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4432B1 -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 Google Patents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4432B1
KR101564432B1 KR1020140142324A KR20140142324A KR101564432B1 KR 101564432 B1 KR101564432 B1 KR 101564432B1 KR 1020140142324 A KR1020140142324 A KR 1020140142324A KR 20140142324 A KR20140142324 A KR 20140142324A KR 101564432 B1 KR101564432 B1 KR 10156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onveyor belt
air
horizontal
fee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병호
박금화
전만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인오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인오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인오토
Priority to KR1020140142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4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5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removing incorrectly orienta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endless scraping or elevating pick-up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계, 전자제품의 부품 중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어떠한 형상이나 형태는 갖추고 있지만, 밀도가 낮은 부품을 이송시켜 다음 공정에 정확한 자세로 전달하기 위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부품이나 제품을 공급함에 있어서, 다음 작업공정 예를들어서 로봇 팔에 의한 작업 공정으로 부품을 공급시 뒤집혀지거나 비틀어진 자세가 아닌 로봇의 작동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정확한 자세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간혹 정확한 위치 정확한 자세에서 벗어난 부품은 에어노즐을 이용하여 본 발명 피더의 이송경로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smart parts feeder}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계, 전자제품의 부품 중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밀도가 낮은 부품을 이송시켜 다음 공정에 정확한 자세로 전달하기 위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품이나 제품을 공급함에 있어서, 다음 작업공정 예를들어서 로봇 팔에 의한 작업 공정으로 부품을 공급시 뒤집혀지거나 비틀어진 자세가 아닌 로봇의 작동에 정확하게 대응하는 정확한 자세로 전달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간혹 정확한 위치 정확한 자세에서 벗어난 부품은 에어노즐을 이용하여 본 발명 피더의 이송경로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더란 제품 생산시 그 부품을 적당한 속도로 공급하는 자동의 기기를 칭한다. 이러한 피더는 그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형태로 공급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전자제품의 부품은 그 부피가 작아서, 공급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다음의 공정에 바로 투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부품은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자세로 공급이 연속되어야 한다. 피더는 정확하게 작동하는 후작업예를들어 로봇 작업에 정확한 위치와 정확한 자세를 갖도록 부품을 공급함으로써 조립공정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실행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부품이송 공정에서는 공급되는 부품이 정자세가 아닌 오자세로 공급될 경우 로봇팔이 정확하게 잡지 못하여 후작업의 지연이나 불량조립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품의 생산을 위해서 부품을 공급하는 과정에서도 부품의 정확한 자세, 정확한 위치로의 공급 과정이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더욱 필요한 공정으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의 피더는 부피 큰 부품의 경우는 컨베이어벨트를 활용하고, 보다 작은 부품의 경우는 테이프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접착하여 이송을 시키며, 소리나 음파를 이용한 이송의 방법과 진동을 이용한 부품이나 제품의 이송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진동피더의 경우 일정한 파장을 이용하여 부품을 일정한 방향으로의 이송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도시된 도 1과 2에는 이러한 진동피더 중 대표적인 형태의 것을 도시하고 있다. 특허출원 제10-2004-0087087호에서 사용되고 있는 진동피더의 경우, 일정한 트렉의 형상과 진동으로 이루어진 물리적인 이동 궤적을 고려하여, 일정한 파형을 형성시키고, 이를 통해서 상부에 안착되는 물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피더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진동피더는 스폰지와 같은 가벼운 부품을 정확한 자세로 이송하기에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기계, 전자제품의 부품 중 고무나 스폰지와 같은 밀도가 낮은 부품을 이송시켜 다음 공정에 정확한 자세로 전달하기 위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부품이나 제품을 전달함에 있어서 간혹 정확한 위치, 정확한 자세에서 벗어난 부품을 이송경로를 타고 이동하게 되면서 공기 블로잉을 통해서 제거될 수 있도록 한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는, 몸체(90)의 내부에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이 되도록 내주면을 형성한 저장공간(10); 상기 저장공간(10) 하단에서 제1바이브레이터(27)의 진동을 통해서 하단수평트렉(21)의 상단에 수납된 제품(1)을 경사컨베이어(30)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하단수평이송부(20); 