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59B1 -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 Google Patents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59B1
KR950009059B1 KR1019910018695A KR910018695A KR950009059B1 KR 950009059 B1 KR950009059 B1 KR 950009059B1 KR 1019910018695 A KR1019910018695 A KR 1019910018695A KR 910018695 A KR910018695 A KR 910018695A KR 950009059 B1 KR950009059 B1 KR 95000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ift
parking
pallets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맹훈
Original Assignee
강타훈
강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타훈, 강맹훈 filed Critical 강타훈
Priority to KR101991001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059B1/ko
Priority to PCT/KR1992/000049 priority patent/WO1993008352A1/ja
Priority to AU27757/92A priority patent/AU27757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59B1/ko

Link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제1도의 (a) 내지 (e)는 종래 승강기식 주차빌딩의 리프트 운행방법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종래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빌딩의 1충 평면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주차빌딩의 1층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주차빌딩의 1층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파레트 적재수단 제1실시예의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파레트 적재수단 제2실시예의 구성도.
제7도의 (a)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파레트의 평면도.
(b)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파레트의 우측면도.
(c)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파레트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 따른 파레트와 그 구동수단 및 리프트의 작동상태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를 중복 설치한 주차빌딩의 1층 평면도.
제10도는 (a) 내지 (e)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를 확장 적용하는 주차빌딩의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주차빌딩 8 : 리프트
9 : 파레트 10 : 파레트 구동수단
11 : 파레트 적재수단
본 발명은 주차빌딩 특히, 승강기식 또는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빌딩에서 차량적재를 위한 파레트를 입, 출고 지점에 적층시켜두고 차량의 입, 출고시마다 파레트를 1개씩 인출 또는 회수 적재시키므로서 주차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의 일환으로 승강기식 주차장(주차빌딩)과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이 제시되고있는 바 이들은 공히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기계기구에 의하여 빌딩의 각 층마다 차량을 운반, 적재적소에 입고 및 출고를 수행하는 운행제어가 제어기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즉, 종래의 기계식 주차설비에서는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파레트, 상기 파레트를 수직 운반하기 위한 승강기로서 로더 또는 파레트에 적재된 차량을 수직 운반하기 위한 리프트, 차량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기구인 턴테이블, 입, 출고할 층에 도달하였을 때 차량을 좌, 우 방향으로 이동 운반시키기 위한 슬라이더, 입, 출고할 층에서 차량을 전, 후방으로 주행(운반)시키기 위한 카트, 그리고 상기한 제반 장치들의 자동제어를 위한 제어기기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슬라이더의 경우는 승강기식 주차장에서는 로더 또는 리프트에 장착시키고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에서는 카트에 장착시키며 카트는 전후진 주행대차로서 승강기 슬라이드식에만 이용되는 설비로서 이와같이 종래의 기계식 주차장에서 이루어지는 리프트 운행과정을 제1도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의 (a)는 입고를 위한 차량(1)이 파레트(2)에 적재되어 슬라이더의 작동으로 파레트(2)가 차량(1)과 함께 리프트(3)위로 당겨져서 리프트(3)에 실려있는 차량 진입단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서 리프트(3)가 입고 지정위치(B1)로 상승하고(제1도의 (b)파레트(2)와 함께 차량(1)이 슬라이더의 작동으로 입고 지정위치(B1)에 주차된다(제1도의 (c)).
이어서 제1도의 (d)에서와 같이 리프트(3)가 적재되지 않은 파레트 지정위치(B2)로 승강 이동된후 그 위치(B2)의 빈 파레트(2')를 슬라이더의 작동으로 리프트(3)위에 끌어당겨서 적재하고 제1도의 (e)에서와 같이 출입구로 하강하여 상기와 같운 일련의 동작을 반복하므로서 다음 차량을 해당층에 주차시키는 것이다.
한편, 출고시에도 상기와 같이 출고시킬 차량위치로 리프트(3)가 이동하고 슬라이더의 작동으로 파레트(2)를 병진 주행시켜 출고를 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슬라이더는 리프트(3)에 장착되는데 다른 경우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에서는 카트를 사용하여 임의의 층내에서의 차량 전후진 주행과 입, 출고가 수행된다.
