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2372B1 - 스티어링 휘일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휘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2372B1
KR950012372B1 KR1019910010868A KR910010868A KR950012372B1 KR 950012372 B1 KR950012372 B1 KR 950012372B1 KR 1019910010868 A KR1019910010868 A KR 1019910010868A KR 910010868 A KR910010868 A KR 910010868A KR 950012372 B1 KR950012372 B1 KR 950012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elding
spoke
r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881A (ko
Inventor
데쯔야 다까모리
다까노리 쯔보우찌
아쯔시 나가따
도오루 고야마
Original Assignee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반 쇼지 filed Critical 도요다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0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2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티어링 휘일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스포크부 코어의 용접시이트와 링부 코어와 용접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용접후의 용접시이트 부근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방향에서 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동 실시예의 용접 시이트 부근의 단면도이며, 제5도의 Ⅳ-Ⅳ부위의 단면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는 종래예의 스포크부 코어의 용접 시이트와 링부코어와의 용접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도는 종래예의 용접후의 용접 시이트 부근의 단면도.
제8도는 종래예의 용접 시이트 부근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링부코어 12 : 스포크부 코어
13 : 용접시이트 13a : 용접 비드
13b : 가로판부 14 : 피복층
본 발명은 스포크부의 코어에 대해서 피복층 내부에 부착 설치되는 링부의 코어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시킨 스티어링 휘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티어링 휘일의 각 코어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을 특개소 59-89265호 공보등에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저항용접을 이용해서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를 접합하는 경우에, 예컨데 제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해지고 있었다.
즉, 스포크부 코어(2)의 앞끝부위를 수평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연장해서 용접 시이트(3)로 하고, 그 용접시이트(3)에 소정수의 돌출하는 비드(3a)를 두고, 그 용접비드(3a)상에 링부 코어(1)를 배치시키고, 링부코어(1)와 용접 시이트(3)에 소정의 전극으로 끼워두고, 양자에 압력을 가하면서 통전하여 저항 용접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 양태에서는 용접 비드(3a)가 용융해도 용접 비드(3a) 주위의 가로판부(3b)의 두께(ts)가 남게되며, 그 용접부위의 스포크부 코어(2)와 링부 코어(1)와의 높이(HO)가 높아지고 있었다.
이 때문에 스포크부 코어(2)에 링부 코어(1)를 용접한 후 일부 코어(1)를 용접한 후, 링부 코어(1)의 주위에 연질합성 수지제의 피복층(4)를 형성하고, 감촉의 위화감이 없게 용접 부위와 용접부위 이외의 링부코어(1)의 주위의 피복층(4)를 그다지 변화가 없는 두꺼운 두께로 하는 경우,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접 시이트(3)의 앞끝면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가장자리(3c) 부근의 피복층부(4a)의 두께(to)가 얇아진다. 그리고, 그 피복층부(4a) 부위에 불량품을 야기시키는 에어 굄을 생기게 하거나 또는 그 주위를 쥐었을때의 감촉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링부 코어가 스포크부 코어에 대해서 자항 용접으로 접합되는 스티어링 휘링에 있어서, 링부 코어와 스포크부 코어와의 접합부위의 주위를 피복하는 피복층에 에어 굄이 생기기 어렵고, 또, 그 접합부위의 주위의 피복층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스티어링 휘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티어링 휘일은 스포크부 코어 본체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한 용접 시이트에 피복층 내부에 매설되는 링부 코어를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시킨 스티어링 휘일에 있어서, 상기 용접 시이트가 가로판부와 상기 가로판부에서 돌출하는 용접 비드로 구성되며, 상기 가로판부가 상기 스포크부 코어의 본체에 비해서 얇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계하는 스티어링 휘일에선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 사이의 용접 시이트에 있어서, 용접비드를 돌출시키고 있는 가로판부의 앞끝측이 스포크부 코어의 본체측의 부위에 비해서 얇게 구성되어 있으며, 용법 시이트에 링부 코어를 저항 용접에 의해 접합했을 경우에는 용접 시이트의 두께가 종래의 가로판부 보다 얇게 되는 만큼, 얇게 되어서, 용접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와 링부 코어와의 높이가 종래의 것보다 낮아진다.
