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734B1 - 박막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박막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734B1
KR950007734B1 KR1019910701074A KR910701074A KR950007734B1 KR 950007734 B1 KR950007734 B1 KR 950007734B1 KR 1019910701074 A KR1019910701074 A KR 1019910701074A KR 910701074 A KR910701074 A KR 910701074A KR 950007734 B1 KR950007734 B1 KR 950007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aglio
roller
printing
ink
prin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837A (ko
Inventor
켄이치 마사키
야스히로 하사무라
Original Assignee
니혼샤신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키 쇼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샤신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스즈키 쇼조 filed Critical 니혼샤신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2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9/00Rotary intaglio printing presses
    • B41F9/0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18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of special construction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41F3/36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of special construction or for particular purposes for intaglio or helio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박막형성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 (a), (b), (c)는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한 박막형성장치의 사시도. 요부확대정면도 및 요부확대측면도.
제2도 (a)는 초기인쇄상태에서의 요판의 둔덕부 핏치와 인쇄로울러의 회전축방향과 스크린의 요철이 요판표면에서 이루는 각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2도 (b)는 둔덕의 흔적이 (1/2)핏치 어긋나도록 요판을 X 또는 Y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서 인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 (c)는 두번째 인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2도 (d)는 둔덕의 흔적이 (n+1/10)만 어긋나도록 요판을 X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서 인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3도 (a), (b)는 각각 요판의 패턴을 나타낸 평면도.
제4도 (a), (b)는 각각 상기 요판을 써서 형성시킨 피막의 평면도.
제5도 (a), (b)는 각각 두번째로 피인쇄체에 전이시킨 잉크피막의 평면도.
제6도 (a), (b)는 각각 제3도 (a), (b)로 도시된 요판으로 형성시켜진 피막의 평면도.
제7도 (a), (b), (c)는 각각 피인쇄체의 표면에 첫번째 잉크피막이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두번째 잉크피막이 형성된 잉크피막의 단면도 및 이 두번째 잉크피막이 상기 첫번째 잉크피막에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8도는 상기 제1실시예 피막형성장치에 사용되는 실린더와 요판로울러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일부단면 정면도.
제9도∼10도는 각각 실린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11도∼13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관한 박막형성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
제14도는 종래의 박막형성장치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액정배향막(液晶配向膜)이나 액정봉입용 씨일. 반도체소자의 절연피막, 레지스터 또는 평탄하고 균일한 두게의 막등 여러가지 박막을 피인쇄체에 평활하고 정확하게 형성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배경]
일반적으로 경질의 피인쇄체에 박막의 인쇄를 하는 것으로는 평판옵셋인쇄 같은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평판옵셋인쇄에서는 사용할 수 있는 인쇄잉크가 습윤수에 잘 유화(乳化)되지 않으면서 평판에 충실히 이전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점도가 80,000∼100,000 C.P.S.로 높은 인쇄잉크에 한정되고, 이전된 피막도 평활성이 결핍되고 있다.
그 때문에 예컨대 액정배향막이나 액정봉입용 씨일등에 사용되는 인쇄잉크로서 점도수가 10∼30,000 C.P.S.인 저점도 인쇄잉크를 이용하여 평활성이 우수한 피막을 형성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인쇄에 의해서는 박막을 형성시킬 수가 없다.
이에 본 출원인은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박막형성장치를 기히 제안한 바 있는 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58-170864호), 그 장치는 다수의 작은 구멍이나 흠으로 이루어진 오목부를 갖는 평판형상의 요판(凹板 ; 42)과 피인쇄체(43)가 기대(41)상에 나란히 설치되는 한편, 점도수가 10∼30,000 C.P.S.인 잉크를 요판(42)의 오목부에 충전하는 잉크공급장치(도시되지 않음)와 고무나 수지로 된 탄성철판(彈性凸板 ; 44a)을 구비한 인쇄로울러(44)를 갖는 인쇄로울러지지틀(45)이 요판(42)과 피인쇄체 (43) 사이에서 기대(41)에 대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됨과 더불어, 인쇄로울러지지틀(45)에는 요판(42)의 오목부에 충전된 잉크중 여분의 잉크를 요판(42)으로부터 빼내는 닥터 (doctor ; 46)가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는, 잉크공급장치로부터 요판(42)의 오목부에 잉크를 공급해서 닥터(46)로 여분의 잉크를 배제시킨 다음, 인쇄로울러(44)를 요판(42)에 압접시키면서 회전시켜 인쇄로울러(44)에 구비된 탄성철판(44a) 표면에 요판(42) 오목부의 잉크를 부착시켜, 잉크가 부착된 인쇄로울러(44)를 피인쇄체 (43)상에 반송하여 인쇄로울러(44)를 회전시키면서 탄성철판(44a)의 잉크를 피인쇄체 (43)의 표면에 이전시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출원인은 인쇄로울러(44)에 일정량의 잉크를 공급하는 요판(42)을 평판상에서가 아니라 원통체로 구성된 박막형성장치로 기히 제안한바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소62-202736).
그러나 이들 박막형성장치에 있어서는, 요판의 오목부배치차 같이 잉크가 피인쇄체의 표면에 이전되어져, 형성된 박막의 표면이 요판의 요철과 같은 형상의 요철인 「그라비아눈매」라 불려지는 규칙적인 요철을 같는 것이 된다. 즉 요판의 오목부에 충전된 잉크를 인쇄로울러에 이전시키면 요판의 요철배열과 같이 잉크가 옮겨지고, 다시 이를 피인쇄체상에 이전시키면 피인쇄체상에도 그 배열에 따른 요철을 가진 잉크피막이 형성되고, 인쇄로울러상이나 피인쇄체상에서는 잉크가 어느정도 평평해질려고 하는 잉크피막이 그라비아눈매를 가진 평화성이 낮은 박막으로 된다.