즉,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에서는 리프트(3)가 제1도의 (a) 내지 (e)와 같은 동작으로 제2도에서와 같이 임의의 층에 도달하면 카트(4)에 장치된 슬라이더(5)가 슬라이더(5)에서 출몰하는 아암(6)의 작동으로 파레트(2)를 카트(4)위로 끌어당겨서 적재하고 이어서 그 층내에서의 주차위치로 카트(4)가 전후진 주행한 후 주차위치에서 슬라이더(5)의 작동으로 파레트(2)를 주차위치에 밀어넣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므로서 차량(1)의 입고(출고도 동일)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기계식 주차장에 의하면 차량의 입, 출고가 1대 출고시 1대 입고를 대기하는 경우가 이상적인 경우이지만 실제의 운영은 입고와 출고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2대 이상의 차량이 연속하여 입고할 경우 주차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즉,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빌딩내의 매 층마다 그리고 매 주차위치마다 파레트(2)가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입고시에는 먼저 리프트(3)가 차량이 적재되지 않은 빈 파레트(2')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슬라이더(5)를 작동시켜 빈 파레트(2')를 적재한 후 출입구 위치에 도착하고 이어서 차량을 파레트(2')위에 적재시켜 입고위치로 재 상승한 후 주차시키는 과정이 입, 출고 공히 반복되므로 파레트(2')의 적재와 리프트(3)의 승강, 이에 수반되는 슬라이더(5)의 작동(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에서는 카트(4)의 작동이 병행)등으로 인하여 주차시간이 연장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기계식 주차장에 의하면 슬라이더(5)의 작동중에는 리프트(3) 또는 카트(4)가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주차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된다.
이는 슬라이더(5)가 파레트(2)를 리프트 또는 카트위로 끌어당기기 위하여 파레트(2)쪽으로 이동되는 아암(6)이 펼쳐지게 됨에 다라 리프트(3)의 승강이 불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제약으로 인하여 리프트(3)의 불필요한 이동 및 불필요한 정지시간의 증가로 차량의 입, 출고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고 이에따라 다음 진입차량의 대기시간 또한 길어지게 되어 주차능률이 감소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진입로에 다른 대지 이용상의 문제 즉, 수용대수를 늘리기 위하여 주차빌딩의 층고를 높이거나 또는 제1도의 구조물을 병렬로 설치해야 되기 때문에 1개의 출입구에서 충고를 높이게 되면 주차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병렬로 설치하면 출입구가 증가하는데 따른 대지 점유 면적의 증가 및 이에 적절한 대지 조건의 충족이 요구되는 등의 제약과 문제점이 초래되었던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점을 다소 개선하고자 제시되고 있는 종래의 입체 주차설비로서, 일본국 특개평 2-122373호 및 일본국 특개평 2-311673호로 공개된 기술이 있다.
이 기술은,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건물의 지하까지 연장하고, 빈 파레트를 수납할 보관부를 상기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 종단에 설치하며, 이 파레트 보관부는 다수의 빈 파레트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층층으로 구성된 선반을 별도로 설치한 구성으로서, 차량을 입고시킬 때에는, 리프트가 승강로를 따라 지하까지 연장된 파레트 보관부까지 직접 하강하여 다수의 선분들 사이 사이에 보관되어 있는 빈 파레트중 한 개를 인출하여 적재하고, 다시 차량 입고 위치까지 빈 파레트를 탑재한 상태로 리프트가 상승하여 차량을 탑재한 다음, 리프트가 주차실까지 상승하여 차량을 입고시키고, 차량을 충고시킬 때에는 주차실까지 리프트가 상승하여 차량을 탑재한 다음 출과 위치까지 하강하여 차량이 출고되면, 리프트가 더욱 하강하여 다시 파레트 보관부까지 빈 파레트를 싣고 이동한 후, 적절한 선반 위치에서 정지하여 빈 파레트를 빈 선반위에 보관한 다음,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 위치까지 또 상승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차량의 입고와 출고, 빈 파레트의 보관과 인출을 실행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파레트 보관부가 승강로를 따라 건물의 지하까지 연장된 위치에 설치되는데다, 파레트 보관부에는 일일이 빈 파레트들을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선반을 설치해야 되며, 따라서, 파레트 보관부로부터 빈 파레트의 인출과 수납을 위해서는 리프트가 직접 파레트 보관부까지 운행해야 되기 때문에 차량의 주차(입고 및 출고)에 걸리는 시간이 리프트의 보관부 운행 시간만큼 길어지게 되는 제약이 있다.
