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7127Y1 -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 Google Patents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7127Y1
KR950007127Y1 KR2019930013684U KR930013684U KR950007127Y1 KR 950007127 Y1 KR950007127 Y1 KR 950007127Y1 KR 2019930013684 U KR2019930013684 U KR 2019930013684U KR 930013684 U KR930013684 U KR 930013684U KR 950007127 Y1 KR950007127 Y1 KR 9500071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enser
evaporator
engine
freezer compartment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3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500U (ko
Inventor
이영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정밀
이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정밀, 이영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정밀
Priority to KR2019930013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7127Y1/ko
Publication of KR9500035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71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1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3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particularly adapted for load transporting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vaporating unit
    • B60H2001/3282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vaporating unit to control the air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제1도는 본 고안이 냉동차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a도는 본 고안 응축기의 구성도.
제2b도는 본 고안 증발기의 구성도.
제3도는 냉동차 냉동실 내부의 냉기 순환도.
제4도는 종래 냉동기의 차량 장착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제5도는 종래 냉공기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내부구성도.
제6도는 종래 냉동차의 냉동실 내부에서의 냉기 순환과정을 도시한 것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응축부 11 : 엔진
12 : 콤프레이셔 13 : 콘덴서
20 : 증발부 21 : 증발기 코일
22 : 팬 모터 30 : 냉동실
31 : 개구부 100 : 냉동차
본 고안은 냉동차에 사용되는 냉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에 탑제되는 냉동기의 응축기와 증발기를 분리 배치하여 냉동효율과 냉동실(Container)내 용적을 높이도록한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차에는 차량 탑제형 냉동기를 사용하여 냉동실(Container)의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왔다.
제4도는 이러한 종래의 냉동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종래 냉동기는 냉동실(130)외부에 장착되는 응축부(110)와, 냉동실(130)내부에 위치하는 증발부(120)로 구성된다.
응축부(110)는 자체엔진(111)에서 발생된 동력을 벨트로 연결된 콤프레이셔(Compressor : 112)를 구동시켜 냉매를 압축하고 콘덴서(Condenser : 113)를 통해 방열시킨다.
상기 증발부(120)는 증발기 코일(Evaporator coil : 121)에 엔진과 벨트, 풀리로 연결된 복수개의 팬(122)이 구동하여 냉동실 내부로 냉기를 불어넣게되고 냉매는 흡입파이프를 통해 컴프레이셔(112)로 회수되는 냉각 사이클을 형성한다.
제6도는 이러한 종래 냉동차의 냉동실 내부에서의 냉기 순환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냉동실(130)내부에는 원활한 냉기순환을 위해서 적재물이 증발부(120)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낮게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냉동물품의 적재에 있어서도, "a"위치에 적재되는 물품은 내부로 돌출되어있는 증발부(120) 때문에 냉기의 잘 순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a"위치에 적재되는 냉동물품은 변질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통 비워두게되고, 냉동실(130)중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재 공간은 "b"가 된다.
종래 냉동기의 장착 위치에 따른 문제점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냉동기는 중량이 약 400kg에 달하고 무게중심의 냉동차의 상부에 위치하므로 차량이 주행시 회전을 할 경우 원심력에 의해 치우치게되어 안전성이 우려되었다.
둘째, 소음의 주원인인 응축부가 운전실과 근접하게 위치하므로, 운전자에게 운전중 지속적인 소음(약 80dB)으로 인한 피로감을 가중시켜 사고의 위험이 높다.
세째, 부피가 큰 응축부가 냉동실 상단에 위치하므로 차량의 주행시 공기 저항을 크게받아 주행능력을 저하시킨다.
네째, 냉동실의 내용적을 넓힐 경우 증발기의 용량에 따라 응축부가 상대적으로 너무커져 장착하기 곤란하게 된다.
다섯째, 조립이나 정비 및 부품의 교체시 3.2m높이에서 불안전한 작업을 하므로 작업능률이 떨어지는 문제점들이 지적되어 왔었다.
따라서, 이상과 같은 단점을 보완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냉동기의 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냉동실내 용적량을 넓히고 장착 및 정비시 작업성이 우수한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으로는 주 소음원인 응축기를 냉동실 하부에 장착하여 운전자에게 쾌적한 운전환경과 차량주행시 공기 저항을 줄이도록한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냉동기의 특징으로는 냉동실내에 냉동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냉동차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 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응축부와, 상기 냉동실 상단 일측에 소정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가 있는 냉동실 외부에 고정되되 상기 응축부와 연결관계를 갖는 증발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응축부와 증발부의 차량 장착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응축부(10)와 증발부(20)로 나뉘어지면 응축부(10)는 냉동실(30)하부 전면에 부착되고 증발부(20)는 냉동실(30)의 상단 위치 고정한다.
제2a, b도는 각각 응축부와 증발부의 내부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응축부(10)는 콤프레이셔(12)와 콘덴서(13) 그리고 이 콤프레이셔와 콘덴서 팬에 동력을 제공하는 엔진(11)으로 구성된다.
