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813B1 -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의 성형기 - Google Patents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의 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813B1
KR950006813B1 KR1019910023409A KR910023409A KR950006813B1 KR 950006813 B1 KR950006813 B1 KR 950006813B1 KR 1019910023409 A KR1019910023409 A KR 1019910023409A KR 910023409 A KR910023409 A KR 910023409A KR 950006813 B1 KR950006813 B1 KR 95000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ire
forming
shoe
g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653A (ko
Inventor
타카시 반도
카즈히데 사카모토
히로시 마스다
히로유끼 후치오카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코오노 미찌아끼 filed Critical 미쯔비시주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2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6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2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Fourdrinier ty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9/00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9/003Complete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of the twin-wire typ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10Wire-cloth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48Suction apparatu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의 성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체배치도.
제2도는 동 제1실시예의 요부상세도.
제3도는 동 제1실시예의 제2성형슈우의 종단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제2성형슈우의 종단면도.
제5도는 동 제2실시예의 제2성형슈우의 종단측면도.
제6도는 종래의 하이브리드형트윈와이어성형기의 전체도.
제7도는 종래의 갭성형기의 전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와이어 2 : 상부와이어
3 : 브레스토로올 4 : 성형로울
5 : 헤드박스 6 : 성형보오드
6a,7a : 제1블레이드 6b,7b : 좁은 폭의 블레이드
7 : 제1성형슈우 8 : 제2성형슈우
9,10 : 흡입박스 15,15' : 블레이드
본 발명은 루우프형상의 상하 와이어의 대략 수형방향으로 주행하는 부분의 사이에 종이의원을 끼워 넣고 탈수를 행하는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성형기에 있어서는, 2매의 와이어가 각각 루우프를 형성하고, 그 사이에 원료액을 끼워넣고 주행해가는 동안에 여러가지의 탈수기기에 의해서 원료액으로부터 물을 탈수하므로서 서서히 섬유매트가 성장하여 종리필이 형성되어 간다.
제6도 및 제7도에 종래의 대표적인 트윈와이어성형기 2종류를 표시한다. 제6도에 표시한 것은 종래의 긴망에 상당하는 하부와이어(1')의 위에 상부와이어(2')를 걸어맞추어 위쪽탈수를 부가한 것으로서, 원통성형기 또는 하이브리드 성형기라고 불린다. 헤드박스(5')로부터 분출된 원료액(14)은 브레스트로올(3)과 성형보오드(6')의 사이에 착지하고, 하부와이어루우프내에 배치된 성형보오드(6'), 포일(11), 진공포일박스(12)위를 주행해가는 동안에 아래쪽으로 탈수되어 아래쪽으로 매트가 형성되어 간다. 그후 원료액(14)는 상부와이어(2')와 하부와이어(1')가 성형슈우(7')의 위에서 형성하는 갭부(13')에서 2매의 와이어에 끼워넣은 후, 와이어텐션 및 성형슈우(7')의 부분에서 발생하는 펄스압력에 의해서 주로 위쪽으로 탈수된다.
본 성형기의 특징은 상부와이어루우프(2')와 하부 와이어루우프(1')의 사이에 원료액(14)을 끼워넣기전에 장망식예비성형영역을 가지기 때문에, 섬유배향도(인장강도의 가로세로비)가 작고, 두께방향강도가 높은 종이 품질을 얻을수 있다는 점에 있다. 한편, 예비성형영역의 원료액(14)은 자유표면을 가지고 있으므로, 고속으로되면 공기저항이나 포일의 교반효과가 과대해져 표면의 혼란, 나아가서는 점핑으로도 연결되어, 운전을 하기어렵고 포오메이션의 악화, 투기도의 증가와 같은 종리품질의 저하를 일으킨다는 단점도 있다.
제7도는 하부와이어(1″)와 상부와이어(2″)가 각각 브레스토로올(3), 성형로올(4)의 바로뒤에서 걸어맞추어, 쐐기형상의 갭부(13)를 형성하므로 갭성형기, 또 장망식의 예비성형영역을 갖지 않으므로 진정한 트윈와이어 성형기라고 불린다. 헤드박스(5)로부터 분둘출된 원료액(14)은 브레스트로울(3), 성형로울(4)의 바로뒤의 갭부(13)에서 2매의 와이어에 끼워넣어지고, 와이어텐션에 의한 짜는 효과, 그후에 계속되는 성형슈우(7″)부에서 원료액(14)에 작용하는 펄스압력에 의해서 동시에 상하양쪽으로 탈수 된다.
