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970B1 - 페이저 - Google Patents

페이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970B1
KR950007970B1 KR1019920003200A KR920003200A KR950007970B1 KR 950007970 B1 KR950007970 B1 KR 950007970B1 KR 1019920003200 A KR1019920003200 A KR 1019920003200A KR 920003200 A KR920003200 A KR 920003200A KR 950007970 B1 KR950007970 B1 KR 950007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pager
signal
sentence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6943A (ko
Inventor
모또끼 이데
Original Assignee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세끼모또 타다히로 filed Critical 닛본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66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other provisions not elsewhere provided for, e.g. turn-off 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이저
제1도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고 메시지 데이타내의 정형문 지정 문자를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상에 정형문을 표시하는 종래의 페이저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페이저 실시예의 블럭도.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디코더(3)의 상세 블럭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한 메시지 처리 동작의 플로우차트.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디코더(3)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7)의 동작 타임차트.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EEPROM(15)의 정형문 등록영역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정형문의 변환예를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제2도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관한 정형문 등록 동작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제10도는 페이저 호출에 사용되는 POCSAG 신호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무선부
3 : 디코더 4 : 마이크로프로세서
5 : LCD 6, 15 : EEPROM
6a : 정형문 등록영역 7 : RAM
8 : 기능 스위치
본 발명은 페이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코드내에 전송된 정형문(set phrase)의 메시지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에 의해 정형문으로 표시하는 페이저에 관한 것이다.
제1도의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메시지 데이타내의 정형문 지정 문자(예를 들어, 수 문자)를 수신함으로써 디스플레이상에 정형문을 지정하는 종래의 페이저의 블럭도이다.
지금까지 이 종류의 페이저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에 의해 수신된 변조 신호(a)는 무선부(2)에 의해 복조되고, 이 무선부(2)로부터 디코더(3)으로 복조된 신호(c)를 전송한다. 여기에서, 무선부(2)는 디코더(3)에서 바테리 세이빙 제어 신호(b)에 따라 간헐 수신 동작을 행한다.
디코더(3)은 EEPROM(전기적으로 소거가능하고 프로그램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 15)로부터 독출되는 페이저의 코드와 복조신호(c)내에 포함된 선택 어드레스 코드를 조합한다. 이 데이타들이 일치할 때, 디코더(3)은 어드레스 버스(e) 및 데이타 버스(f)를 이용하여 인터럽션 신호(d)에 의해 할당된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검출을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통지한다. 그후, 디코더(3)은 복조 신호(c)내의 선택 어드레스 코드에 계속되는 메시지 데이타의 오류를 정정하고 메시지 데이타 비트만을 어드레스 버스(e) 및 데이타 버스(f)를 통해 인터럽션 신호(d)를 이용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전송한다. 또한, 적당한 선택 어드레스 번호는 각각의 페이저에 할당되고 각각의 페이저의 선택 어드레스 코드는 각각의 선택 호출번호를 코딩하는 BCH(Bose-Chaudhuri-Hocquenghem)에 의해 발생된다.
디코더(3)으로부터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검출 정보를 수신과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이 마이크로프로세서(4)내의 RAM(도시하지 않음) 또는 RAM(7)내에 검출 정보를 기억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디코더(3)으로부터의 검출 정보 다음에 연속으로 전송되는 데이타가 메시지 데이타 또는 선택 어드레스 코드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디코더(3)으로부터의 데이타가 메시지 데이타인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이 마이크로프로세서(4)내의 RAM 및 RAM(7)내의 버퍼 영역에 메시지 데이타를 기억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디코더(3)을 통해 기준 클럭(13)으로부터 입력되는 기준 클럭 신호(g)에 따라 기억 동작을 처리한다.
데이타가 선택 어드레스 코드인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데이타의 수신을 정지한다. 메시지 데이타의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MPU 동작 클럭(14)를 기동하고 이 MPU 동작 클럭(14)를 이용하여 상기 버퍼 영역내에 기억된 데이타를 처리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의해 처리된 데이타는 RAM(7)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내의 메시지(문자 데이타)로서 기억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4)가 버퍼 영역내에 기억된 데이타내에 포함된 정형문 지정 문자를 검출하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정형문 지정 문자부를 지정 번호의 정형문으로 변환한다. 변환될 이 정형문은 미리 EEPROM(15)내에 기억된다.
