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324Y1 - 스키 캐리어 - Google Patents

스키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324Y1
KR950009324Y1 KR2019930026587U KR930026587U KR950009324Y1 KR 950009324 Y1 KR950009324 Y1 KR 950009324Y1 KR 2019930026587 U KR2019930026587 U KR 2019930026587U KR 930026587 U KR930026587 U KR 930026587U KR 950009324 Y1 KR950009324 Y1 KR 9500093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
plate
carrier
vacuum suc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055U (ko
Inventor
문수만
Original Assignee
문수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수만 filed Critical 문수만
Priority to KR2019930026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324Y1/ko
Publication of KR950018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3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3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2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sk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6Theft prevention of 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17Ski carrier
    • Y10S224/9175Vehicle attach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키 캐리어
제 1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일부 절계 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부인 제2도의 A부 확대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부재 11 : 고정판체
12 : 고무자석판 20 : 캐리어본체
22 : 스키고정부 30 : 진공흡착수단
37 : 레버 50 : 덮개
70 : 수분침투방지수단
본 고안은 자동차의 지붕위에 설치하는 스키 캐리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고무자석판과 진공흡착판을 결합한 스키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키등과 같이 길이가 긴 물건을 자동차의 지붕위에 설치하고 운반하는 캐리어는 일본국 실용신안출원공개 소 54-15952 소 57-20356 및 소 64-11856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것은 지지체의 일측에 자동차의 빗물받이 또는 사이드 실(Side Sill)에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설치하고 타측에는 자동차의 지붕위에 고정되는 진공흡작판을 고정하며, 지지체의 상부에 스키 고정홈을 형성하여 밴드를 걸거나 덮개를 회전할 수 있게설치한 것이므로 부착과 분리가 번거로웁고, 분리가 번거롭기 때문에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도 캐리어를 부착한 상태로 시내를 주행하므로 미관상도 좋지 못하며, 스키의 도난우려가 많았다.
또한 상기한 부착의 번거로움을 해결한 것이 일본국 특허출원공개 소 62-268751에 개시되어 있는바, 이는 도옴형 외통의 하단에 흡착구의 주연부를 밀접시키고, 외통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내부에 마그니트를 설치한 흡착판의 축을 끼워서 그 상단부에 레버를 설치하며, 스키는 외통의 두부에 형성한 홈에 꺼우고 밴드로서 묶을수 있도록 된 것이므로 이는 자동차의 지붕에 설치하거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흡착판의 진공을 누구든지 쉽계 제거할 수 있으므로 그 분리가 용이하여 스키 또는 스키를 호함한 캐리어의 도난 방지기능을 달성하기가 어리운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자는 상기한 결점을 시정하여 자동차의 지붕위에 견고하계 부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차의 지붕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도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스키의 도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판상체의 고정판제와 그 저면에 부착된 고무자석판으로 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어 스키를 지지고정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과 캐리어 본체의 축삽입공에 설치된 진공흡착수단 및 상기 캐리어 본체에 힌지로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본체의 스키고정부와 진공흡착수단의 레버를 덮는 덮개로 구성한 스키 캐리어를 1993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91호로 출원한 바 있다.
그러나 스키 캐리어는 겨울철에 자동차의 지붕위에 부착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나 눈이와서 고정판체의 지면에 부착된 고무자석판의 주연부 부분에서 물이 얼을 때 어름의 팽창에 의하여 지붕과 고무자석판의 사이에 간극이 생기므로 고무자석판이 지붕에서 분리되어 스키 캐리어의 부착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점이 생기는것을 발견하였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지붕에 견고하게 부착되고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스키의 도난을 확실하게 방지하고 고무자석판의 주연부로 비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결빙에 의한 고무자석판의 분리를 방지토록 한스키 캐리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판상체의 고정판체와 그 저면에 부착된 고무자석판으로 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고정되어 스키를 지지고정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과 캐리어본체의 축삽입공에 설치한 진공흡착수단과, 상기 캐리어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캐리어본체의 스키고정부와 진공흡착수단의 레버를 덮는 덮개 및 상기 고정부재의 주연부에 부착된 수분침투방지수단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로서, 자동차의 지붕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10)와, 상기고정부재(l0)에 고정되어 스키를 지지고정하는 캐리어 본체(2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중앙과 캐리어 본체(20)의 축삽입공에 설치된 진공흡착수단(30)과, 상기 캐리어 본체(20)의 스키고정부(22)와 진공흡착수단(30)의 레버(37)을 덮는 덮개(50)와, 상기 덮개(50)를 캐리어 본체(20)에 잠그기 위한 잠금수단(60) 및 상기 고정부재(10)의 주연부에 부착된 수분침투방지수단(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1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된 판상체의 고정판체(11)와 그 저면에 부착된 고무자석판(12)으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판체(11)와 고무자석판(12)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진공흡착판(31)이 삽입되는 진공흡착판 삽입부(32)가 진공흡착판(31)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본체(20)는 고정부재(10)에 스크류로 고정하며 고정판체(11)상에 밀착되는 받침부(21)와, 이받침부(21)의 상부에 일체호 형성된 좌우 2개의 스키고정부(22)와 그 스키고정부(22) 사이에 헝성되는 축삽입공(25) 및 록킹부(61)로 구성된다.