상기 증발부(20)는 증발기 코일(21)과 냉동실(30)내부로 냉기를 불어 넣어주는 복수개의 모터(22)에 연결된 팬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증발부(20)는 냉동실(30)상부 일측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개구부(31)외부에 지지 브라켓(32)에 의해 고정되며 그 증발기위에 후드(Hood : 20)가 씌워진다.
상기 팬모터(22)는 상기 엔진(11)의 축에 연결된 제너레이터(Generator : 14)로 밧데리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냉매는 압축→팽창→증발→압축으로 이어지는 사시클을 형성하여 냉동실을 냉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을 통해 형성되는 냉동실(30)내부의 생기 순환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 증발부(20)는 냉동실(30)의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냉기가 폭넓게 순환되어 냉동실 내부에 더 많은 냉동물품을 적재할 수 있어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종래 냉동차가 8t일 경우는 12.3%정도, 11t일 경우 9.3%정도의 용적량 확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비교적 가벼운(약 40K정도) 증발기(20)만이 냉동실(30)상단에 부착되므로 냉동실내 용적량에 비례하여 증발기를 확대할 수 있다.
주 소음원이며 큰 중량을 갖는 응축부(10)가 냉동실(30)하부에 위치하므로 주행시 운전자의 안전성은 물론 쾌적한 환경에서 운전할 수 있게 한다.
상부 증발기(20)의 덕트(24)가 유선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주행시 공기저항을 줄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고 부품의 조립 공정이나 교체, 정비시 작업효율이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안전은 물론 냉동효율과 적재 용적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냉동실(30)내에 물품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냉동차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30)하부 일측에 장착되는 응축부(10)와, 상기 냉동실(30)상단 일측에 소정크기의 개구부(31)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31)의 냉동실(30) 외부에 고정하되 상기 응축부(10)과 연결관계를 갖는 증발부(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부(10)는 엔진(11)과,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콤프레이셔(12)와, 콤프레이셔(12)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방열하는 콘덴서(13)와, 상기 엔진(11), 콤프레이셔(12), 콘덴서(13)를 상기 냉동실(30) 하부에 고정지지하는 소정 크기로 복수개의 통기공(15a)를 갖는 하우징(15)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20)는 증발기코일(21)과, 상기 증발기코일(21)에 일정량의 바람을 상기 냉동실(30)내부로 제공하는 팬을 구동하는 복수개의 팬모터(22)와, 상기 증발기 코일(2)과 팬모터(22)감싸는 후드(2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22)는 상기 엔진(11)의 축에 연결된 제너레이터(14)나 밧데리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
KR2019930013684U 1993-07-22 1993-07-22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KR9500071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684U KR950007127Y1 (ko) 1993-07-22 1993-07-22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3684U KR950007127Y1 (ko) 1993-07-22 1993-07-22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00U KR950003500U (ko) 1995-02-16
KR950007127Y1 true KR950007127Y1 (ko) 1995-08-30

Family

ID=19359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3684U KR950007127Y1 (ko) 1993-07-22 1993-07-22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71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789B1 (ko) * 2007-09-19 2009-02-02 고홍달 냉동차량의 독립작동형 노즈마운팅식 냉각장치
KR102577070B1 (ko) * 2023-03-23 2023-09-08 고홍달 냉동차량용 냉방 및 냉동장치의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00U (ko) 199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7248B1 (en) Compact transport temperature control unit
US3712078A (en) Refrigeration unit
CA1314720C (en) Zero cube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for straight trucks
KR101317284B1 (ko) 냉동탑차의 듀얼 압축기 결합 장치
US2735277A (en) clark
KR101861508B1 (ko) 냉동차량용 듀얼 체결구조를 갖춘 브라켓 및 이를 사용한 냉동차량의 냉방과 발전시스템
WO2010137258A1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KR101021326B1 (ko) 냉동탑차용 냉동시스템
KR950007127Y1 (ko) 냉동차의 분리형 냉동기(冷凍機)
KR102405515B1 (ko) 트리플 에어컨 압축기가 설치되는 냉동차량
KR101140208B1 (ko) 냉동차량의 냉동고 및 에어컨 컴프레서 어셈블리
US2677251A (en) Front mounted truck refrigeration unit
EP2072299B1 (en) Transport refrigeration apparatus
EP3261866B1 (en)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EP1842704B1 (en) Transport refrigeration unit
CN206031154U (zh) 一种带冷藏冷冻以及加热保温功能的汽车中控台
CN210478351U (zh) 基于套管式制蓄冷一体蒸发器的冷藏车制冷系统
KR102176082B1 (ko) 자동차의 제너레이터 체결 구조
CN2175891Y (zh) 冷柜空调两用机
JP3266930B2 (ja)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JPS6225365Y2 (ko)
JP2005037121A (ja) 冷蔵庫
JP3038345U (ja) 冷凍コンテナ
KR930002803Y1 (ko) 전륜 구동차량의 냉 온장고장치
JP5476813B2 (ja) トレーラ用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