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0276Y1 -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 Google Patents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0276Y1
KR950010276Y1 KR2019930022291U KR930022291U KR950010276Y1 KR 950010276 Y1 KR950010276 Y1 KR 950010276Y1 KR 2019930022291 U KR2019930022291 U KR 2019930022291U KR 930022291 U KR930022291 U KR 930022291U KR 950010276 Y1 KR950010276 Y1 KR 9500102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rod
lift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22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534U (ko
Inventor
최병식
Original Assignee
최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식 filed Critical 최병식
Priority to KR20199300222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10276Y1/ko
Publication of KR9500115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5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02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2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밑판부분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고정판과 이동판의 부분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리프트의 작용도로서,
(a)리프트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
(b)리프트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프레임 10 : 이송박스
12 : 밑판 16 : 받침판
24 : 고정판 30 : 이동판
36 : 작동구 40 : 스프링
42 : 고정봉 44 : 작동간
46 : 작동편 52 : 지지간
54 : 받침롤러 64 : 리프트
66 : 롤러 68 : 받침판
72 : 발판 가 : 빔축봉 리프트
A : 빔축봉 이송장치
본 고안은 빔삽탈장치의 빔축봉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리프트의 높낮이를 정밀조정할 수 있도록 하고 빔축봉 이송박스가 전진하게 되면(일정거리에 근접시) 리프트가 자동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이송박스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랏셀편기나 트리코트편기에는 편직물의 크기나 형태 등에 따라 사용되는 실의 본수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에 사용되는 빔 또한 일반직기용 빔에 비하여 플렌지간의 거리가 비교적 짧은 소형빔을 사용하게 되며 제편에 소요되는 실의 본수에 따라 빔의 수를 적절히 가감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제편에 필요한 적정갯수의 소형빔(정경이 된 빔)을 일렬로 정열시켜 놓은후에 빔의 축공에 길이가 긴 빔축봉을 끼움하고, 끼움된 빔의 양단에는 클립으로 빔을 압착하여 빔과 빔축봉을 일체로 고정시킨 연후에 호이스트(hoist)등으로 이동시켜서 지기에 거치하여 제편을 하게 된다.
또한 제편에 따라 빔에 권취된 실이 거의 또는 전부 소모되면 빔축봉을 편기로 부터 분리시켜 평탄한 바닥에 내려 놓은후 클립과 빔축봉을 빔으로 부터 분리제거하게 되면 빔이 낱개로 각각 분리되게 되고, 분리된 낱개의 빔은 다시 정경기에 거치하여 정경을 하므로서 다음번 제편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편을 위하여 빔의 축공에 빔축봉을 삽입하는 종래의 방법은 먼저 제편에 필요로 하는 적정갯수의 빔(정경이 되어 있는 빔)을 빔의 축공이 서로 일치하도륵 평탄한 바닥에 일렬로 정렬시켜 놓은 후 버팀목 등으로 정렬된 빔이 움직이지 못하게 (빔의 정렬이 흩어지지 않도록)빔의 양측 플렌지를 버팀하여, 빔의 축공에 빔축봉을 삽입하고 빔축봉 삽입이 끝나게 되면 클립으로 빔과 빔축봉을 고정시켜서 호이스트로 편기에 이동거치하므로서 제편을 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때 한사람의 보조자는 정렬된 빔과 빔의 틈사이에 빔끼리의 슬립(slip)과 손상방지를 위하여 축공이 형성된 고무패킹을 삽입하게 되고, 또 한사람은 정렬된 빔의 일측 축공으로 빔축봉을 손으로 밀어서 삽입하게 된다.
그러나 빔축공의 내경(152.7㎜)과 이에 삽입되는 빔축공의 외경(152.5㎜)의 틈(유격)이 0.2㎜ 밖에 되지않으므로 빔의 정렬이 흩어져 축공이 조금이라도 일치되지 않을 경우에는 축봉의 삽입이 힘들게 되므로 보조자는 지렛대 등을 사용하여 빔의 축공이 일치되도록 빔을 움직여 주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그래도 축봉이 원활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빔축봉의 단부를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삽입하게 된다.
