) 2022-04-25 2022-04-25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186A KR20230151186A (ko) 2023-11-01
KR102642705B1 true KR102642705B1 (ko) 2024-03-04

Family

ID=88746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0535A KR102642705B1 (ko) 2022-04-25 2022-04-25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27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2355A (ja) * 2007-03-12 2008-09-25 Toray Ind Inc 容器整列搬送装置
CN107906205A (zh) * 2017-11-13 2018-04-13 江门市鑫辉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油封自动整修装置
KR102305898B1 (ko) * 2021-02-02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엘비 비전 촬영에 의한 야구공 둘레 자동 측정장치와 그 측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2316A (en) * 1979-10-05 1981-05-11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for setting parts in row and feeding them
KR101564432B1 (ko) 2014-10-21 2015-11-03 주식회사 무인오토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22355A (ja) * 2007-03-12 2008-09-25 Toray Ind Inc 容器整列搬送装置
CN107906205A (zh) * 2017-11-13 2018-04-13 江门市鑫辉密封科技有限公司 一种油封自动整修装置
KR102305898B1 (ko) * 2021-02-02 2021-09-29 주식회사 아이엘비 비전 촬영에 의한 야구공 둘레 자동 측정장치와 그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186A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700B1 (ko) Fpcb 자동 분류장치
US5368643A (en) Coating apparatus for boards
EP1547943B1 (en) Overhead travelling carriage system
CN104620688B (zh) 带进给器
US8177218B2 (en) Sheet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30140136A1 (en) Shuttle conveyor, circuit-substrate working machine, and circuit-substrate working system
KR102642705B1 (ko)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CN111204600A (zh) 介质供给装置
KR102027774B1 (ko) 트레이 자동 공급장치
JPS63139811A (ja) 枚葉製造装置
KR100824085B1 (ko) 용기 자동 공급장치
JP4446089B2 (ja) ワーク搬送システム
CN217555415U (zh) 一种片材整理设备
KR100320510B1 (ko) 용접 라인의 소재 이송 장치
KR102662683B1 (ko) 사료포대 팔레트의 이송 및 배출장치
KR102305397B1 (ko) 기판 반송 장치 및 도포 장치
US11040556B2 (en) Printing apparatus with plurality of sheet feed trays
KR101580554B1 (ko) 웨이퍼 적재 간격 변경장치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KR102182374B1 (ko) 포켓부재를 구비하는 매거진 이송 장치
KR102133117B1 (ko) 벨트 컨베이어 슈트의 스커트 장치
KR20190035063A (ko) 터미널 실장기용 릴 자동교체 공급장치 및 이용한 릴 자동교체 공급방법
KR100211734B1 (ko)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상의 버퍼장치
KR20240008240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JP2854454B2 (ja) 刷版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