그리고 잉크피막패턴을 인쇄로울러의 볼록부패턴에 의해 규정되게 되나, 그 볼록부의 패턴엣지에 있어서는 잉크피막의 그라비아눈매가 지워지기 어려워 피인쇄체상에 이전된 잉크피막패턴의 엣지도 그리바아눈매의 흔적에 의해 까칠까칠해지게 되어 직선성이 결핍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인쇄로울러와 요판 및 피인쇄체와의 접합압력을 낮아지게 해서 패턴의 엣지를 미려하게 해야할 경우 잉크의 점도가 조금 높거나 막의 두게를 두껍게 하기 위해 요판을 제조할때 사용하는 그라비아스크린을 성기게 하거나, 또는 선이나 점의 미세한 패턴을 인쇄하려 할 때 특히 현저히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평활하고 균일한 잉크피막을 이전시켜 피인쇄체상에 평활하고 엣지의 직선성이 양호한 정밀도가 높은 피막을 형성시킬 수 있는 박막형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로울러에 일정량의 잉크를 공급하는 요판의 위치를 소정거리만큼 이동시켜 그라비아눈매가 지워지게 인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박막형성장치는, 기대의 지지틀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사선형상(斜線形狀) 또는 격자형상(格子形狀)으로 규칙적인 오목부를 가진 스크린을 표면에 있는 요판로울러와, 이 요판로울러의 주위소정 개소에서 상기 지지틀에 부착된 상기 요판로울러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요판로울러표면에 펼쳐 상기 오목부내에 일정량의 잉크가 보유지지되도록 하는 닥터, 상기 요판로울러에 인접해서 상기 지지틀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상기 요판로울러와 동기해서 회전하게 됨과 더불어 소망하는 패턴을 가지고 상기 요판로울러표면에 접촉할 수 있어서 접촉했을때 상기 요판로울러의 오목부내의 잉크가 이전하게 되는 볼록부를 가진 인쇄로울러, 피인쇄체가 올려놓아져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기대상에서 상기 인쇄로울러에 접촉하는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로울러에서 떨어진 위치 사이를 상기 인쇄로울러의 원주속도와 동기하여 미끄럼 왕복이동하도록 구비된 정반(定盤)과, 상기 요판로울러와 상기 인쇄로울러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정반을 상기 인쇄위치와 상기 인쇄로울러에서 떨어진 위치로 각각 이동시키는 정반구동장치 및, 상기 요판로울러를 인쇄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 및/또는 상기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x
n+1/5|x/p sinθ|n+4/5
n+1/5|y/p cosθ|n+4/5
(단, P는 상기 요판로울러의 둔덕부(Bank)핏치, n은 정수(整數), θ는 상기 인쇄로울러의 회전방향과 상기 요판로울러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스크린의 오목부와 둔덕부가 요판로울러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의 각도를 각각 나타낸다.
만큼 이동시키는 요판로울러이동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박막형성장치는, 기대상에 지지되면서 사선헝상 또는 격자형상의 규칙적인 다수의 오목부를 가진 스크린을 표면에 갖는 평판형상의 요판과, 상기 요판주위 소정개소에서 지지틀에 부착되어 상기 요판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요판의 표면에 펼쳐 상기 오목부내에 일정량의 잉크가 보유지지되도록 하는 닥터, 상기 요판의 윗쪽에서 상기 지지틀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더불어 소망하는 패턴을 갖고서 상기 요판에 접촉할 수 있는 볼록부를 갖추고서 이 블록부가 상기 요판에 접촉할 때 상기 요판의 오목부내의 잉크를 압접회전에 따라 상기 볼록부상에 이전시키는 인쇄로울러, 상기 기대상에 배치되어 피인쇄체를 이 피인쇄체의 표면에 상기 인쇄로울러의 볼록부가 접촉하도록 올려놓아 고정시켜 상기 인쇄로울러의 압접회전에 따라 상기 볼록부상의 잉크를 상기 피인쇄체상으로 이전시키는 정반, 상기 인쇄로울러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요판을 인쇄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 및/또는 상기 인쇄방향과 직각방항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x
n+1/5| x/p sinθ |n+4/5
n+1/5| y/p cosθ |n+4/5
(단, P는 상기 요판의 둔덕부의 핏치, n은 정수, θ는 상기 인쇄로울러의 회전방향과 상기 요판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스크린의 오목부와 둔덕부가 요판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의 각도를 각각 나타낸다) 만큼 이동시키는 요판이동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박막형성장치에 의하면, 먼저 잉크가 평판형상 또는 로울러형상의 요판표면에 공급되어 닥터가 미끄럼왕복이동함으로써 여분의 잉크가 제거됨과 더불어 요판의 오목부내에 일정량의 잉크가 충전되어 보유지지되게 된다. 요판의 패턴이 사선형상스크린인 경우에는 제3도 (a)에 확대해서 도시한 평면도와 같이 되고, 격자형상스크린인 경우에는 제3도 (b)에 확대해서 도시한 평면도와 같이 된다.
이어 요판과 인쇄로울러가 접촉해서 요판의 오목부내에 충전된 인쇄잉크가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에 이전된다. 여기서의 인쇄로울러는 형성되어질 박막의 패턴에 대응된 형상의 볼록부를 갖고 있다. 이때 볼록부상의 잉크피막은 요판의 다수의 규칙적인 요철패턴 즉 그라비아눈매가 재현되어진 규칙적인 요철형상으로 된다. 그리고 인쇄로울러가 회전하면서 피인쇄체에 압접되어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상의 잉크가 피인쇄체상에 이전된다. 이때에도 잉크피막에는 그라비아눈매가 재현되어 규칙적인 요철을 갖는 피막으로 된다. 또 피막엣지부에 있어서는 까칠까칠해서 직선성이 결핍된 것으로 된다.
제3도 (a)의 요판을 써서 형성시킨 피막의 평면도를 제4도 (a)에, 제3도 (b)의 요판을 써서 형성시킨 피막의 평면도를 제4도 (a)에 각각 확대해서 나타내었다.
다음, 요판을 인쇄방향(Y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 및/또는 인쇄방향과 직각방향(X방향)으로 다음식으로 구해지는 이동거리 x만큼 요판로울러이동장치 또는 요판이동장치로 이동시킨다.
n+1/5| x/p sin θ|n+4/5
n+1/5| y/p cos θ |n+4/5
(단, P는 상기 요판의 둔덕부 핏치, n은 정수, θ는 인쇄로울러의 회전방향과 상기 요판(23)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스크린의 오목부와 둔덕부가 요판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각도를 각각 나타낸다(제1도 (b)제2도 (a)를 참조)).
여기서 | x/p sinθ| 또는 | y/p cosθ|의 범위를 n+1/5에서 n+4/5로 제한한 이유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인쇄체(62)에 초기인쇄를 한 제2도 (a)에서 가령 θ=45°, P=0.1mm로 하면,
P의 X성분은 0.1×sin 45'=0.141mm
P의 Y성분은 0.1×cos 45'=0.141mm
로 된다.
제2도 (a)의 초기인쇄상태에 대해 제2도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인쇄체상에 이전된 잉크(60)의 요판의 둔덕부흔적(61) 모양이 위상(位相)으로 1/2 어긋나도록 요판을 X 또는 Y방향으로 어긋나게 했을 때를 생각해보자.
