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764B1 -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 Google Patents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764B1
KR950009764B1 KR1019920014231A KR920014231A KR950009764B1 KR 950009764 B1 KR950009764 B1 KR 950009764B1 KR 1019920014231 A KR1019920014231 A KR 1019920014231A KR 920014231 A KR920014231 A KR 920014231A KR 950009764 B1 KR950009764 B1 KR 950009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terface
bus
central processing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4483A (ko
Inventor
안동현
양기곤
김대호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양승택 filed Critical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20014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764B1/ko
Publication of KR940004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4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출입문 통제방법의 수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중앙처리 장치 12 : 데이타 버스
13 : 제어버스 14 : 어드레스 버스
15 : 시스템 제어용 메모리 16 :사용자데이타 메모리
17 :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18내지 25 : 입출력 인터페이스
26 : 보조기억장치 27 : 식별부호 입력장치
28 : 1차문 29 : 1차문 잠금장치
30 : 문닫힘 감지센서 31 : 무게 계량장치
32 : 2차문 33 : 2차문 잠금장치
34 : 경보장치
본 발명은 정해진 구역(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자를 통제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허가되지 않는자는 물론 허가된 자가 허가되지 않은자와 함께 동반출입을 하는것을 방지하며 출입자 입력은 기록유지함으로써 사후 추적을 용이하게 하는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 시스템 및 그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정해진 구역에 대한 출입통제 방법으로는 물리적인 잠금장치 또는 각종 기억(메모리)카드를 이용하여 열쇠 또는 허가된 카드등의 출입허용 집합1개만 있으면, 허가되지 않은 자도 들어갈 수 있고, 허가된 자의 도움만 있으면 얼마든지 정해진 구역을 출입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있으며, 더구나 정해진 구역내에 체류하고 있는 인원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없다.
이러한 경우의 문제점으로는 허가된 자의 태만으로 자기가 통과한 문이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았을 경우와, 허가된 자가 악의의 제3자에게 강제연행되어 정해진 구역내로 들어오게 되는 경우, 허가된 자가 고의로 악의의 제3자를 정해진 진구역으로 들어오게 도와주는 경우에는 안전대책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출입문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고 허가된 자의 태만, 비정상적인 사용 및 제3자의 불법출입으로 부터 정해진 구역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해진 구역(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자를 통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적어도 8개의 직렬 통신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중앙처리 장치 ; 어드레스 버스, 데이타 버스 및 제어버스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시스템 제어용 메모리수단 ; 상기 어드레스 버스, 데이타 버스 및 제어 버스를 통해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되어 있으며 통제 시스템 운용시 필요한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 수단 ; 상기 어드레스 버스, 데이타 버스 및 제어 버스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수단 ; 상기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 ; 상기 어드레스 버스, 데이타 버스 및 제어 버스에 연결된 제1내지 제8입출력 인터페이스 수단 ;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며 입력 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는 식별부호 입력장치 ;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1차문 ; 상기 제3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1차문 잠금장치 ; 상기 제4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데이타를 제공하는 문닫힘 검지 수단 ; 상기 제5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데이타를 제공하는 무게 계량장치 ; 상기 제6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는 2차문 ; 상기 제7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2차문 잠금장치 ; 및 상기 제8인터페이스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경보장치 ; 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이상의 출입의뢰자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식별부호 입력장치로 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분석하여 식별부호(ID)를 확인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에서 확인된 출입의뢰자의 인원수 증감을 없애기 위해 외부로부터의 진입을 통제하는 제2단계 ; 상기 무게계량장치로 부터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출입인원수를 확인함으로써 무게산출 및 검증을 통한 부정출입자를 색출해 내는 제3단계 ; 및 확인된 인원에 대해 출입을 허가하고 시스템을 다시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며 