상기 하단수평트렉(21)에서 전달되는 제품을 받아 경사의 각도로 감겨진 컨베이어벨트(31)를 통해서 후방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경사컨베이어(30); 상기 경사컨베이어(30)에서 전달되는 제품을 수평진동트렉(70)으로 받고 제2바이브레이터(59)의 작동을 통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단수평이송부(50)를 가진 슈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에 따른 상기 슈트(80)는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수평진동트렉(70)의 일단 측면에는 제품(1)을 수평진동트렉(70)에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에어노즐(40)을 더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슈트(80)는, 상기 제품(1)의 이송을 위해서 상기 제품(1)을 수용하는 가이드홈(83)이 형성되도록 후방에 제품보다 높은 가이드지지부(84)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제품(1)에 비하여 낮은 가이드단턱부(85)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지지부(84)에는 상기 에어노즐(82)이 에어공급관(81)에서 공급하는 에어를 분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에 따른, 상기 가이드단턱부(85)는, 상기 제품(1) 높이의 1/5-1/3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에어노즐(82)에서 발사되는 에어의 방향은 제품(1)의 일측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자세가 아닌 제품(1, B)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경사컨베이어(30)는, 모터의 동력을 통해서 회동하는 컨베이어벨트(31)의 좌우 양단에 일정한 높이의 수직 벽을 형성하여 제품 상승시 제품이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패널(35)과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상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제품(1)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승시키도록 하는 간격리브(32)와 상기 컨베이어벨트(31) 상단 회전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일정한 형상을 가지되 가벼운 스폰지나 고무 재질의 부품을 보다 정확하고 안정된 자세로 이송시켜 제품의 조립 및 제품의 포장을 대량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부품을 이송시키는 과정에서 간혹 불량의 자세 즉, 위치가 바르지 못하거나 뒤집히고 비틀리게 자세를 잡은 부품의 경우 자동으로 배출시켜 반송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언제나 정확한 제품의 조립 및 포장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부품을 실질적으로 로봇에 전달하는 슈트의 경우, 이송을 위한 제품의 형상, 크기, 무게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형상의 슈트를 제작하여 이 건 발명의 몸체에 간단하게 착탈하는 방식으로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부품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도 1은 종래 대한민국 특허청에 진동피더로서 출원된 기계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 도 1의 피더의 요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베이어와 진동트렉을 이용한 피더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피더를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피더를 전체적으로 정면에서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트렉을 포함하는 슈트의 형상을 평면과 정면으로 분리해서 도시한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인 트렉을 포함하는 슈트의 형상을 사시도와 측면도의 형태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동의 방식을 도시된 도 3 내지 도 7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도시된 도 3 내지 도 7에서처럼, 본 발명은 몸체(90)의 내부에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이 되도록 내주면을 형성한 저장공간(10); 상기 저장공간(10) 하단에서 제1바이브레이터(27)의 진동을 통해서 하단수평트렉(21)의 상단에 수납된 제품을 경사컨베이어(30)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하단수평이송부(20); 하단수평트렉(21)에서 전달되는 제품을 받아 경사의 각도로 감겨진 컨베이어벨트(30)를 통해서 후방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경사컨베이어(30); 상기 경사컨베이어(30)에서 전달되는 부품(1)을 수평진동트렉(70)으로 받고 제2바이브레이터(59)의 작동에 의해서 타측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다음공정을 위한 로봇(R)까지 전달하는 상단수평이송부(50)를 가진 착탈 가능한 슈트(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착탈 가능한 슈트(80)에는 제품이 이송되는 방향의 측면에서 에어노즐(82)을 설치하여 제품방향으로 에어를 불어줌으로써 불안정한 자세로 공급되는 부품(1)을 호퍼 저장공간(10) 내에 떨어뜨림으로써 이송되는 부품(1) 중 정확한 위치와 정확한 자세로 이송되는 부품만을 다음 작업 공정을 위한 로봇(R)에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의 구체적인 구성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내부가 빈 육면체 몸체(90)의 내부는 다수의 부품(1)을 수용할 수 있는 호퍼 형상의 저장공간(10)을 갖추고 있다. 상광하협의 형상인 저장공간(10)은 내주면이 테이퍼지게 좁아지는 형태를 하고 있기에 부품(1)이 하단 일측을 향하여 자중에 의하여 중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단수평이송부(20)는 전방 하단 즉, 저장공간(10)의 최 하단의
제품(1)이 모아지는 저장공간(10)의 저부에 장착된다. 하단수평이송부(20)는 적당한 진동을 통해서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제품(1)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서 제1바이브레이터(27)가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에 따라 제1바이브레이터(27)에 체결된 하단수평트렉(21)이 연동을 한다.