또한, 승강로에 연장되어 파레트 보관부가 있어야 하고, 이 보관부까지 리프트가 직접 운행해야 되기 때문에 다양한 대지 조건에 적응하기 어려우며, 병렬의 동시 입고 및 출고를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없는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은 주차빌딩내의 매 층, 매 주차위치마다 파레트가 지정, 구비되어야 하는 종래 방식에서 탈피하여, 차량 출입구 일측에 다수의 파레트를 적층시켜 보관해두고 입고 또는 출고시마다 출입구측에서 파레트를 인출 또는 회수하므로서, 리프트의 불필요한 승강동작을 배제시켜 주차시간과 주차장 진입을 위한 대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출입구 위치에서 파레트의 이송을 수행하는 슬라이더를 체인 또는 기어에 의한 파레트의 이송수단으로 구비하므로서 리프트의 정지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대지 이용에 수반되는 제약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주차빌딩의 입, 출고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차빌딩의 입, 출고 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건물의 지하까지 연장하고,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에 빈 파레트를 수납할 다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파레트 보관부를 설치하며, 차량을 적재한 리프트를 이용해서 승강로를 따라 승강시켜 차량의 입고와 출고를 실행하게 하고, 차량 출고후 상기 리프트에 적재된 빈 파레트는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를 따라 리프트를 이송시켜 파레트 보관부까지 운반하여 선반위에 수납하며, 차량의 입고시에는 리프트를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를 따라 이송시켜, 파레트 보관부의 선반에 보관된 빈 파레트를 끌어내서 리프트에 적재한 채 원위치하여 차량을 파레트 위에 적재한 다음, 주차실까지 이송시키는 주차빌딩의 입고 및 출고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입, 출고를 위하여 주차빌딩(7)에서 차량과 함께 파레트를 적재한 상태로 승광되는 수단으로서, 승강로를 따라차량의 입고 및 출고위치와 주차실 사이에서만 승강하고, 파레트 구동수단(10)의 작동에 의해서 파레트가 적재되거나 또는 회수되는 리프트(8)와,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해 차량을 적재하고 리프트(8)에 탑재되어 주차실 또는 입고 및 출고 위치까지 이송되는 수단으로서, 서로 차곡차곡 적층 가능하고, 파레트 구동수단(10)의 작동에 의해서 파레트 적재수단(1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의 리프트(8)위로 이송되거나 또는, 상기의 리프트(8)에서 인출되어 파레트 적재수단(11)측으로 이송되어 차곡차곡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파레트(9)와 ; 리프트(8)와 파레트 적재수단(11) 사이에서 상기 파레트(9)를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파레트 적재수단(11)에 차곡차곡 적층되어 있는 파레트중 최상단의 파레트를 끌어내서 상기의 리프트(8)에 적재시키거나 또는 리프트(8)위에 있는 파레트(9)를 리프트(8)에서 끌어내서 파레트 적재수단(11)으로 이송하여 차곡차곡 적층시키는 파레트 구동수단(10)과; 차량 출고시에는 빈 파레트를 보관하고, 차량 입고시에는 빈 파레트를 공급해 주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파레트들이 차곡차곡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며, 차량의 입, 출고가 수행될때마다 상기 파레트 구동수단(10)의 작동에의해서 빈 파레트를 리프트(8)측으로 공급해주거나 또는 리프트(8)에서 끌어낸 빈 파레트가 회수되어 차곡차곡 적층되고, 파레트가 인출될때마다 기 적층된 다수의 파레트 전체가 소정높이 상승하며 파레트가 회수될때마다 기 적층된 다수의 파레트 전체가 소정높이 하강되어 파레트를 보관하는 파레트 적재수단(11);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입, 출고장치의 동작은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차량의 입고시에는 출입구(A)를 통해 파레트(9)위에 차량이 진입하여 적재되면 파레트 구동수단(10)에 의하여 파레트(9)가 리프트(8)위로 옮겨지면서 동시에 파레트 적재수단(11) 최상단에 위치해 있던 빈 파레트(9-1)가 출입구(A)로 인출되어 다음 차량이 진입하게 된다.