수신된 메시지 데이타의 처리가 종료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구동기(9)를 통해 스피커(10), LED(발광 다이오드 ; 11) 또는 진동자(12)를 구동하고 이 페이저의 휴대자에 경보한다. 이와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수신된 메시지를 LCD(액정 디스플레이)상에 표시한다. 경보 장치용으로 스피커(10), LED(11) 및 진동자(12)의 지정은 기능 스위치(8)을 통해 EEPROM(15)내에 장치 모드를 등록시킴으로써 설정된다. RAM(7)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내에 기억된 메시지는 기능 스위치(8)에 의해 LCD(5)상에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즉, 정형문 지정 문자가 수신될 때 종래의 페이저의 정형문 기능은 EEPROM(15)에 기초한 정형문 지정 문자에 의해 지정된 번호의 정형문을 LCD(5)상에 표시하도록 동작한다. 이 경우에, EEPROM(15)내로의 정형문의 등록이 EEPROM(15)의 서입 단자(16)에 의해 유도되기 때문에, 이 페이저 이외의 다른 입력 장치가 필요하다.
이런 형태의 종래 페이저는 정형문을 등록하기 위한 자체 등록기능이 없어서 정형문을 등록하기 위한 다른 서입 장치가 요구된다 이 서입 장치는 페이저 자체에 비해 상당히 고가이고, 그것을 조정하는데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입력 장치의 사용이 유저로서는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페이저는 보통 양호한 정형문이 페이저내에 등록된 후 유저용으로 제공된다. 유저가 다른 정형문을 부가시키기를 원하는 경우에, 새로운 정형문을 등록시키기 위해 페이저 시스템 오퍼레이터에게 요청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새로운 정형문의 부가는 유저에게 상당히 불편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페이저의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개발되었고 본 발명의 목적은 유저가 원하는 새로운 정형문을 등록시킬 수 있어서 유저에게 그 사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페이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페이저에 할당된 선택 어드레스 코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선택 어드레스 코드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어드레스 코드에 계속되는 메시지 데이타를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 수단,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되는 메시지를 기억하는 메시지 메모리, 및 다수의 정형문을 기억하는 정형문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시지 메모리에 기억되는 메시지들 중 1개의 메시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 및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메시지를 정형문으로서 상기 정형문 메모리에 등록하는 등록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페이저에 있어서, 상기 지정 수단이 기능 스위치에 의해 동작될 수 있고 수신 메시지부를 지정할 수 있으며, 상기 등록 수단이 또한 삭제, 보호 및 등록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상에 메뉴 스크린을 접촉함으로써 동작되는 기능 스위치로써 기동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다음,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의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이 페이저는 종래의 페이저의 마이크로프로세서(4)의 기능 외에도 등록 기능을 제공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PU ; 17)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스크린상의 메시지를 EEPROM(6)에 등록하는 등록 기능을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 형태의 페이저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동일한 참조번호를 제1도 및 제2도에 동일한 기능을 갖는 기능 블럭에 붙였다.
새로운 정형문의 등록이 기능 스위치(8)을 통해 지시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의 메시지 메모리영역에 기억된 메시지를 중 기능 스위치(8)에 의해 지정된 메시지를 정형문으로서 EEPROM(6)에 등록한다. 그러므로, 유저가 원하는 경우에 전화로 페이저에 정형문을 전송함으로써 새로운 정형문을 용이하게 등록시킬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디코더(3)의 블럭도이다. 디코더(3)의 비트 동기회로(31)은 무선부(2)로부터의 복조신호(c)와 발진회로(39)로부터의 기준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재생 클럭(m)을 발생시킨다. 비트 동기회로(31)은 동기 제어회로(32), 프리앰블 및 SC(동기)신호 검출회로(이하, 동기신호 검출회로라 함 ; 33), BCH 오류정정회로(34), 선택 호출 코드 검출회로(35) 및 보 속도(baud rate) 감시회로(36)으로 재생 클럭(m)을 출력시킨다.