진동으로 이동하는 부품은 하단수평트렉(21)의 끝단 즉, 경사컨베이어(30)의 최 하단 부분으로 이동된다. 경사컨베이어(30)는 모터의 회동으로 인하여 컨베이어벨트(31)가 연동하고, 부품(1)은 컨베이어벨트(31)의 상단에 밀착된 상태로 상부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즉, 부품(1)은 중력을 이용하여 몸체(90)의 내주면의 호퍼형상 저장공간(10)의 하단 일부분으로 자연적인 이동하게 되고, 더 정확한 위치로의 수평이송은 하단수평이송부(20)를 통해서 달성한다. 이후에 브품(1)은 경사컨베이어(30)를 통해서 상승하게 된다.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전방측 하단에서 후방측 상단으로 이송이 완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부품(1)이 슈트(80)의 일부인 수평진동트렉(70)을 타고 이동이 이루어진다. 즉, 제2바이브레이터(59)의 진동을 통해서 수평진동트렉(70)의 상부에 안착된 부품(1)이 타측방향으로 이동을 하는데, 타측방향의 끝단에는 다음의 작업공정을 수행하는 장치 예를 들어 로봇(R)이 설치된 경우 그 팔을 이용하여 제품(1)을 인도받아 다음의 작업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것처럼, 이 로봇(R)은 그 작동의 방식이 정확하고 일정하기 때문에 이 작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부품(1)이 정확한 자세를 잡고 공급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완벽하게 달성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전술된 슈트(80)는 착탈가능한 방식으로 체결된다. 슈트(80)는 제2바이브레이터(59)의 클램프(71)에 체결된다. 상기 슈트(80)는 제품(1)의 이송을 위해서 상기 제품(1)을 수용하는 가이드홈(83)이 형성되도록 후방에 제품보다 높은 가이드지지부(84)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제품(1)에 비하여 낮은 가이드단턱부(85)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지지부(84)에는 상기 에어노즐(82)이 에어공급관(81)을 통해서 공급하는 에어를 분출하도록 설치된다. 물론 에어노즐(82)이 에어공급관(81)이 아닌 바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탱크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노즐(82)에서 분출되는 공기량은 부품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항상 일정한 양이 분출되도록 제어된다.
슈트(80)는 부품의 종류에 따라서 수평진동트렉(70)의 형상을 변형하고, 슈트(80)에 체결된 에어노즐(82)에서 배출되는 고압 에어의 분출위치와 방향 및 에어 분출속도를 조정한 후 장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급해야 할 부품(1)을 바꾸게 되면, 이에 맞게 슈트(80)를 제작한 후 다시 체결함으로써 피더 전체를 다시 제작하는 번거로움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그럼 이 건 발명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된 도면을 통해서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 경사컨베이어(30)는, 컨베이어벨트(31)의 좌우 양단에 일정한 높이로 올라서서, 제품(1) 상승시 제품(1)이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패널(35); 모터의 동력을 통해서 회동하는 컨베이어벨트(31)의 상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제품(1)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승시키도록 하는 간격리브(32); 컨베이어벨트(31) 상단 회전샤프트에 끼워져 컨베이어벨트(31)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제품(1)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상승 이동시킨다.