상기 스키고정부(22)는 받침부(21)의 좌우측에 형성된 연결리브(28)에 의하여 받침부(21)와 일체로 형성하고 스키지지부(23)에 직각으로 스키모서리지지부(24)를 형성하며 스키지지부(23)와 스키모서리지지부(24)의 상단부에 밴드걸이(26) (27)를 형성하여 탄성밴드(B)를 걸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진공흡착수단(30)은 캐리어 본체(20)의 받침부(21)의 저면에 원헝상으로 돌출된 누름편(35)과 진공흡착판 삽입부(32)에 설치되는 진공흡착판(31)과 그 진공흡착판(31)의 상면에 상기 누름편(35)의 외경이 접하게 돌출 형성된 원형상의 받침편(36)과 캐리어 본체(20)의 중앙부에 천공된 축삽입공(25)을 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작동축(33)의 상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축(33)을 승하강시키는 레버(37)로 구성하여 레버(37)에 의하여 진공흡착판(31)의 중심부에 고정된 작동축(33)이 상승할때 진공흡착판(31)의 외경쪽은 상기 누름편(35)에 의해 고정되고 진공흡착판(31)의 중앙부가 들리게 되어 진공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레버(37)는 축연결부(37')와 손잡이부(37'')로 구성되며, 축연결부(37')는 작동축(33)의 상단에 핀(38)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축연결부(37')는 캐리어 본체의 축삽입공(25)의 주위에 형성되는 레버 지지면(29)에 접촉되는 서로 인접하는 접촉면(a) (b)을 가지며 한쪽 접촉면(a)에서 핀(38)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다른쪽 접촉면(b)에서 핀(38)의 중심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형성하므로서 한쪽 접촉면(a)이 레버지지면(29)에 접촉된 상태에서 작동축(33)을 상승시켜 흡착작용을 하고 다른쪽 접촉면(b)이 레이지면(29)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작동축(33)이 하강하여 진공흡착판(31)의 흡착작용이 해제되도록 한다.
상기 작동축(33)에는 진공흡작판(31)의 상면과 캐리어 본체(20) 하부의 받침부(21) 저면 사이에 탄력지지되는 완충부재(39)가 끼워져 있어 자동차의 주행시에 발생되는 진동 등이 캐리어 본체(20)에 직접 접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스키를 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진공흡착판(31)을 지붕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게한 진공해제수단(40)이 두설되는바 이 진공해제수단은 상기 고정판체(11)의 진공흡착판 삽입부(32)의 일측에 걸림돌기(41)를 형성하고 진공흡착판(31)의 일측주연에 돌기(42)를 형성하여 이 돌기(42)가 상기 걸림돌기(41)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며, 상기 걸림돌기(41)가 형성된 쪽의 고정판체(11)의 일측에 손잡이(43)를 설치한다.
상기 덥개(50)는 캐리어 본체(20)의 스키고정부(22)를 덮으면서 레버지지면(29)에 위치한 레버(37)를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덮개부(51)와 본체(20)의 일측이 힌지 연결되는 힌지연결부(52)로 구성된다.
상기 잠금수단(60)은 캐리어 본체(20)의 타측에 형성된 록킹부(61)와 상기 톡킹부(61)에 걸리는 록크(62)와 이 록크(62)를 회동시키는 자물쇠 뭉치(64)가 덮개(50)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자물쇠 뭉치(64)에는 보호덮개(63)를 설치하여 눈이나 비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분침투방지수단(70)은 고정부재(10)의 주연부에 설치되는 바 고정판체(11)보다 고무자석판(12)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고정판체(11)의 주연하부와 고무자석판(12)의 측면에 부착된 폴리우레탄 등의 발포성형체로 되며 단면이 직사각형인 가스킷을(71)으로 되어 있다.