그 때문에 용접 부위와 용접부 이외의 링부 코어의 주위의 피복층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두꺼운 두께로 하는 경우, 용접시이트의 앞끝면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가장자리 부근의 피복층부의 두께가 종래의 경우보다 두껍게 되며. 종래 그 주위에 생기기 쉬운 에어 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 그 주위를 쥐었을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W)은 제4,5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링부(R)와, 링부(R)의 중앙에 배치되는 보스부(B)와 보스부(B)에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해서 보스부(B)와 링부(R)를 연결하는 2개의 스포크부(S)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링부(R)에서는 강관제의 링부 코어(11)가 배치되어 있다.
보스부(B)는 도시하지 않는 차량의 스티어링 샤프트와 연결되는 강제의 보스(15)에 용접되는 강판제의 보스 플레이트(1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스포크부(S)에는 강판제의 스포크부 코어(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우의 스포크부 코어(12,12)와 보스 플레이크(16)가 일체물로 구성되어 있다.
링부 코어(11)의 외주와 각 스포크부 코어(12)에 있어서의 링부 코어(11)측의 부위의 외주에는 연질 우레탄 등의 합성 수지제의 피복층(1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면부호 17은 보스부(B) 상부를 덮는 패드이다.
그리고,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W)에선 각 스포크부 코어(12)의 앞 끝에 링부 코어(11)를 용접시키기 위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용접 시이트(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용접 시이트(13)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가로판부(13b)와 가로판부(13b)에서 약 반원통형상으로 융기하는 2개의 용접 비드(13a,13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가로판부(13b)에서는 약 수평방향으로 되는 앞끝축이 스포크부 코어(12)의 본체(12a)의 부위에 비해서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용접 시이트(13)의 가로판부(13b)나 용접 비드(13a)의 형성은 스포크부 코어(12)용의 소재의 앞끝부위에 평판상의 부위를 두고, 그 앞끝부위를 프레스 또는롤링 가공으로 얇은 두께로 함과 더불어 용접 비드(13a)를 설치해서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W)의 제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우선 각 스포크부 코어(12)의 용접 시이트(13)이 링부 코어(11)를 저항 용접을 이용해서 용접한다.
이 경우에는 각 용접 시이트(13)의 용접 비드(13a)의 상면에 링부 코어(11)를 얹고, 양자를 소정의 전극으로 가압해서 끼워두고, 소정의 전류를 통전시키면, 각 스포크부 코어(12)와 링부 코어(11)를 저항 용접에 의해서 접합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스포크부 코어(12)의 일체적인 보스 플레이트(16)에 보스(15)를 저항 용접을 이용해서 용접시켜 둔다.
그리고, 각 코어(11,12)와 보스 플레이트와 보스(15,16)가 접합된 스티어링 휘일 코어(C)를 소정의 성형틀에 세트하고, 피복층(14)을 형성하고 그 후, 보스부(B)에 상부에 소정의 폰 스위치 기구등을 개재시켜서 패드(17)을 배치시킴과 더불어, 보스부(B)의 하부에 도시하지 않는 로어커버를 배치시키면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W)를 제조할 수 있다.
이같이 형성된 스티어링 휘일(W)에서는 스포크부 코어(12)와 링부 코어(11) 사이의 용접시이트(13)에 있어서, 용접 비드(13a)를 돌출시키고 있는 가로판부(13b)와 스포크부 코어(12)의 본체(12a)의 부의에 비해서 얇게 구성되어 있으며, 용접 시이트(13)에 링부 코어(11)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했을 경우에는, 용접시이트(13)의 두께(ts)가 종래의 가로판부(3b)보다 얇아진 몫만큼 얇야져서 (제2도 참조), 용접 부위의 스포크부 코어(12)와 링부 코어(11)와의 높이(HI)가 종래의 길이(HO)보다 낮아진다(제2도 및 제7도 참조).