본 성형기의 특징은 원료농도가 낮을때부터 펄스형상의 탈수압력의 작용하기 때문에, 포오메이션이 좋은 매트가 형성된다. 헤드박스(5)로부터의 원료액이 2매의 와이어에 의해서 곧바로 끼워넣어지므로 고속운전이 가능하며, 예비성형영역위에서 원료가 옆으로 흐르는 일등도 없기때문에 헤드박스로부터의 원료액의 섬유배향각이 유지되고, 폭방향에서 배향각의 불균일이 적은 종이가 얻어지는 점에 있다. 한편, 본 성형기에 있어서는 원료두께가 클(농도가 낮을)때에 2매의 와이어에 의해서 끼워지기 때문에, 이때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섬유배향도(인장강도의 가로세로비)가 커진다. 또 초기탈수로부터의 펄스형상의 압력에 의해서 양쪽으로 탈수되기 때문에 상하로의 탈수비율이 절반씩에 가까와지고, 매트중간층의 결합강도가 낮고 두께방향강도가 낮은 종이가 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현재 주류가 되고 있는 트윈와이어성형기는 각각 장점,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에 알맞은 종이종류, 목적에 따라서 성형기의 형식이 선정되고 있다.
즉, 신문용지예에서는, 포오메이션, 고속이 우선되기 때문에 갭성형기가 주로 사용되고 복사기에서의 주행성을 좋게하기 위하여 가로방향강도가 크고(인장강도 비가작음)말리는 정도가 작은(표리차 작고, 섬유배향각 작음)품질이 요구되는 정보용지(PPC용지), 블리스터문제를 경감하기 위하여 두께방향강도가 높은 것이 요구되는 코우트원지와 같은 중상질 종이에서는 하이브리드성형기를 사용하는 것이 주류이다.
특히 후자에 있어서는, 각각 최우선요구품질이 다른 동시에 종이의 기본품질인 포오메이션, 생산성향상을 위한 고속성도 요구되도록 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여러종류 종류를 1대의 성형기에 의해서 초지하게 되면 각각의 종이종류에 요구되는 품질의 타협점을 겨냥한 성형기가 되지 않을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에 비추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1대의 성형기에 의해서 갭성형기와 하이브리드성형기의 양모우드의 운전이 가능하며, 최적조건에서 많은 종이종류를 초지할수 있는 트윈와이어성형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각각 루우프를 이루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가 헤드박스로부터 분출하는 종이의 원료액을 끼워 넣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접근해서 동일속도를 주행해서 상기 원료액의 탈수를 행하는 와이어의 접근주행부를 구비한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접근주행부에 상기 상부 와이어를 안내하는 성형로울을 상하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은, 상기 제1의 발명에 있어서, 하부와이어의 루우프내의 상기 와이어의 접근주행부에 성형보오드와 그 와이어주행방향하류쪽에 성형슈우를 설치하고, 상기 성형보오드의 와이어주행방향 상류쪽의 선단블레이드는 상면이 위쪽으로 볼록하고, 후속하게 블레이드는 상면이 평면이 되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시 성형슈우의 와이어주행방향상류쪽의 선단블레이드의 상면과 후속하는 블레이드의 상면은 각각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고, 전자의 곡률반경보다 후자 곡률반경이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은, 상기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성형보오드의 선단블레이드 상면의 곡률반경 R1및 상기 성형슈우의 선단슈우와 후속하는 슈우의 상면의 곡률반경 R2, R3은 R1<R2<R3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은, 하부와이어와 함께 종이의 원료액을 끼워넣는 접근주행부에 상부와이어를 안내하는 성형로울을 상하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하므로서, 성형로울을 아래쪽위치에 두는 경우에는 원료액이 성형로울부근에 있어서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에 끼워 넣어지게 되고, 갭성형기의 운전모우드가 행해진다. 