동기 제어회로(32)는 전파를 간헐적으로 수신하는 바테리 세이빙 동작을 제어한다. 이 동기 제어회로(32)는 바테리 세이빙 모드에 있고 그것은 POCSAG(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신호를 수신하지 않고 동기(SC)신호 검출회로(33)으로부터의 프리앰블 검출신호(i) 및 보 속도 감시회로(36)으로부터의 보 속도 검출신호(k)를 수신하면 연속 수신을 개시한다. 동기 제어회로(32)는 동기신호 검출후에 프리앰블 및 SC 신호 검출회로(33)으로부터 전송된 동기신호 검출신호(j)를 수신하여 바테리 세이빙 동작을 재개하고 페이저가 속하는 그룹의 타이밍에 따라 연속으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동기 제어회로(32)가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회로(35)에서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일치에 의해 발생되는 검출 신호(o)를 수신할 때, 무선부(2)는 다음 메시지 데이타를 수신한다. 또한, 동기 제어회로(32)가 바테리 세이빙 동작을 개시할 때, 바테리 세이빙 신호(h)를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회로(35)및 바테리 세이빙 제어 신호(b)를 무선부(2)로 출력시킨다.
프리앰블 및 SC 신호 검출회로(33)은 비트 동기회로(31)로부터의 재생 클럭(m)에 의해 무선부(2)로부터의 복조신호(c)를 샘플링하고, 프리앰블 신호를 검출하면 프리앰블 검출신호(i)를 발생시켜 이 프리앰블 신호(i)를 동기 제어회로(32)로 출력시킨다. 또한, 프리앰블 및 SC 신호 검출호로(33)이 프리앰블 신호에 연속되는 동기신호를 검출할 때, 동기신호 검출회로(33)은 동기신호 검출신호(j)를 발생시켜 동기 제어회로(32)로 출력시킨다.
BCH 오류정정회로(34)는 무선부(2)로부터의 복조신호(c)의 오류를 정정하고 메시지 데이타(p)를 MPU 인터페이스 회로(37) 및 데이타 버스(f)에 의해 마이크로프로세서(17)로 출력시킨다.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회로(35)는 동기 제어회로(32)로부터의 바테리 세이빙 신호(h)의 타이밍에 따라 무선부(2)로부터의 복조신호(c)에 대해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조합을 행한다. 복조신호(c)내에 수신된 선택 어드레스 코드와 페이저의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일치가 조합에 의해 검출될 때,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회로(35)는 일치 검출신호(o)를 동기 제어회로(32)로 출력시킨다. 이와 동시에,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회로(35)는 MPU 인터페이스 회로(37) 및 데이타 버스(f)를 통해 일치 검출신호(o)를 마이크로프로세서(17)로 출력시킨다. 부수적으로, MPU 인터페이스(37), 데이타 버스(f) 및 선택 어드레스 코드 설정신호(q)를 통해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회로(35)에서 페이저내의 선택 어드레스 코드가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해 설정된다.
보 속도 감시회로(36)은 비트 동기회로(31)로부터의 재생클럭(m)과무선부(2)로부터의 복조신호(c)를 비교하여 그것이 수신될 POCSAG 신호의 보 속도인지를 결정한다. 보 속도 감시회로(36)으로부터 동기 제어 회로(32)로 전송된 보 속도 검출신호(k)는 바테리 세이빙 동작 상태에서 동기신호의 수신을 위한 동작을 기동하기 위한 활성 요소로서 사용된다. 이 신호(k)는 또한 프리앰블 신호 이외에도 바테리 세이빙 동작을 해제시키는데 사용된다.
MPU 인터페이스 회로(37)은 BCH 오류정정회로(34)로부터의 메시지 데이타(p) 또는 선택 호출 코드 검출회로(35)로부터의 일치 검출신호(o)가 전송되는 경우에 인터럽션 제어회로(38)에 인터럽션 요구 신호(n)을 출력한다. 인터럽션 제어회로(38)은 MPU 인터페이스 회로(37)로부터 인터럽션 요구 신호(n)을 수신할때 인터럽션 신호(d)를 마이크로프로세서(4)로 출력시킨다.
