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988Y1 -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988Y1
KR950007988Y1 KR2019930016034U KR930016034U KR950007988Y1 KR 950007988 Y1 KR950007988 Y1 KR 950007988Y1 KR 2019930016034 U KR2019930016034 U KR 2019930016034U KR 930016034 U KR930016034 U KR 930016034U KR 950007988 Y1 KR950007988 Y1 KR 9500079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steel sheet
seal port
foreign
brush ro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60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795U (ko
Inventor
이재영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60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988Y1/ko
Publication of KR950005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9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88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5/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Pretreatment or after-treatment of workpieces
    • C25D5/34Pretreatment of metallic surfaces to be electrop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And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s By Chemical Meth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강판 이물질 제거장치의 전체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산세도금공장의 설비 구조.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물질 제거장치 10a, 10b : 브러쉬롤(Brush Roll)
12a, 12b : 베어링부재 22a, 22b : 전동모터
25a, 25b : 이물질 수집덕트 27 : 배기팬(Exhaust Fan)
30 : 필터(Filter) 32 : 실포트(Seal Pot)
39 : 자동배출밸브 133 : 가열로(Furnace)
138a : 조질압연기(Skin Pass Mill) 텐션릴(Tension Reel)
본 고안은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강판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브러쉬롤로서 제거하고 이를 흡인 배출시켜 수집조에서 포집 처리함으로서 강판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공장내부의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하는 산세도금공장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페이오프릴(Pay-off reel)(121)에서 코일형태의 강판(H)이 용접기(122)로 공급되고, 상기 용접기(122)를 거친 다음에는 용접부 검지센서(123)와 엔트리 루퍼(Entry looper)(124)를 거치며, 그 다음에는 스케일 파쇄기(Scale Breaker)(125)를 거치면서 강판(H) 표면의 스케일이 제거되고, 산세 및 세척설비(126)로 진입한다.
또한, 그 후방에 위치한 공기분사 시스템(127)과, 건조기(128), 길이감지기( Resolver)(129) 및 소형 엔트리루퍼(130)를 거친 다음 측면절단기(Side Trimmer)(131)로 진행하며 적정칫수로 조절되고, 또다른 소형 엔트리 루퍼(132)와 가열로(133)로 진행하게 되며, 아연도금조(134)로 진행한다. 그리고, 아연도금조(134)의 후방에 위치한 에어나이프(132)와 공기 냉각장치(136)를 통과하게 되고, 수냉각장치(137)와 용접부 검지장치(138)를 통과하면서 조질압연기(138a)로 진입하여 형상이 교정되고, 그 후방의 크롬 처리설비(139)와 공기분사장치(140) 및 건조기(Hot Dryer)(141)와 이송루퍼(Delivery looper)(142)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는 텐션릴(143)에 코일형태로 감겨지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산세도금 공장은 강(H)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공기분사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강판에 쌓인 이물질은 제거되지만 강판에 부착된 이물질은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또한, 분사되어 비산되는 이물질은 공장의 환경을 오염시킨다고 하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판에 부착된 이물질, 특히 고무 재질의 이물질이 가열로를 통과한 후에 강판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서 도금불량, 열처리불량, 롤마크(Roll Mark), 덴트(Dent)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완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또한 작업장 주변의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강판의 상, 하면에 전동모터에 의해서 구동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쌍의 브러쉬롤을 각각 위치시키며, 상기 브러쉬롤의 상, 하부에는 이물질을 흡인하는 이물질 수집덕트를 설치하여 산세도금공장의 강판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덕트는 필터와 배기팬을 설치하여 내부에 물으 저장한 실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실포트에는 침전물의 레벨을 검지하여 하부로 배출시키는 자동배출밸브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이물질 제거장치(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1)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로(133)의 정방부에 장착되고, 조질압연기(238a)의 전방부에 장착되며, 텐션릴(143)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강판(H)의 표면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이물질 제거장치(1)는 각각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추기 때문에 이하 에서는 그중의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물질 제거장치(1)는 강판(H)의 상, 하측에 각각 한쌍의 브러쉬롤(10a)(10b)을 갖추고, 그 양측 단부에는 베어링 부재(12a)(12b) 에 의해서 회전가능토록 장착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부재(12a)(12b)는 받침판(13a)(13b)을 통해서 너트부재(15a)(15b)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너트부재(15a)(15b)는 스크류 나사(17a)(17b)에 의해서 상, 하 승강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일측의 베어링 부재(12a)를 관통하는 브러쉬롤(10a)(10b)의 중심축은 유니버셜 커플링(Universal coupling)(미도시)을 통하여 전동모터(22a)(22b)의 축(24a)(24b)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브러쉬롤(10a)(10b)의 상, 하측에는 이물질 수집덕트(25a)(25b)가 각각 근접하여 마주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이물질 수집덕트(25a)(25b)는 연결부(25c)에서 하나의 이물질 수집덕트(25)로 형성되며 배기팬(Exhaust Fan)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배기팬(27)의 전방에는 필터(Filter)(30)가 탈착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이물질 수집덕트(25)의 하단부는 실포트(32)의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실포트(32)에는 용수(用水) 배관(35)으로 부터 물이 공급되어 담겨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포트(32)에는 하측으로 배출배관(37)과 배출밸브(39)가 장착되는바, 상기 배출밸브(39)는 실포트(32)의 일측에 장착된 센서(41)가 이물질의 침전수준(Level)을 일정 높이에서 검지하는 경우, 이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한 작동으로서 열려지는 솔레노이드(Solenoid)식 자동 배출 밸브로서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침전물 수집조(collecting Box)(45)가 위치된다.
미설명 부호(47)는 용수 공급밸브이고, (50)은 물(water)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동모터(22a)(22b)에 의해서 브러쉬롤(10a)(10b)이 강판(H)의 진행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강판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브러쉬롤(10a)(10b)은 NyLON66의 아래와 같은 적정 재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강판(H)의 표면에 긁음(Scrach)이나 어떠한 흠집도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스크류부재(17a)(17b)를 이용하여 브러쉬롤(10a)(10b)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성하므로서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강판(H)으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이물질 수집덕트(25)에 마련된 배기팬(27)이 작동되어 브러쉬롤(10a)(10b)로 부터 이물질을 흡인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용적이 크고 가벼운 먼지등은 필터(30)에 의해서 걸러지고, 용적이 적고 비중이 높은 고무(Rubber)등의 이물질은 실포트(32)로 유입되어 내부의 물(50)속으로 침전된다.
물론, 상기 실포트(32)의 내부에 물(50)을 채워넣은 이유는 강판으로부터 발생된 고온의 이물질 온도를 하강하기 위한 것과 주변 바람등에 의해 비산되어 환경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들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정기적으로 필터(30)를 교환하고, 실포트(32)로 부터 하부로 배출되어 침전물 수집조(45)에 모여진 침전물을 수거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가열로(133)의 전방에서 강판(H)으로 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가열로(133)에서의 열처리 불량 현상이 방지되고, 조질압연기(138a)의 전방에서는 강판(H)의 롤마크 및 덴트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텐션릴(143)의 전방에서는 강판(H)의 청정성(Cleaning)과 도장성(Painting)등을 양호하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강판(H)에 부착된 이물질을 브러쉬롤(10a)(10b)이 긁어서 제거하고, 이를 필터(30)와 실포트(32)에서 각각 포집 처리하기 때문에 이물질이 작업상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게 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1)