또한 이와같이 빈 파레트(9-1)가 출입구(A)로 인출되면 적층된 파레트(9-2 내지 9-n)전체가 파레트 적재수단(11)에 의하여 파레트 1개 높이만큼 상승되어 다음 위치의 파레트(9-2)가 인출 대기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리프트(8)위에 적재된 파레트(9)는 차량과 함께 입고위치까지 이동되어 주차되며 이는 종래의 승강기식 주차장 또는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에서 리프트 운행장치 동작에 따른다.
이와같은 동작이 차량 입고시마다 수행되어 파레트(9-2 내지 9-n)의 1개씩 인출에 따른 적재와 입고가 행해진다.
한편, 차량의 출고시에는 주차위치에서부터 파레트(9)와 함께 리프트(8)로 적재된 차량이 리프트(8)와 함께 출이북(A)층으로 하강되고 적층된 파레트(9-2 내지 9-n)전체가 파레트 적재수단(11)에 의하여 파레트 1개 높이만큼 하강되어 최상단에 위치해 있던 파레트(9)의 회수 대기상태에 놓이게 되며 파레트 구동수단(10)이 입고시와 역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출입구(A)에 위치해 있던 파레트(9)가 파레트 구동수단(10)에 의하여 파레트 적재수단(11)측으로 옮겨져서 최상단 파레트(9-2)위에 적층되어 회수됨과 동시에 리프트(8)위에 적재된 파레트(9)가 차량과 함께 출입구(A)로 옮겨져서 출고가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동작이 차량 출고시마다 수행되어 파레트(9-1 내지 9-n)의 회수에 따른 적재와 출고가 행해진다.
즉,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서는 파레트(9 : 9-1 내지 9-n)들이 각 주차위치에 설치되지 않으며 그 적재수단(11) 즉, 출입구(A)일측에 적층된 형태로 동시 보관되어 있고 입고시에는 적층된 파레트(9-1 내지 9-n)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파레트(9-1)부터 1개씩 차례로 인출하여 입고 위치로 보내지게 되며 출고시에는 빈 파레트를 파레트 적재수단(11)으로 회수하여 보관하는 방식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서 파레트(9), 파레트 구동수단(10), 파레트 적재수단(11)을 각 실시예별로 도면 참조하여 그 동작을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5도는 파레트 적재수단(11)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다수의 파레트(9-1 내지 9-n)가 적층되어 실려있는 파레트 리프트(12)와, 상기 파레트 리프트(12)를 단계적이고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구동모터(13)와 파레트 리프트(12)사이를 연결하는 리프트 업/다운용 강선(14)과, 구동모터(13)에 의하여 강선(14)을 감거나 풀어주며 자체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풀리(15)와, 각 힘점에서 강선(14)을 지탱해 주기 위한 도르래(16)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콩크리이트벽(17)내에 설치되고 도시생략된 통상의 전자제어기(예 : 마이컴)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 승강 가능하게 구동모터(13)의 정.역회전 및 정지 구동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제3도에서의 차량 입고 또는 출고시에 구동모터(13)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고 그에 따라 풀리(15)가 강산(14)을 일정한 길이씩 감거나 풀게되어 파레트 리프트(12)가 소정 높이 승강된다.