발진회로(39)는 기준 클럭(13)으로부터의 기준 클럭 신호를 비트 동기회로(31)로 통과시키고 이와 동시에 기준 클럭 신호(g)를 마이크로프로세서(17)로 출력시킨다.
제4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한 메시지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메시지 처리동작은 제4도를 참조하여 기술한다.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검출에 의해 발생된 인터럽션 신호(d)는 디코더(3)으로부터 전송될 때(스텝 21),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내에 디코더(3)으로부터의 선택 어드레스 코드 검출 정보를 기억한다(스텝 22). 또한, 디코더(3)으로부터의 인터럽션 신호(d)가 메시지 데이타인 경우에(스텝 23),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내의 버퍼 영역에 데이타를 기억한다(스텝 24).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동작 클럭으로 상기 처리를 행하고, 즉 발진회로(39)의 출력은 기준 클럭(13)으로부터 디코더(3)을 통해 입력되는 기준 클럭신호(g)를 전송한다.
또한, 디코더(3)으로부터의 인터럽션 신호(d)가 메시지 데이타의 수신을 지시하지 않을 때(스텝 23), 즉 디코더(3)으로부터의 인터럽션 신호(d)가 선택 어드레스 코드의 검출을 표시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데이타의 수신을 중지하고 MPU 동작 클럭(14)를 기동시킨다(스텝 25). 그후,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MPU 동작 클럭(14)에 따라 상기 버퍼 영역에 기억된 데이타를 처리한다(스텝 26).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내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에 메시지(문자 데이타)로서 처리된 데이타를 기억한다.
제5도는 디코더(3) 및 마이크로프로세서(17)의 동작에 따른 타임차트이다. 제5도의 경우(a)는 페이저의 선택 어드레스 신호가 수신된 POCSAG 신호내에서 발견되지 않을 때 바테리 세이빙 제어 신호(b)의 타이밍을 도시하고 있다. 경우(b)는 수신된 POCSAG 신호내의 선택 어드레스 신호가 페이저의 선택 어드레스 신호와 일치할 때 배터리 세이빙 제어 신호(b)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경우(c)는 페이저의 선택 어드레스 신호를 수신한 후의 인터럽션 신호(d)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이 타이밍으로 디코더(3)으로부터 메시지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를 RAM(7)의 버퍼 영역내에 기억한다.
또한, 경우(d)는 발진 신호를 발생시키는 MPU 동작 클럭(14)의 타이밍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발진 타이밍 챠트에서, 고레벨 부분은 클럭에 의한 발진을 나타낸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동작 클럭으로서 MPU 동작 클럭(14)에 따라 이 타이밍으로 상기 버퍼 영역내에 기억된 데이타를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타를 메시지(문자 데이타)로서 RAM(7)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내에 기억한다.
제6도는 제2도에 도시된 EEPROM(6)내의 정형문의 등록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EEPROM(6)의 정형문 등록 영역(6a)에 있어서, 정형문은 이 정형문에 대응하는 번호가 붙은 영역내에 각각 등록된다. 즉, 정형문 번호 "1"에 대응하는 영역에, 정형문 "CALL OFFICE"가 등록된다. 또한, 정형문 번호"2"에 대응하는 영역에, 정형문"URGENTLY CONTACT"가 등록된다. 또한, 정형문 번호 "3"에 대응하는 영역에, 정형문 "PLEASE PICK UP AT"가 등록된다. 정형문 번호 "4","5",…에 대응하는 영역에는, 아직 정형문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제7도는 2개의 정형문의 변환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변환예들은 제6도에 도시된 정형문들이 EEPROM(6)내의 정형문 등록영역(6a)에 등록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제7(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과 같은 문자열이 수신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EEPROM(6)내의 정형문 등록 영역(6a)의 정형문 번호 "1"을 조회하여 LCD(5)상에 정형문 "CALL OFFICE"를 표시한다.
또한, 제7(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03 YOKOHAMA STATION"과 같은 문자열이 수신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EEPROM(6)내의 정형문 등록 영역(6a)의 정형문 번호 "3"을 조회하여, LCD(5)상에 정형문 "PLEASE PICK UP AT YOKOHAMA STATION"을 표시한다.