이때의 이동량은
n+1/2= |1/p sinθ| 또는 n+1/2= | y/p cosθ|
로 나타내어져, 즉
X=(n+1/2)×0.1×Y=(n+1/2)×0.1×
= (n+1/2×0.141 = (n+1/2×0.141
로 된다.
여기서 n은 임의의 정수인바,
n=0일 때 0.141×1/2=x 또는 y
n=1일 때 0.141×(1+1/2=x 또는 y
n=2일 때 0.141×(2+1/2)=x 또는 y
n=i일 때 0.141× (i+1/2)=x 또는 y
로 되어, 결국 n의 값에 관계없이 제2도 (a)의 초기인쇄상태에 대해 요판을 x 또는 y만큼 이동시키게 되어, 제2도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둔덕부의 흔적 (61)의 위상이 1/2 즉 외관상의 어긋남이 0.071mm 어긋난 위치에 인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요판을 이동시키면서 인쇄로울러나 피인쇄체 (62)상에 잉크(60)를 이전시킴으로써 요판의 둔덕부에 대응하는 잉크이 전량이 적은 부분(61)과 오목부에 대응하는 잉크이전량이 많은 부분(60)으로 이루어지는 규칙적인 모양이 합쳐져 같아지게 되면, 제2도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평활한 패턴엣지의 직선성이 좋은 인쇄피막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 x/p sinθ 또는 y/p costθ 는 요판패턴의 둔덕부의 핏치인 X방향 또는 Y방향 성분에 대한 같은 방향으로의 이동량 x 또는 y의 비를 나타내고, 위상의 어긋남을 나타낸다. 즉 정수(整數)인 경우는 위상이 같아지는 한편, n+1/2인 때에는 어긋남이 최대로 된다(n은 정수).
식중에서 | x/p sinθ | 또는 | y/p costθ|의 범위를 n+1/5 이상 n+4/5 이하의 범위로 제한한 것은,
① | x/p sinθ | 또는 | y/p costθ |가 정수인 경우에는 요판의 둔덕부흔적 (6l)의 위상이 요판의 이동전후에서 변하지 않기 때문에 소멸효과가 없고, 또
② N+1/5 미만 또는 N+4/5를 넘으면 위상의 어긋남이 적기 때문에 소멸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예컨대 6=45, P=0.1mm일 때 n+1/10에서는 n+1/10= | x/p sinθ | 로부터 X=1/10×0.1×(n=0인 경우) =0.014mm로 된다
즉 이 경우는 외형상의 어긋남이 0.014mm로 작아 소멸효과가 부족하다.
제2도 (d)는 이 n+1/10인 경우를 나타낸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소멸효과가 높은 영역으로서 요판의 둔덕부와 오목부패턴의 위상의 어긋남을 n-1/5 이상 n+4/5 이하인 범위로 제약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또 x,y의 부호는 이동의 방향을 나타내는데, 그 값이 정인 경우는 순방향, 부인 경우는 역방향이 된다.
상기 요판이 이동한 다음 요판에 잉크가 공급되어 다시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피인쇄체에 잉크피막이 겹쳐져 형성된다. 2번째로 전이된 잉크는 제3도 (a)의 요판을 쓴 경우는 제5도 (a)에, 제3도 (b)의 요판을 쓴 경우는 제5도 (b)에 각각 확대해서 도시한 형상의 피막으로 된다. 또 2번째로 전이되는 피막은 첫번째로 전이된 피막의 요철과 위상이 역전되는 경향이 있어, 먼저 형성된 잉크피막의 요철이나 엣지의 깔쭉깔쭉한 것을 보정하도록 이전되게 된다.
제3도 (a)의 요판으로 형성되는 피막은 평면도를 제6도 (a)에, 제3도 (b)의 요판으로 형성되는 피막의 평면도를 제6도 (b)에 각각 확대해서 도시해서 도시하였고, 첫번째와 두째번 잉크피막이 겹쳐져 인쇄된 단면형상을 제7도에 확대해서 도시해 놓았다.
또 잉크피막의 요철을 보정하는 것은 2회의 인쇄가 겹치도록 하지만 않고 3회 이상의 인쇄가 겹쳐지도록 하여도 좋다. 예컨대 3회의 인쇄가 겹치도록 하는 경우는 요판의 둔덕부핏치의 (1/3)cosecθ 씩 요판을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3회의 인쇄를 겹치게 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해서 표면이 평활해져서 패턴의 엣지가 미려한 박막이 피인쇄체에 형성되게 된다.
또 다음과 같이 하여도 마찬가지 박막을 형성할 수가 있다.
먼저 잉크가 평판형상 또는 로울러형상요판의 표면에 공급해서 닥터를 미끄럼이동시키면 여분의 잉크를 제거됨과 더불어 요판의 오목부내에 일정량의 잉크가 충전되어 보유지지되게 된다.
이어 요판과 인쇄로울러를 접촉시켜 요판의 오목부내에 충전된 잉크가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에 이전되도록 하는바, 이는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상으로 첫번째의 잉크묻침을 하는 작업이다. 이때 볼록부상의 잉크피막은 요판의 다수의 규칙적인 요철패턴 즉 그라비아눈매가 재현된 요철형상의 피막으로 된다.
다음에는 요판을 인쇄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 및/또는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x만큼 요판로울러이동장치 또는 요판이동장치로 이동시킨다.
n+l/5| x/p sinθ |n+4/5
n+l/5| y/p cosθ |n+4/5
(단, P는 상기 요판의 둔덕부핏치, n은 정수, θ 는 인쇄로울러의 회전방향과 상기 요판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스크린의 둔덕부와 볼록부가 요판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각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어서 요판에 잉크를 공급하고 다시 상기와 마찬가지로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에 잉크피막을 형성시키는 바, 이는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상에 두번째의 잉크묻침을 하는 작업이 된다. 두번째로 전이된 잉크는 첫번째로 전이된 잉크의 요철과 위상이 역전되는 경향이 있어, 먼저 형성된 잉크피막외 요철을 보정하도록 전이된다.
또 잉크피막의 요철을 보정하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볼록부상에 잉크를 두번 묻쳐지도록 하지만 않고 3번 이상 볼록부상에 잉크가 묻쳐지도록 하여도 좋다. 즉 예컨대 5번 볼록부상에 잉크가 묻쳐지도록 하는 경우는 요판의 볼록부 핏치의 (1/5)cosecθ 씩 요판을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볼록부상에 잉크가 묻쳐지도록 하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볼록부상의 여러번 되풀이해서 잉크를 묻친 다음, 마지막으로 인쇄로울러와 피인쇄체를 접촉시켜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에 묻쳐진 잉크를 피인쇄체상에 전이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하면 표면이 평활해서 패턴의 엣지가 미려한 박막이 피인쇄체에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하여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박막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먼저 잉크를 평면형상 또는 로울러형상의 요판 표면에 공급해서 닥터를 미끄럼이동시켜 여분의 잉크를 제거하여 요판의 오목부 일정량의 잉크가 충전되어 보유지지되도록 한다.
