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8491Y1 -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 Google Patents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8491Y1
KR950008491Y1 KR2019910007216U KR910007216U KR950008491Y1 KR 950008491 Y1 KR950008491 Y1 KR 950008491Y1 KR 2019910007216 U KR2019910007216 U KR 2019910007216U KR 910007216 U KR910007216 U KR 910007216U KR 950008491 Y1 KR950008491 Y1 KR 950008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load
signal
unit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7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21954U (ko
Inventor
박경록
Original Assignee
엘지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기전 주식회사, 김희수 filed Critical 엘지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07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8491Y1/ko
Publication of KR9200219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219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8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4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제1도는 일반적인 프로그램제어기구성도
제2도는 종래 프로그램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의 구동회로도.
제3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로서 제3도는 AC부하 구동회로도, 제4도는 DC부하 구동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부 2 : 제어연산부
3 : 출력부 4 : 전원부
5: 프로그래밍로더 6 : 메모리부
11 : 포토모오스 릴레이 R1, R2 : 저항
TC1 : 버퍼 L1 : 발광다이오드
본 고안은 프로그램가능제어기 (PLC)(Programmable Controller)의 출력용 유니트에 관한것으로 특히 포토 모오스 릴레이를 사용하여 PLC출력부하전압을 온/오프제어하는데 적당하도록 PLC의 출력용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시퀀스(Sequency)제어를 기본기능으로 하고 데이타연산 및 산술연산 등의 기능추가로 피이드백제어도 가능하며, 프로그램가능한 제어장치인 FA(Factory Automatic)산업의 핵심으로서 장착되는 PLC에 관한 것이다.
이 PLC의 기본구성은 입력부, 제어연산부, 출력부, 전원부, 프로그래밍 로더부, 메모리부로 구성되는데 본 고안은 그중 출력부에 관한것으로서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빛, 음성, 전압, 전류)등을 입력부를 통해 받아들여 제어연산부에서 처리한후 처리된 데이타를 출력하여 외부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제어하여 원하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PLC는 제1도에서와 같이 외부에서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와, 입력부(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연산(CPU)(2), 제어연산부(2)를 통해 처리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3)와 이 전체 PLC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4)와, 시퀸스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모니터하는 프로그래밍로더(Loader)부(5)와, 적성된 사용자의 프로그램을 기억해놓은 메모리부(6)로 구성된다.
이때 제어연산부(2)로 부터 처리된 신호를 외부에 출력하는 종래의 출력부(3)는 제2도에서와 같이 제어연산부(2)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신호의 전달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발광다이오드(L1)와, 내부의 신호와 외부를 절연시키며 전류제한용 저항(R1)을 통해 인가되는 연산부(2)의 신호를 입력받아 전달하는 포토커플러(P1)와, 상기 포토커플러(P1)로 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동작되어 외부부하(L)를 온/오프시키는 트랜지스터(Q1)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제1도의 제어연산부(2)로 부터 처리되는 출력된 출력신호가 제2도의 저항(R1)을 통해 저항(R1)과 직렬연결된 포토커플러(P1)에 순방향전류(IF)를 흘려주면 포토커플러(P1)의 발광소자인 다이오드가 발광하고 이 신호를 수광소자인 트랜지스터를 통해 다음단으로 전달하게 되는데 이때 발광다이오드(L1)를 통해 외부로 신호의 출력상태를 알려주게 된다. 포토커플러(P1)를 통해 출력되는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로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를 온/오프시키는데 이에의해 외부부하(L)에 인가되는 부하전원이 온/오프제어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PLC의 출력용 유니트에서는 부하(L)구동을 위한 전압으로 DC만을 사용할 수 있고, 외부신호와 절연된 신호를 전달시키는 포토커플러(P1)와 외부부하를 온/오프제어하도록하는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회로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 PLC의 출력유니트에 사용된 트랜지스터 출력카드에서 외부의 신호절연을 위한 포토커플러와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는 트렌지스터의 역활을 원칩(11)(one chip)안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스위칭특성 또한 좋아지도록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3도 및 제4도에서 본 고안에 따른 PLG출력부의 구성을 보면, 종래 트랜지스터 출력회로도에서의 포토커플러(P1)와 트랜지스터(Q1)를 대신하여 포토모오스 릴레이(11)를 사용하여AC 및 DC부하를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도의 제어연산부(2)로 부터 처리된 신호를 외부와의 절연을 한후 데이타를 출력하는 포토모오스 릴레이(11)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저항(R1)은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1번핀에 연결되고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2번핀에는 출력상태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기위한 발광다이오드(L1)가 저항 (R2)(이때 저항(R2)은 발광다이오드(L1)의 잔류제한용 저항이다)을 통해 연결되고 또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2번핀에는 제1도의 제어연산부(2)로 부터 출력된 신호가 외부로 출력되게 하기위한 버퍼(IC1)가 연결되며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출력은 부하측과 연결되는데 이때 부하측의 구성은 부하전원에 따라 다르다. 즉 AC부하일때는 제3도에서와 같이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4번핀과 6번핀을 사용하여 부하전원(AC)과 부하(L)을 직렬로 연결하고, DC부하일때는 제4도에서와 같이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5번핀과 6번핀을 사용하여 부하전원(DC)과 부하(L)를 직렬로 연결하고 저항(R)은 병렬로 연결한다.
