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2743B1 -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2743B1
KR100502743B1 KR10-2002-0026094A KR20020026094A KR100502743B1 KR 100502743 B1 KR100502743 B1 KR 100502743B1 KR 20020026094 A KR20020026094 A KR 20020026094A KR 100502743 B1 KR100502743 B1 KR 100502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unloading
vehicle
main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166A (ko
Inventor
안승광
Original Assignee
안승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광 filed Critical 안승광
Priority to KR10-2002-0026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27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2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2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24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05Contro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04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pick-up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으로 부터 하역되는 화물을 차량의 진입로 측방에 설치되는 이송수단을 통하여 바로 저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하역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하역장치와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비용을 투자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3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30)은 화물을 적재하여 진입하는 차량(3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메인레일(32)상에 설치되어 적재함(35)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메인대차(40)와, 상기 메인대차(40)의 상방에 설치되어 메인대차(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대차(42)를 가지는 하역수단(33)과;
상기 하역수단(33)에 의하여 하역된 화물을 저장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4)으로 구성하고;
상기 보조대차(42)에는 상단부에 형성하는 피동기어(46)를 브라켓(43)에 고정되는 모터(44)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45)와 맞물려 회전하는 하역바디(47)와;
상기 하역바디(47)의 하방에는 회전대(48)의 일단과 연결되는 긴 길이의 메인붐대(51)와;
상기 메인붐대(51)와 연결되고 하단에 버킷(49)을 연결하는 보조붐대(52)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붐대(5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대차(40)의 양측에는 하역작업시 적재함(35)이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송수단(34)은 차량(31)의 진입로(65) 양측에 프레임(66)으로 지지되어 저장장소까지 설치되는 컨베이어(67)와;
상기 컨베이어(67)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역수단(33)으로 하역되는 화물이 컨베이어(67)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호퍼(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Cargo working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차량이나 특히 무개화차의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하역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화물하역장치는 종래에도 다수의 것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본원 출원인 또한 여러 건의 차량용 화물하역장치를 특허와 실용신안으로 출원하여 등록받을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화물하역장치는 대부분이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하는 다관절 링크에 의하여 승,강하는 하역수단을 이용하여 적재함상의 화물을 하역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화물하역장치를 이용한 화물하역 시스템을 살펴보면 하역되는 적재함상의 화물은 지하에 설치되는 저장조로 하역하고, 지하에 하역된 화물은 다시 컨베이어를 통하여 지상의 저장장소로 이송되는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으로 화물을 하역하고자 할 경우에는 적재함에서 하역되는 화물을 일시 저장하기 위한 저장조를 지하에 설치하여야 하고, 지하로 하역된 화물을 지상의 저장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대용량의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이러한 관계로 화물의 하역과 하역된 화물의 일시적인 저장, 일시 저장된 화물을 지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 등과 같은 하역시스템 전체의 설계와 시공 및 설치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하역장치를 통하여 적재함으로 부터 하역되는 화물을 지하로 일시저장하지 않고 바로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바로 저정장소로 이송하도록 시스템을 구비하여 하역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도 하역장치와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저렴한 비용의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시스템의 D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30)은 하역할 화물을 적재하여 진입하는 차량(3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메인레일(32)상에 구비되는 하역수단(33)과, 상기 하역수단(33)에 의하여 하역된 화물을 저장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4)으로 구성한다.
상기 하역수단(33)은 메인레일(32)상에 설치되어 진입한 차량(31)의 적재함(35)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메인대차(40)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대차(40)의 상방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보조레일(41)상에는 메인대차(4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보조대차(42)를 설치한다.
상기 메인대차(40)와 보조대차(42)의 움직임은 유압모터나 전기모터와 같은 동력수단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조대차(42)에는 보조대차(42)의 상면에 고정되는 브라켓(43)에 설치되는 모터(44)와 상기 모터(44)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45)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부에 피동기어(46)를 가지는 하역바디(47)를 하방으로 돌출시킨다.
상기 하역바디(47)의 일측방에는 하역수단(33)전체를 컨트롤하기 위한 운전대(48)를 구비하고, 그 하방으로는 화물 배출을 위한 버킷(49)을 단부에 가지는 붐(Boom)대(5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상기 붐대(50)는 회전대(48)의 일단과 연결되는 긴 길이의 메인붐대(51)와 상기 메인붐대(51)와 연결되고 하단에 버킷(49)을 연결하는 보조붐대(52)로 구성한다.