또한 제편에 따라 빔에 권취된 실이 거의 또는 전부 소모되어 정경된 새로운 빔으로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도 빔의 축공이 서로 일치되지 않게 되면 빔축봉의 삽입시와 마찬가지로 분리가 곤란해지기는 매 한가지이므로 대체적으로 작업이 번거롭고 힘이 들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필요로 하게 되고 또한 여러번 손이 가게 되어서 작업이 비능률적인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빔의 축공이 일치되도록 다수의 빔을 일렬로 정렬시키는 빔레일(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0691호)과 빔레일 상에 정렬된 빔의 축공에 클램핑한 빔축봉을 삽입 또는 분리하는 빔축봉 이송장치(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1342호)를 본출원인이 고안하여 빔축공에 빔축봉의 삽입과 분리를 간편하고도 신속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바 있으며, 본 고안은 본출원인이 선출원한 상기의 빔축봉 이송장치의 전, 후면 프레임 선단내측에 받침구가 구비된 리프트를 축고정하여 이송박스에 의해서 이송되거나 정지된 빔축봉의 선단을 떠받쳐 주도록 하고, 빔의 크기(직경)에 따라 빔의 축공높이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에 상응하여 리프트(life)의 높낮이를 정밀조정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빔축봉 이송장치의 이송박스가 리프트에 근접시 상승 버팀되어 있던 리프트가 자동으로 하강하도록 하여 이송박스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 후면 프레임(2)(4)의 상부면에 체인(6)으로 된 레일이 고정되고 그 위에 빔축봉 클램프(8)가 부설된 이송박스(10)가 설치되어 이송되도록 한 빔축봉 이송장치(A)에 있어서; 프레임(2)(4)의 선단 내측에 밑판(12)의 양측면을 볼트(14)로 고정하고, 밑판(12)의 상부면에는 선단으로 경사진 받침판(16)을 볼트(18)로 고정하였다.
경사진 받침판(16)의 상부면에는 일측으로 요입부(20)가 형성되고 또한 요입부(20)에 횡으로 관통한 나공(22)이 형성된 고정판(24)을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하고, 고정판의 요입부(20)에는 일측으로 경사면(26)이 형성된 단턱진 장방형의 안내공(28)이 형성된 이동판(30)을 각각 위치시킨뒤 상기의 안내공(28)에는 머리가 형성된 안내볼트(32)를 끼워서 이동판(30)이 일정거리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받침판(16)에 고정하고, 고정판의 나공(22)에는 렌치 삽입홈이 형성된 조정볼트(34)를 나사 결합하여 조정볼트(34)가 요입부(20)로 돌출될 수 있도록 하되, 조정볼트(34)의 끝단부가 이동판(24)의 타측면에 접하여 이동판(24)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고정판(24)과 이동판(30)이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받침판(16)의 외면에는 받침판(16)의 외면보다 조금 큰형상의 작동구(36)를 받침판(16)의 외면에 헐겁게 끼움한 후 작동구(36)의 일측을 받침판(16)의 선단에 핀(38)으로 고정하여 작동구(36)의 타측이 고정된 핀(38)축을 중심으로 승강하도록 하되, 작동구(36)의 타측후면에는 일측이 밑판(12)에 고정된 스프링(40)의 타측을 고정하여 작동구(36)의 타측이 스프링(40)의 탄지력에 의해 항시 하강되도록하고, 밑판(12)의 후단에는 밑판(12)의 후단으로 대향 돌출하는 한쌍의 고정봉(42)을 용접고정하였다.
밑판(12)의 후측으로 돌설된 고정봉(42)의 사이에는 작동간(44)을 삽입한후 핀(45)으로 고정하여 작동간(44)이 시소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작동간(44)의 일측단부를 작동구(36)의 타측 저면에 접하도록 하고 작동간(44)의 타측단부에는 전, 후면 프레임(2)(4)보다 상부로 돌출되고, 빔축봉 이송박스(10)의 저면 모서리에 접하여 하강되는 삼각형의 작동편(46)을 고정하고 밑판(12)의 선단에는 상부에 충격 완충캡(48)이 끼움된 수직봉(50)을 고정하였다.