그 때문에, 용접 부위와 용접부위 이외의 링부 코어(11)의 주위의 피복층(14)을 그다지 변화가 없는 두꺼운 두께로 하는 경우, 용접 시이트(13)의 선단면에 있어서의 하면측의 가장자리(13C) 부근의 피복층부(14a)의 두께(t1)가 종래의 경우의 두께(t0)보다 두꺼워지며(제4도와 제8도 참조), 종래, 그 주위에 생기기 쉬웠던 에어 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 그 주위를 쥐었을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W)에서는 스포크부 코어(12)의 용접 시이트(13)에 2개의 용접 비드(13a)를 설치한 것을 나타내 있는데 물론, 1개나 3개 이상의 용접 비드(13a)를 두어 용접 시이트(13)를 구성해도 된다.
또, 실시예의 스티어링 휘일(W)에서는 링부 코어(11)를 파이프재로 형성하는 것은 나타내었는데 물론, 링부 코어(11)를 중실재로 구성토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포크부 코어(12)의 용접 시이트(13)의 상면측에 링부 코어(11)를 용접하는 것을 나타내었는데, 용접 비드(13a)의 만곡하는 방향을 대치시키면 용접시이트(13)의 하면측에 링부 코어(11)를 용접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스포크부 코어(12)와 보스 플레이트(1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었는데, 물론 별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된다.

Claims (1)

  1. 스포크부 코어(12) 본체의 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용접 시이트(13)와 피복층(14)에 매설되는 링부코어(11)를 저항 용접으로 접합시킨 스티어링 휘일에 있어서, 상기 용접 시이트(13)가 가로판부(13b)와 상기 가로판부(13b)에서 돌출하는 용접 비드(13a)로 구성되고, 상기 가로판부(13b)가 상기 스포크부 코어(12)의 본체에 비해서 얇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휘일.
KR1019910010868A 1990-10-17 1991-06-28 스티어링 휘일 KR950012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278164A JPH04154480A (ja) 1990-10-17 1990-10-17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78164 1990-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81A KR920007881A (ko) 1992-05-27
KR950012372B1 true KR950012372B1 (ko) 1995-10-17

Family

ID=1759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868A KR950012372B1 (ko) 1990-10-17 1991-06-28 스티어링 휘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54480A (ko)
KR (1) KR950012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3260B1 (ko) * 2003-05-07 2005-06-02 김성천 폐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54480A (ja) 1992-05-27
KR920007881A (ko)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2372B1 (ko) 스티어링 휘일
JPH0466369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950008994B1 (ko) 스티어링 휘일
JP7366559B2 (ja) 車両ルーフ周辺構造、車両ルーフ用加飾フィルム、車両ルーフ用加飾フィルムを備えた移動体、及び、加飾フィルムの貼付方法
JPH11291838A (ja) 自動車のホイルアーチ部構造
JPH0427741Y2 (ko)
JPH0123887Y2 (ko)
JPS6224505Y2 (ko)
JPH0511090Y2 (ko)
JPH0428739Y2 (ko)
JPS633876Y2 (ko)
JPH02233234A (ja) スラッシュ成形部材の接合方法
JPH0732341Y2 (ja) センターピラー結合構造
JPH0525326Y2 (ko)
JPS584641B2 (ja) 強化車輪
JPH042138Y2 (ko)
JPH03279071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S5844056Y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の成形補助体
JPH054994Y2 (ko)
JPS5844052Y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S6030131Y2 (ja) 板スポ−クステアリングホイ−ル
JPH03287462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S5911831Y2 (ja) 自動2輪車の燃料タンク
JPH0339316Y2 (ko)
JPH078265Y2 (ja) ドアトリムオーナメントの表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