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041Y1 - 무개화차 하역장치 - Google Patents

무개화차 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041Y1
KR950009041Y1 KR2019930013835U KR930013835U KR950009041Y1 KR 950009041 Y1 KR950009041 Y1 KR 950009041Y1 KR 2019930013835 U KR2019930013835 U KR 2019930013835U KR 930013835 U KR930013835 U KR 930013835U KR 950009041 Y1 KR950009041 Y1 KR 950009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craper
fixed
flat ca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714U (ko
Inventor
안성식
Original Assignee
안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식 filed Critical 안성식
Priority to KR2019930013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9041Y1/ko
Publication of KR9500037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0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6Unloading land vehicles using rakes or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4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cars or linked car-trains with individual load-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개화차 하역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룰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종단면도.
제3도 (a) (b)는 제2도 A, B선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기체 1 : 안전대
11 : 스크레이퍼 12 : 암
24 : 안내편 25 : 슬라이드
13,15,21,26,34,35 : 실린더 14 : 연결대
22 : 이송 컨베이어 23 : 호퍼
31 : 좌, 우 이동대차 32 : 남, 북 이동대차
본 고안은 무개화차에 적재. 이송되는 원자재(클링커, 석탄, 석고 슬래그, 석회석, 철광석 등)을 하역하는 무개화차 하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출원인이 기출원한 다수건의 무재화차 하역장치에 관한 것을 개선 보완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무개화차에 적재된 화물을 하역토록 한 것이며, 스크레이퍼가 무개화차에 적재된 화물을 이송 컨베이어 또는 이송스크류에 투입함으로 인하여 이송 스크류 또는 이송 컨베이어가 무개화차 밖으로 화차내의 화물을 무개화차 문을 개방치 않고 하역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이를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키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 (a) (b)는 제2도의 A, B선 확대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로서, 무개화차내의 화물을 담아 이송부(20)에 투입시키는 스크레이퍼부(10)와 스크레이퍼부(10)로부터 화물을 투입받아 무개화차 밖으로 이송하는 이송부(20), 스크레이퍼부(10)와 이송부(20)를 무개화차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이동을 시키고 스크레이퍼부(10)를 무개화차의 폭방향으로 남,북 이동시키는 이동대차부(30)로 대분된다.
저측에 바퀴(2)로서 이동수단을 강구하고 일측에 안전대(1)를 고정한 기체(A)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레이퍼부(10)와 이송부(20)를 장착한 좌,우 이동대차(31)가 활주할 수 있는 레일(33)을 설치하였다.
상기 레일(33)에는 바퀴(31')를 저면에 갖는 좌,우 이동대차(31)를 안착시키고 일측에는 일정폭을 개방시켜 남, 북으로 레일(33')을 설치하여 남, 북이동대차(32)를 안착시키며, 각 이동대차(31)(32)의 일측에 실린더(34)(35)를 고정하여 동 실린더(34) (35)의 작동에 의해 좌, 우 및 남, 북 이동대차(31)(32)가 이동토록 한 이동대차부(30)를 마련하며; 좌,우 이동대차(31)의 일측 저면에 (ㄴ)형 안내편(24)을 고정하여 좌,우 이동대차(31)의 측면에 고정된 푸싱 실린더(26)의 로드와 고정된 슬라이드(25)를 삽하고, 슬라이드(25)의 저면에 호퍼실린더(21)를 고정하고 동 실린더(21)의 로드에는 하측에 이송컨베이어 또는 이송스크류(22)를 설치한 투입호퍼(23)를 고정하여 스크레이퍼(11)로부터 전달받은 화물을 무개화차 밖으로 이송토록 하고, 호퍼실린더(21)와 푸싱실린더(26)의 신,축 작동에 의해 투입호퍼(23)가 상,하로 승,강 또는 일정간격 전,후 이동토록 하여 이송부(20)를 구성하며; 좌,우 이동대차(31)의 타측에 일정폭을 개방시켜 남,북으로 설치된 레일(33')에 안착된 남,북 이동대차(32)의 저면 일측에는 하단에 스크레이퍼(11)를 축핀으로 힌지고정한 암(12)을 역시 힌지고정하며, 타측에는 스크레이퍼(11)를 장착한 암(12)을 승, 강시킬 수 있는 암실린더(15)를 고정하고 동실린더(15)의 로드는 암(12)의 중간위치에 힌지고정하였다.
스크레이퍼(11)가 암(12)과 고정된 축핀을 기점으로 하여 일정각 상, 하 각운동할 수 있도록 암(12)상에 스크레이퍼 실린더(13)를 장착하여 동 실린더(13)의 로드와 연결된 연결대(14)와 스크레이퍼(11)의 상단을 힌지고 정하여 스크레이퍼부(l0)를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재 (50)은 무개화차를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즉, 무개화차가 들어오는 레일의 상부에 또 다른 레일을 나설하여 본 장치를 설치하여 무개화차에 적재된 화물을 무개화차 밖으로 이송시킨 후 다른 무개화차의 상부로 이동을 하여 작업을 행하게 되는 겻이다.