한편 성형로울을 위쪽위치를 두는 경우에는 성형로울에 의해서 안내되는 상부와이어는, 하부 와이어로부터 떨어져서 주행하고, 이 부분에서는 종이의 원료액은 하부와이어위에 재치되어 주행하고, 그 위에서 상부와이어는 하부와이어에 접근해서 주행하여 양와이어사이에 종이의 원료액을 끼워넣게되어 하이브리드성형기의 운전모우드가 행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의 발명에 있어서는, 성형로울을 아래쪽위치로한 갭성형기 모우드의 운전에 있어서, 종이의 원료액의 표면이 흐트러지기 전에 2매의 와이어에 의해서 끼워넣어진다. 이 원료액은 위쪽으로 볼록한 성형보오드의 선단블레이드위에서 와이어텐션에 의해 위쪽으로 탈수되나, 그후에는 후속하는 블레이드상면이 평면이기 때문에 위쪽으로의 탈수는 행해지지 않고 아래쪽으로 탈수되고, 원료액에 교반이 부여되어 재클록화가 방지된다. 또 성형보오드의 선단상면은, 상기와 같이 위쪽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의 원료액의 2매의 와이어의 끼워넣기는 원활하게 행해진다. 후속하는 성형슈우에서는 와이어주행방향 하류쪽의 블레이드곡률반경이 상류쪽의 블레이드의 곡률반경보다 크기때문에 와이어텐션에 의한 하류쪽의 블레이드에 있어서의 종이의 원료액의 위쪽으로의 탈수가 억제되고 큰 슈우작용이 발생하여 아래쪽으로의 탈수가 행해진다. 이와같이해서 후속하는 성형영역까지 주로 아래쪽으로의 탈수가 행해지고, 또한 섬유의 재클록화가 방지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3의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2의 발명에 있어서 성형보오드의 선단블레이드상면, 곡률반경 R1, 성형슈우의 선단과 후속하는 블레이드의 상면의 곡률 반경 R2, R2을 R1<R2<R3으로 하므로서 성형슈우선단의 블레이드상면의 곡률반경 R2가 성형보오드 선단의 블레이드상면의 곡률반경 R1보다 크기때문에 상기 제2의 발명의 작용에 덧붙여서, 성형슈우에 있어서의 위쪽으로의 탈수가 더욱 억제되어 아래쪽으로의 탈수작용이 더욱 향상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3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1)(2)는 각각 루우프형상의 하부와이어와 상부와이어이며, 하부와이어(1)는 브레스트로울(3)을 회전하고, 상부와이어(2)는 성형로울(4)을 회전한 다음, 그 사이에 원료액(14)을 끼워대략 수평방향으로 동일속도에서 주행하도록 되어 있다. (5)는 상기 브레스트로울(4)의 사이를 향해서 원료액(14)을 분출하는 헤드박스이다. 브레스트로울(3)의 와이어주행방향의 하류쪽(이하 와이어주행방향을 생략하고 간단히 하류쪽 또는 상류쪽이라고 함)의 하부와이어(1)의 루우프내에는 상류쪽으로부터 하류쪽으로 향해서 차례로 성형보오드(6)와 제1성형슈우(7)가 설치되고, 또 성형슈우(7)의 하류쪽의 상부와이어(2)의 루우프내에는 제1성형슈우의 하류쪽에 차례로 제2성형슈우(8)와 흡입박스(9)가 형성되고, 흡입박스(9)의 하류쪽의 하부와이어(1)의 루우프내에는 흡입박스(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성형로울(4)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에 의해서 실선위치와 쇄선위치의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해서 조정가능하게 되어 있다.
성형보오드(6)는 상류쪽의 제1블레이드(6a)와 그 하류쪽에 연접된 복수의 좁은 폭에 꽂고 빼기 가능한 후속하는 블레이드(6b)로 이루어지고, 제1블레이드(6a)의 상면은 곡률반경 R1로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며 복수의 블레이드(6b)의 상면은 동일평면내에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성형슈우(7)는 상류쪽이 제1블레이드(7a)와 그 하류쪽에 연속설치되어 꽂고 빼기가능한 복수의 좁은 폭의 블레이드(7b)의 이루어지고, 제1블레이드(7a)의 상면은 곡률반경 상면은 R2로 위쪽으로 볼록하게 또 복수의 블레이드(7b)의 상면을 곡률반경 R3으로 위쪽으로 볼록하게 각각 만곡되어 있으며, R1, R2, R3의 관계는 R1<R2<R3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1성형슈우(7)은 제1블레이드(7a)의 선단부근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가능하게 조정장치(7c)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또 성형보오드(6) 및 제1성형슈우(7)에는 진공이 작용되도록 되어 있다.
