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8501B1 -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8501B1
KR101488501B1 KR20140064528A KR20140064528A KR101488501B1 KR 101488501 B1 KR101488501 B1 KR 101488501B1 KR 20140064528 A KR20140064528 A KR 20140064528A KR 20140064528 A KR20140064528 A KR 20140064528A KR 101488501 B1 KR101488501 B1 KR 10148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in
shaped
hopper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6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미숙
심명호
Original Assignee
유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숙 filed Critical 유미숙
Priority to KR2014006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85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핀형상으로 성형된 부품이 항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되어 공급라인상의 용기슈트에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급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성형된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이 수평으로 눕혀져 가지런히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낙하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부품공급부와; 상기 부품공급부의 선단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을 측방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제1부품이송부와; 상기 제1부품이송부의 측방 이송 끝지점에 설치되어 제1부품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핀형상 부품이 세워진 상태에서 아랫쪽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부품하강부와; 상기 부품하강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하강되는 핀형상 부품이 세워진 상태로 수용되도록 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후 그 이송끝점에 설치된 별도의 용기슈트 내로 핀형상 부품을 공급하는 제2부품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Equipment for feeding pin-type part}
본 발명은 핀(Pin)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핀형상으로 성형된 부품이 항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정렬되어 공급라인상의 용기슈트에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작업공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급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반도체 제품 또는 연료전지 같이 다수의 부품을 이용하여 완성된 제품을 조립하는 자동화 공정에서는 부품탑재장치를 이용하여 부품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고, 이송되는 부품은 별도의 부품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공급라인상의 원하는 위치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공급라인에 설치되는 부품 공급장치는 단순히 일렬로 정렬된 부품을 하나씩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 같은 통상의 부품공급장치에서는 공급되는 부품을 공급라인에서 요구되는 상태 즉, 부품의 수직/수평 관계나 부품의 전/후/상/하 관계 또는 부품의 표면/이면 관계에 맞추어 미리 설정하여 공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수직/수평, 전/후/상/하, 표면/이면 관계를 미리 설정하여 공급라인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매거진(Magazine)을 설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각 부품의 상기한 위치관계를 일일이 확인한 후 부품을 매거진에 적층되게 장착하고, 부품의 장착이 완료된 매거진을 상기 부품 공급장치에 장착하여 부품의 공급위치 관계가 세팅된 부품을 개별공급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매거진을 이용하는 종래의 방식에서는 작업자가 매거진에 부품을 장착시킬 때 일일이 부품의 공급상태를 파악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작업공수가 발생되는 것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정확도가 불균일하게 되어 부품의 공급불량이 발생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핀형상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097726호(명칭:핀 공급장치, 이하 '선행기술1'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1은 "핀이 수납된 매거진과, 상기 매거진에 접속되는 진입슬릿과, 투입구멍에 연결된 안내홈을 구비하는 제1슬라이더와, 지지홈이 형성되어 이 지지홈이 상기 제1슬라이더의 상기 진입슬릿과 상기 안내홈에 순차적으로 정합되도록 상기 제1슬라이더에 대해 상대적으로 왕복운동하는 제2슬라이더를 구비하며, 상기 제1슬라이더와 제2슬라이더가 각각 직선형 슬라이더인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1은 제1 및 제2슬라이더가 각각 직선 슬라이더(linear slider)로 구성되므로 매거진의 구성과 핀의 충전에 전혀 무리가 없어서 동시에 다양한 종류와 규격의 핀을 공급할 수 있는 핀 공급장치의 구성이 가능해질 수 있으나, 눕혀진 형태의 핀형상 부품을 수직으로 세워 공급할 수 없으며,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핀의 공급에 적합하여 그 적용범위가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부품공급장치의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제10-0579693호(명칭: 반도체 부품 포장용 스틱 공급장치, 이하 '선행기술2'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복수개의 부품(10)이 배열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송가능하게 포장되는 판상의 스틱(20)과; 경사진 상태로 복수개 적층된 상기 스틱(20)으로부터 부품(10)을 하나씩 연속적으로 공급시키며 빈 스틱을 인식하게 되는 스틱센서(60)의 신호값에 따라 스틱을 교체하는 부품공급부(30)와; 상기 부품공급부(30)로부터 공급되는 부품(10)이 스틱(20)을 빠져나와 수평벨트 위로 안착하도록 상부에서 지지해 주는 부품커버부(90)와; 상기 부품공급부(30)의 스틱(20)으로부터 공급되는 부품(10)을 감지된 부품센서(61) 신호값에 따라 수평벨트를 작동시켜 부품을 픽업위치로 순차적으로 연속 공급시키게 되는 부품이송부(50)와; 상기 센서(60)(61)로부터 출력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상기 부품 이송부(50)의 수평벨트와 부품공급부(30)를 제어하게 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2는 스틱이 스틱공급기에 세로방향으로 복수개 적층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적층된 스틱으로부터 부품이 자중력으로 스틱의 경사면을 통해 수평면으로 순차적으로 슬라이드 공급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급된 부품은 표면실장기로 