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994B1 - 스티어링 휘일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휘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994B1
KR950008994B1 KR1019910010867A KR910010867A KR950008994B1 KR 950008994 B1 KR950008994 B1 KR 950008994B1 KR 1019910010867 A KR1019910010867 A KR 1019910010867A KR 910010867 A KR910010867 A KR 910010867A KR 950008994 B1 KR950008994 B1 KR 950008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elding
ring
spok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880A (ko
Inventor
데쯔야 다까모리
다까노리 쯔보우지
아쯔시 나까다
도오루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어링 휘일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포크부 코어의 용접 시이트와 링부 코어와의 용접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스포크부 코어의 용접 시이트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동 실시예의 용접후의 용접 시이트 부근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IV방향에서 본 상태의 도시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용접 시이트 부근인, 제6도의 V-V부위의 단면도.
제6도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
제7도는 종래예의 스포크부 코어의 용접 시이트의 링부 코어와의 용접 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8도는 종래예의 용접 후의 용접 시이트 부근의 단면도.
제9도는 종래예의 용접 시이트 부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링부 코어 12 : 스포크부 코어
13 : 용접 시이트 13a : 용접 비드
14 : 피복층
본 발명은 스포크부의 코어에 대해서 피복층 내부에 매설되는 링부의 코어를 저항 용접에 의한 접합으로 구성되는 스티어링 휘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티어링 휘일의 각 코어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은 특개소 59-89265호 공보등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저항 용접을 이용해서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를 접합하는 경우엔 예컨대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해지고 있다.
즉, 스포크부 코어(2)의 선단부위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해서 용접 시이트(3)로 하고 그 용접 시이트(3)에 소정수의 돌출하는 용접 비드(3a)를 설치하고, 그 용접 비드(3a)상에 링부 코어(1)를 배치시키고 링부 코어(1)와 용접 시이트(3)를 소정의 전극으로 끼고, 양자에 압력을 가하면서 통전해서 저항 용접을 했었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 형태로는 용접 비드(3a)가 용융해도 용접 비드(3a) 주위의 가로판부(3b)의 두께(ts)가 남게되며, 그 용접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2)와 링부 코어(1)와의 높이(HO)가 크게 되어 있었다.
그 때문에 스포크부 코어(2)에 링부 코어(1)를 용접한 후, 링부 코어(1)의 주위에 연질 합성 수지제의 피복층(4)을 형성하고, 감촉의 위화감이 없게 용접 부위와 용접 부위 이외와의 링부 코어(1)의 주위의 피복층(4)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두꺼운 두께로 하는 경우 제9도에 도시하듯이 용접 시이트(3)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가장자리(3c) 부근의 피복층부(4a)의 두께(to)가 엷어진다.
그리고 그 부위(4a)에 불량품이 되는 에어 굄을 생기게 하거나 또는 그 주위를 쥐었을 때의 감촉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링부 코어가 스포크부 코어에 대해서 저항 용접으로 접합되는 스티어링 휘일에 있어서, 링부 코어에 있어서의 스포크부 코어와의 접합 부위의 주위를 피복하는 피복층에 에어 굄이 생기기 어렵고, 또, 그 접합부위의 주위의 피복층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휘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티어링 휘일은 스포크부 코어의 끝부에 형성한 용접 시이트에 피복층 내부에 매설되는 링부 코어를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해서 이루는 스티어링휘일이며, 상기 용접 시이트가 용접 비드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티어링 휘일은 스포크부 코어에 있어서의 링부 코어와의 용접 시이트가 용접 비드만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용접 시이트에 링부 코어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한 경우에는 용접 시이트의 두께가 용융하는 용접 비드의 두께로 되며, 종래와 같은 용융하지 않는 가로판부가 남는 일이 없으므로 용접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와의 높이가 종래의 것보다 낮아진다.
그 때문에 용접 부위와 용접 부위 이외와의 링부 코어의 주위의 피복층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두꺼운 두께로 하는 경우, 용접 시이트(용접 비드)의 앞끝면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가장자리 부근의 피복층부의 두께가 종래의 경우보다 두꺼워지며, 종래, 그 주위에 생기기 쉬었든 에어 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그 주위를 쥐었을 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기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W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하듯이 링부 R와 링부 R의 중앙에 배치되는 보스부 B와 링부 R를 연결하는 2개의 스포크부 S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링부 R에는 강관제의 링부 코어(11)가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 B는 도시하지 않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결되는 강철제의 보스 플레이트(16)를 구비하고 구성되어 있다.
각 스포크부 S에는 강판제의 스포크부 코어(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엔 좌우의 스포크부 코어(12)와 보스 플레이트(16)가 일체물로 구성되어 있다.
링부 코어(11)의 외주와 각 스포크부 코어(12)에 있어서의 링부 코어(11)측의 부위의 외주에는 연질 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제의 피복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부호(17)는 보스부(B)의 상부를 덮는 패드이다.
그리고,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W에선 각 스포크부 코어(12)의 앞 끝에 링부 코어(11)를 용접시키기 위한 수평방향으로 연장하는 용접 시이트(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용접 시이트(13)는 제1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듯이 각각 종래의 용접 시이트(3)의 가로판부(3b)를 절단하고, 2개의 용접 비드(13a)만으로 구성된 형상이다.
이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W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각 스포크부 코어(12)의 용접 시이트(13)에 링부 코어(11)를 저항 용접을 이용해서 용접한다.
이 경우에는 각 용접 시이트(13)의 용접 비드(13a)의 상면에 링부 코어(11)를 얹고 양자를 소정의 전극으로 가압해서 끼고, 소정의 전류를 통전시키면 각 스포크부 코어(12)와 링부 코어(11)를 저항 용접에 의해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별도 스포크부 코어(12)와 일체적인 보스 플레이트(16)에 보스(15)를 저항 용접을 이용해서 용접시켜둔다.
그리고, 각 코어(11, 12, 15, 16)가 접합된 스티어링 휘일 코어(c)를 소정의 성형틀에 세트하고, 피복층(14)을 형성하고, 그후, 보스부(B)의 상부에 소정의 폰 스위치 기구등을 개재시키고 패드(17)를 배치시킴과 더불어 보스부(B)의 하부에 도시하지 않는 로어 커버를 배치시키면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W를 제조할 수 있다.
이같이 형성된 스티어링 휘일 W에선 각 스포크부 코어(12)에 있어서의 링부 코어(11)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했을 경우엔 용접 시이트(13)의 두께가 용융하는 용접 비드(13a)의 두께(ts)로 되며(제3도 참조), 종래와 같은 용융하지 않는 가로판부(3b)가 남는 일이 없으므로 용접 부위의 스포크부코어(12)와 링부 코어(11)와의 높이(H1)가 종래 것보다 낮아진다.
그 때문에, 용접 부위와 용접 부위 이외와는 링부 코어(11)의 주위의 피복층(14)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두꺼운 두께로 하는 경우, 용접 시이트(13) (용접 비드 13a)의 앞끝면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가장자리(13c) 부근의 피복층부(14a)의 두께(t1)가 종래의 경우보다 두꺼워지며(제5도 참조), 종래 그 주위에 생기기 쉬었든 에어 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그 주위를 쥐었을 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기술의 발명의작용, 효과의 란에서 말한 바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W에선 스포크부 코어(12)의 용접 시이트(13)에 2개의 용접 비드(13a)를 둔 것을 나타내었는데 물론, 1개나 3개 이상의 용접 비드(13a)를 설치하고 용접 시이트(13)를 구성해도 된다.
참고로, 실시예와 같은 2개의 용접 비드(13a)로 이루는 용접 시이트(13)를 갖는 스티어링 휘일 W에선 굴곡 피로시험(보스(15)를 지지하고, 링부 R의 앞부분측(제6도의 지면의 위가장자리측(중앙에 링 형성면에 대해서 직교 방향으로 ±22.5kgf의 반복 하중을 가한다)에 있어서, 종래의 스티어링 휘일이 5만회에서 견디지 못하게 되었든 것이 10만회 이상에서도 견디게 되었다. 그 이유는 종래의 스티어링 휘일에선 스포크부 코어(2)의 용접 시이트(3)와 링부 코어(1)와의 접합 부위에 응력 집중이 생기기 쉬었으나 실시예에선 접합 부위가 용접 비드(13a)만으로 구성되어서 비틀림 강성이 약해지며 응력 집중이 생기기 어렵게 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 W는 링부 코어(11)는 파이프재로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었는데, 물론 링부 코어(11)를 중실재로 구성토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선 스포크부 코어(12)의 용접 시이트(13)의 상면측에 링부 코어(11)를 용접하는 것을 나타내었는데 용접 비드(13a)의 만곡하는 방향을 대처시키면, 용접 시이트(13)의 하면측에 링부 코어(11)를 용접토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다시, 실시예에선 스포크부 코어(12)와 보스 플레이트(16)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나타내었는데 물론 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Claims (1)