또한 수분침투방지수단(70)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판체(11)보다 고무자석판(12)의 직경을 작게 형성하고 고정판체(11)의 주연부에 껴워 고정되는 삽입홈(72)이 형성된 패킹(73)으로 도 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스키 캐리어 덮개(50)을 위로 들어올려 개방하고 레버(37)를 축연결부(37')의 핀(38)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짧은쪽 접촉면(b)이 레버지지면(29)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시켜서 자동차의 지붕위에 올려 놓으면(제2도 참조) 고정판체(11)에 부착된 고무자석판(12)이 자력에 의하여 고정되며, 이 상태에서 레버(37)을 축연결부(37')의 핀(38)의 중심까지의 거리가 긴 접촉면(a)이 레버비지면(29)에 접촉되는 상태로 회동시키면 작동축(33)이 상승되면서 그 하단에 고정된 진공 흡착판(31)의 중심부를 끌어을려 진공흡착판(31)의 저면이 오목하게 된다.
이때 핀(38)의 중심과의 거리가 짧은 접촉면(b)이 레버지지면(29)에 접촉된 상태에서 진공흡착판(31)의 저면과 지붕의 상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제적보다 핀(38)의 중심과의 거리가 긴 접촉면(a)이 레버지지면(29)에 접촉된 상태로 되었을 때의 진공흡착판(31)의 저면과 지붕상면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체적이 커지게 되면서 이 공간내에는 부압이 발생되어 진공흡착판(31)은 지붕의 상면에 진공흡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스키 캐리어는 고정판체(11)에 부착된 고무자석판(12)의 자력에 의한 흡착작용과 진공흡착판(31)의 진공흡착작용으로 자동차의 지붕위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및 사람이 손잡이(43)를 들어오리는 것에 의하여 분리될 염려가 없으며, 또한 고무자석판(12)은 그 상면에 금속재 등으로 된 일정폭의 고정판체(11)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고무자석판(11)과 지붕사이로 드라이버등을 삽입하기가 어려울 뿐 아니라 만일 삽입한다 하여도 진공흡착판(31)에는 도달하지 못하므로 진공흡착판(31)의 진공을 해제하지 않고는 그 분리가 불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으호 한쌍의 스키 캐리어를 지붕위의 전후방에 부착 하고 탄성밴드(B)를 일측 밴드걸이(27)에서 분리한 다음 스키모서리지지부(24)에 스키의 모서리가 접함과 동시에 스키지지부(23)에 스키의 면부가 접하도록 걸쳐놓고 분리 되었던 탄성밴드(B)를 밴드걸이(27)에 고정한다.
그리고 나서 개방되어 있던 덮개(50)를 아래로 회동시켜 캐리어 본체(20)의 스키고정부(22)및 레버(37)를 덮개부(51)에 의하여 덮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 다음 덮개(5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자물쇠뭉치(64)에 키를 끼워 잠금방향으로 돌러서 콕크(62)가 록킹부(61)에 걸려서 잠기게 하여 덥개(50)를 임의로 개방할 수 하게 되며, 레버(37)는 덮개부(51)에 의해 덮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레버(37)를 임의로 젖힐 수 없게 되므로서 스키 캐리어를 임으로 분리할 수 없게 되어 스키 캐리어와 스키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스키를 사용하기 위하여 스키 캐리어로부터 스키를 분리 시킴에 있어서는 상기의 조작의 역순에의해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자물쇠뭉치(64)에 키를 삽입하고 열림방향으로 돌려 록크(62)를 회동시켜 록크(62)가 록킹부(61)로 부터 빠지게 하여 잠금상태를 해제시키고 덮개(50)를 회동시켜 열고 탄성밴드(B)를 해제하면 스키(S)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스키를 분리시킨 후에는 탄성밴드(B)를 밴드걸이(27)에 걸고 덮개(50)을 닫은 다음 잠금수단(60)에 의해 잠금으로써 스키 캐리어를 분리할 수 없도록 하여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키를 스키 캐리어에 고정하고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은 고무자석판(12)과 진공흡착판(31)에 의해 1차 흡수되고 진공흡착판(31)과 받침부(21)의 저면사이에 설치된 완충부재(39)에 흡수되여 스키 캐리어의 본체(20)와 스키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스키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스키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잠금수단에 의한 잠금을 헤제하고 덮개(50)를 개방한 상태에서 레버(37)를 회동시켜 핀(38)까지의 거리가 짧은 접촉면(b)이 레버지지면(29)에 접촉되게 하여 작동축(33)을 하강시켜 진공흡착판(31)을 제2도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한후 손잡이(43)를 약간 들어올리면 고정판체(11)의 걸림돌기(41)가 진공흡착판의 돌기(42)를 위로 들어올리므로 진공흡착판(31)의 일측이 약간들린 상태를 유지하여 그 곳으로 공기가 들어감으로 부압이 제거되어 스키캐리어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스키 캐리어를 자동차의 지붕위에 부착한 상태에서 비나 눈이 내렸을 경우 고정부재(10)의 주연부에 부착된 가스킷 또는 패킹은 고무자석판의 주연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므로서 종래 기온이 급강하하여 고무자석판의 주연부에 침투되는 물이 얼을 때의 팽창에 의하여 고무자석판이 지붕에서 자연히 분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손쉽게 분리할 수 있고 하나의 진공흡착판과 고무자석판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부착설치할 수 있으며 지붕에 손상을 주지않고 구조가 간단하다.