연속공급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부품이 안정된 형태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보(B1) 등록번호 제10-0097726호, "핀 공급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79693호, "반도체 부품 포장용 스틱 공급장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핀형상으로 성형된 부품을 항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세팅하여 공급라인상의 용기슈트에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공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공급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새로운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성형된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이 수평으로 눕혀져 가지런히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낙하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부품공급부와; 상기 부품공급부의 선단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공급부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을 측방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제1부품이송부와; 상기 제1부품이송부의 측방 이송 끝지점에 설치되어 제1부품이송부에 의하여 이송된 핀형상 부품이 세워진 상태에서 아랫쪽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부품하강부와; 상기 부품하강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하강되는 핀형상 부품이 세워진 상태로 수용되도록 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후 그 이송끝점에 설치된 별도의 용기슈트 내로 핀형상 부품이 공급되도록 제2부품이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공급부는 상부가 개방되고, 선단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바닥면을 갖는 호퍼(Hopper)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의 바닥면의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이 가지런히 눕혀져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아랫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품배출공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공급부를 구성하는 호퍼의 하부에는 경사진 바닥면에 놓여지는 핀형상 부품의 정렬동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호퍼에 수평방향 진동력(振動力)을 부여하는 진동장치가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품이송부는 공압 또는 유압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제1실린더와, 상기 제1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브래킷을 매개로 결합되어 피스톤로드의 출몰작용에 따라 핀형상 부품의 낙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의 내면에 고정·결합되고, 상단면이 상기 부품공급부를 구성하는 호퍼의 선단부 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판과 함께 왕복 직선이동되며, 상기 호퍼상의 부품배출공과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이송방향쪽 끝부분에 이르는 상단면상에는 상기 부품배출공으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이 놓여지는 계단형의 부품안착부가 형성된 부품이송판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품이송부를 구성하는 장착판의 외측면에는 프레임상에서 부품이송판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설된 가이드리브(Guide rib)에 끼워져 결합되어 부품이송판의 왕복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블럭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하강부는 제1부품이송부를 구성하는 부품이송판의 전방 이송끝지점에 해당되는 프레임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면 상부에 상기 부품이송판이 출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핀형상 부품이 하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부품낙하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절개부의 아랫부분으로부터 부품낙하공에 이르는 내주면에는 핀형상 부품이 세워진 상태로 하강되도록 하는 경사면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품이송부는 공압 또는 유압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며, 상기 부품하강부상의 부품낙하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낙하된 핀형상 부품이 수용되는 부품삽입공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앞쪽 저면부에 끼워진 지지봉에 결합되고, 항상 앞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전후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품삽입공을 막아주고, 상기 몸체부가 제2실린더의 작용에 의하여 용기슈트쪽으로 이송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슈트와 접촉되는 반작용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뒷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품삽입공을 열어주는 슬라이드마개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품이송부를 구성하는 몸체부의 일측면에는 프레임상에서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설된 가이드리브(Guide rib)에 끼워져 결합되어 몸체부의 왕복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블럭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이 초기에 눕혀진 상태로 이송된 후 공급라인에서 요구되는 형태인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정확하고도 안정적으로 용기슈트에 공급되기 때문에 부품의 공급불량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핀형상 부품이 공급될 때 공급라인에서 요구되는 상태로 세팅되어 지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부품을 새롭게 정렬해야 하는 별도의 작업공수 생략되면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선행기술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서 제1부품이송부와 부품하강부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서 제1부품이송부를 구성하는 부품이송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서 제1부품이송부 및 부품하강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서 제2부품이송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에서 제2부품이송부의 요부 분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핀형상 부품을 용기슈트로 