먼저, 호퍼실린더(21)를 신장시켜 기체 저면에 밀착되어 있던 이송 컨베이어 또는 이동 스크류(22)를 장착한 호퍼(23)를 작업에 용이한 적정의 위치로 하강시키게 된다.
호퍼(23)의 위치선정이 완료되면 암 실린더(15)를 신장시켜 암(12)의 하단에 힌지고정된 스크레이퍼(11)를 무개화차내로 진입시키고 암(12)상에 장착된 스크레이퍼 실린더(23)를 작동시켜 스크레이펴(l1)를 상, 하 일정각 각운동하게 하여 무개화차내의 적재화물을 스크레이퍼(11)가 담을 수 있게 한다. 이는 스크레이퍼 실린더(13)의 로드와 연결된 연결대(14)가 스크레이퍼(11)의 상단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스크레이퍼(11)내애 적재물이 담겨지면 암 실린더(15)를 수축시켜 암(12)을 상승시키면 하단에 고정되어 적재물을 담고 있는 스크레이퍼(11) 역시 상승하게 되며, 스크레이퍼(11)의 높이가 호퍼(23)보다 약간 상부에 왔을때 암 실린더(15)의 동작을 중지하고, 푸싱 실린더(26)을 신장시키면 동 실린더(26)의 로드에 고정된 슬라이드(25)가 좌,우 이동대차(31)의 저면에 고정된 (ㄴ)형 안내편(24)를 따라 스크레이퍼(11) 방향으로 전진을 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25)의 저면에 고정된 호퍼 실린더(21)와 동 실린더(21)의 로드에 고정된 투입호퍼(23) 또한 이동을 하게 된다.
투입호퍼(23)을 스크레이퍼(11)의 선단보다 깊게 진입시킨 다음, 스크레이퍼 실린더(13)를 신장시켜 스크레이퍼(11)내에 있는 화물을 호퍼(23)에 쏟아지도록 한다.
그리고, 스크레이퍼(11)를 하강코자 할 경우는 전기한 동작의 역순으로 푸싱 실린더(26)는 수축, 암 실린더(15)는 신장시키면 된다.
그러면, 호퍼(23)의 하측에 설치되어 별도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있는 이송 컨베이어 또는 이송 스크류(22)에 의해 무개화차 밖으로 이송되어지게 되고, 암 및 스크레이퍼 실린더(15)(13)의 연속적인 작동에 의하여 무개화차내의 화물을 하역하는 겻이며; 무개화차내의 일정범위(스크레이퍼의 행동반경)의 적재물을 하역하고 나면 좌, 우 이동대차(31)와 남, 북 이동대차(32) 일측에 장착된 실린더(34)(35)를 신장 또는 수축시켜 이송부(20)와 스크레이퍼부(10)를 좌, 우로 이동시키거나 스크레이퍼부(10)를 남, 북으로 이동시켜 무개화차내의 화물을 하역하는데 일조케 하였다. 이는 좌, 우 이동대차(31)에 장착된 실린더(34)의 로더는 기체와 연결되어 있고 남, 북 이동대차(32)의 일측에 장착된 실린더(35)의 로드는 좌,우 이동대차(3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작업이 완료되면 호퍼 실린더(21)를 수축시켜 호퍼(23)를 상승시키고 암 실린더(15)를 수축시켜 스크레이퍼(11)를 상승시킨 다음, 좌,우 이동대차(31)에 장착된 실린더(34)를 신장시켜 좌측으로 이동시키면 기체(A)의 양 측면에 고정된 안전대(1)에 이송부(20)가 안착되는 형태를 취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무개화차의 문을 개방치 않고도 하역을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립자의 비산도 적으며 효율적인 작업을 할 수 있는 등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3)

  1. 무개화차내의 화물을 담아 이송부(20)에 투입시키는 스크레이퍼부(10)와 스크레이퍼부(10)로부터 화물을 투입받아 무개화차 밖으로 이송하는 이송부(20), 스크레이퍼부(10)와 이송부(20)를 무개화차의 길이방향으로 좌, 우 이동을 시키고 스크레이퍼부(10)를 무개화차의 폭방향으로 남,북 이동시키는 이동대차부(30)로 대분되는 무개화차 하역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대차부(30)는 저측에 바퀴(2)로서 이동수단을 강구하고 일측에 안전대(1)를 고정한 기체(A)에 길이방향으로 레일(33)을 설치하여, 동 레일(33)에 바퀴(31')를 저면에 갖는 좌,우 이동대차(31)를 안착시키고 일측에는 일정폭을 개방시켜 남, 북으로 레일(33')을 설치하여 남, 북 이동대차(32)를 안착시키며; 상기 이송부(20)는 좌,우 이동대차(31)의 일측 저면에 (ㄴ)형 안내편(24)을 고정하여 좌,우 이동대차(31)의 측면에 고정된 푸싱 실린더(26)의 로드와 고정된 슬라이드(25)를 삽하고, 슬라이드(25)의 저면에 호퍼실린더(21)를 고정하고 동 실린더(21)의 로드에는 하측에 이송컨베이어 또는 이송스크류(22)를 설치한 투입호퍼(23)를 고정하여 스크레이퍼(11)로부터 전달받은 화물을 무개화차 밖으로 이송토록 하고, 호퍼실린더(21)와 푸싱 실린더(26)의 신, 축 작동에 의해 투입호퍼(23)가 상, 하로 승, 강 또는 일정간격 전, 후 이동토록 하며; 상기 스크레이퍼부(10)는 좌,우 이동대차(31)의 타측에 일정폭을 개방시켜 남,북으로 설치된 레일(33')에 안착된 남, 북 이동대차(32)의 저면 일측 하단에 스크레이펴퍼(11)를 축핀으로 힌지고정한 암(12)을 역시 힌지고정하며, 타측에는 스크레이퍼(11)를 장착한 암(12)을 승, 강시킬 수 있는 암실린더(15)를 고정하고 동실린더(15)의 로드는 암(12)의 중간위치에 힌지고정하고, 스크레이퍼(11)가 암(12)과 고정된 축핀을 기점으로하여 일정각 상, 하 각운동할 수 있도록 암(12)상에 스크레이퍼 실린더(13)를 장착하여 동 실린더(13)의 로드와 연결된 연결대(14)와 스크레이퍼(11)의 상단을 