상기 메인붐대(51)와 보조붐대(52) 및 버킷(49)의 움직임은 회전대(48)와 메인붐대(51)상간과 메인붐대(51)와 보조붐대(52) 상간 및 보조붐대(52)와 버킷(49)상간에 설치되는 실린더(53)에 의하여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실린더(53)는 힘을 받는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메인대차(40)의 양측에는 하역작업시 적재함(35)이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스토퍼(55)는 메인대차(40)의 양측단부 중앙에서 하방으로 내려지는 브라켓(56)에 힌지(57)연결되고 실린더(58)에 의하여 접철되는 아웃튜브(59)를 구비하고, 상기 아웃튜브(59)의 내부에는 실린더(60)에 의하여 출입하는 인너튜브(61)를 구비한다.
상기 인너튜브(61)의 끝단에는 적재함(35)의 내측단부를 밀어서 단속하기 위한 핑거(62)를 형성하고, 상기 핑거(62)에는 고무나 우레탄과 같은 패드(63)를 구비하여 적재함(35)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적재함(35)의 양측에 설치되어 하역된 화물을 저장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4)은, 차량(31)의 진입로(65) 양측에 프레임(66)으로 지지되는 컨베이어(67)를 설치하여 화물을 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67)의 상측에는 하역수단(33)의 버킷(49)에 의하여 하역되는 화물을 컨베이어(67)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상측은 넓고 하측은 좁은 상광하협(上廣下狹)형상의 호퍼(70)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와 같음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살펴보면,
화물을 적대한 차량(31)이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30)으로 진입하게되면 하역수단(33)에 구비되는 운전대(48)를 통하여 메인대차(40)를 이동시켜 작업하기 용이한 위치를 결정한 후 작업과정에서 차량(31)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55)를 작동시킨다.
상기 스토퍼(55)는 아웃튜브(59)내부의 실린더(60)를 작동시켜 인너튜브(61)를 인출한 상태에서 실린더(58)를 작동시켜 아웃튜브(59)를 펼쳐줌으로서 인너튜브(61)의 단부에 구비되는 핑거(62)가 적재함(35)의 양측 내단부를 벌리는 형상으로 고정하게 되므로 움직임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대차(42)를 메인대차(4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여 하역위치를 결정하고, 하역위치가 결정되면 실린더(53)를 이용하여 붐대(50)와 버킷(49)를 접철하는 동작을 취하여 적재함(35)상의 화물을 차량(31)의 진입로(65) 양측에 설치되는 이송수단(34)의 호퍼(70)로 공급한다.
상기 호퍼(70)상의 화물은 하방의 컨베이어(67)로 낙하하여 저장장소로 이송되어 보관되어지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하역수단(33)을 반복적으로 작동시켜 적재함(35)상의 화물을 측방의 호퍼(70)로 공급하여 이송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적재함으로 부터 하역되는 화물을 차량의 진입로 측방에 설치되는 이송수단을 통하여 바로 저정장소로 이송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서 하역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하역장치와 시스템의 설치비용을 절감하여 저렴한 비용을 투자하여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B부위를 발췌한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의 D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30;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33; 하역수단
34; 이송수단
40; 메인대차
41; 보조대차
49; 버킷
50; 붐대
55; 스토퍼
67; 컨베이어
70; 호퍼

Claims (4)

  1.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30)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30)은 화물을 적재하여 진입하는 차량(31)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메인레일(32)상에 설치되어 적재함(35)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메인대차(40)와, 상기 메인대차(40)의 상방에 설치되어 메인대차(4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는 보조대차(42)를 가지는 하역수단(33)과;
    상기 하역수단(33)에 의하여 하역된 화물을 저장장소로 이송하는 이송수단(34)으로 구성하고;
    상기 보조대차(42)에 구비되는 브라켓(43)에 고정되는 모터(44)의 축에 설치되는 구동기어(45)와;
    상기 구동기어(45)와 맞물리는 피동기어(46)를 상단에 구비하여 회전하는 하역바디(47)와;
    상기 하역바디(47)의 하방에는 회전대(48)의 일단과 연결되는 긴 길이의 메인붐대(51)와;
    상기 메인붐대(51)와 연결되고 하단에 버킷(49)을 연결하는 보조붐대(52)로 연결하여 구성하는 붐대(50)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대차(40)의 양측에는 하역작업시 적재함(35)이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5)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송수단(34)은 차량(31)의 진입로(65) 양측에 프레임(66)으로 지지되어 저장장소까지 설치되는 컨베이어(67)와;