출입사건에 대한 처리기록을 수행하는 제4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에서 11은 중앙처리장치, 12은 데이타 버스, 13은 제어버스, 14는 어드레스 버스, 15는 시스템 제어용 메모리, 16은 사용자데이터 메모리, 17은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18내지 25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26은 보조기억장치, 27은 식별부호 입력 장치, 28은 1차문, 29는 1차문 잠금장치, 30은 문닫힘 검지센서, 31은 무게 계량장치, 32는 2차문, 33은 2차문 잠금장치, 34는 경보장치를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하드웨어 시스템은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버스(12) 및 제어 버스(13)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시스템 제어용 메모리(ROM)(15)와,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통제 시스템 운용시 필요한 각종 데이타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16)와,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18)와, 상기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18)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26)와,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에 연결된 제1내지 제8입출력 인터페이스(18 내지 25)와, 상기 제1인터페이스(1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장치(11)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며 입력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11)에 전송하는 식별부호입력장치(27)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18)에 연결되어 있는 1차문(28)과 상기 제3인터페이스(20)에 입력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1차문 잠금장치(29)와, 상기 제4인터페이스(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 입력데이타를 제공하는 문닫힘 검지센서(30)와, 상기 제5인터페이스(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 입력데이타를 제공하는 무게 계량장치(31)와, 상기 제6인터페이스(23)에 연결되어 있는 2차문(32)와, 상기 제7인터페이스(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2차문 잠금장치(33)와, 상기 제8인터페이스(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11)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경보장치(3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출입허가 의뢰(ACCESS)를 원하는 사람이 허가된 식별매체를 가지고 식별부호 입력장치(27)를 통하여 제어데이타와 자신의 식별부호를 입력시킴으로써 출입허가를 의뢰하면, 중앙처리장치(11)는 이를 수신하여 통과여부를 사용자 데이타 메모리(16)의 저장내역과 비교하여 판단한 후, 통과불가인 경우는 경보장치(34)를 동작시켜 이를 거절하며, 통과가능인 경우는 1차문(28)에 신호를 보내어 1차문의 잠금장치(29)를 해제하고 1차문(28)을 개방(OPEN)한다. 그리고나서, 제어데이타에 포함되어 있는 1회 출입요구인원수(n)에 따른 n명의 식별부호를 차례로 입력받아 확인하여, 모두 이상이 없으면 1차문(28)을 닫고, 1차문의 잠금장치(29)를 잠근다. 만약, n명의 식별부호 중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있으면 경보장치(34)를 동작시켜 출입을 거절하고, 모든 사람이 계측대상구역을 벗어나게 되면 대기상태 (제2도의 설명참조)로 보낸다. 출입자가 1차문(28)을 모두 통과하고 나서 문을 닫으면(CLOSE), 상기 잠금장치(29)를 다시 잠근다. 그다음 중앙처리장치(11)는 상기 1차문(28)과 2차문(32)에 의하여 폐쇄된 구간내의 계량 대상에 대한 무게를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수신하여 무게가 사용자 데이터 메모리(116)에 이미 등록된 출입자의 무게허용범위 내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허용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2차문 잠금장치(33)를 해제하고 2차문(32)을 개방(OPEN)시켜 출입자의 통과를 허가하며, 상기 무게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경보장치(34)를 작동시켜 통과를 거절하고, 1차문(28)을 다시 열어준다. 이렇게하여 출입이 허용 또는 거절된 뒤에는 공히 시스템을 대기상태(제2도의 설명참조)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출입사건에 대한 변경된 데이타를 보조기억장치(26)에 기록한다. 1차문(105)에 대한 문닫힘 감지센서(30)는 출입통과시간을 단축시기 위하여 1차문(28)의 위치에 따라 동작되게 하여 사용하며, 상기 문닫힘 감지센서(30)가 온(ON)되면 즉, 잠겨진 상태이면 즉시 무게계측을 수행한다.
본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각 장치들의 요구규격에 대한 일례를 간단히 들면 다음과 같다.
우선, 중앙처리장치로(11) AT급 이상의 퍼스널컴퓨터(PC)를 갖추어야 하는데, 다음과 조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로세서는 16비트 이상이고, 주 메모리(main memory)는 640K바이트 이상이고, 클럭속도(clock speed)는 6MHz이상이며, 통신포트(communication port)로는 8개 이상의 직렬포트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1차문(28) 및 2차문(32)은 자동여닫이 출입문 (Auto Sliding Door)이면 어떤 형태로도 가능하며, 출입안전장치(문사이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개방시키는 장치) 및 이 문을 물리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잠금장치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문 닫힘 감지센서(30)는 자동여닫이 출입문(Auto sliding Door)의 개폐상태로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무게 계량 장치(31)는 두 출입문 사이의 전 공간을 계측대상으로 하는 장치이면, 최대 계량 한계가 1,000kg이상이고, 또한 계측허용오차의 범위는 -3kg 내지 +3kg 범위내이며, 계측된 값이 전기적인 신호형태로 항상 수신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다.