제8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정형문 등록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고,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동작은 제2도 내지 제9도에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LCD(5)의 디스플레이가 오프 상태이고 페이저가 대기 모드에 있으면(스텝 41), 그 다음 기능 스위치(8)의 SW3(이하 "스위치 SW3"이라 함)이 온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로부터 최신 메시지를 판독하여 LCD(5)상에 이를 표시한다[제8(a)도 참조 ; 스텝 42]. 메시지 번호 1이 최신 메시지의 상부에 할당된다. 즉, 메시지 "1 : YOUR NEXT APPOINTMENT IS AT 9 : 00"이 LCD(5)상에 표시된다. 메시지가 LCD(5)사에 표시되면, 페이저는 표시 대기 모드가 된다(스텝 43).
스위치 SW3이 이 모드에서 온되어 있으면, 언제나 다음 화면이 LCD(5)상에 표시된다(스텝 45). 또한, 수신된 메시지가 수신 순서대로 RAM(7)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므로 다음 화면이 없으면, 스위치 SW3을 온함으로써, 다음 메시지가 LCD(5)상에 표시된다[제8(b)도 참조 ; 스텝 44]. 즉, 다음 메시지 "2 : PLEASE RETURN TO YOUR OFFICE"가 LCD(5)상에 표시된다. 또한, 기능 스위치(8)의 SW2(이하 "스위치 SW2"라 함)가 온되면, 앞의 메시지가 LCD(5)상에 표시된다(스텝 46). 이때에, 규정 시간이 경과하면, LCD(5)의 디스플레이가 턴 오프되고, 페이저는 대기 모드로 복귀한다(스텝 41).
메시지가 LCD(5)상에 표시되는 동안 기능 스위치(8)의 SW1(이하 "스위치 SW1"이라 함)이 온되면, LCD(5)상에 MENU가 표시된다[제8(c)도 참조 ; 스텝 47]. 이때 페이저는 메뉴 선택 대기 모드가 된다(스텝 48).
여기에서, LCD(5)의 스크린상의 커서는 스위치 SW3을 온함으로써 이동되고(스텝 49), 스위치 SW2가 커서가 DELETE의 위치로 올 때 온되고, 이때 페이저는 DELETE MODE가 된다. 또한, 커서가 PROTECT 위치로 이동될 때, 스위치 SW2가 온되면, PROTECT MODE가 된다. 또한, 커서가 PROGRAM 위치로 이동되면, 스위치 SW2가 온되고 PROGRAM MODE가 된다[제7(d)도 참조 ; 스텝 50]. 이 경우에, 스위치 SW1이 온되거나 규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LCD(5)의 디스플레이는 오프되고 페이저는 대기 모드로 복귀된다(스텝 41).
스크린이 PROGRAM MODE를 표시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로부터 정형문 번호 "1"의 정형문을 판독하여 LCD(5)의 제2라인상에 정형문 번호와 함께 정형문을 표시한다[제8(e)도 참조]. 즉, LCD(5)의 제2라인상에, "1 : CALL OFFICE"와 같은 정형문이 표시된다. 이제, 정형문이 EEPROM(6)의 정형문 등록 영역(6a)내에 기억되어도, EEPROM(6)으로부터의 판독 속도가 느려서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페이저에 전력이 입력되는 시간에 정형문 및 정형문 번호를 EEPROM(6)의 정형문 등록 영역(6a)로부터 RAM(7)에 복사한다. 정형문 및 정형문 번호가 LCD(5)상에 표시되면, 페이저는 정형문의 등록을 위해 대기 모드가 된다(스텝 51).
스위치 SW3이 이 상태에서 온되면, 반드시 정형문 등록 영역(6a)에 기억된 정형문이 LCD(5)상에 표시된다(스텝 52). 정형문이 정형문 등록 영역(6a)내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정형문 번호만이 LCD(5)상에 표시된다[제8(f)도 참조].