제2성형슈우(8)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복수의 슈우블레이드(15)를 구비하고, 각 블레이드(15)에는 하부와이어(2)에 접하는 상류쪽의 선단부(15a), 그 하류쪽에 연접되고 상부와이어(2)와의 사이에 하류로 감에 따라서 좁아지는 쐐기형 공간(15c)을 형성하는 경사부(15d) 및 그 하류쪽에 연접되어 하부와이어에 연접하는 하부와이어에 접하는 하류쪽의 후단부(15b)가 형성되고, 상기 부분(15a)(15b)에 접해서 주행하는 상부와이어(2)는 아래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고 각 θ에서 그 방향이 바뀌도록 각 블레이드(15)가 구성되어 있다. 또 인접하는 블레이드(15)사이에는 간격이 형성되고, 또한 제2성형슈우(8)에는 선단부(15a)에 있어서 와이어(1)(2)와 블레이드(15)와의 시일을 확보하는 정도의 최소한의 진공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블레이드(15)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T바아(16)에 삽입되어 있으며 꽂고 빼기가능하게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진 본 실시예의 각 운전모우드에 있어서의 작용 및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①포오메이션, 표리차를 중요품질로 하는 신문용지를 고속으로 초지하는 경우 제2도에 있어서, 성형로울(4)을 실선으로 표시한 아래쪽위치에 세트하므로서, 성형보오드(6)의 제1블레이드(6a)위에서 2매의 와이어(1)(2)가 수렴하여 갭(13)이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박스(5)로부터의 원료액(14)은 그 표면이 흐트러지기전에 2매의 와이어(1)(2)가 끼워넣어져 자유표면이 없어지므로 보다 고속운전이 가능하다. 또 갭부(13)에서 원료액(14)의 외층과 와이어(1)(2)의 사이에 발생하는 상대속도는 상하부양면 모두 동일하므로 섬유배향의 표리차도 적은 품질이 얻어진다. 이 경우, 성형보오드(6)의 제1블레이드(6a)는 곡률반경 R1을 가지고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으므로, 원료액(14)의 와이어(1)(2)에의 끼워넣기는 원활하게 행해진다.
그후, 원료액을 2매의 와이어(1)(2)에 끼워진 그대로,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꽂고빼기 가능하며 상면이 평면형상인 블레이드(6b)위를 통과할때 블레이드(6b)의 상면이 평면형상인 것과 동 성형보오드(6)의 작용된 진공에 의해 적당한 교반이 가해져 섬유의 재클록화를 방지할수 있다.
다음에, 원료액(14)의 제1성형슈우(7)의 곡률반경 R3위에 배치된 꽂고 빼기 가능한 블레이드(7b)위를 통과할때, 원료액에 가해지는 펄스형상의 압력에 의해서 원료액중의 섬유는 재분산되어 양호한 포오메이션이 형성된다. 이 원료액에 가해지는 압력치는 성형슈우(7)에 진공을 작용시키거나, 블레이드(4b)를 1개 걸러서 배치(제2도에 있어서 사선부로 표시함)하거나 하므로서 바꿀수 있다. 이 제1성형슈우(7)은 그 제1블레이드(7a)의 선단부근을 중심으로해서 조정장치(7c)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하류쪽의 제2성형슈우(8)에 진입하는 원료두께에 따라서 그 후단위치를 바꿀수 있다.
또, 제2성형슈우(8)의 부분에서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진공에 의한 흡인작용에 의해 위쪽탈수가 촉진되고, 표리차가 적은 미세섬유분포를 얻을수 있다. 또, 각 슈우블레이드(15)는 하류로 감에 따라서 좁아지는 공간(15c)을 형성하고, 또한 후단부(15)에서 와이어(1)(2)가 꺾어져 있으므로,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후단부(15b)의 선단에서 하부와이어(1)쪽으로 향하는 제3도중 +로 표시함) 압력펄스가 발생하고, 또 원료액(14)으로 부터 쐐기형의 공간(15c)에 일단 흡입된 물은 와이어와 함께 주행해서 쐐기형공간(15c)에 의해서 와이어쪽으로 되밀리고, 이에 의해서 아래방향으로 탈수가 행해지는 동시에 섬유의 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상부 하부면 근처의 미세섬유의 양은 최종적으로는 각각의 루우프내로 형성한 흡입박스(9)(10)의 진공치에 따라서 미조정할 수 있다.