식별부호 입력장치(27)는 단순한 패스워드 입력장치에서 부터 마그네틱 카드리더, IC 카드리더, 지문 또는 음성등의 신체특성 판별기능등을 수행할 수있는 것으로, 입력된 데이타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 중앙처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1차문 및 2차문 잠금장치(29,33)는 상기 자동여닫이 출입문(Auto Sliding Door)을 물리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잠금장치로서 전기적인 신호(5V,12V)를 받아 작동하는 것이다.
경보장치(34)는 필요에 따라 전기적인 신호를 가하면 동작되는 부저 또는 사이렌등을 이용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 문(자동여닫이 문 등) 및 이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두개의 문 사이의 계측대상을 제한하여, 물리적으로 출입자를 통제하고 컴퓨터에 연결된 몸무게 계측센서를 두개의 문 사이의 전공간에 걸쳐 적용하고, 두개의 문을 지지하는 프레임(frame)및 측면 분리벽을 계측장치 위에 설치함으로써 매달리거나 비계측 되는 경우를 없애며 출입자의 식별부호 및 몸무게가 제어장치에 의해 확인통지되어야만 열리는 잠금장치를 두개의 문에 적용하여 구현한 것이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하여 일정시점에서 정해진 구역내에 있는 전체인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비정상적인 출입상황을 기록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출입문 통제방법의 수행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 수행과정을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그 첫번째로 수행되는 단계는 식별부호 수신 및 분석확인 단계이다. 본 시스템의 대기상태는 다음과 같다.
(1)1차문(28) : 닫힘(CLOSED)
(2)2차문(32) : 닫힘(CLOSED)
(3)1차문 잠금장치(29) : 잠겨짐(LOCKED)
(4)2차문 잠금장치(33) : 잠겨짐(LOCKED)
(5)1차문의 문닫힘 감지센서(30) : 1차문 닫힘(ON)
(6)무게계량장치(31) : 무게 수신값이 0kg 또는 5kg 이내
(7)식별부호 입력장치(27) : 입력신호 없음
(8)경보장치(34) : 경보없음(OFF)
위의 대기 상태에서 식별부호 입력장치(27)로 부터 출입허가의뢰(ACCESS)가 감지되면,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11)에서 해석된다. 입력되는 데이타는 제어신호(CONTROL SIGNAL)와 식별신호열(Identificarion Signal Stream)로 구성되는 데, 상기 제어신호는 1회의 출입요구 인원수(n ; 만약 n>1 이면 단체통과 경우임)에 대한 정보이며, 식별신호열은 개인의 식별자료에 대한 정보이다.
먼저 첫번째로 수신된 개인식별 자료를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15)의 내용과 비교하여 정상이면 1차문(28)을 개방(OPEN)하고, 1차문 잠금장치(29)는 열린 채(UNLOCK), 나머지 n-1명에 대한 식별자료를 차례로 수신한다.
n명에 대한 식별자료 중 비정상적인 자료가 하나라도 존재하면 상기의 대기상태로 복귀시키며 경보장치(34)를 통하여 경보한다. 그리고, 이때의 출입허가 의뢰(ACCESS)는 취소된다.
만약, 어느 한 식별자료가 입력된 뒤 정해진 시간(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8초로 설정함) 이상 지난뒤에도 그 다음의 식별자료가 입력완료 되지 않으면, 그때까지 입력된 자료 수 만큼만 처리한다. 그리하여, m을 현재까지 입력된 개인식별자(ID)의 수라하면 나머지(n-m)명의 출입의뢰는 취소된다.
이때 식별신호열은 사용목적에 따라 다수의 중복된 신호의 조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예 : 패스워드, 카드 메모리(card memory), 지문, 음성등).