정형문 번호만 LCD(5)상에 표시되면, 스위치 SW2가 온되고 LCD(5)의 제1라인상에 표시된 "PLEASE RETURN TO"와 같은 메시지가 정형문 번호 "4"의 공백 라인에 등록된다[제8(g)도 참조 ; 스텝 53]. 즉, 스위치 SW2가 온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7)은 RAM(7)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LCD(5)의 제1라인상에 표시된 메시지를 판독하고, 상기 메시지를 정형문 등록 영역(6a) 및 RAM(7)의 정형문 등록 영역에 서입한다. 그러나, LCD(5)의 제2라인에 표시된 정형문이 있어서 SW2가 온되면, LCD(5)의 제1라인상에 표시된 메시지가 정형문 등록 영역(6a)내에 이미 등록된 영역상에 중첩된다. 이 경우에, 스위치 SW1이 온되거나 규정시간이 경과하면, LCD(5)의 디스플레이가 오프되고 페이저는 대기 모드로 복귀한다(스텝 41).
"PLEASE RETURN TO"와 같은 정형문이 상기 처리 동작에 의해 정형문 등록 영역(6a)내의 정형문 번호 "4"의 위치에 등록된 후, "…04 YOUR HOME"과 같은 문자열이 수신되는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17)이 EEPROM(6)내의 정형문 등록 영역(6a)의 정형문 번호 "4"를 참조하여 "PLEASE RETURN TO YOUR HOME"과 같은 정형문이 LCD(5)상에 표시된다[제8(h)도 참조].
제10도는 페이저를 호출하는데 사용되는 POCSAG 신호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0(a)도에서, POCSAG 신호는 "101010…”과 같은 패턴을 갖는 576비트 프리엠블 신호, 코드 워드를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SC)신호, 선택 어드레서 코드를 나타내는 선택 어드레스 신호, 전송될 메시지의 BCH 코드 메시지 데이타 및 배치(batch)를 포함한다.
제10(b)도에 있어서, 배치는 그의 상부에 제공되는 32비트 동기(SC)신호 및 각각의 대응 그룹에 각각 어드레스된 페이저에 의해 간헐적으로 수신되는 8개의 그룹으로 분할된 CW1로부터 CW16까지의 코드 워드로 구성된다. 또한, 코드 워드는 하나가 어드레스 코드 워드(페이징 번호)이고 다른 하나가 메시지 코드 워드(메시지 데이타)인 2개의 유형을 포함한다.
제10(c)도에서, 코드 워드는 최상위 비트(MSB)에서 최하위 비트(LSB)로의 순서로, 즉 21비트의 정보 비트, 10비트의 검사 비트 및 패리티 비트의 순서도 정렬된다.
이 POCSAG 신호는 "STANDARD MESSAGE FORMATS FOR DIGITAL RADIO PAGING"및 "Post Office Code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POCSAG), 1980년 추계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POCSAG는 시분할 시스템으로, 각 페이저가 페이저 자체에 속하는 그룹으로 분할된 전송지속 시간 동안에만 수신 회로를 턴 온시키고 자체의 그룹 이외의 그룹으로 분할된 시간 동안에 수신 회로를 턴 오프시켜 상기 시스템에 의한 바테리 세이빙 동작은 전류 소모를 감소시킨다.
그러므로, 선택 어드레스 코드가 페이저 자체에 대하여 디코더(3)에 의해 검출될 때, 이 선택 어드레스 코드에 계속되는 메시지 신호가 상기 방법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해 처리되어 RAM(7)의 메시지 메모리 영역에 기억되고 상기 메시지 메모리 영역내에 기억된 메시지들 중에서 기능 스위치(8)이 지정한 메시지가 정형문으로서 EEPROM(6)의 정형문 등록 영역(6a)에 등록될 수 있어서, 유저가 자신에게 전송되는 메시지를 등록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하면 유저가 정형문으로 등록하기를 원하는 메시지를 등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용이하게 정형문을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기능은 유저의 요구에 부합하고 시스템의 용도가 개선된다.