이어 요판과 인쇄로울러를 접촉시켜 요판의 오목부내에 충전된 잉크가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에 전이되도록 하는데, 이때 볼록부상의 잉크피막은 요판의 다수의 규칙적인 요철패턴 즉 그라비아눈매가 재현된 규칙적인 요철형상의 피막으로 된다.
그리고 인쇄로울러를 회전하면서 피인쇄체에 압접되도록 해서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상의 잉크가 피인쇄체에 전이되도록 하는바, 이때 피인쇄체상에는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상의 잉크가 모두 전이되지 않고 볼록부에 어느정도 잉크가 잔류하계 되는바, 잔류한 잉크피막에는 그라비아눈매가 재현되어 규칙적인 요철을 가진 피막으로 된다. 또 피막의 엣지부에 있어서는 까칠까칠해서 직선성이 결핍된 것으로 된다.
한편 피인체상에 형성되는 잉크피막은 그라비아눈매를 갖는 것으로 되어 평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이 잉크피막은 시험용으로서 폐기하게 된다.
다음에는 요판이 인쇄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 및/ 또는 인쇄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x만큼 요판로울러이동장치 또는 요판이동장치로 이동시킨다.
n+1/5| x/p sinθ|n+4/5
n+1/5| y/p cos θ|n+4/5
(단, P는 상기 요판의 둔덕부핏치, n은 정수, θ 는 인쇄로울러의 회전방향과 상기 요판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스크린의 둔덕부와 오목부가 요판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각도를 각각 나타낸다).
이어 요판에 잉크를 공급해서 다시 마찬가지로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에 잉크를 전이시킨다. 이번에는 볼록부상으로 전이되는 잉크가 먼저번에 전이되어 인쇄된 다음에도 볼록부상에 잔류해 있는 잉크의 요철과 위상이 역전되어, 잔류잉크피막의 요철이나 엣지의 까칠까칠한 곳을 없애도록 전이되게 된다.
다음에는 피인쇄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서 인쇄로울러와 피인쇄체를 접촉시켜 볼록부상의 잉크를 피인쇄체에 전이시키면 평활한 잉크피막이 피인쇄체상에 형성되게 된다.
이어 다음의 인쇄가 이루어지게 되면, 요판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 요판과 인쇄로울러를 접촉시켜 요판에서 인쇄로울러로 잉크가 전이되도록 하고, 인쇄로울러의 볼록부상의 잉크피막은 요철의 위상이 역전되어 그라비아눈매가 지워진 평활한 것으로 된다. 이어 인쇄로울러와 다음의 새로운 피인쇄체가 접촉해서 피인쇄체상에 평활한 잉크피막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해서 요판의 이동과 인쇄가 되풀이됨으로써 인쇄로울러상에서 그라비아눈매가 지워지고, 그 피막이 피인쇄체에 전이되어, 표면이 평활해져 패턴의 엣지가 미려한 박막이 차례로 피인쇄체상에 형성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박막형성장치는, 요판의 위치를 인쇄방향 및/또는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비아눈매의 위상이 상쇠되도록 잉크를 전이시켜 피인쇄체상에 평활하고 엣지의 직진성이 양호한 정밀도가 높은 박막을 형성시킬 수가 있도록 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실시예]
제 1도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 제 1실시예에 관한 박막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대(1)의 지지틀(2)에 잉크공급장치 (5)와 닥터 (6), 요판로울러 (3) 및 인쇄로울러가 각각 지지되고, 인쇄로울러구동장치의 구동 즉 인쇄로울러구동모우터(7)의 구동에 따라 기어(8,9)를 매개로 인쇄로울러(4)와 요판로울러(3)가 동기해서 회전하게 된다.
또 상기 지지틀(2) 아래의 기대(1)상에는 유리판과 같은 강성판으로 된 피인쇄체(10)가 올려놓아져 고정되는 피인쇄체지지용 정반(11)이 이동할 수 있도록 올려놓아져 있어서, 피인쇄체지지용 정반구동모우터 (12)의 구동에 따라 보울나사 (13)를 회전시켜, 기대 (1)상에서 기대 (11)에 올려놓아져 고정된 피인쇄체(10)를 인쇄위치 (A)와 피인쇄체재치위치 (B)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면서 잉크공급장치 (5)로부터 잉크를 요판로울러(3)에 공급하여 닥터(6)로 여분의 잉크를 쓸어내리고, 또 요판로울러(3)로부터 인쇄로울러(4)로 소정패턴으로 잉크를 전이시킨 다음, 인쇄로울러 (4)를 인쇄위치 (A)에 있는 피인쇄체(10) 표면에 접촉시켜 피인쇄체(10)에 소정패턴의 박막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틀(2)은 장방형 대(坮)로 이루어진 기대(1)의 중앙부 소정위치에 1쌍의 지지판(2a,2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져 있는데, 이 한쌍의 지지판(2a,2a)으로 이루어진 지지틀(2)에는 그 상부에 요판로울러 (3)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요판로울러 (3)에 비스듬히 아랫쪽에 위치한 인쇄로울러(4)도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또 상기 요판로울러(3) 근방의 지지틀상단부에는 요판로울러 (3)의 표면을 미끄럼이동해서 여분의 잉크를 쓸어내리는 닥터플레이드(6a)를 가진 닥터 (6)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잉크공급장치 (5)는 닥터 (6)의 닥터플레이드(6a)보다 더 앞쪽위치에서 요관로울러 (3)의 표면상에 잉크를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잉크공급장치(5)는 닥터(6)의 요판로울러(3)과는 반대쪽지지틀 상단부에 1쌍의 레일(15, 15)이 가설되어 이 레일(15, 15)상에 잉크공급체(5a)가 상기 레일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이 잉크공급체 (5a)이 잉크노즐(5b)이 닥터 (6)의 윗쪽을 넘어 오판로을러 (3)의 표면윗쪽까지 연장되어져 있다. 또 잉크공급체(5a)는 도시되지 않은 와이어 등을 매개로 모우터 또는 에어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1쌍의 레일(15,15)을 따라 왕복이동해서 요판로울러(3)의 표면상에 잉크를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잉크는 예컨데 점성이 수 10-30,000c.p.s 정도인 것으로 합성수지 또는 수지전구체(樹脂前驅體 ), 용제, 휘러, 첨가물 등이 혼합된 혼합물로 된 것이다.