다음으로 수행되는 진입통제 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된 m명에 대한 식별자료가 모두 정상이면 1차문(28)은 닫고(CLOSE) 1차문 잠금장치(29)를 잠근다.
이때 식별부호 입력장치(27)는 사용불가(DISABLE)상태로 하여 하나의 사건이 완전히 끝날때 까지 입력되는 신호가 무시되도록 한다. 일단 1차문(28)이 닫혀지고, 1차문 잠금장치(29)가 잠겨진 이후에는 무게계량공간내의 인원수의 증감은 허용되지 않는다.
그 다음으로는 출입인원수 확인단계를 수행하는데,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수신된 값이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16)로 부터 읽어 계산한 허용치내에 들어오면 다음단계로 넘어가고, 그렇지 않으면 1차문(28)을 다시 개방하여 무게계량장치(31)로부터 수신되는 값(W)이 작은수(e)(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kg 이내로 설정함)이하로 될때까지 기다린 후, 1차문(28)을 닫고, 1차문 잠금장치(29)를 잠근 후 다시 시작단계(대기상태)로 간다.
이때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수신되는 값을 계산하는 방법의 일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입력되는 값은 계측대상의 움직임에 따라 어느정도씩 변동이 생기기 때문에 1차문(28)이 닫혀진 직후부터 2초동안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6회의 등간격 샘플링을 하여 이를 평균한 값(W)을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수신되는 값으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통과 허용범위 계산방법의 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16)에 저장된 개인 마스타화일의 몸무게를 Xi(i=1~n), 이에대한 허용상한치를 Ui(i=1~n), 허용하한치를 Li(I=1~n),1회 통과하는 인원수를 m이라 하면 통과허용범위는 다음과 같이 정할 수 있다.
하한(L) : (X1+X2+… +Xm)-(L1+L2+…+Lm)×m/(2m-1)
상한(U) : (X1+X2+… +Xm)+(U1+U2+…+Um)×m/(2m-1)
통과허용구간 : L<W<U
여기서, (X1+X2+… +Xm)은 통과하려는 m명의 몸무게 합의 기준이 되는 수치이며, 단체 통과의 허용하한치는 각 개인의 허용하한치의 합인 (L1+L2+…+Lm)에서 단체 통과 하한치의 합인(L1+L2+…+Lm)에서 단체 통과 하한치의 보정계수 m/(2m-1)을 곱하여 얻는다. 이는 단체통과에 대한 누적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계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한도 상기 하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각 개인의 허용 상한치의 합(U1+I2+…+Im)에서 단체통과 보정계수를 곱하여 얻는다.
마지막으로 수행되는 출입완료 및 사건처리 기록단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 단계로 부터 아무이상이 없으면 2차문 잠금장치(33)을 해제하고, 2차문(32)을 개방(OPEN)한 후, 통과가 허가된 인원의 인적사항과 출입허가 시간을 보조기억장치(26)에 기록하고 모두 통과 한 뒤 2차문(32)를 닫고(CLOSE), 2차문 잠금장치(33)를 잠근 후 최초의 대기상태로 되돌아 간다.
본 발명에서 통과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예를 설명하면,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수신되는 값이 작은수(e,e <5kg) 이하이면 통과가 완료된 것으로 간주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출입문 통제방법의 수행흐름도로서, 그 일실시예 수행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기상태에서 식별부호 입력장치(27)에 데이타가 입력되면, 중앙처리장치(11)는 이를 수신하여 분석한다(201).
입력되는 데이타는 제어신호(control signal), 패스워드(pass word), 메모리 카드(memory card)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에는 단체출입 인원수(n)에 관한 정보, 리세트(reset), 클리어(clear)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데이타로 부터 최초 입력자의 식별부호(ID)를 확인(202)하여 이상이 없으면(203), 1차문(28)에 대한 잠금장치(29)를 해제하고, 1차문(28)을 개방한다(206). 만약 상기 식별부호 (ID)가 확인되지 않으면 경보장치(34)를 동작시키고 (204) 사건기록을 수행한 후(205), 다시 처음의 대기상태로 된다.
첫번째 출입자의 식별부호(ID)가 확인되면 계속해서 n명의 식별부호(ID) 확인이 완료될 때까지 계속하여 (207,208,209,210) 1명이라도 식별부호(ID)가 확인되지 않으면 경보를 발하고(204) 처음의 대기상태(211)로 된다.