②두께방향강도와 저투기도를 중요종이 품질하는 저평량코우트원지를 고속으로 초지하는 경우
고속운전을 가능하게 하기위하여, 상기①과 마찬가지로 갭형성모우드의 운전을 행한다. 단 코우트원자에 있어서는 포오메이션, 표리차보다도 두께방향 강도, 저투기도가 우선되므로, 본 실시예에서 다음의 점이 유효하게 된다. 즉 헤드박스(5)로부터의 원료액(14)은, 성형보오드(6)의 제1블레이드(6a)위에서 상부와이어텐션에 이한 위쪽탈수후에는 블레이드(6b) 상면이 1직선상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2매의 와이어(1)(2)의 짜는 효과에 의한 탈수작용밖에 생기지 않아 위쪽으로는 거의 탈수되지 않는다.
계속되는 제1성형슈우(7)에 있어서는 제1블레이드상면의 곡률반경 R2가 성형보오드(6)의 제1블레이드(6a) 상면의 곡률반경 R1보다 크기 때문에 위쪽 탈수는 적고, 또 후속하는 블레이드(7b)를 전체수 사용하므로서 그곳에 발생하는 펄스형상의 압력피이크치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그 상면의 곡률반경이 R3이 상류쪽의 2개의 곡률을 가진 블레이드(6a)(7a)의 곡률반경 R1, R2보다 크다는 것과 아울러서 여기서도 위쪽탈수를 적게할 수 있다. 따라서 성형보오드(6), 제1성형슈우(7)를 통과하는 원료액(14)이 2매의 와이어에 끼워져있음에도 불구하고, 극력위쪽탈수를 적게한 운전이 가능하다.
다음에 주요 종이층 형성장인 제2성형슈우(8)에서는 각 블레이드(15)의 사이에는 상기와 같이 필요 최소한(블레이드(15)의 앞가장자리(15a)에서의 와이어와 블레이드의 시일을 확실하게 할 정도)의 진공밖에 작용시키지 않는다. 한편, 블레이드(15)의 후단(15b)에서는 와이어(1)(2)가 꺾여지고, 이에의 해 2매의 와이어 중의 원료액에 탈수압력이 작용하고, 또 이부분에서는 상기 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부와이어(2)와 블레이드(15)에 의해서 형성되는 쐐기형 공간(15c)에는 일단 탈수된 물이 채워지므로서 발생하는 압력이 배압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동 블레이드(15)쪽으로의 탈수가 억제된다. 따라서, 제2성형슈우(8)에 있어서의 탈수도, 또 주로 아래쪽 탈수가 된다. 이와 같이 트위와이어이면서 탈수를 주로 아래쪽으로 향하고, 탈수비율을 한쪽으로 치우친 탈수형식으로 할 수 있고, 두께방향강도가 높은 종이를 얻을 수 있다.
또, 제2성형슈우(8)의 부분에서는 섬유의 재분산을 촉진하기 위하여 피이크치가 큰 압력펄스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탈수할 필요가 있으나, 그 시점에서는 이미 상류쪽에 있어서의 완만한 아래쪽탈수에 의해서 매트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 및 탈수쪽인 하부와이어(2)는 슈우블레이드(15)에 의해서 비벼지고 있지 않으므로 미세섬유의 탈락도 적고 저투기도의 종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흡입박스(9)(10)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 ①의 경우와 같다. ③ a. 인장강도 작음, 표리차 작음, 섬유배향과 작음을 중요종이품질로 하는 정보용지(PPC용지)를 초지하는 경우, b. 두께방향강도를 중요종이품질로 하는 고평량코우트원지를 초지한은 경우.
제2도에 있어서, 성형로울(4)을 일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쪽위치에 세트하므로서, 상부와이어(2)는 제1성형슈우(7)의 제1블레이드(7a)의 위에서 하부와이어(1)와 걸어맞추어 갭(13')이 형성된다. 한편 성형보오드(6)의 위에서는 상부와이어(2)는 원료액(14)으로 부터 완전히 떨어져 장망식 예비 성형보오드가 형성되고, 하이 브리드모우드의 운전이 행해진다.