상기 닥터 (6)의 닥터플레이드(6a)는 도시되지 않은 에어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요판로울러 (3)의 표면에 미끄럼이동하는 위치와 요판로울러 (3)의 표면에서 이탈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또 닥터 (6)는 닥터플레이드(6a)의 앞끝이 요판로울러 (3)의 표면을 미끄럼이동해서 요판로울러 (3)의 표면상에 떨어진 잉크를 요판로울러 (3)의 표면에 펼쳐 오목부(3b)내에 잉크를 충전시키게 된다.
요판로울러(3)는 제1도 (b)에도 도시된 것과 같이 회전축(3c)에 몸통부(3a)가 고정되고, 이 몸통부(3a)는 철제로 된 심재 (芯材)의 표면에 도금층이 되어져 있는데, 이 도금층의 표면은 제3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수의 홈(3d,‥‥), 또는 작은구멍(3f,‥‥)으로 이루어진 오목부(3b,‥‥)가 갖춰져 있는바, 이들 각 오목부(3b,‥‥)는 예컨대 깊이가 5∼10μm로 되어 있다. 또 인접한 홈(3d.3d) 사이 및 인접한 작은구멍 (3f,3f)사이에는 각각 볼록부(3e,3g)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들이 상기한 둔덕부이다. 그리고 회전축(3c)의 양끝에는 지지틀(2)에 부착된 공압실린더 (16)가 각각 위치해서, 이 1쌍의 실린더 (16, 16)의 구동에 따라 요판로울러 (3)가 회전축(3c)의 축방향 즉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즉 제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요판로울러(3) 회전축(3a)의 각 끝부위근방부분이 베어링 (50)에 의해 각 지지판(2a)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그 끝면에 구상(球狀)의 오목부(3j)가 형성되는 한편, 각 지지판(2a)의 상기 요판로울러 (3) 회전축(3c)의 축상에 상기 실린더 (16)가 브라켓 (51)을 매개로 부착되어, 당해 실린더 (16)의 실린더로드(16a)의 앞끝인 구상의 볼록부(16b)가 상기 회전축(3c)의 구상오목부(3j)에 닿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c)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양 실린더 (16, 16)의 실린더로드(16a, 16a)를 각각 회전축(3c)의 축상에서 한쪽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회전축(3c)이 상기 한쪽방향으로 압압되어 강제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한쪽 실린더 (16)의 실린더로드(16a)가 회전축(3c)의 한쪽끝을 밀고 있을 때에는 다른쪽 실린더 (16)의 실린더로드(16a)가 밀려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회전축(3c)으로 지지된 몸통부(3a)는 인쇄로울러 (4) 몸통부(4b)의 볼록부(4a)에 일정한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회전축(3c)의 지지틀(2)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한쪽끝으로 되는 실린더 (16)와 지지틀(2) 사이에는, 제 1기어 (8)가 고정되어 있는데, 이 제1기어는 정밀도 높게 연마된 평치차로서 그 이빨폭도 요판로울러 (3)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넓게 되어 있어서 제1기어 (8)가 부착된 요판로울러 (3)의 회전축(3c)이 그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판로울러 (3)를 회전축 (3c)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실린더 (16)를 회전축(3c)의 한쪽끝부위에 구비시키고 다른쪽실린더를 스프링으로 바꾸어 회전축(3c)의 다른쪽끝부위를 축방향으로 항상 밀어부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 (16)의 배치는 제8도에 도시된 것에만 한정되지 않고, 제 9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 (16)의 실린더로드(164)에 정밀한 나사(16d)를 형성시킴과 더불어 회전축(3c)의 각 끝부위에 베어링(53)을 매개로 조정원통(52)을 부착시켜, 이 조정원통(52)의 오목부 내면에 형성된 나사가 상기 실린더로드(16c)의 정밀나사(16d)에 나사결합시켜지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회전축(3c)의 회전력은 상기 베어링(53)에 의해 상기 조정원통(52)으로 전달되지 않고, 상기 조정원통(52)을 회전시켜줌으로써 실린더로드(16d)가 회전축(3c)을 압압하는 힘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경우에는 한쪽 실린더 (16)의 실린더로드(16c)가 회전축(3c)의 한쪽끝을 밀고 있을 때는 다른쪽 실린더의 실린더로드(16c)는 회전축 (3c)의 다른쪽끝을 끌어당기도록 되어 있다.
또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린더(16)의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해 실린더로드(16e) 앞끝의 나사(16f)에 조정커플링 (54)이 나사식으로 끼워져 이 조정커플링 (54) 앞끝에 형성된 구상의 볼록부(54a)가 회전축(3c) 각각 끝부위의 구상오목부(3k)에 삽입되어 회전축(3c)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면중 참조부호 55는 지지판(2a)에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 (16)를 지지하는 브라켓이다.
또 상기 요판로울러 (3)의 회전위치는 예컨대 요판로울러 (3)의 회전축(3c) 끝부위에 인코더 (65)등을 부착시켜 회전위치를 검출하고, 제어펄스발진회로로 요판로울러(3)의 서보모우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정밀하게 인쇄방향의 위치를 결정하여 요판로울러(3)를 회전시키도록 하면 된다.