대향된 지지간(52)의 내측에는 양단부로 갈수록 높아지게 경사진 받침롤러(54), 손잡이(55), 받침간(58)이 고정된 회동봉(59), 고정봉(60) 및 횡봉(62)을 각각 연설하여 리프트(64)를 구성하고 리프트(64)의 횡봉(62)에는 축봉(63)을 축끼움하되,축봉(63)의 양단플렌지를 전, 후면 프레임(2)(4)의 내측에 고정하여 리프트(64)가 회동되도록 하고 받침간(58)의 끝단부 양측에는 회전롤러(66)를 축설하고 받침간(58)의 단부는 이동판의 경사면(26)에 접하도륵 하여 리프트(64)가 지지되도륵 하였다.
리프트(64)가 축설된 전, 후면 프레임(2)(4)의 내측에는 받침판(68)이 고정된 축봉(70)을 축고정하되, 축봉(70)의 일측이 전면 프레임(2)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축봉(70)의 단부에는 발판(72)이 형성된 연결봉(74)을 고정하여 빔축봉 리프트(가)를 구성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80)은 빔
(82)는 빔레일
(84)는 연결 프레임
(86)은 빔축봉
(88)은 받침판
(90)은 빔사이에 끼움한 고무패킹
(92)는 이송박스 콘트롤러
(94)는 렌치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6도에서와 같이 빔(80)을 일렬로 정렬시키는 빔레일(82)의 일측에 본고안 빔축봉 리프트(가)가 장치된 빔축봉 이송장치(A)를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먼저 빔레일(82)의 전면에 설치된 경사판(도시않됨)을 통하여 제편에 필요한 적정숫자의 정경된 빔을 빔레일상에 안착시켜서 정렬시켜 놓은후 정렬된 빔(80)의 축공높이와 이송박스(10)의 클램핑 높이가 일치하도륵 이송박스(10)의 클램프(10)높이를 조정하여 고정한후 이송박스(10)를 후진시켜 놓는다.
다음으로 리프트의 받침롤러(54) 상단이 연장 선상의 빔축공의 하단과 대충일치하도록 받침간(58)의 경사각도를 적절히 조정하여 받침간(58)의 끝단부와 가장 근접하는 이동판의 경사면(26)에 받침간(58)을 올려 놓은 후, 제3도에서와 같이 조정볼트(34)의 삽입홈에 렌치(94)를 삽입하여 조정볼트(3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조정볼트(34)의 단부에 지지되는 이동판(30)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리프트(64)의 높이가 조정된다.
조정볼트(34)를 적절히 회전시켜서 받침롤러(54)의 중간부분 상부면이 정렬된 빔축공의 최하단부의 연장선상과 일치하도록 조정한 후 빔축봉(86)의 선단을 받침롤러(54)의 상부에 올려놓고 빔축봉(86)의 후단을 이송박스의 클램프(8)에 클램핑시키게 되면 빔의 축공중심과 빔축봉의 중심이 일치되어 빔축봉 삽입을 위한 준비작업이 완료된다.
이어서 이송박스의 콘트롤러(92)를 조작하여 후진하여 정지해있던 이송박스(10)를 전진시키게 되면 빔축봉(86)의 최선단부가 정렬된 빔의 축공으로 진입하면서 삽입이 되고, 작업자는 빔과 빔사이에 빔끼리의 손상과 슬립(Slip)방지를 위한 고무패킹(90)을 끼움하면서 빔축봉(86)을 계속 삽입하게 된다.
이윽고 전진하는 이송박스의 저면 모서리에 의해서 제4b도에서와 같이 돌출된 작동편(46)이 하강하게 되므로 작동간(44)의 일측단부가 상승하게 되어서 이와 접한 작동구(36)가 상승하게 되고, 작동구(36)가 상승하면서 받침간의 회전롤러(66)를 밀어올리게 되므로 경사면(26)에 접하여 있던 받침간(58)의 단부 또한 완전히 상승하게 되어서 받침간의 회전롤러(66)가 작동구(36)의 상부면을 타고 선단부로 미끄러지게 되므로 리프트(64)가 완전히 하강하게 되고, 하강하는 리프트(64)의 지지간(52)은 캡(48)에 의해 더이상의 하강이 방지된다.