  1. 스포크부 코어의 단부에 형성한 용접 시이트의 피복층 내부에 매설되는 링부 코어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 스티어링 휘일에 있어서, 상기 용접 시이트가 용접 비드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KR1019910010867A 1990-10-17 1991-06-28 스티어링 휘일 KR9500089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8163A JPH04154479A (ja) 1990-10-17 1990-10-17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278163 1990-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80A KR920007880A (ko) 1992-05-27
KR950008994B1 true KR950008994B1 (ko) 1995-08-10

Family

ID=17593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867A KR950008994B1 (ko) 1990-10-17 1991-06-28 스티어링 휘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54479A (ko)
KR (1) KR950008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6070A (ko) * 2000-11-07 2002-05-16 김판기 유기게르마늄 생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80A (ko) 1992-05-27
JPH04154479A (ja)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2682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ett taeckt stycke av mjukt termoplastskum.
US4187407A (en) Welded lap joi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4568720B2 (ja) バイザー付ヘルメット
KR950008994B1 (ko) 스티어링 휘일
KR950012372B1 (ko) 스티어링 휘일
JPS58188582A (ja) スポツト溶接部の補強構造
JPS6224505Y2 (ko)
JPH05132062A (ja) 高遮断プラスチツク容器
JPH0428739Y2 (ko)
JP3193538B2 (ja) 補強材の製造方法
JP3659515B2 (ja) 車両用サンルーフのフレーム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32341Y2 (ja) センターピラー結合構造
JPH0810962A (ja) 多重金属板のスポット溶接方法および自動車ドアの製造方法
JPH0736870Y2 (ja) インナチャンネル結合構造
JP2544635B2 (ja) 座席用表皮の高周波溶着方法
JPH0723055B2 (ja) 車両用のサンバイザー
JPS5844052Y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6021915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6233705Y2 (ko)
JPH0525326Y2 (ko)
JPH042138Y2 (ko)
US1196473A (en) Electrical welding.
JPH032239Y2 (ko)
JPH0278529A (ja) シート表皮の製造方法
JPS584641B2 (ja) 強化車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