또한 스키 캐리어와 스키의 도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동차의 주행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스키를 보호하여 스키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나 이내려서 고무자석판의 주연부로 수분이 침투되는것을 방지하여 종래 물이 얼을 때의 팽창에 의하여 고무자석판이 지붕위에서 분리되던 현상을 해소하므로서 고무자석판의 자력에 의한 고정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판상체의 고정판체와 그 저면에 부착된 고무자석판으로 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스키를 지지고정하는 캐리어 본체와, 상기 고정부재의 중앙과 캐리어 본체의 축삽입공에 설치한 진공흡착수단과, 상기캐리어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캐리어본체의 스키고정부와 진공흡착수단의 레버를 덮는 덮개 및 상기 고정부재의 주연부에 부착된 수분침투방지수단으로 구성된 스키 캐리어.
  2. 제1항에 있어서, 수분침투방지수단은 가스킷인 스키 캐리어.
  3. 제1항에 있어서, 수분침투방지수단은 삽입홈이 형성된 패킹을 고정판체의 주연부에 끼워 고정한 스키 캐리어.
KR2019930026587U 1993-12-07 1993-12-07 스키 캐리어 KR9500093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87U KR950009324Y1 (ko) 1993-12-07 1993-12-07 스키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587U KR950009324Y1 (ko) 1993-12-07 1993-12-07 스키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055U KR950018055U (ko) 1995-07-22
KR950009324Y1 true KR950009324Y1 (ko) 1995-10-25

Family

ID=1937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587U KR950009324Y1 (ko) 1993-12-07 1993-12-07 스키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3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055U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83071A1 (en) Carrier
US4297861A (en) Lock cover
KR950009324Y1 (ko) 스키 캐리어
US3721467A (en) Molded plastic cover to enclose a snowmobile on a trailer
JPH0952530A (ja) Tバールーフ車のハッチルーフ取付構造
KR960006441Y1 (ko) 자동차용 루프 캐리어
JPH0744327U (ja) スキーキャリア
KR950003234Y1 (ko) 스키 캐리어
KR960006442Y1 (ko) 자동차용 후프캐리어
KR940007438Y1 (ko) 스키 캐리어
KR200169775Y1 (ko) 자동차용 커버
KR0131621Y1 (ko) 캐리어
KR200347214Y1 (ko) 차량유리 성에방지장치
US5884514A (en) Key and alarm remote stabilizing device
JP3021177U (ja) 洗車時に鍵穴内部に水や泥などが入らないようにする装置
US20230130216A1 (en) Panel assembly, a panel, a mounting arrangement and method of securing same to a surface
KR970003167Y1 (ko) 자동차 유리의 결빙방지커버
KR200141092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금장치
JP3216052U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ガラス用カバー
KR910007879Y1 (ko) 타이어의 미끄럼 방지장치
KR200152213Y1 (ko) 차량용 빗물받이통
KR200374119Y1 (ko) 자동차 유리창의 성에 방지용 덮개
KR200445982Y1 (ko) 차량용 유리커버
JP2003144595A (ja) 競技用ゴールの固定具
KR200200132Y1 (ko) 자동차 유리 성에방지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