상기 인쇄로울러 (4)는 그 회전축(4c)에 몸통부(4b)가 고정되면서 이 몸통부(4b)의 주면(周面)소정위치에는 예컨대 부틸고무와 같은 고무라던가 나일론계통수지와 같은 합성수지 또는 감광성고무라던가 감광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탄성볼록부(4a)를 갖추고 있어, 이 볼록부(4a)에 요판로울러(3)로부터 잉크가 전이되게 된다. 여기서 이 볼록부(4a)에는 피인쇄체표면에 형성되는 박막의 패턴에 대응한 소망하는 패턴이 형성되어져 있다. 상기 회전축(4c)은 그 양끝이 지지판(2a,2a)에 의해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지지틀(2)의 한쪽 지지판(2a)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회전축(4c)의 한쪽끝에는 제 2기어 (9)가 고정되어 있는바, 이 제 2기어 (9)는 정밀하게 연마된 평치차로서, 이 제 2 기어 (9)가 상기 제 1기어에 맞물려져 있다. 또 인쇄로울러 (4) 회전축(4c)의 다른쪽 끝 즉 제 2기어 (9)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쪽 끝부위는 지지틀(2)의 다른쪽 지지판(2a)에서 바깥으로 돌출된 인쇄로울러구동모우터(7)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인쇄로울러구동모우터(7)의 구동에 따라 인쇄로울러(7)가 구동되게 되면, 제 2기어(9)와 제 1기어 (8)가 맞물려져 요판로울러 (3)와 인쇄로울러 (4)가 동기해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우터 (7)를 인쇄로울러 (4) 대신 요판로울러 (3)에 연결해서, 요판로울러 (3) 회전축(3c)의 회전력을 기어를 가진 상기와 마찬가지의 연결기구를 매개로 인쇄로울러 (4)에 전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인쇄로울러 (4)와 요판로울러 (3)를 각기 별개의 모우터로 회전구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제1도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정반(11)이 기대 (1)위에 올려놓아져 있는데, 이 기대 (1)의 상부면에는 양 지지틀 사이 아랫쪽에 위치하는 인쇄위치(A)와 양 지지틀 사이의 아랫쪽에서 피인쇄체반입쪽으로 벗어난 피인쇄체재치위치(B), 양 지지틀 사이 아랫쪽에서 피인쇄체반출쪽으로 벗어난 반출위치(C) 사이의 양쪽에 각각 안내레일(14, 14)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정반(11)이 이들 안내레일(14,14)에 걸어맞춰져 기대(1) 위에서 안내레일(14,14)를 따라 각 위치(A, B, C)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정반(11)은 그 상부면에 판형상 피인쇄체(10)의 위치가 결정된 다음 고정해서 보유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기대(1)의 상부면 중앙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보울나사(13)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정반(11)의 하면에 형성된 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됨과 더불어 보울나사(13)의 한쪽끝에 피인쇄체구동모우터(12)가 연결되어, 이 구동모우터(12)의 구동에 따라 보울나사(13)가 정역회전해서 정반(11)이 안내레일(14,14)을 따라 기대(1)상에서 왕복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피인쇄체(10)는 정반(11)의 인쇄위치(A)에서 인쇄로울러(4)에 접촉해서, 인쇄로울러(4)의 볼록부(4a)에 형성된 소망하는 패턴의 잉크를 피인쇄체(10)상에 전이시켜 인쇄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박막형성장치를 사용해서 구체적으로 박막을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예컨대 둔덕부의 핏치 P=0.127mm, 둔덕부의 폭=0.02mm, 스크린의 각도 θ=45 오목부의 깊이=20μm인 격자형상의 스크린이 형성된 요판을 사용해서 피인쇄체(10)로서 300×300×1.1mm인 유리기판을 써 인쇄를 하기로 한다.
먼저 잉크공급장치 (5)로부터 잉크가 요판로울러(3) 표면에 공급되는바, 여기서의 잉크로서는 아크릴계통 수지용액이 쓰여진다. 요판로울러 (3)에 닥터플레이드(6a)가 미끄럼이동함으로써 여분의 잉크가 제거됨과 더불어 요판로울러(3)의 잉크(3b)내에 일정량의 잉크가 충전되어 보유지지되게 된다.
다음에는 요판로울러(3)와 인쇄로울러(4)를 접촉시켜 요판로울러(3)의 오목부(3b)내에 충전된 잉크를 인쇄로울러 (4)의 볼록부(4a)에 전이시킨다.
이어 인쇄로울러(4) 아래쪽의 기대(1)상에서 미끄럼이동하는 정반(11) 위에 피인쇄체(10)를 올려놓아 고정시키고 나서 정반(11)을 인쇄로울러(4) 바로밑의 인쇄위치(A)에서 인쇄로울러 (4)와 접촉시킨다. 즉 정반(11)이 피인쇄체재치위치(B)에 있는 상태로부터 인쇄로울러구동모우터(7)를 회전시키고, 인쇄로울러(4)의 회전에 수반해서 제 2기어 (9)로부터 제 1기어를 매개로 요판로울러 (3)를 회전시켜, 인쇄로울러 (4)의 회전에 동기해서 보울나사(13)와 함께 정반(11)이 인쇄위치 (A)를 거쳐 반출위치 (C)로 이동하게 한다. 이렇게 해서 인쇄로울러 (4)의 볼록부(4a)에 형성된 소망하는 패턴의 잉크가 피인쇄체(10)상으로 전이되게 된다. 이때 잉크피막에는 그라비아눈매가 재현되어 규칙적인 요철을 갖게 됨과 더불어, 패턴 엣지가 까칠까칠하게 된 피막으로 된다.
다음, 실린더 (16, 16)를 작동시켜 요판로울러(3)를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즉 회전축(3c)의 축방향으로 0.988mm 이동시키는데, 이 이동거리는 다음의 식에서 구한다.
n+1/2 =(X/P) SIN θ
X =cosecθ× P× (n+1/2)
=cosec 45×0.127×5.5(단, n=5)
=0.988
다음에는 피인쇄체 (10)를 원래의 위치를 되돌리는바, 즉 정반(11)이 반출위치 (C)에 있는 상태에서 인쇄로울러구동모우터(7)를 역회전시켜 정반(11)이 반출위치(C)로부터 인쇄위치(A)를 거쳐 피인쇄체재치위치(B)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에 두번째 인쇄를 하게 된다. 즉 요판로울러 (3)에 잉크를 공급해서 첫번째와 마찬가지로 피인쇄체 (10)의 거의 같은 부분에 잉크피막을 형성시킨다. 이 두번째인쇄에서 요판로울러(4)의 볼록부(4a) 및 피인쇄체(10)로 전이되는 잉크의 그라비아눈매에 의한 요철위치는 첫번째에 전이된 잉크의 요철위치와 위상이 역으로 된다.
이렇게 해서 인쇄가 된 유리기판을 먼지등이 없는 가열건조기인 크린오븐내에서 70로 10분간 건조시킨 다음, 200℃에서 30분간 가열하게 되면, 표면이 평활하고 패턴엣지의 직선성이 높은 두께 1.0μm의 박막이 피인쇄체에 형성되게 된다.