제6도는 파레트 적재수단(11)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그 구성은, 파레트 리프트(12)를 단계적이고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유압실린더(18)와, 상기 유압실린더(18)의 동력을 파레트 리프트(12)에 전달해 주는 링크(19)로 구성되며, 콩크리트벽(17)내에 설치되고 링크(19)가 파레트 리프트(12)를 받쳐주며 도시생략된 통상의 전자제어기에 의하여 일정한 높이 승강 가능한 유압실린더(18)를 구동 제어한다.
제7도의 (a) 내지 (c)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서 파레트(9 : 9-1 내지 9-n)의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강을 위한 절곡구조의 판몸체(20) 상면에는 종방향으로 차량의 진입과 후진을 위한 바퀴 레일홈(21)이 형성되고 횡방향으로는 관몸체(20)가 적층된 상태에서의 위치이동과 적층높이 축소를 위한 이송레일홈(22)이 형성되며 이송레일홈(22)저면에는 이송을 위한 로울러(23)가 설치됨과 동시에 동력을 받기 위한 톱니줄(24)가 형성된 구성이다.
즉, 판몸체(20)상면의 이송레일홈(22)에는 다른 파레트 하측면의 로울러(23)가 끼워져서 차례 차례 적층될 수 있고 로울러(23)가 이송레이홈(22)을 따라 횡으로 구름 운동하여 판몸체(20)의 횡방향으로의 이동 즉, 제3도에서의 리프트(8)와 적재수단(11) 상호간의 이동이 이루어지며 이송레이홈(22)의 깊이만큼 각 파레트(9-1 내지 9-n)들이 중첩 적층되어 그 전체적인 층 적층 높이를 줄여주게 된다.
그리고 판몸체(20) 하측면에는 두줄 또는 그 이상의 톱니줄(24)이 형성되어 구동수단(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제8도는 본 발명 입, 출고장치에서 파레트 구동수단(10)의 구성과 동작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체인기어(25, 25')와, 파레트의 톱니줄(24)에 결합되는 체인(26) 및 체인기어(25, 25')를 소정높이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27)로 구성되며 체인(26)의폭은 파레트(9)의 폭보다 크고 인접한 파레트(9-1, 9') 즉, 적재수단(11)측의 파레트(9-1)와 리프트(8)측의 파레트(9')를 동시에 구동 가능하게 각각의 톱니줄(24)이 함께 물릴 수 있는 위치관계를 유지하며 승강구동기(27)는 체인기어(25, 25')와 함께 체인(26)을 소정 높이 상승시켜 체인(26)이 톱니줄(24)에 물리거나 또는 소정높이 하강시켜 체인(26)을 톱니줄(24)에서 분리시키는 작동 기구이다.
따라서 제3도에서이 차량 입고시에는, 승강구동기(27)에 의하여 체인기어(25, 25') 및 체인(26)이 상승하여 각 파레트(9 : 9-1)들의 톱니줄(24)에 물리고 이어서, 모터구동에 따른 체인기어(25, 25')의 구동으로 체인(2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파레트(9)(차량 적재)가 리프트(8)위의 파레트(9')위치로 병진 이동함과 동시에, 파레트 적재수단(11)측의 최상단 파레트(9-1)가 체인 기어(26)상면 즉, 기존의 파레트(9)위치로 끌어당겨져서 다음 차량의 입고 대기상태가 된다.
물론 이 경우에 각각의 파레트(9, 9', 9-1)들은 제7도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로울러(23)의 구름 운동에 의하여 이동하게 되며, 카트 또는 리프트(8)상에 레일을 구비하므로서 그 레일을 따라 정확하고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차량의 출고시에는 상기와 역순의 동작으로 파레트(9)가 회수됨은 상기한 바와같고 이와 같이 파레트(9, 9', 9-1)가 정위치 이송되면 승강구동기(27)에 의하여 체인기어(25, 25') 및 체인(26)이 톱니줄(26)에 분리되어 다음 동작에 대비하게 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 입, 출고장치를 중복하여 설치한 경우의 승강기 슬라이드식 주차장 제1층 평면도이다.