이 건 발명에서 경사컨베이어(30)는 전술한 것처럼 호퍼형 저장공간(10)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던 부품(1)을 받아 경사진 각도로 상승시키는 기구이다. 따라서 그 컨베이어벨트(31)의 상면으로는 도시된 도 3, 4, 5에서처럼 돌출되는 간격리브(32)가 형성되어 있다. 간격리브(32)가 없이 컨베이어벨트(31)가 회동하게 되면, 올라 앉을 제품(1)이 미끄러져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 즉 하나의 제품(1)이 안착될 수 있는 여유로운 간격을 두고 간격리브(32)가 형성되어 상승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사컨베이어(30)의 컨베이어벨트(31)의 폭은 제품(1)의 폭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폭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컨베이어벨트(31)의 좌우 양단에는 돌출되어 벨트를 보호하는, 지지패널(35)이 체결되어 있기에 상승하던 제품(1)이 떨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벨트(31)의 일측에는 별도의 장력조절구(33)가 형성되어 벨트의 장력을 조절한다.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컨베이어벨트(31)가 늘어나는 경우 장력에 이상에 생겨서 정확한 이송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시된 장력조절구(33)를 이용하여 컨베이어벨트(31)를 늘리고, 장력을 조절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정확한 이송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피더(100)는 부품이 하단수평트렉(21)을 통해서 수평으로 이송한 후, 상단으로 경사컨베이어벨트(31)를 타고 이동을 한다. 이후에는 다시 수평진동트렉(70)을 통해서 부품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수평 이송을 위해서 수평진동트렉(70)의 시작하는 측면에 에어노즐(40)이 더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수평진동트렉(7)으로 이송되는 부품에 대해서 가이드지지부(84)에 설치된 에어노즐(82)에서 에어를 분출함에 따라 가이드홈(84)을 타고 이동하는 제품(1)이 정확한 위치, 정확한 자세로 안착되지 못할 경우 고압에어에 의해서 날라가 상광하협의 호퍼형 저장공간(10)으로 재투입되게 된다. 즉, 수평진동트렉(70)을 타고 이동하면서 잘못된 자세와 잘못된 위치를 잡은 부품(1)이 하단 저장공간(10)으로 떨어지게 되어 다시 처음부터 하단수평이송부(20) 및 경사컨베이어(30)를 타고 올라오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진 수평진동트렉(70)은 실질적으로 전방에 돌출된 라인인 가이드단턱부(85)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일측이 짧은 "ㄷ"자 형상이다. 후방은 가이드지지부(84)가 형성되고 전방은 가이드단턱부(85)가 형성되어 가이드지지부(84)와 가이드단턱부(85) 사이는 자연스럽게 가이드홈(83)이 형성된다. 이동되는 부품(1)은 진동으로 인하여 가이드홈(83)을 타고 일렬로 진행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홈(83)의 간격 즉, 폭은 부품(1)보다 커야 한다. 가이드홈(83)의 간격이 부품(1)의 폭에 비하여 약간 넓은 경우 에어노즐(82)에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올바른 제세로 이송되지 못한 부품(1) 즉 한쪽이 들린 상태로 이송되거나 부품(1)끼리 일부 겹쳐서 이송되어 오는 부품(1)은 공기저항을 이기지 못하고 가이드홈(83)을 이탈하여 저장공간(10)쪽으로 날아가게 된다..
그러나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진행하는 부품(1)은 안정된 자세로 이송됨으로 분출공기에 대해서 탈락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해진다.
보다 상세히 이 건 발명의 요부를 살펴본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상기 가이드단턱부(85)는, 부품(1)의 저면을 잡아 지지하되 부품(1)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부품(1)의 높이에 비하여 1/5-1/3의 높이로 형성하고; 에어노즐(72)에서 발사되는 에어의 방향은 비 정확하게 자리잡은 부품(1)의 일측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가 가이드단턱부(84)의 지지의 도움으로 비 정확하게 자리잡은 부품(1)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한다.