  1. 강판(H)의 상, 하면에 전동모터(22a)(22b)에 의해서 구동되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한쌍의 브러쉬롤(10a)(10b)을 각각 위치시키며, 상기 브러쉬롤(10a)(10b)의 상,하부에는 이물질을 흡인하는 이물질 수립덕트(25a)(25b)를 설치하여 산세도금공장의 강판(H)으로 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집덕트(25a)(25b)는 필터(30)와 배기팬(27)을 설치하여 내부에 물(50)을 저장한 실포트(32)와 연결되고, 상기 실포트(32)에는 침전물의 레벨을 검지하여 하부로 배출시키는 자동배출밸브(39)를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장치.
KR2019930016034U 1993-08-19 1993-08-19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KR9500079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034U KR950007988Y1 (ko) 1993-08-19 1993-08-19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6034U KR950007988Y1 (ko) 1993-08-19 1993-08-19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95U KR950005795U (ko) 1995-03-20
KR950007988Y1 true KR950007988Y1 (ko) 1995-09-27

Family

ID=19361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6034U KR950007988Y1 (ko) 1993-08-19 1993-08-19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9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57B1 (ko) * 2002-12-18 2009-08-19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설비의 탈지용액 내 이물질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051B1 (ko) * 2000-11-17 2005-02-04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표면의 산화막 제거장치
KR20020052877A (ko) * 2000-12-26 2002-07-04 이구택 압연라인 탈지설비의 튜브 와이퍼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85018B1 (ko) * 2001-04-09 2007-02-20 주식회사 포스코 냉간압연유 정체방지 및 유면부유물 제거장치
KR20190126543A (ko) * 2018-05-02 2019-11-12 주식회사 포스코 스케일 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157B1 (ko) * 2002-12-18 2009-08-19 주식회사 포스코 탈지설비의 탈지용액 내 이물질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795U (ko) 1995-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3415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lic strip
US2788954A (en) Spray booth
US52727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scaling metal strip
KR20110067440A (ko) 파이프 연속 자동 세척장치
US5542525A (en) Dynamic belt cleaning unit and method of cleaning belts
KR950007988Y1 (ko) 강판의 이물질 제거장치
CN210452357U (zh) 一种纯镍带表面氧化皮去除设备
CN108672877A (zh) 烙铁头清洁装置及清洁方法
CN209407089U (zh) 一种钢材酸洗前处理装置
CN110528205A (zh) 一种纺织加弹机用的上油装置
CN109499954B (zh) 一种用于清除金属板材油污杂质的自动刷
KR101421835B1 (ko) 압연유 흄 제거 시스템
CN217250999U (zh) 一种金属带清洗池的喷淋装置
US3201272A (en) Method and means for trapping and reclaiming porcelain frit
CN209271965U (zh) 一种钢材表面预处理装置
CN216654923U (zh) 一种磁性除铁器
CN109530460A (zh) 一种冷轧带钢清洗生产线及对应清洗方法
KR20090115500A (ko) 강판의 에지측 표면얼룩 방지장치
KR20030044692A (ko) 산세척설비의 롤 클리닝장치
US6814089B1 (en) Conditioning liquid cleaning and recycling system for sheet metal conditioning apparatus
CN110314944A (zh) 一种热轧带钢下表面检测设备的防护装置及防护方法
KR100525647B1 (ko) 연속소둔라인의 스트립 부착 간지 제거장치
CN216265407U (zh) 一种数控磨床的废过滤纸收集装置
CN104625657A (zh) 竖立式带钢表面氧化皮连续清理生产线
CN218638206U (zh) 一种轧钢机出口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