    상기 컨베이어(67)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역수단(33)으로 하역되는 화물이 컨베이어(67)로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호퍼(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붐대(51)와 보조붐대(52), 버킷(49)은 회전대(48)와 메인붐대(51)상간과 메인붐대(51)와 보조붐대(52) 상간, 보조붐대(52)와 버킷(49)상간에 설치되는 실린더(53)에 의하여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실린더(53)는 힘을 받는 방향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55)는 메인대차(40)의 양측단부 중앙에서 하방으로 내려지는 브라켓(56)과;
    상기 브라켓(56)에 힌지(57)연결되고 실린더(58)에 의하여 접철되도록 구비하는 아웃튜브(59)와;
    상기 아웃튜브(59)의 내부에 설치되는 실린더(60)에 의하여 출입하면서 끝단에 적재함(35)의 내측단부를 밀어서 단속하기 위한 핑거(62)를 가지는 인너튜브(61)를 포함하고;
    상기 핑거(62)에는 적재함(35)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패드(63)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바디(47)의 일측방에는 하역수단(33) 전체를 컨트롤하기 위한 운전대(4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KR10-2002-0026094A 2002-05-13 2002-05-13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KR100502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094A KR100502743B1 (ko) 2002-05-13 2002-05-13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094A KR100502743B1 (ko) 2002-05-13 2002-05-13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166A KR20030088166A (ko) 2003-11-19
KR100502743B1 true KR100502743B1 (ko) 2005-07-25

Family

ID=32382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094A KR100502743B1 (ko) 2002-05-13 2002-05-13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27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237U (ko) * 1994-01-07 1995-08-21 안성식 차량 화물 하역 장치
KR970015432A (ko) * 1997-01-29 1997-04-28 안성식 적재물 하역장치
KR19980025365A (ko) * 1995-08-29 1998-07-06 안성식 무개화차의 화물하역장치
KR20010000235U (ko) * 1999-06-05 2001-01-05 진옥림 생계 자동 투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237U (ko) * 1994-01-07 1995-08-21 안성식 차량 화물 하역 장치
KR19980025365A (ko) * 1995-08-29 1998-07-06 안성식 무개화차의 화물하역장치
KR970015432A (ko) * 1997-01-29 1997-04-28 안성식 적재물 하역장치
KR20010000235U (ko) * 1999-06-05 2001-01-05 진옥림 생계 자동 투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166A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43701A (en) Roll on roll off device with a portable support
WO2022047781A1 (zh) 一种集装箱运输装卸系统及方法
US9919798B2 (en) System for moving loads
US4529349A (en) Roll-off hoist
US6805229B2 (en) Telescoping tube conveyor
WO2010094935A1 (en) Laterally extendible trailer for handling of loads such as containers
BR122013004088B1 (pt) Vagão ferroviário
US5100279A (en) Material handling apparatus
US3214046A (en) Container handling mechanism
KR102314132B1 (ko) 차량 적재함의 격벽 구조
US660204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materials in a mine
US9371201B2 (en) Container loader
KR100502743B1 (ko) 차량용 화물하역 시스템
US20070297883A1 (en) Bulk material unloading system and method
US3302808A (en)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0993279B1 (ko)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용 컨테이너 수평이송장치
US4593424A (en) Hydraulic ramp/dock/loader apparatus
CN211570014U (zh) 手推装卸货箱叉车
EP0698525B1 (en) Integrated container handling system
CN218021353U (zh) 一种具有自卸功能的用于甩箱运输的半挂车
CN218087306U (zh) 可移动码头转运卸载装置
US3034669A (en) Apparatus for hauling ore in open pit mines
KR102314141B1 (ko) 차량 적재함의 적재물 배출 장치
CN211995703U (zh) 道路桥梁施工用物料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