즉, 출입구(A)앞에는 전, 후진 이동이 필요없으므로 파레트 구동수단(10)만을 설치하고 중복 설치되는 입, 출고 부분에는 카트(4)를 설치한 경우이며 대지 조건상의 제약으로 출입구(A)의 증설이 곤란한 경우에 적합한 실시예이다.
이 경우에는 차량의 2대 동시에 입고가 가능하며 중복 설치대수의 증가를 통해 주차시간은 더욱 단축되고 1개의 출입구(A)로서 1렬 주차하므로 리프트(8)의 정지시간이 단축된다.
제10도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입, 출고장치를 확장 적용한 경우의 주차빌딩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빌딩상에서 1개의 주차공간열(F1)과 1개의 승강통로(E1)에 대하여 파레트 적재부(L1)를 설치한 주차설비의 경우이고, (b)는 (a)도의 설비를 대향시켜 2개의 주차공간열(F1, F2)을 설치한 주차설비의 경우이고, (c)는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주차설비의 경우이고, (d) 및 (c)는 이를 중복 내지 병합한 경우의 주차설비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차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주차장 운영효율의 극대화 및 불필요한 리프트 운행배제로 인한 전기에너지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운용비용의 절감과 경제성 향상, 대지 조건상의 제약을 극복하여 기계식 주차장의 외부진입로의 조건에 관계없이 대량 주차시에도 자주식 주차장에 가까운 주차시간 단축이 가능하여 주차난 해소와 도심지 교통소통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를 건물의 지하까지 연장하고,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에 빈 파레트를 수납할 다수의 선반을 포함하는 파레트 보관부를 설치하며, 차량을 적재한 파레트를 리프트를 이용해 승강로를 따라 승강시켜 차량의 입고와 출고를 실행하게 하고, 차량 출고후 상기 리프트에 적재된 빈 파레트는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를 따라 리프트를 이송시켜 파레트 보관부까지 운반하여 선반위에 수납하며, 차량의 입고시에는 리프트를 지하까지 연장된 승강로를 따라 이송시켜, 파레트 보관부의 선반에 보관된 빈 파레트를 끌어내서 리프트에 적재한 채 원위치하여 차량을 파레트 위에 적재한 다음, 주차실까지 이송시키는 주차빌딩의 입고 및 출고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입, 출고를 위하여 주차빌딩(7)에서 차량과 함께 파레트를 적재한 상태로 승강되는 수단으로서, 승강로를 따라 차량의 입고 및 출고위치와 주차실 사이에서만 승강하고, 파레트 구동수단(10)의 작동에 의해서 파레트가 적재되거나 또는 회수되는 리프트(8)와; 차량의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해 차량을 적재하고 파레트(8)에 탑재되어 주차실 또는 입고 및 출고 위치까지 이송되는 수단으로서, 서로 차곡차곡 적층 가능하고, 파레트 구동수단(10)의 작동에 의해서 파레트 적재수단(1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기의 리프트(8)위로 이송되거나 또는, 상기의 리프트(8)에서 인출되어 파레트 적재수단(11)측으로 이송되어 차곡차곡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파레트(9)와; 리프트(8)와 파레트 적재수단(11) 사이에서 상기 파레트(9)를 이송하는 수단으로서, 파레트 적재수단(11)에 차곡차곡 적층되어 있는 파레트중 최상단의 파레트를 끌어내서 상기의 리프트(8)에 적재시키거나 또는 리프트(8)위에 있는 파레트(9)를 리프트(8)에서 끌어내서 파레트 적재수단(11)으로 이송하여 차곡차곡 적층시키는 파레트 구동수단(10)과, 차량 출고시에는 빈 파레트를 보관하고, 차량 입고시에는 빈 파레트를 공급해주는 수단으로서, 다수의 파레트들이 차곡차곡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며, 차량의 입, 출고가 수동될때마다 상기 파레트 구동수단(10)의 작동에 의해서 빈 파레트를 리프트(8)측으로 공급해 주거나 또는 리프트(8)에서 끌어낸 빈 파레트가 회수되어 차곡차곡 적층되고, 파레트가 인출될때마다 기 적층된 다수의 파레트 전체가 소정높이 상승하여 파레트가 회수될때마다 기 적층된 다수의 파레트 전체가 소정높이 하강되어 파레트를 보관하는 파레트 적재수단(11);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레트 적재수단(11)은 다수의 파레트(9-1 내지 9-n)가 적층되어 실려있는 파레트 리프트(12)와, 상기 파레트 리프트(12)를 단계적이고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구동모터(13)와, 상기 구동모터(13)와 파레트 리프트(12)사이를 연결하는 리프트 업/다운용 강선(14)과, 구동모터(13)에 의하여 강선(14)을 감거나 풀어주며 자체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풀리(15)와, 각 힘점에서 강선(14)을 지탱해 주기 위한 도르레(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eld의 입, 출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파레트 