단체출입에 관한 정보가 없으면 기준값을 1(n-1)로 하며, n명의 식별부호(ID)가 모두 확인완료되면 다음단계로 넘어간다(207).
이렇게하여 식별부호의 확인이 끝났으면, 식별부호 입력장치(27)를 동작정지상태로 둔다(212). 그 다음 1차문(28)을 닫고(213), 문닫힘 감지센서(30)가 온(ON) 될 때 까지 기다렸다가(214) 1차문의 잠금장치(29)를 잠그고(215) 난 뒤, 다음 단계로 진행한다고 그 다음에, 무게계량장치(31)로 부터 수신되는 값을 일정한 시간 동안 적절한 횟수로 등간격 샘플링을 하여 이 값의 통계치에 의해서 무게를 결정하고(216), 이 무게가 중앙처리장치(11)에 의해 미리 계산된 허용치 범위내에 들어오는지를 점검한다(217,218).
만약 허용치 이내에 들어오면 다음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경보(219)와 동시에 1차문 잠금장치를 해제하고, 1차문을 개방시킨 뒤(220), 무게계량장치로 부터 수신되는 무게가 5kg 이내 일때까지 대기하고(221), 1차문을 다시 닫고 잠금장치를 잠근후(222), 시스템을 대기상태로 만든다.
전단계까지 아무런 이상이 없으면 2차문에 대한 잠금장치(110)를 해제하고(223), 2차문을 개방한다(224). 출입자들이 무게계측공간을 모두 벗어날때까지 기다렸다가(225) 2차문을 닫는다(226). 그리고나서 2차문에 대한 잠금장치를 잠그고, 그 동안 동작정지상태에 있던 식별부호 입력장치를 정상 대기상태로 복귀시키며(227), 출입에 대한 사건결과를 보조기억장치에 기록함으로써(228) 본 발명의 동작 수행을 종료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본 발명은 특정 시설을 사용하는 사람의 보안의식의 이행정도에 따라 결정되는 종래의 한계를 극복하여, 사용자 중심의 보호체계를 시설중심의 조화체계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정해진 구역에 대해 허가되지 않은자의 출입을 금지하고, 허가된 자의 도움이 있더라도 허가되지 않은 자가 정해진 구역내로 들어올 수 없게 하였으며, 모든 출입자의 출입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관리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시설내의 잔류인원을 정확하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감을 위한 자동 전원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시설내의 인원에 대한 자동 근태관리가 가능하며, 문제발생시 출입자기록에 의해 사후 추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정해진 구역(보호구역)에 대한 출입자를 통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와 적어도 8개의 직렬 통신포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11) ;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버스(12) 및 제어 버스(13)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되어 있으며 시스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시스템 제어용 메모리수단(15) ;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버스(12) 및 제어 버스(13)를 통해 중앙처리장치(11)에 연결되어 있으며 통제 시스템 운용시 필요한 가공 데이타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 수단(16) ;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버스(12) 및 제어 버스(13)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수단(18) ; 상기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수단(18)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26) ;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에 연결된 제1내지 제8입출력 인터페이스 수단(18 내지 25) ; 상기 제1인터페이스 수단(18)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를 받아 동작하며 입력데이타를 중앙처리장치에 전송하는 식별부호 입력장치(27) ;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19)에 연결되어 있는 1차문(28) ; 상기 제3인터페이스(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1차문 잠금장치(29) ; 상기 제4인터페이스(21)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데이타를 제공하는 문닫힘 감지수단(30) ; 상기 제5인터페이스(22)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데이타를 제공하는 무게 계량장치(31) ; 상기 제6인터페이스(23)에 연결되어 있는 2차문(32) ; 상기 제7인터페이스(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2차문 잠금장치(33) ; 및 상기 제8인터페이스(25)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처리장치로 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는 경보장치(34) ; 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 계량장치(31)는 상기 1차문 및 2차문 사이의 전구간의 걸친 무게가 계량되도록 구성되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3.