공급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10)에서는 성형된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P)이 수평으로 눕혀져 가지런히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낙하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부품공급부(20)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공급부(20)의 선단의 수직 하방에는 상기 부품공급부(20)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P)을 측방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제1부품이송부(30)가 설치되고, 상기 제1부품이송부(30)의 측방 이송끝지점에는 제1부품이송부(30)에 의하여 이송된 핀형상 부품(P)이 세워진 상태에서 아랫쪽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부품하강부(4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부품하강부(40)의 수직 하방에는 하강되는 핀형상 부품(P)이 세워진 상태로 수용되도록 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후 그 이송끝점에 설치된 별도의 용기슈트(50) 내로 핀형상 부품(P)을 공급하는 제2부품이송부(60)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공급부(20)는 상부가 개방되고, 선단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바닥면을 갖는 호퍼(Hopper:21)로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21)의 경사진 바닥면(22)의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P)이 가지런히 눕혀져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아랫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품배출공(23)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품공급부(20)를 구성하는 호퍼(21)의 하부에는 경사진 바닥면(22)에 놓여지는 핀형상 부품(P)의 정렬 및 적층동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호퍼(21)에 수평방향 진동력(振動力)을 부여하는 진동장치(7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부품이송부(30)에는 공압 또는 유압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제1실린더(31)가 구비되며, 상기 제1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1a)에는 별도의 장착판(32)이 브래킷(33)을 매개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31a)의 출몰작용에 따라 핀형상 부품(P)의 낙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장착판(32)의 내면에는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P)을 부품하강부(40)쪽으로 이송시키는 부품이송판(34)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장착판(32)과 함께 왕복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품이송판(34)의 상단면은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공급부(20)를 구성하는 호퍼(21)의 선단부 저면과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호퍼(21)상의 부품배출공(23)과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부품하강부(40)쪽의 끝부분에 이르는 상단면상에는 상기 부품배출공(23)으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P)이 놓여지는 계단형의 부품안착부(34a)가 형성된다.
상기 제1부품이송부(30)를 구성하는 장착판(32)의 외측면에는 프레임(F)상에서 상기 부품이송판(34)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설된 가이드리브(Guide rib:35)에 끼워져 결합되어 부품이송판(34)의 왕복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블럭(36)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품하강부(40)는 제1부품이송부(30)를 구성하는 부품이송판(34)의 전방 이송끝지점에 해당되는 프레임(F)상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부품하강부(40)의 일측면 상부에는 상기 부품이송판(34)이 출입되는 절개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부품하강부(40)의 하단면에는 핀형상 부품(P)이 하부 외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품낙하공(42)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절개부(41)의 아랫부분으로부터 부품낙하공(42)에 이르는 내주면에는 핀형상 부품(P)이 세워진 상태로 하강되도록 하는 경사면(43)이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품이송부(60)에는 공압 또는 유압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제2실린더(61)가 마련된다.
상기 제2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1a)에는 몸체부(62)가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62)의 앞부분에는 상기 부품하강부(40)상의 부품낙하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 낙하된 핀형상 부품(P)이 수용되는 부품삽입공(63)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몸체부(62)의 앞쪽 저면부에는 상기 부품삽입공(63)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슬라이드마개(64)가 지지봉(64a)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슬라이드마개(64)는 항상 앞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프링(6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초기상태에서는 항상 몸체부(62)의 하부에서 상기 부품삽입공(63)을 막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몸체부(62)가 제2실린더(61)의 작용에 의하여 용기슈트(50)쪽으로 이송되면, 상기 슬라이드마개(64)가 용기슈트(50)와 접촉되는 반작용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뒷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품삽입공(63)을 열어주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부품이송부(60)를 구성하는 몸체부(62)의 일측면에는 프레임(F)상에서 상기 몸체부(62)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설된 가이드리브(Guide rib:66)에 끼워져 결합되어 몸체부(62)의 왕복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블럭(67)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핀형상 부품(P)을 공급라인상의 용기슈트(5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공급부(20)를 구성하는 호퍼(21)의 경사진 바닥면(22)위에 미리 성형된 핀형상 부품(P)을 올려 놓고, 상기 호퍼(21)의 아랫부분에 설치된 진동장치(70)를 작동시키면, 상기 진동장치(70)의 작용에 따라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진동힘에 의하여 호퍼(21)가 수평방향으로 진동되면서 핀형상 부품(P)이 호퍼(21)상의 경사진 바닥면(22)의 선단부쪽으로 이동된 후 상기 경사진 바닥면(22)의 선단부에 형성된 부품배출공(23)에 눕혀진 상태로 적층·정렬된다.