(제 2 실시예 )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요판을 로울러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피인쇄체를 인쇄로울러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나, 제11도∼제13도에 도시된 제 2실시예와 같이 요판을 평판형상으로 형성하는 한편 인쇄로울러를 피인쇄체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제11∼제13도에 있어서 기대 (21)상에는 평판형상의 요판(23)을 지지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된 요판지지용 정반(31)과 피인쇄체(30)가 올려놓아져 고정되는 피인쇄체지지용 정반, 인쇄로울러(24) 및 닥터(26)를 지지해서 이동시키는 1쌍의 지지틀 (22,22)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1쌍의 지지틀(22,22)은 구동모우터(27)와 보울나사(33)에 의해 기대(21)상에 설치된 1쌍의 직선안내부재(34,34)상을 이동하도록 되어있다. 이때 인쇄로울러(24)는 기대(21)상에 설치된 러크(35)로부터 피니언기어(32)를 거쳐 회전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이 인쇄로울러(24)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어서, 하행했을 경우에는 인쇄로울러(24)의 측면에 형성된 탄성체로 이루어져 소망하는 패턴이 형성된 볼록부(24A)가 요판(24) 또는 피인쇄체(30)와 접촉하면서 1쌍의 지지틀(22,22)의 이동속도와 동기해서 회전하게 된다. 또 요판(23)에 잉크가 공급되는 것은, 잉크공급유닛(25)에 의해 요판(23)으로 잉크가 공급된 다음 인쇄위치(D)에서 잉크공급의치(D)로 1쌍의 지지틀(22,22)이 이동할 때 요판(23)상을 닥터(26)의 닥터플레이드가 미끄럼이동해서 요판(23)의 오목부(23B)에 잉크를 충전함과 더불어 여분의 잉크를 제거하게 되는바, 그 사이에 인쇄로울러 (24)는 상승위치에 위치해 있고 요판(23)과는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어 1쌍의 지지틀(22,22)의 잉크공급장치(E)에 의해 인쇄위치(D)로 이동하게 되면, 상승위치에서 하강한 인쇄로울러(24)가 동기회전해서, 먼저 인쇄로울러(24)의 볼록부(24a)가 요판(23)과 접촉하면서 상기 볼록부(24a)의 표면에 잉크를 순차로 전이시키고, 이어 상기 볼록부(24a)가 피인쇄체지지용 정반(28)상의 피인쇄체(30)와 접촉회전하면서 피인쇄체(30)상에 소망하는 패턴의 잉크를 전이하게 된다.
또 요판(23)을 지지하는 정반(31)은 인쇄방향과 직각되는 방향 즉 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정반(31)은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기대 (21)에 부착된 1쌍의 직선안내부재(39,39)를 따라 이 직선안내부재(39,39)의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기대(21)에 부착되어져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이 정반(31)을 이동시키기 위한 1쌍의 공압실린더(36,36)가 상기 정반(31)에 연결되어, 제어장치로부터 신호에 따른 상기 1쌍의 공압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직선안내부재(39,39)를 따라 상기 정반(31)을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는바, 이 경우 정반(31)의 이동거리 조정은 이동을 규정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4개의 조정용 보울트(37,…) 및 4개의 검출용 다이얼게이지(38,…)로 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정반(31)의 X방향이동기구와 마찬가지로 된 기구를 인쇄방향 즉 Y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설치하여도 좋다. 또 정반(31)을 X 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대신 피인쇄체(30)를 상기 정반(31)과 마찬가지로된 이동기구로 X 또는 Y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요판(23)으로서는 예컨대 둔덕부핏치 0.5mm, 오목부의 폭 : 둔덕부의 폭=470 : 30, 스크린각도 θ=60 오목부 깊이 20μm인 사선행상스크린이 형성된 요판을 사용하고, 잉크로서는 예컨대 농도 15%인 폴리아미크산용액 SE-100(닛싼화학공업(주)제)를 사용한다. 그리고 피인쇄체(30)의 일례로서는 300×220×1.1mm인 유리기판에 선폭이 0.30mm, 핏치 0.90mm, 선길이 150mm, 선순자 240개로 된 소망하는 볼록부패턴을 가진 인쇄로울러(24)를 써서 요판(23)에 충전된 잉크를 인쇄로울러 (24)상의 볼록부(24a)에 전이한 다음 유리기판에다 전이해서 첫번째 인쇄를 한다.
다음, 요판(23)을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0.867mm 이전시키는데, 그 이동거리는 다음식으로 구해진다.
X=cosecθ×P(n+1/2)(단 n=1)
=0.867
그다음 1쌍의 지지틀(22,22)를 이동시킴과 더불어 요판(23)에다 잉크를 충전시켜 동일한 유리기판에 첫번째 인쇄와 마찬가지로 두번째 인쇄를 한다.
인쇄된 유리기판을 앞에서 설명한 크린오븐에서 70℃로 10분간 건조시킨 다음 다시 170℃에서 1시간 가열해서 경화시키면, 표면이 평활하고 패턴의 엣지가 미려한 두께 0.8μm인 스트라이프형상의 폴리이미드박막패턴이 피인쇄체(30)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에 기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관련기술에 숙련된 사람들로서는 여러가지로 변형 또는 수정해서 실시할 수 있고, 또 이와 같은 변형이나 수정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따른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 있어서 그중에 포함됨은 물론이다.

Claims (3)

  1. 기대(1)의 지지틀(2)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의 규칙적인 다수의 오목부(3b,3d,3f)를 가진 스크린을 표면에 갖는 요판로울러(3)와, 이 요판로울러(3) 주위의 소정위치에서 상기 지지틀(2)에 부착되어 상기 요판로울러 (3)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요판로울러 (3)표면에 펼쳐 상기 오목부(3b,3d,3f)내에 일정량의 잉크가 보유지지되도록 하는 닥터(6), 상기 요판로울러(3)에 인접해서 상기 지지틀(2)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상기 요판로울러(3)와 동기해서 회전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망하는 패턴을 가지면서 상기 요판로울러(3)에 표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접촉했을 때 상기 요판로울러(3)의 오목부(3b,3d,3f)내의 잉크가 전이되는 볼록부(4a)를 가진 인쇄로울러(4), 피인쇄체(10)가 올려놓아져 고정됨과 더불에 상기 기대(1)상에서 상기 인쇄로울러 (4)에 접촉하는 인쇄위치(A)와 상기 인쇄로울러(4)에서 벗어난 위치 (B,C) 사이를 상기 로울러(4)의 주속과 동기해서 미끄럼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반(11), 상기 요판로울러(3)와 상기 인쇄로울러(4)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7), 상기 정반(11)을 상기 인쇄위치(A)와 상기 인쇄로울러(4)에서 벗어난 위치(B,C)로 각각 이동시키는 정반구동장치(12,13,14) 및 상기 요판로울러(3)를 인쇄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및/또는 상기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다음식에 구해지는 이동거리 x
    n+1/5| x/p sinθ |n+4/5
    n+1/5| y/p costθ|n+4/5
    (단, p는 상기 요판로울러 (3)의 둔덕부(3e, 3g)의 핏치, n은 정수, θ는 상기 인쇄로울러 (4)의 회전축방향과 상기 요판로울러(3)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 스크린의 오목부(3b,3d,3f)와 둔덕부(3e,3g)가 요판로울러 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의 각도를 각각 나타낸다)만큼 이동시키는 요판로울러 이동장치(16,17,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 (7)가 상기 인쇄로울러 (4)를 매개로 상기 요판로울러 (3)을 회전구동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성장치.