이 경우 갭성형기와 같은 헤드박스(5)로 부터의 원료액(14)이 와이어에 착지 직후에 2매의 와이어 (1)(2)에 끼워지므로서 발생하는 와이어와 원료액사이의 상대속도차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원료액찹지부에 있어서의 섬유배향을 지배하는 또하나의 파라미터인 J/W비(와이어속도에 대한 제트속도비)를 1.00(제트속도를 와이어속도에 일치시킨다)으로 하므로서 PPC용지에 요구되는 섬유배향도(인장 강도의 가로세로비)가 작은 종이를 초지할 수 있다.
또, 두꺼운 코우트원지를 초지하는 경우에는, 립개방도를 크게 해서 운전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갭모우드에서 운전하면 갭부에 있어서의 원료액(14)의 삼킴이 나쁘고, 상기 와이어와 원료액사이의 상대속도차가 지나치게 커서 폐해를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기의 하이브리드모우드에서 운전하여 성형보오드(6)부에서 아래쪽으로의 탈수를 촉진하므로서 원료두께의 줄인 후 캡부에 넣는 것이 좋다.
이하에 상기의 각 모우드에 있어서의 각 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 또 설명한다. 헤드박스(5)로 부터의 원료액(14)을 성형보오드(6)의 제1블레이드(6a) 위에 정접하도록 착지하므로서 착지시에 있어서의 반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원료액내의 혼란의 증폭도 최소가 된다. 후속하는 블레이드(6b)는 그 상면이 일직선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원료액(14)은 하부와이어(1)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제1성형슈우(7)에 이송된다. 이와같이 원료액(14)의 자유표면을 흐트러지게 하는 일없이 갭(13)에 가지고 오므로서 갭부에 있어서의 공기의 말려듬 등에 의한 포오메이션 결함을 발생시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후, 갭(13)에서 2매의 와이어에 끼워넣어진 원료액(14)에는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제1성형슈우의 제1블레이드(7a)에 있어서 상부 와이어 텐션에 의한 탈수압력이 작용하여 최초의 위쪽탈수가 일어난다. 후속의 블레이드(7b) 및 제2성형슈우(8)의 사용방식에 대해서는, a. 정보용지(PPC용지)에 대해서는 신문용지, b. 두꺼운 코우드원지에 대해서는 얇은 코우트원지와 같이 세트, 사용하므로서 필요한 종이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4도 및 제5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성형슈우를 이하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다.
즉, 제2성형슈우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15')는 T바아(16')를 가이드에 꽂고 빼기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블레이드(15')는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의 폭방향으로 원료액의 폭에 상당하는 길이의 오목부를 가지고, 와이어(1)(2)가 주행하므로서, 그 사이에 공간(15'C)이 형성된다. 한편 T바아(16')에는 와이어의 폭방향의 가늘고 긴 직사각형 홈(16'a)이 있으며, 그 주위를 시일재(17)를 가진 시일홈(16'b)이 에워싸고 있다. 공간(15'C)과 홈(16'a)은 와이어 폭방향으로 적당한 피치로 블레이드(15')에 형성된 구멍(15'd)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또, T바아(16')의 단부에는 탈수억제용 유체(물 또는 공기)의 공급구(16'C)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T바아(16')에 형성된 공급부(16'C)로 부터 유체를 주입하면, 동 유체는 홈(16'a) 및 공간(15'C)에 충만하고, 그 후 2매의 와이어(1)(2)에 끼워진 섬유매트 및 원료액에 의해서 시일되고, 외부에서 세트된 압력을 유지한다. 상기 블레이드(15')와 T바아(16')의 맞춤면은, 와이어텐션 및 압력면적차에 의거한 유체압에 의해서 블레이드(15')가 T바아(16') 방향으로 압입되어 시일홈(16'b)에 있는 시일재(17)에 의해서 시일된다.