이 때, 상기 제1부품이송부(30)를 구성하는 부품이송판(34)의 상단에 형성된 부품안착부(34a)가 상기 부품배출공(23)의 직하방에 위치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배출공(23)의 가장 아랫쪽에 위치된 핀형상 부품(P)이 낙하되어 부품이송판(34)상의 부품안착부(34a)에 놓여진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부품이송부(30)를 구성하는 제1실린더(31)가 작동되어 그 피스톤로드(31a)가 설정된 길이 만큼 돌출되면, 상기 피스톤로드(31a)와 결합된 장착판(32) 및 상기 장착판(32)에 결합된 부품이송판(34)이 핀형상 부품(P)을 탑재한 상태에서 부품하강부(40)쪽으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이송된 부품이송판(34)의 선단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품하강부(40)의 측면에 형성된 절개부(41)을 통하여 부품하강부(40)의 내측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부품이송판(34)상의 부품안착부(34a)에 얹혀진 핀형상 부품(P)은 부품하강부(40)의 내측으로 떨어진다.
상기 부품하강부(40)의 내측으로 떨어진 핀형상 부품(P)은 부품하강부(40)의 절개부(41)의 아랫쪽에 형성된 경사면(43)을 따라 아랫쪽으로 미끄러져 하강됨과 동시에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부품하강부(40)의 하단면에 형성된 부품낙하공(42)을 통하여 하부 외측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상기 부품하강부(40)상의 부품낙하공(42)을 통하여 하부 외측으로 낙하된 핀형상 부품(P)은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제2부품이송부(60)를 구성하는 몸체부(62)상의 부품삽입공(63)에 수용된다.
한편, 상기 제2부품이송부(60)를 구성하는 몸체부(62)의 앞쪽 저면부에는 상기 부품삽입공(63)의 아랫부분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슬라이드마개(64)가 설치되어 있어 초기상태에서 상기 부품삽입공(63)에 수용된 핀형상 부품(P)은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부품이송부(60)를 구성하는 몸체부(62)상의 부품삽입공(63)에 핀형상 부품(P)이 수용된 상태에서 제2실린더(61)가 작동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62)가 공급라인상의 용기슈트(50)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62)상의 부품삽입공(63)이 용기슈트(50)의 수직상방에 정확히 위치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마개(64)가 용기슈트(50)의 측면에 접촉되는 반작용힘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마개(64)가 스프링(65)를 압축하면서 지지봉(64a)과 함께 뒷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몸체부(62)상의 부품삽입공(63)의 아랫부분이 개방되며, 상기 부품삽입공(63)에 수용된 핀형상 부품(P)은 자중(自重)에 의하여 낙하되어 용기슈트(50)의 안쪽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실린더(31)와 결합된 피스톤로드(31a)의 전진동작에 의하여 부품이송판(34)이 부품하강부(40)쪽으로 이동될 때, 계단형으로 형성된 부품안착부(34a)의 뒷쪽에 해당되는 부품이송판(34)의 상단부가 호퍼(21)의 선단부에 형성된 부품배출공(23)을 막아주게 된다.
또, 상기 피스톤로드(31a)의 후진동작에 의하여 상기 부품이송판(34)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부품안착부(34a)가 호퍼(21)의 부품배출공(23)의 아랫쪽에 위치되면, 상기 부품배출공(23)이 개방되면서 또 다른 핀형상 부품(P)이 배출되어 부품안착부(34a)상에 얹혀진다.