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담당하는 중앙처리장치(11)와,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를 통해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연결된 시스템 제어용 메모리수단(15) 및 사용자 데이터용 메모리수단(16)과,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수단(18)과, 상기 보조기억장치 제어 인터페이스 수단(18)에 연결된 보조기억장치(26)와, 상기 어드레스 버스(14), 데이타 버스(12) 및 제어 버스(13)에 연결된 제1 내지 제8입출력 인터페이스 수단(18 내지 25)과,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18)에 연결된 식별부호 입력장치(27)와, 상기 제2인터페이스 수단(19)에 연결되어 있는 1차문(28)과 상기 제3인터페이스(20)에 연결된 1차문 잠금장치(29)와, 상기 제4인터페이스(21)에 연결 문닫힘 감지수단(30)과, 상기 제5인터페이스(22)에 연결된 무게 계량장치(31)와, 상기 제6인터페이스(23)에 연결되어 있는 있는 2차문(32)과, 상기 제7인터페이스(24)에 연결된 2차문 잠금장치(33)와, 상기 제8인터페이스(25)에 연결된 경보장치(34)를 구비하고 있는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을 이용한 통제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의뢰자 신분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식별부호 입력장치로 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분석하여 식별부호(ID)를 확인하는 제1단계 ; 상기 제1단계에서 확인된 출입의뢰자의 인원수 증감을 없애기 위해 외부로 부터의 진입을 통제하는 제2단계 ; 상기 무게계량장치로 부터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출입인원수를 확인함으로써 무게산출 및 검증을 통한 부정출입자를 색출해 내는 제3단계 ; 및 확인된 인원에 대해 출입을 허가하고 시스템을 다시 정상상태로 복귀시키며 출입사건에 대한 처리기록을 수행하는 제4단계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방법.
KR1019920014231A 1992-08-07 1992-08-07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KR950009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231A KR950009764B1 (ko) 1992-08-07 1992-08-07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4231A KR950009764B1 (ko) 1992-08-07 1992-08-07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83A KR940004483A (ko) 1994-03-15
KR950009764B1 true KR950009764B1 (ko) 1995-08-28

Family

ID=1933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231A KR950009764B1 (ko) 1992-08-07 1992-08-07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554A (ko) * 2000-07-01 2002-01-23 김승찬 마스터데이터의 직접 또는 상대 어드레스 부여 방식에의한 검색수행 프로그램이 내장된 출입통제 단말기 장치및 검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857A (ko) * 1997-01-29 1998-10-15 김광호 무인경비시스템에서 공동현관 출입내역 조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6554A (ko) * 2000-07-01 2002-01-23 김승찬 마스터데이터의 직접 또는 상대 어드레스 부여 방식에의한 검색수행 프로그램이 내장된 출입통제 단말기 장치및 검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4483A (ko) 199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2182A (en) Electronic security lock
US78447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external storage medium
KR950009764B1 (ko) 인가자만의 선별출입을 위한 자동 출입문 통제시스템 및 그 통제방법
KR100774029B1 (ko) 보안구역의 출입 통제 장치
JP3548693B2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00145219A (ja) 錠前管理システム
JP3300886B2 (ja) 入退室管理装置
JP2007138615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2006144384A (ja) セキュリティ強化入室管理システム
US11810411B1 (en) System and methods for access control
JP4154013B2 (ja) 管理システム
CN106846571A (zh) 一种电话开启的自动上锁防盗门系统
JP2903047B2 (ja) 個人判別装置
JP4831718B2 (ja) 入出管理システム
JPH085603B2 (ja) 防犯システム
JP3517102B2 (ja) 入出退管理システム
CN206340080U (zh) 一种通过互联网多重加密的防盗门系统
JPH01222399A (ja) 通行制御装置
JPH11120455A (ja) 入室管理システム
JP2556887B2 (ja) 通行制御装置
TR2022005884A2 (tr) Elektroni̇k gi̇ri̇ş-çikiş güvenli̇ği̇ sağlayan hassas terazi̇ si̇stemi̇ ve yöntemi̇
KR20050066923A (ko) 생체정보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JP2003288625A (ja) 入館管理装置とその方法
JP2874931B2 (ja) 建物の共用部の防犯管理方式
JPH0346098A (ja) 通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