와이어(1)(2)에 끼워진 원료액의 블레이드(15')위를 통과할 때, 그 후단(15'b)에서 와이어가 꺾여지므로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한 공간(15'C)으로의 탈수는 봉입된 유체에 의해서 억제되고, 블레이드(15)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발휘된다. 또 유지시에 유체공급구(16'C)로 부터 청수를 공급하므로서, 블레이드(15')를 빼는 일없이 내부의 세정을 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루우프를 이루는 상부와이어와 하부와이어가 종이의 원료액을 끼워넣고 대략 수평방향으로 접근해서 동일속도로 주행하는 초지기의 횡형트윈와이어성형기에 있어서, 본 발명 제1의 발명과 같이 상부 와이어를 안내하는 성형로울을 상하방향으로 조정가능하게 하고, 또 본 발명 제2 및 제3의 발명과 같은 하부와이어의 루우프내에 성형보오드와 주행방향하류쪽의 성형슈우를 설치하므로서, ① 1대의 성형기에 의해서 갭성형모우드와 하이브리드성형 모우드의 운전이 가능하다. ② 각 종이종류에 따른 종이품질을 얻을 수 있다. ③ 1대로 많은 종이종류, 고범위 평량초지가 가능해진다 등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Claims (4)

  1. 종이원료액을 분출하는 헤드박스, 종이원료액을 매트로 형성하는 트윈와이어 성형기를 지닌 초지기에 있어, 상기 트윈와이어 성형기는,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상부루우프와이어 ; 상기 상부루우프와이어의 주행과 접촉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주행하는 하부루우프와이어 ; 상기 상부루우프와이어의 수평방향 주행의 상류단에 존재하는 성형로울로서, 그위를 상기 상부루우프와이어가 주행하여 안내되고, 하부루우프와이어를 향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트윈와이어내에 조정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는 성형로울 ; 상기 하부루우프와이어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수평방향주행에 직면하는 성형보오드로서, 와이어의 주행방향에 대해 그 상류측에서 성형보오드의 선단을 구획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주행방향내에 상기 제1블레이드의 하류에 배치된 복수의 후속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블레이드는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주행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후속블레이드보다 큰 폭을 지니며, 상기 성형보오드의 후속블레이드는 동일 평면상에 평면형상으로 놓여 있는 성형보오드 및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상기 성형보오드의 상기 하부루우프와이어 하류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부루우프와이어의 수평방향주행에 직면하는 성형슈우로서, 상기 슈우는 상기 주행방향에 대해 그 상류측에서 슈우의 선단을 구획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주행방향내에 제1블레이드의 하류에 배치된 복수의 후속블레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유의 제1블레이드는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고, 상기 주행방향에서 상기 각각의 후속블레이드보다 큰 폭을 지니며, 상기 슈우의 후속블레이드는 상기 슈우의 제1블레이드의 상면 곡률반경보다 큰 곡률반경을 지니는 원호형상으로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는 성형슈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트윈와이어 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보오드의 선단블레이드의 곡률반경은 상기 성형슈우의 선단블레이드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트윈와이어 성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로울은, 상, 하부루우프와이어의 주행사이에서 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보오드의 제1블레이드에서 갭을 종결시키는 제1위치와, 상, 하부루우프와이어의 주행사이에 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슈우의 제1블레이드에서 갭을 종결시키는 제2위치사이에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트윈와이어 성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로울은, 상, 하부루우프와이어의 주행사이에서 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보오드의 제1블레이드에서 갭을 종결시키는 제1위치와, 상, 하부루우프와이어의 주행사이에 갭을 형성하고, 상기 성형슈우의 제1블레이드에서 갭을 종결시키는 제2위치사이에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기의 트윈와이어 성형기.