이와 같은 부품이송판(34)에 의한 핀형상 부품(P)의 이송동작은 설정된 시간 동안 반복된다.
또, 상기 부품이송판(34)의 왕복 직선이동 과정에서 상기 부품이송판(34)과 결합된 장착판(32)상의 가이드블럭(36)이 프레임(F)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리브(35)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부품이송판(34)의 이송동작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제2부품이송부(60)를 구성하는 제2실린더(61)의 작동에 따른 몸체부(62)의 왕복 직선이동 과정에서 상기 몸체부(62)상의 가이드블럭(67)이 프레임(F)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가이드리브(66)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되기 때문에 몸체부(62)의 이송동작이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10 :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20 : 부품공급부
21 : 호퍼 22 : 경사진 바닥면
23 : 부품배출공 30 : 제1부품이송부
31 : 제1실린더 31a,61a : 피스톤로도
32 : 장착판 34 : 부품이송판
34a : 부품안착부 35,66 : 가이드리브
36,67 : 가이드블럭 40 : 부품하강부
41 : 절개부 42 : 부품낙하공
43 : 경사면 50 : 용기슈트
60 : 제2부품이송부 61 : 제2실린더
62 : 몸체부 63 : 부품삽입공
64 : 슬라이드마개 64a : 지지봉
65 : 스프링 70 : 진동장치
F : 프레임(Frame) P : 핀형상 부품.

Claims (8)

  1. 성형된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P)이 수평으로 눕혀져 가지런히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순차적으로 낙하되면서 공급되도록 하는 부품공급부(20)와;
    상기 부품공급부(20)의 선단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공급부(20)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P)을 측방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제1부품이송부(30)와;
    상기 제1부품이송부(30)의 측방 이송끝지점에 설치되어 제1부품이송부(30)에 의하여 이송된 핀형상 부품(P)이 세워진 상태에서 아랫쪽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부품하강부(40)와;
    상기 부품하강부(40)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하강되는 핀형상 부품(P)이 세워진 상태로 수용되도록 하고, 외력의 작용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송된 후 그 이송끝점에 설치된 별도의 용기슈트(50) 내로 핀형상 부품(P)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부품이송부(60)를 포함하되,
    상기 부품공급부(20)는 상부가 개방되고, 선단쪽으로 낮아지도록 경사진 바닥면(22)을 갖는 호퍼(Hopper:21)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21)의 경사진 바닥면(22)의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핀형상 부품(P)이 가지런히 눕혀져 적층·정렬된 상태에서 하나씩 아랫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품배출공(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공급부(20)를 구성하는 호퍼(21)의 하부에는 경사진 바닥면(22)에 놓여지는 핀형상 부품(P)의 적층 및 정렬동작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도록 호퍼(21)에 수평방향 진동력(振動力)을 부여하는 진동장치(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이송부(30)는 공압 또는 유압의 인가에 따라 작동되는 제1실린더(31)와;
    상기 제1실린더(31의 피스톤로드(31a)에 브래킷(33)을 매개로 결합되어 피스톤로드(31a)의 출몰작용에 따라 핀형상 부품(P)의 낙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는 장착판(32)과;
    상기 장착판(32)의 내면에 고정·결합되고, 상단면이 상기 부품공급부(20)를 구성하는 호퍼(21)의 선단부 저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판(32)과 함께 왕복 직선이동되며, 상기 호퍼(21)상의 부품배출공(23)과 일치하는 위치로부터 이송방향쪽 끝부분에 이르는 상단면상에는 상기 부품배출공(23)으로부터 낙하되는 핀형상 부품(P)이 놓여지는 계단형의 부품안착부(34a)가 형성된 부품이송판(3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품이송부(30)를 구성하는 장착판(32)의 외측면에는 프레임(F)상에서 부품이송판(34)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설된 가이드리브(Guide rib:35)에 끼워져 결합되어 부품이송판(34)의 왕복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블럭(36)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하강부(40)는 제1부품이송부(30)를 구성하는 부품이송판(34)의 전방 이송끝지점에 해당되는 프레임(F)상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일측면 상부에 상기 부품이송판(34)이 출입되는 절개부(41)가 형성되고, 하단면에는 핀형상 부품(P)이 하부 외측으로 배출되는 부품낙하공(42)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절개부(41)의 아랫부분으로부터 부품낙하공(42)에 이르는 내주면에는 핀형상 부품(P)이 세워진 상태로 하강되도록 하는 경사면(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품이송부(6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하여 작동되는 제2실린더(61)와;