이때 경사면(26)이 경사져 있으므로 받침간(58)의 단부는 쉽게 상승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받침간(58)에 다소간의 휨유격이 작용하므로 빔축봉이 리프트의 상부에 있더라도 받침간(58)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리프트(64)가 하강하면 이송박스(10)는 계속 전진을 할 수 있게 되며 제6도와 같이 빔축봉(86)이 완전히 삽입되면 콘트롤러(92)로 이송박스(10)를 정지시킨후 빔축봉 클램핑을 해제하여 빔축봉(86)과 이송박스(10)를 서로 분리시켜서 이송박스(10)를 일정거리 후진시켜 놓은 다음, 빔축봉(86)의 양단에 고정클립(도시않됨)을 삽입하여 빔축봉과 빔을 압착고정시킨후 편기로 이송거치하여 제편을 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작동편(46)은 상부에 이송박스(10)가 없는한 스프링(40)에 의해서 항상 상승하여 있게 된다.
한편 제편이 끝난 빔(권취된 실이 거의 또는 전부 소모된 빔)은 다시 편기로 부터 분리하여 빔레일(82)상에 안착시킨후 후진하여 있던 이송박스(10)를 전진시켜서 빔축봉 클램핑 위치에 정지시킨후 클램프(8)로 빔축봉을 클램핑하여 이송박스를 후진시키고, 후진하는 이송박스(10)가 작동편(46)을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발로 발판(72)을 밟아서 리프트(64)를 상승시키게 된다.
즉 발로 발판(72)을 밟게 되면 축봉(70)이 회전하게 되고 축봉이 회전하면 받침판(68)이 제4도(b)에서와 같이 상승회동하면서 리프트(64)를 상승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선단으로 전진하여 있던 받침간(58)이 이끌려 오면서 이동판의 경사면(26)에 걸림되어 리프트(64)의 받침롤러(54)가 빔축봉(86)을 떠받치게 된다.
이때 발판(72)으로 리프트(64)의 상승 및 걸림이 여의치 않을시에는 리프트의 손잡이(56)를 손으로 잡고 들어 올려도 상기에서와 같이 받침간(58)의 단부가 이동판의 경사면(26)에 걸려서 리프트(64)가 상승해 있게 되고 작동구(36)는 스프링(40)에 의해 하강해 있으므로 받침간(58)의 걸림이 방해를 받지않게 된다.
이송박스(10)가 완전히 후진하게 되면 빔축봉(86)이 빔(80)으로 부터 분리되고, 분리된 빔축봉의 선단부는 리프트의 받침롤러(54)에 얹혀져 있게 되므로 다음번 빔축봉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빔축봉이 분리제거되어 낱개로 된 빔을 빔레일(82)로부터 전부 굴러내린후 정경을 하게 되고 빔레일(82)에는 다시 정경이 된 새로운 빔을 제편에 필요한 일정갯수로 굴러올려서 정렬시킨 후 이송박스(10)를 전진시키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다시 빔축봉 삽입작업이 반복진행된다.