힌지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개화차 하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좌,우 이동대차(31)의 일측에 실린더(34)를 고정하고 동 실린더(34)의 로드는 기체(A)에 고정하여 실린더(34)의 신,축 작동에 의하여 이송부(20) 및 스크레이퍼부(10)가 좌,우로 무개화차의 길이만큼 이동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개화차 하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남,북 이동대차(32)의 일측에 실린더(35)를 고정하고 동 실린더(35)의 로드는 좌,우 이동대차(32)에 고정하여 실린더(35)의 신축작동에 의하여 스크레이퍼부(10)가 남, 북으로 무개화차의 폭만큼 이동토록 한 것을 특정으로 하는 무개화차 하역장치.
KR2019930013835U 1993-07-21 1993-07-21 무개화차 하역장치 KR950009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835U KR950009041Y1 (ko) 1993-07-21 1993-07-21 무개화차 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835U KR950009041Y1 (ko) 1993-07-21 1993-07-21 무개화차 하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14U KR950003714U (ko) 1995-02-17
KR950009041Y1 true KR950009041Y1 (ko) 1995-10-19

Family

ID=1935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835U KR950009041Y1 (ko) 1993-07-21 1993-07-21 무개화차 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904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958B1 (ko) *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036A (ko) * 2002-09-17 2004-03-27 안정권 차량화물 하역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958B1 (ko) * 2007-05-31 2007-09-04 김학은 토사마대와 연결재를 이용한 그린월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14U (ko)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1685262A3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а станци дл груз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и контейнеров
US4780041A (en) Extendable conveyor system
CN110271473A (zh) 一种港口用货物装卸运输车
CZ283939B6 (cs) Nákladní vůz pro ukládání sypkého materiálu
CZ282338B6 (cs) Zařízení pro překládku kusového zboží
KR950009041Y1 (ko) 무개화차 하역장치
EP3748080A2 (en) Railway vehicle and process for the movement of gravel
US6102194A (en) Pallet type transfer device
US4793462A (en) Material loading apparatus
SK280375B6 (sk) Súprava na zachytávanie a prepravu sypkého materiá
US3034669A (en) Apparatus for hauling ore in open pit mines
SU994356A1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RU2028220C1 (ru) Погрузочно-раз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перево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CN210622850U (zh) 一种矿井运输系统
CN220032014U (zh) 一种分仓式内侧翻自卸车
CN220742820U (zh) 一种无轨胶轨车辅助推卸装置
CN214033205U (zh) 换轨车组
RU2293035C1 (ru) Прием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разгрузки думпкаров
EP0953478A3 (en) An arrangement for facilitating the transportation of goods in a truck-carried container
CN114180362A (zh) 货物运输辅助装置
JPH0520600Y2 (ko)
RU228190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грузки сыпучего груза из полувагонов
KR100502743B1 (ko)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JPS63225031A (ja) ホツパ装置および該ホツパ装置を備えた積換え船
SU783102A1 (ru) Полуприце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