KR1019910023409A 1990-12-19 1991-12-19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의 성형기 KR950006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3649A JP2808491B2 (ja) 1990-12-19 1990-12-19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
JP90-403649 1990-1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653A KR920012653A (ko) 1992-07-27
KR950006813B1 true KR950006813B1 (ko) 1995-06-22

Family

ID=1851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409A KR950006813B1 (ko) 1990-12-19 1991-12-19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의 성형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03967A (ko)
EP (1) EP0491274B1 (ko)
JP (1) JP2808491B2 (ko)
KR (1) KR950006813B1 (ko)
DE (1) DE69110260T2 (ko)
FI (1) FI1130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207154A (pt) * 1992-08-19 1995-12-12 Beloit Technologies Inc Aparelho para formação de tira com múltiplas dobras
EP0656084B1 (en) * 1992-08-19 1996-11-27 Beloit Technologies, Inc. A multi-ply web forming apparatus
DE4332162C2 (de) * 1993-09-22 1994-12-01 Voith Gmbh J M Doppelsiebformer einer Papiermaschine
BR9506152A (pt) * 1994-04-12 1996-04-16 Jwi Ltd Formação aperfeiçoada em uma máquina de fabricação de papel com dois tecidos de formação
US5421961A (en) * 1994-09-26 1995-06-06 Miller; Joseph Forming board position control system
DE19648850A1 (de) * 1996-11-26 1998-05-28 Voith Sulzer Papiermasch Gmbh Saugvorrichtung und Pressenpartie einer Papiermaschine sowie Verfahren zum Besaugen eines Bahnabschnitts einer Papiermaschine
US6254725B1 (en) * 1997-06-20 2001-07-03 Consolidated Papers, Inc. High bulk paper
US6136153A (en) * 1999-02-23 2000-10-24 Ahlstrom Glassfibre Oy Foam process web formation using pressure removal of fluid
JP3513126B2 (ja) * 2001-09-06 2004-03-31 三原菱重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製紙機械の紙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56990C (fi) * 1974-01-08 1980-05-12 Valmet Oy Foerfarande foer loesgoering av en i en pappersmaskin framstaelld bana fraon viran
FI72157C (fi) * 1974-07-18 1987-04-13 Valmet Oy Dubbelviradel i pappersmaskin.
FI72761C (fi) * 1981-05-15 1987-07-10 Valmet Oy Formningsparti med dubbel vira i pappersmaskin.
FI840246A (fi) * 1984-01-20 1985-07-21 Valmet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vid formning av pappersbana.
JPS61119795A (ja) * 1984-11-15 1986-06-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ツインワイヤフオ−マ
US4734164A (en) * 1986-07-03 1988-03-29 Beloit Corporation Horizontal web-forming apparatus with curved nose forming board
DE3842155A1 (de) * 1988-12-15 1990-06-21 Voith Gmbh J M Doppelsiebformer zur herstellung einer papierbahn
DE3910892A1 (de) * 1989-04-04 1990-10-11 Escher Wyss Gmbh Doppelsiebformer
FI83977C (fi) * 1989-11-06 1991-09-25 Valmet Paper Machinery Inc Gapformare i pappersma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91274A1 (en) 1992-06-24
DE69110260T2 (de) 1995-11-23
KR920012653A (ko) 1992-07-27
FI916010A0 (fi) 1991-12-19
DE69110260D1 (de) 1995-07-13
US5203967A (en) 1993-04-20
JPH04222288A (ja) 1992-08-12
FI113063B (fi) 2004-02-27
EP0491274B1 (en) 1995-06-07
FI916010A (fi) 1992-06-20
JP2808491B2 (ja) 199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94774A (en) Twin-wire paper machine adjustable to single-wire machine
CA1242914A (en) Process and equipment in the forming of paper web
JP5025741B2 (ja) 紙匹を成形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1543194B1 (en) Forming of a paper or board web in a twin-wire former
US4124441A (en) Sheet forming apparatus including edge seals for forming wires
KR950006813B1 (ko) 초지기의 트윈와이어의 성형기
FI77281B (fi) Hybridformare foer en pappersmaskin.
JP3297057B2 (ja) 抄紙機用ロールおよびブレードツインワイヤ・ギャップフォーマ
JP5179021B2 (ja) 抄紙機又は板紙機の形成部上の脱水素子及び抄紙機又は板紙機の脱水素子のカバー
EP0615565B1 (en) Controlled jet injection apparatus for a papermaking machine headbox
CA1066545A (en) Vertical twin wire paper machine
JPS60239594A (ja) 抄紙機のウエブ形成脱水部
JP3244911B2 (ja)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
JP2002220791A (ja) 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ー
EP0393656B1 (en) Assembly in a paper machine for effecting upward dewatering
FI84638B (fi) Hybridformare foer en pappersmaskin.
EP1813721B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forming of a paper or board web
KR940010026B1 (ko) 제지기의 시트형성장치
CA1083869A (en) Web transfer system
JP3040634B2 (ja)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
JP2909258B2 (ja)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
JPH04370288A (ja) 抄紙機のツインワイヤフォーマの脱水装置
JPH05311590A (ja) フォイルブレード
GB2063948A (en) Paper-mak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