  3. 기대(21)상에 지지되고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의 규칙적인 다수의 오목부(23b)를 가진 스크린을 표면에 갖춘 평판형상의 요판(23)과, 이 요판(23) 주위의 소정위치에서 지지틀(22)에 부착되어 상기 요판(23)에 공급된 잉크를 상기 요판(23)의 표면에 펴 상기 오목부(23b)내에 일정량의 잉크를 보유지지시키는 닥터 (26) 상기 요판(23) 윗쪽에서 상기 지지틀(22)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됨과 더불어 소망하는 패턴을 가지고 상기 요판(23)에 접촉하게 되는 볼록부(24a)를 가져 이 볼록부(24a)가 상기 요판(23)에 접촉할 때 상기 요판(23)의 오목부(23b)내의 잉크를 압접회전함에 따라 상기 볼록부(24a)상에 전이시키는 인쇄로울러(24), 상기 기대(22)상에 설치되어 상기 피인쇄체(30)를 그 표면에 상기 인쇄로울러(24)의 볼록부(24a)가 접촉하도록 올려놓아 고정시켜, 상기 인쇄로울러(24)의 압접회전에 따라 상기 볼록부(24a)상이 잉크를 상기 피인쇄체(30)상에 전이시키는 정반(28), 상기 인쇄로울러(24)를 회전이동시키는 구동장치 (32,35) 및, 상기 요판(23)을 인쇄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y 및/또는 상기 인쇄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다음식에서 구해지는 이동거리 x
    n+1/5| x/p sinθ |n+4/5
    n+1/5| y/p cosθ|n+4/5
    (단, P는 상기 요판(23)의 둔덕부핏치, n은 정수, θ는 상기 인쇄로울러(24)의 회전방향과 상기 요판(23)의 사선형상 또는 격자형상스크린의 오목부와 둔덕부가 요판표면에서 이루는 스크린의 각도를 각각 나타낸다)만큼 이동시키는 요판이동장치(39,39)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막형성장치.
KR1019910701074A 1990-04-27 1990-04-27 박막형성장치 KR9500077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0/000556 WO1991017049A1 (en) 1990-04-27 1990-04-27 Thin film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837A KR920702837A (ko) 1992-10-28
KR950007734B1 true KR950007734B1 (ko) 1995-07-14

Family

ID=13986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074A KR950007734B1 (ko) 1990-04-27 1990-04-27 박막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58018A (ko)
EP (1) EP0481076B1 (ko)
KR (1) KR950007734B1 (ko)
DE (1) DE69020565T2 (ko)
WO (1) WO1991017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7953A (en) * 1992-07-01 1994-11-29 Nsk Ltd. Roller offset printing apparatus
US5392706A (en) * 1992-07-30 1995-02-28 Markem Corporation Pad transfer printing method
DE19543298A1 (de) * 1995-11-21 1997-05-22 Meister Rupert Vorrichtung zum Bedrucken eines textilen Druckstoffs
US6857362B1 (en) * 1996-10-31 2005-02-22 Printa Systems Inc. Pad printer cartridge and reciprocating table having bearing members
EP2459380B1 (en) * 2010-06-09 2017-03-08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and Materials Print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printing sheet feeder
US8863661B2 (en) * 2011-03-11 2014-10-21 Ohio Gravure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layer-to-layer compensation and error cor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03B2 (ko) * 1973-06-05 1979-01-22
JPS5343204Y2 (ko) * 1974-08-02 1978-10-18
JPS5343204A (en) * 1976-10-01 1978-04-19 Teikoku Sanso Kk Cuttoff means for tubes of submerged pumps for liquid gas
GB2030929B (en) * 1978-09-15 1982-11-24 Crosfield Electronics Ltd Gravure printing formes
JPS55161650A (en) * 1979-06-04 1980-12-16 Hitachi Ltd Flexographic printing device and method for printing on thin film using the same
JPS56130386A (en) * 1980-03-18 1981-10-13 Tokai Kogei Kk Engraving roll
JPS58170864A (ja) * 1982-03-31 1983-10-07 Kenichi Mizutani 風車装置
JPS58170864U (ja) 1982-05-08 1983-11-15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薄膜印刷装置
JPS60189446A (ja) * 1984-03-09 1985-09-26 Kurabo Ind Ltd 高精度印刷試験機
JPH0639542B2 (ja) * 1985-08-30 1994-05-2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保香性オレフイン系樹脂発泡体の製造方法
WO1987005264A1 (en) * 1986-03-03 1987-09-11 Nissha Printing Co., Ltd. Device for forming thin film
JPS62202736A (ja) 1986-03-03 1987-09-07 Nissha Printing Co Ltd 薄膜形成装置
JPS6391246A (ja) * 1986-10-07 1988-04-21 Dainippon Ink & Chem Inc 印刷試験法並びに印刷試験装置
JPH02192944A (ja) * 1989-01-21 1990-07-30 Nissha Printing Co Ltd 薄膜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1076B1 (en) 1995-06-28
EP0481076A4 (en) 1992-10-21
EP0481076A1 (en) 1992-04-22
DE69020565T2 (de) 1996-03-28
WO1991017049A1 (en) 1991-11-14
KR920702837A (ko) 1992-10-28
US5158018A (en) 1992-10-27
DE69020565D1 (de) 199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6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using roll-to-roll rotary pressing process
JP6540822B2 (ja) 印刷版及び印刷装置
KR950007734B1 (ko) 박막형성장치
KR960010514B1 (ko) 박막형성장치
KR100251033B1 (ko) 박막형성장치
JPH06312499A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JP2556705B2 (ja) 薄膜形成装置
US20190152213A1 (en) Multi-color gravure offset printing device and printing method
GB2052314A (en) Inking printing plates
JP3459783B2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
JP2759570B2 (ja) 薄膜形成装置
JPH0552789B2 (ko)
KR100911635B1 (ko) 편광 필름 제조 장치
JP2956902B2 (ja) 薄膜形成装置
JPH0781038A (ja) オフセット印刷機
JPH0698816B2 (ja) 薄膜形成方法
JPH11221974A (ja) グラビア印刷版
JPH11221975A (ja) グラビア印刷版
JPH0311630B2 (ko)
JP2004174735A (ja) インキ装置におけるインキ量調整装置
JP4454056B2 (ja) 高精細印刷方法
JP2548364B2 (ja) 薄膜形成装置及び薄膜形成方法
JPH04323602A (ja) カラーフィルタ製造方法および装置
JPH033587B2 (ko)
JP2000094630A (ja) オフセット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8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