    상기 제2실린더(61)의 피스톤로드(61a)에 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왕복 직선이동되며, 상기 부품하강부(40)상의 부품낙하공(4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낙하된 핀형상 부품(P)이 수용되는 부품삽입공(63)이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몸체부(62)와;
    상기 몸체부(62)의 앞쪽 저면부에 끼워진 지지봉(64a)에 결합되고, 항상 앞쪽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스프링(65)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전후 직선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부품삽입공(63)을 막아주고, 상기 몸체부(62)가 제2실린더(61)의 작용에 의하여 용기슈트(50)쪽으로 이송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슈트(50)와 접촉되는 반작용힘에 의하여 상기 스프링(65)을 압축하면서 뒷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부품삽입공(63)을 열어주는 슬라이드마개(6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품이송부(60)를 구성하는 몸체부(62)의 일측면에는 프레임(F)상에서 몸체부(62)의 이동방향을 따라 돌설된 가이드리브(Guide rib:66)에 끼워져 결합되어 몸체부(62)의 왕복 직선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이드블럭(67)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KR20140064528A 2014-05-28 2014-05-28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KR101488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4528A KR101488501B1 (ko) 2014-05-28 2014-05-28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4528A KR101488501B1 (ko) 2014-05-28 2014-05-28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8501B1 true KR101488501B1 (ko) 2015-01-30

Family

ID=5259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64528A KR101488501B1 (ko) 2014-05-28 2014-05-28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8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2601A (zh) * 2019-07-30 2019-11-08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精准定向送料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070B1 (ko) * 1992-12-31 1995-12-21 오리온전기주식회사 핀 공급장치
KR100579693B1 (ko) * 2000-01-31 2006-05-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반도체 부품 포장용 스틱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070B1 (ko) * 1992-12-31 1995-12-21 오리온전기주식회사 핀 공급장치
KR100579693B1 (ko) * 2000-01-31 2006-05-15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반도체 부품 포장용 스틱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2601A (zh) * 2019-07-30 2019-11-08 电子科技大学中山学院 一种精准定向送料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45254B (zh) 一种usb接口的自动组装铆接机
CN107414007B (zh) 一种支撑轮自动装配旋铆机
CN204659315U (zh) 一种用于木块精雕机的自动上料装置
CN109047045A (zh) 一种led灯座的自动检测设备
KR101641341B1 (ko) 건축용 보드 제조 장치 및 방법
CN103523538A (zh) 送料装置
KR20170088533A (ko) 커넥터 조립 및 공급장치
CN105691679A (zh) 一种全自动四工位托盘循环供料组装机
KR101488501B1 (ko) 핀형상 부품의 공급장치
CN209363069U (zh) 一种led灯座的自动检测设备
JP4755562B2 (ja) ボルト供給装置
KR101718973B1 (ko) 만두피 성형장치
KR101422561B1 (ko) 리벳 펀칭 머신
CN109969441A (zh) 雷管自动装盒机
CN107777318B (zh) 分料装置
KR101502405B1 (ko) 커넥터 조립장치
CN209409395U (zh) 一种饲料砖自动压制机
KR101924969B1 (ko) 점화제 결합체 자동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화제 결합체의 자동 조립방법
CN111114891A (zh) 一种纸杯叠放包装用投放装置
CN207170640U (zh) 一种弹性体自动冲孔设备
CN207171473U (zh) Pcb板的线爪冲切组装机构
CN202555760U (zh) 自动铆接机
CN112123800B (zh) 眼镜腿插针设备
CN206947705U (zh) 一种连接器胶壳送料装置
CN217045364U (zh) 一种第二液压铰链组件自动组装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