이 건 발명의 피더(100)는 다양한 형상, 다양한 무게를 가진 다양한 부품(1)의 이송을 달성하도록 착탈형의 슈트(80)를 제공한다. 이 건 발명에서 부품(1)이 안착되는 가이드홈(83)은 안착되는 부품(1)의 폭에 비하여 약간 넓은 형태의 폭으로 이루어지고, 에어의 분출방향에 맞서는 가이드단턱부(85)는 그 높이가 부품(1)의 높이에 1/5-1/3 정도 여야 한다. 실질적으로 가이드단턱부(85)가 부품의 수평이동을 하단에서 차단하면, 고압의 바람에 맞아 날라가 저장공간(10) 내측으로 수용되기 유리하다. 마치 발을 걸어 사람을 넘어트리는 작용과 같다. 가이드단턱부(85)가 없다면 수평방향으로 미끄러져 정확한 이송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가이드단턱부(85)가 너무 높다면 에어의 힘으로 날리기 힘들어 불량의 자세를 가진 부품(1)이 로봇(R)에 그대로 전달될 소지가 많다. 물론 이러한 불량 자세의 부품의 이송은 로봇(R)의 작업에 어려움을 주게 되어 생산성을 약화시키거나 불량제품을 양산하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이 건 발명에서 슈트(80)에 장착될 다수의 에어노즐(82)의 분사위치도 중요하다. 이송될 부품(1)의 형상과 정확한 자세가 잡히면,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불량의 자세에 에어노즐(82)의 분사력이 효과를 발휘하게 장착해야 한다. 즉, 불량의 자세에 노출되는 부품(1)에 에어노즐(82)의 에어분사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각도도 중요하고, 그 분출되는 에어의 속도도 중요하며, 에어노즐(82)의 장착 높이도 중요하다. 모든 조건을 고려하여 장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단지 이 건 발명의 경우 세밀하고 부피가 작은 전자제품의 부품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공기를 통해서 날리기 힘든 금속 부품이나, 평면상의 부품 이송을 위해서 고안된 것이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슈트(80)는, 이송을 위한 부품(1)의 형상과 무게 및 높이에 따라 에어노즐(82)의 에어 분사 방향과 높이를 수정하고; 가이드단턱부(85)와 가이드지지부(84)로 이루어진 가이드홈(83)은 적용 부품(1)의 폭보다 큰 형태로 실시하여; 적용하는 부품(1)에 따른 별도의 슈트(80)를 제2바이브레이터(59)의 클램프(71)에 교체 가능한 체결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실례로 도시된 도 7을 통해서 본 발명의 피더(100)를 통해서 전달하는 부품(1)이 고무재질이고 원형의 형상을 한 부품(1)이라 하고, 부품(1)을 이송하게 되면, 도시된 도 7(a)의 사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확한 위치와 자세를 잡은 부품(1, A)이 있고, 불량의 자세의 실례로 뒤집힌 형태의 자세를 잡은 부품(1, B)이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수평진동트렉(70)을 타고 이동하는 과정에서 에어노즐(82)에서 고압의 에어가 분출된다. 그 분출력은 이미 부품(1)의 자세에 따라 에어노즐(82)의 위치, 높이, 분사 방향이 고정된 상태이기에 도시된 도 7의 (c)와 같이 에어분사에 부품(1)은 그 형상으로 대항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진동트렉(70)을 제2바이브레이터(59)를 통한 진동 이동방식으로 택한 이유는 부품(1)이 바람에 용이하게 날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전자제품 부품의 경우 미세하고 부피가 적어 테이프의 테이핑력을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서 적당한 장소로 이송시키는 방식과 이송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건 발명은 불량 자세의 부품을 바람으로 날리기 용이하도록 진동트렉을 적용하여 항상 부품이 진동으로 인하여 트렉의 가이드홈 내측에 안착하지 않는 상태로 이동시켜, 바람에 용이하게 날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부품 10; 저장공간
20; 하단수평이송부 21; 하단수평트렉
27; 제1바이브레이터 30; 경사컨베이어
31; 컨베이어벨트 32; 간격리브
40; 에어노즐 50; 상단수평이송부
59; 제2바이브레이터 70; 수평진동트렉
80; 슈트 81; 에어공급관
82; 에어노즐 83; 가이드홈
84; 가이드지지부 85; 가이드단턱부
100; 공급 피더

Claims (7)

  1. 몸체의 내부에 상광하협의 호퍼 형상이 되도록 내주면을 형성한 저장공간;
    상기 저장공간 하단에서 제1바이브레이터의 진동을 통해서 하단수평트렉의 상단에 수납된 부품을 경사컨베이어를 향하여 이송시키는 하단수평이송부;
    모터의 동력을 통해서 회동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좌우 양단에 일정한 높이의 수직 벽을 형성하여 부품 상승시 부품이 나란히 정렬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패널과
    컨베이어벨트의 상면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부품의 후방을 지지하여 상승시키도록 하는 간격리브를 가지며,
    상기 하단수평트렉에서 전달되는 부품을 받아 경사의 각도로 감겨진 컨베이어벨트를 통해서 후방 상단으로 이송시키는 경사컨베이어;