본 고안에서 경사진 받침판(16)에 다수의 고정판(24)과 이동판(30)을 부착한 것은 사용되는 빔의 크기(직경)에 따라 빔축공의 높낮이가 달라지므로 받침간(58)을 각각의 이동판 경사면(26)중 한곳에 접하도록 하므로서 받침롤러(54)의 높낮이를 대충 맞출수 있게 되며, 조정볼트(34)를 조정하여 이동판(30)의 좌, 우 위치를 조정하므로서 받침롤러(34)의 높낮이를 정확히 조정할 수 있게 되고, 받침롤러(34)의 양단부로 높게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서 받침롤러(54)에 얹혀진 빔축봉(86)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빔축봉 이송장치의 선단에 장치되어 전, 후진하거나 정지된 빔축봉을 떠받쳐 주므로 이송박스가 자동으로 빔축봉을 빔에 삽입 및 분리를 할 수 있게 되어서 인력이 절감될뿐아니라 빔축봉의 삽입과 분리가 신속, 정확해지고 또한 간편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 후면 프레임(2)(4)의 상부면에 체인(6)으로 된 레일이 고정되고 그 상부에 빔축봉 클램프(8)가 부설된 이송박스(10)가 설치되어 빔축봉(86)을 이송하도록 된 빔축봉 이송장치(a)에 있어서 ; 프레임(2)(4)의 선단 내측에 캡(48)이 끼움된 수직봉(50)과 고정봉(42) 및 받침판(16)이 각각 고정된 밑판(12)을 고정하되, 고정봉(42)에는 작동편(46)이 형성된 작동간(44)을 핀고정하고 ; 받침판(16)의 경사면에 일정간격으로 고정된 고정판(24)의 요입부(20)에는 경사면(26)이 형성된 이동판(30)을 안내볼트(32)로 고정하되, 이동판(30)이 조정볼트(34)에 의해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하고, 받침판(16)의 외면에는 타측이 작동간(44)에 얹혀지고, 밑판(12)과 스프링(40)으로 탄설된 작동구(36)의 일측을 핀(38) 고정하고, 작동간(44)의 상부에는 지지간(52) 내측으로 받침롤러(54), 손잡이(56), 받침간(58)이 고정된 회동봉(59), 고정봉(60) 및 횡봉(62)이 연설된 리프트(64)를 프레임(2)(4)에 축고정하여 회전롤러(66)가 고정된 받침간(58)의 단부가 이동판의 경사면(26)에 접하도록 하여서 된 빔삽탈장치의 빔축봉리프트.
  2. 제1항에 있어서, 축설된 리프트(64)의 하부에 발판(72)과 받침판(68)이 고정된 축봉(70)을 프레임(2)(4)에 축설하여서 된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KR2019930022291U 1993-10-26 1993-10-26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KR9500102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291U KR950010276Y1 (ko) 1993-10-26 1993-10-26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2291U KR950010276Y1 (ko) 1993-10-26 1993-10-26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34U KR950011534U (ko) 1995-05-16
KR950010276Y1 true KR950010276Y1 (ko) 1995-12-08

Family

ID=1936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2291U KR950010276Y1 (ko) 1993-10-26 1993-10-26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1027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534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988670U (zh) 一种棒料输送装置
KR950010276Y1 (ko) 빔삽탈장치의 빔축봉 리프트
KR970011781B1 (ko) 플래턴 프레스의 절삭공구 교환방법 및 그 방법을 작업에 세팅하는 장치
KR930007659B1 (ko) 평판재의 위치 결정장치
CH645054A5 (en) Board-trimming and board-dividing saw
KR200210562Y1 (ko) 자동절단기에 의재 절단된 목재의 자동적재장치 구조
JP2645798B2 (ja) ゴム成形体の切断装置およびその切断方法
KR102358140B1 (ko) 철망 절곡장치
KR100865048B1 (ko) 패널절단장치
DE1652006A1 (de) Band-Schleif- und -Poliermaschine
KR100190931B1 (ko) 판상 가공물 처리 기계의 이송장치내의 판상 가공물의 임시 지지장치
CN112548621B (zh) 一种直条坡口加工定位夹具
CN214448230U (zh) 全自动综丝整理机
CN108774648B (zh) 一种带卷料切断的皮料分片送料机构
US5943766A (en) Machine for inserting stringers into pallets
KR950010275Y1 (ko) 빔착탈장치의 빔축봉 이송장치
CN219114479U (zh) 一种可调节式橡胶开炼机
KR101164968B1 (ko) 봉제기계용 원단투입 준비기
CN211437982U (zh) 叉梳式链条装配机
KR200428860Y1 (ko) 제판기의 테이블구조
CN220011274U (zh) 一种自动化送料机构
DE3943784C2 (de) Werkstückzuführungsvorrichtung für eine 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hierfür
CN219636146U (zh) 便于挡板间距调节的输送带
US4324029A (en) Apparatus for retracting flats from the cast iron flat bars of carding machines
CN214782831U (zh) 一种无纺布切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