상기 구성회로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입력부(1)를 통해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는 제어연산부(CPU)(2)로 인가하여 산술연산 및 시퀀스처리한후 외부의 각종기기를 제어하기위해 출력부(3)로 인가한다.
출력부(3)로 받아들여진 신호는 제3도 및 제4도의 회로에서와 같이 저항(R1)을 통해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1번핀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저항(R1)은 포토모오스 릴레이(11)로 흐르는 순방향전류를 제한하여 적당한 전류량이 흐르게하는 역활을 한다.
그리고 발광다이오드(L1)는 신호전달상태를 외부의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동작을 하게 되고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2번핀에는 연산제어부(2)로부터 출력된 신호가 출력용 버퍼(IC1)를 통해 전달된다.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1번핀을 통해 전류가 흐르면 포토모오스 릴레이(11)의 발광다이오드가 발광하여 그 빛을 수광소자인 FET에 보내므로 FET는 전달된 신호에 의해서 외부부하(L)를 제어하게된다.
이때 제5도의 A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래기술에 사용된 포토커플러(P1)는 발광타이오드전류(IF)의 증감에 의해 부하전류(IF)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데 반해 본 고안의 기술에 사용된 포토모오스 릴레이(11)는 제5도 'B'와같이 2.3V부근에 급격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스위칭소자로서 이상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AC/DC부하를 구동시킬 수 있고, 포토모오스 릴레이로 외부절연 및 부하를 온/오프시킴으로써 실장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회로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각종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로그램가능제어기 출력용 유니트에 있어서, PCL내부의 출력부의 입력측과 부하측사이에 포토모오스 릴레이(11)를 사용하여 연산제어부(2)를 통해 처리된 신호를 입력받아 AC/DC부하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가능제어기 출력용 유니트.
KR2019910007216U 1991-05-20 1991-05-20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KR950008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216U KR950008491Y1 (ko) 1991-05-20 1991-05-20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7216U KR950008491Y1 (ko) 1991-05-20 1991-05-20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54U KR920021954U (ko) 1992-12-19
KR950008491Y1 true KR950008491Y1 (ko) 1995-10-11

Family

ID=19314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7216U KR950008491Y1 (ko) 1991-05-20 1991-05-20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84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21954U (ko) 199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58730A (ko) 디지털 출력 회로
JP2021164391A (ja) 非接触受電装置
KR950008491Y1 (ko)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KR200168172Y1 (ko) 보조전원이 필요 없는 무접점 릴레이
JP2810576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出力回路
JP2005094880A (ja) 電気機器の電源回路、及びその電源回路を備える電源装置、並びに、その電源装置を含む電源システム
JPS637017A (ja) 無接点リレ−
KR100370104B1 (ko) 배전 자동화 시스템
KR0118760B1 (ko) 절연에 의한 데이타 전송회로
JPH0339660Y2 (ko)
JP3358089B2 (ja) 光電スイッチ
KR200306492Y1 (ko)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KR930004612Y1 (ko) Plc의 복합 출력장치
JP3384387B2 (ja) ワイヤード付きリモコン送信機
KR950004155Y1 (ko) 스테핑 모터 콘트롤러
KR100237300B1 (ko) 양방향 광절연 입출력장치
US6653864B2 (en) Interface
JPS588325A (ja) ラツシユカレント防止回路
JPH0548488U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KR920004064Y1 (ko) 전자식 전원 스위치 회로
JPH01221915A (ja) ソリッドステートリレー
KR920003906Y1 (ko) 수치제어 공작기계의 출력모듈
JPH08292806A (ja) 制御装置の入力回路
JP2019204741A (ja) 端末器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JPS62201804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