본 발명은 예시할 목적으로 특정 실시예에 대해 기술되었지만,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페이저에 할당된 선택 어드레스 코드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 상기 선택 어드레스 코드가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에 상기 선택 어드레스 코드에 계속되는 메시지 데이타를 처리하는 메시지 처리 수단, 상기 메시지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되는 메시지를 기억하는 메시지 메모리 및 다수의 정형문을 기억하는 정형문 메모리를 갖고 있는 페이저에 있어서, 메시지 메모리에 기억되는 메시지들 중 1개의 메시지를 지정하는 지정 수단 및 상기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메시지를 상기 정형문 메모리에 정형문으로서 등록하는 등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수단이 기능 스위치에 의해 동작되고 수신 메시지부를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수단이 DELETE, PROTECT 및 RECORD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상에 메뉴 스크린을 접촉시킴으로써 동작되는 기능 스위치로써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KR1019920003200A 1991-02-28 1992-02-28 페이저 KR950007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058430 1991-02-28
JP3058430A JP2844947B2 (ja) 1991-02-28 1991-02-28 選択呼出受信機
JP91-58430 1991-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6943A KR920016943A (ko) 1992-09-25
KR950007970B1 true KR950007970B1 (ko) 1995-07-21

Family

ID=13084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200A KR950007970B1 (ko) 1991-02-28 1992-02-28 페이저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502419B1 (ko)
JP (1) JP2844947B2 (ko)
KR (1) KR950007970B1 (ko)
AU (1) AU652416B2 (ko)
CA (1) CA2061947C (ko)
DE (1) DE69228136T2 (ko)
ES (1) ES2128328T3 (ko)
HK (1) HK1011441A1 (ko)
SG (1) SG525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4720B2 (ja) * 1993-03-30 1995-05-15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70327A (ja) * 1982-10-15 1984-04-20 Nec Corp 選択呼出受信機
US4715048A (en) * 1986-05-02 1987-12-22 Canadian Patents And Development Limited Frequency offset diversity receiving system
US4894649A (en) * 1988-01-07 1990-01-16 Motorola, Inc. Pager having time controlled functions
EP0342638B1 (en) * 1988-05-17 1995-04-26 Casio Computer Company Limited Radio paging communication system
JPH02188035A (ja) * 1989-01-17 1990-07-24 Fujitsu Ltd 無線呼出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44947B2 (ja) 1999-01-13
ES2128328T3 (es) 1999-05-16
DE69228136D1 (de) 1999-02-25
EP0502419A2 (en) 1992-09-09
DE69228136T2 (de) 1999-06-02
AU1126292A (en) 1992-09-03
JPH04273728A (ja) 1992-09-29
EP0502419A3 (en) 1993-04-07
SG52590A1 (en) 1998-09-28
CA2061947C (en) 1997-05-27
EP0502419B1 (en) 1999-01-13
HK1011441A1 (en) 1999-07-09
AU652416B2 (en) 1994-08-25
KR920016943A (ko) 1992-09-25
CA2061947A1 (en) 199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2256A (en) Paging receiver with display
US5650776A (en)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user configuration control functions
JPS6314537B2 (ko)
KR950011078B1 (ko) 선택 호출 수신기
KR950007970B1 (ko) 페이저
US6060999A (en) Pager with controllable alarming and a method of receiving a message with controllable alarming
US5726641A (en) Selective calling receiver
US6052564A (en) Portable individual calling device
JP2676554B2 (ja) 短縮機能付きポケット・ページャ
EP0820153B1 (en)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JPH0325972B2 (ko)
JP2638005B2 (ja) 選択呼出受信装置
US5734331A (en) Input control for radio selective calling receiver
JP2623688B2 (ja) 選択呼出方式及び個別選択呼出受信機
JP2508585B2 (ja) 情報受信装置
JPH08163617A (ja) 多言語対応選択呼出受信機
JP2982515B2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
JPH11313354A (ja) 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
KR0164364B1 (ko) 쌍방향 무선호출기의 송신데이터 관리장치 및 방법
JP3033718B2 (ja) 表示機能付き無線携帯装置
JPH05165787A (ja) 小型電子機器システム
KR100263075B1 (ko) 무선호출기의 메시지 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JPH0445316Y2 (ko)
JPH104578A (ja) 無線呼出受信機
JPH06197068A (ja) ページング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