    상기 경사컨베이어에서 전달되는 부품을 수평진동트렉으로 받고 제2바이브레이터의 작동을 통해서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상단수평이송부를 가진 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에는 부품이 이송되는 방향의 측면에서 에어노즐을 설치하여 부품방향으로 에어를 불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슈트는,
    상기 부품의 이송을 위해서 상기 부품을 수용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도록 후방에 부품보다 높은 가이드지지부가 형성되고, 전방에는 상기 부품에 비하여 낮은 가이드단턱부를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지지부에는 상기 에어노즐이 에어공급관에서 공급하는 에어를 분출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단턱부는, 상기 부품 높이의 1/5-1/3 길이로 형성하고;
    상기 에어노즐에서 발사되는 에어의 방향은 부품의 일측면을 향할 수 있도록 하여 정상적인 자세가 아닌 부품을 날려보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컨베이어는,
    상기 컨베이어벨트 상단 회전샤프트에 끼워져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진동트렉의 일단 측면에는, 부품을 수평진동트렉에서 전진시킬 수 있도록 에어노즐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KR1020140142324A 2014-10-21 2014-10-21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KR10156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24A KR101564432B1 (ko) 2014-10-21 2014-10-21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324A KR101564432B1 (ko) 2014-10-21 2014-10-21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4432B1 true KR101564432B1 (ko) 2015-11-03

Family

ID=5459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324A KR101564432B1 (ko) 2014-10-21 2014-10-21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4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186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진양정밀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525A (ja) * 1998-12-28 2000-07-18 Kamutekku:Kk パ―ツフィ―ダ
JP2000264431A (ja) * 1999-03-18 2000-09-26 Ntn Corp 微小部品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8525A (ja) * 1998-12-28 2000-07-18 Kamutekku:Kk パ―ツフィ―ダ
JP2000264431A (ja) * 1999-03-18 2000-09-26 Ntn Corp 微小部品供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1186A (ko) 2022-04-25 2023-11-01 주식회사 진양정밀 링형 부품 자동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3756B2 (ja) スパウト取付用袋の供給方法及び装置
CN105407699B (zh) 插入头、元件插入装置及元件安装线
JP5920456B2 (ja) 生産システムおよび加工品の製造方法
JP6998931B2 (ja) 播種装置
KR20170088533A (ko) 커넥터 조립 및 공급장치
WO2017208323A1 (ja) 部品供給装置
KR101564432B1 (ko) 스마트 부품 공급 피더
US417402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and storing similar articles
JP2006321561A (ja) バッグに物品を挿入するための機械
JPWO2009150755A1 (ja) 積載パックからのパック取り出し装置及びこの装置を使用した豆腐類のパック詰め方法
JP5346196B2 (ja) ディスペンサーキャップ供給装置
JP6622539B2 (ja) 容器供給装置
CN105407700B (zh) 插入头、元件插入装置及元件安装线
JP2017065748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JP7303898B2 (ja) バルクフィーダ
JPH0891548A (ja) 電子部品の整列供給装置
JP6913768B2 (ja) スティックフィーダ
JP6896341B2 (ja) トラフ、供給フィーダ及び計量装置
JP2020045177A (ja) 容器供給装置
JP6759052B2 (ja) 組合せ秤への物品供給装置
JP2006142221A (ja) 風力選別装置
JP7012847B2 (ja) テープフィーダ
KR101488501B1 (ko)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CN111937505B (zh) 元件供给装置及元件安装装置
KR101557051B1 (ko) 부품 공급 호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