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492Y1 -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 Google Patents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492Y1
KR200306492Y1 KR20-2002-0037388U KR20020037388U KR200306492Y1 KR 200306492 Y1 KR200306492 Y1 KR 200306492Y1 KR 20020037388 U KR20020037388 U KR 20020037388U KR 200306492 Y1 KR200306492 Y1 KR 200306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input
line
input signal
field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7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네트
Priority to KR20-2002-0037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712Input or output aspects
    • G01R31/31715Testing of input or output circuits; test of circuitry between the I/C pins and the functional core, e.g. testing of input or output driver, receiver, buff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현장기기 등의 제어라인에 대한 입력신호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체크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현장신호부(10)와 현장 입력신호라인(12)에 연결된 디지털 입력 모듈부(20)로 구성된 디지털 입력 신호라인에 있어 현장 입력신호라인(12)에 디지털 입력모들부(20)와 반대로 동작되게 전류제한을 하기 위한 저항(R3) 및 포토커플러(35), 풀-업저항(R4)으로 구성된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를 병렬로 연결하여 디지털 입력선의 단선체크 기능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omitted}
본 고안은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장기기 등의 제어라인에 대한 입력신호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는 체크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디지털 입력라인 회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릴레이부가포함된 현장신호부(10), 상기 현장신호부의 릴레이 구동에 따른 신호입력라인(12), 상기 신호를 인가받아 구동되는 디지털 입력모듈부(20)로 구성된다. 이에 따른 작용은 현장신호부(10)에 한 개의 a접점과 b접점을 갖는 릴레이(11)에 입력전원 Vcc(+24V)를 주어 신호 입력선(12)를 통하여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R1), 포토커플러(25) 및 출력 측에 필요한 풀업(Pull-up)저항(R2)으로 구성된 디지털 입력모듈부(20)의 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릴레이(11)가 구동되지 않으면. 현장 입력 신호선(12)에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어 포토커플러의 내부에 있는 다이오드(21)는 구동이 되지 않게 되므로 포토커플러 내부의 트랜지스터(23)는 구동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포토커플러의 트랜지스터(22)가 OFF되므로 입력신호 1에는 5V의 전압이 나온다. 현장기기의 동작으로 인하여 릴레이(11)가 구동하게 되면 신호입력선(12)에는 전원 Vcc(+24V)가 인가되고 전류는 저항 R1에 의해 제한이 되어 포토커플러(25)를 동작시키는 전원이 인가되어 포토커플러의 내부에 있는 다이오드(21)가 구동이 되어 또한 트랜지스터(23)가 동작(ON)이 되므로 5V단에 0V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신호입력 1에는 0V가 나오게 된다.
한편, 입력신호선(12)이 단선이 되었을 경우에도 디지털입력모듈부(20)에서는 신호입력이 똑같이 0V가 걸리게 되므로, 디지털 입력모듈부(20)에서는 단선이 되었는지 입력이 들어오지 않는 것인지 구분하기 힘들어 현장기기 등을 제어하는데따른 구분이 되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단선체크회로의 주요 구성부인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를 부가하여 현장기기의 입력신호가 없는 것인지 또는 단선이 된 것인지 명확하게 구분하여 현장기기 등의 제어에 정확성을 기하고자 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디지털 입력라인 회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디지털 입력라인 단선 체크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입력신호에 따른 CPU 판단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장신호부 11 : 릴레이
12 : 현장 입력 신호라인
20 : 디지털 입력모듈부 30 : 제2디지털 입력모듈부
21, 31 : 다이오드(LED)
23, 33 : Tr(트랜지스터)
25, 35 : 포토커플러(Photo-coupl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현장신호부(10)와 현장입력신호라인(12)에 연결된 디지털 입력모들부(20)로 구성된 디지털 입력 신호라인에 있어서, 현장 입력신호라인(12)에 상기 디지털 입력모듈부(20)와 반대로 동작되게 전류제한을 하기 위한 저항(R3) 및 포토커플러(33), 풀-업저항(R4)으로 구성된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를 병렬로 연결하여 디지털 입력선의 단선체크 기능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입력라인 체크회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의 입력신호라인(12)에 디지털 입력모듈부(20)와 극성이 반대되게 전류제한을 하기 위한 저항(R3) 및 포토커플러(33), 풀업저항(R4)으로 구성된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를 병렬로 연결하여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른 각 디지털 입력모듈부의 입력신호 1, 2의 신호를 받은씨피유(CPU)에 의해서 단선 여부는 판단되어 진다. 이하에서는 씨피유(CPU)의 판단에 의한 동작은 통상적인 것으로서 본원 고안의 주요부가 아니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동작은 릴레이(11)가 구동이 되면 릴레이(11)의 a접점이 동작하여 Vcc(+24V)전원이 인가되어 입력신호선(12)을 통하여 디지털 입력모듈부(20)에 인가되고 저항(R1) 및 포토커플러(25)을 통해 다이오드(21)가 구동이 되어 트랜지스터(23)가 ON되므로 입력신호 1은 0V로 전위된다. 한편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의 포토커플러(35)에는 역 전압이 인가되어 포토커플러 내부의 다이오드(31)는 구동이 되지 않으므로 입력신호 2에는 5V가 인가된다.
또한, 릴레이(11)가 구동이 되지 않으면 릴레이(11)의 출력은 b점점이 되어 -Vcc(-24V)가 출력되게 된다. 이 전원은 입력 신호선(12)을 통하여 디지털 입력모듈부(20)에 인가되고 포토커플러(25)에는 역전압이 인가되어 포토커플러의 내부 다이오드(21)는 구동하지 않아 입력신호 1에는 5V가 인가되고,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의 포토커플러(35)는 순방향 전압이 걸려 포토커플러 내부의 다이오드(31)는 구동이 되고 포토커플러 내부의 트랜지스터(33)가 구동이 되어 입력신호 2는 0V가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포토커플러(25)(35)는 서로 반대로 동작하도록 구성이 되어 제 3도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입력신호 1이 0V이고 입력신호 2가 5V이면 입력 신호라인(12)에는 Vcc(24V)가 되어 현장기기의 신호가 들어오는 것을 알 수 있고, 입력신호 1이 5V이고 입력신호 2가 0V이면 현장기기의 입력이 들어오지 않는 것으로 입력신호라인(12)이 단선이 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만약 입력신호라인(12)이 단선이 되었을 경우에는 포토커플러(25)(35)는 구동이 되지 않으므로 입력신호 1과 입력신호 2는 5V가 되게 되어 상기 비교 판단으로 씨피유(CPU)는 입력신호선(12)이 단선 되었음을 판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에 디지털 입력선(12)에 대하여 단선여부를 판단 할 수 없었던 문제를 디지털 단선 체크 회로를 디지털 모듈부(20)에 추가하여 디지털 입력선(12)의 단선을 체크 할 수 있으므로 신호체계의 신뢰성 확보 및 현장 입력 조건에 의한 제어동작시 단선 여부의 판단으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중요한 제어 요소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증대되었다.