적재수단(11)은 파레트 리프트(12)를 단계적이고 일정한 높이로 승강시키기 위한 동력원으로서의 유압실린더(18)와, 상기 유압실린더(18)의 동력을 파레트 리프트(12)에 전달해주는 링크(1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파레트(9)는 보강을 위한 절곡구조의 판몸체(20)상면에는 판몸체(20)가 적층된 상태에서의 위치이동과 적층높이 축소를 위한 이송레일홈(22)이 형성되며, 그 저면에는 동력을 받기 위한 톱니줄(2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파레트 구동수단(10)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어 파레트 적재수단(11), 출입구(A), 리프트(8)상의 파레트를 동시 작동시키는 체인기어(25, 25')와, 파레트의 톱니줄(24)에 결합되는 체인(26)과, 상기 체인(26) 및 체인기어(25, 25')를 소정높이 승강 구동시키기 위한 승강구동기(2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파레트 적재수단(11)과 리프트(8)와 파레트 구동수단(10)을 복수로 중첩하여 출입구(A)측에 나란히 배열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파레트의 톱니줄(24)을 2줄이상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KR1019910018695A 1991-10-23 1991-10-23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KR950009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695A KR950009059B1 (ko) 1991-10-23 1991-10-23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PCT/KR1992/000049 WO1993008352A1 (en) 1991-10-23 1992-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receiving automobiles for parking building
AU27757/92A AU2775792A (en) 1991-10-23 1992-10-21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receiving automobiles for parking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8695A KR950009059B1 (ko) 1991-10-23 1991-10-23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9059B1 true KR950009059B1 (ko) 1995-08-14

Family

ID=19321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695A KR950009059B1 (ko) 1991-10-23 1991-10-23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05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4865B2 (ja) マルチレベル駐車場及び方法
US36889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of automobiles
JPH09125733A (ja) 地下立体駐車装置
KR950009059B1 (ko) 주차빌딩의 입, 출고장치
KR950009060B1 (ko) 주차빌딩의 입, 출고방법
JP2002114314A (ja) 立体自動倉庫
CN212336854U (zh) 一种跨运式平面移动停车设备
WO199300835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and receiving automobiles for parking building
JP2863705B2 (ja) 機械式立体駐車装置
JP3056139B2 (ja) 機械式駐車場
CN111764718A (zh) 一种跨运式平面移动停车设备
WO1997048865A1 (fr) Systeme de parking a etages multiples et procede permettant d'y faire entrer ou d'en faire sortir des voitures
JPH09158513A (ja) 機械式駐車装置
JP2945873B2 (ja) 機械式立体駐車場
JP4065631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
JP2880115B2 (ja) 機械式駐車場
GB2175575A (en) Multilevel storehouse
JP3282007B2 (ja) 平面往復式駐車設備
JP2854743B2 (ja) 循環台車方式機械式立体駐車場
JP4335792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3657829B2 (ja) 平面往復式駐車装置及びその入出庫方法
JP2774764B2 (ja) 機械式駐車場
JP3295066B2 (ja) 多段式立体駐車装置
JP4065633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2945845B2 (ja) チェーン搬送機構および機械式駐車場におけるパレット移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1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