Claims (1)

  1. 현장신호부(10)와 현장 입력신호라인(12)에 연결된 디지털 입력모듈부(20)로 구성된 디지털 입력 신호라인에 있어서, 현장 입력신호라인(12)에 상기 디지털 입력모듈부(20)와 반대로 동작되게 전류제한을 하기 위한 저항(R3) 및 포토커플러(33), 풀-업저항(R4)으로 구성된 제2 디지털 입력모듈부(30)를 병렬로 연결하여 디지털 입력선의 단선체크 기능을 부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KR20-2002-0037388U 2002-12-12 2002-12-12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KR200306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88U KR200306492Y1 (ko) 2002-12-12 2002-12-12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7388U KR200306492Y1 (ko) 2002-12-12 2002-12-12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492Y1 true KR200306492Y1 (ko) 2003-03-08

Family

ID=49331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7388U KR200306492Y1 (ko) 2002-12-12 2002-12-12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49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1143A (zh) * 2009-12-24 2011-06-29 三星电机株式会社 数字信号输入电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11143A (zh) * 2009-12-24 2011-06-29 三星电机株式会社 数字信号输入电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6492Y1 (ko) 디지털 입력선 단선 체크회로
EP1876512B1 (en) Networ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network chip
JP4149440B2 (ja) アナログセンサのための保護回路
JP4205072B2 (ja) 電源供給装置
JP3759135B2 (ja) 半導体装置および電子装置
CN116094590B (zh) 一种光模块Tx_Fault快速检测、上报及清除的方法
JP4910098B2 (ja) 断線検知回路
KR100475062B1 (ko) 릴레이 출력회로
JPS62176A (ja) 電源装置、付属品ユニット、及び電源システム
KR100248274B1 (ko) 485통신 ic 응용시스템의 자기진단 및 시스템 보호장치 및 그제어방법
US6507922B1 (en) Fault indicator circuit in system having circuit blocks
KR0118760B1 (ko) 절연에 의한 데이타 전송회로
EP1376810A1 (en) Fault sensing circuit for simple motor control
JP2500459Y2 (ja) ヒュ―ズ断線検出回路
JPH0756521Y2 (ja) デジタル信号送信装置の誤動作防止回路
JP2007198927A (ja) 抵抗検査方法
JPH1068747A (ja) 電源電圧変動検出回路
JP4242234B2 (ja) センサ制御装置
JP3517273B2 (ja) データ伝送装置
KR0133077Y1 (ko) 파워 감시 회로
KR900005091Y1 (ko) 인버터 회로의 보호회로
KR100666151B1 (ko) 팬 전원과 디지털 전원이 분리된 전원공급장치
KR950008491Y1 (ko) 프로그램기능제어기의 출력용 유니트
JPH1153058A (ja) 機器間接続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0168528B1 (ko) 교환기의 외부환경 상태 체크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