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624B1 -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624B1
KR950006624B1 KR1019920010419A KR920010419A KR950006624B1 KR 950006624 B1 KR950006624 B1 KR 950006624B1 KR 1019920010419 A KR1019920010419 A KR 1019920010419A KR 920010419 A KR920010419 A KR 920010419A KR 950006624 B1 KR950006624 B1 KR 950006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terminal
terminal device
output
bolt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고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
제1a도는 이 발명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측면도, 제1b도는 제1a도의 B1-B1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2a도는 제1a도의 후(後)부래킷에 부착되는 정류장치의 앞쪽으로부터의 측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B2-B2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3a도는 이 발명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요부측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B3-B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3c도는 제3b도의 C3-C3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4a도는 종래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측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B4-B4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5a도는 종래의 다른예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요부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2 : 후(後)부래킷 35 : 외부전선
36 : 단자(압착단자) 40 : 정류장치
42 : 출력측 히트싱크 42a : 접속좌
50,60 : 출력단자장치 51,61 : 출력단자볼트
51a : 편평부 61a : 나사부
51b,61b : 단자용 나사부
이 발명은 후(後)부래킷으로부터 출력단자볼트가 나온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에 관해 특히 출력단자볼트가 후방향 및 측방향으로 나오게 될때의 대응에 관한 것이다.
제4a도는 종래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측면도로 출력단자 볼트가 축방향으로 나와있다. 회전자극형(磁極形)의 교류 발전기는 전부래킷(1)과 후부래킷(2)에 의해 고정자(도시않음)가 결합되어 있다. 20은 후부래킷(2)의 외단에 설치된 출력단자장치로, 출력단자볼트(21)가 측방향으로 나와있다.
정류장치에 접속된 출력단자 장치부를 제4b도에 단면도로 표시한다. 12 및 13은 정류장치의 출력측(+극) 및 다른쪽 (-극)의 히트싱크로, 도면은 각각 일단의 결합부로 표시한다. 16은 배관(15)에 통해 히트싱크(12)의 결합부에 압입되어 전기 접속된 출력측의 결합볼트로, 절연관(14)을 통해 후부래킷(2)의 후단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출력단자장치(20)는 합성수지로 된 절연단자 받침대(22)와 이 받침대(22)에 매립된 닛(17)에 의해 결합볼트(16)에 접속된 출력단자(21)로 구성되어 있다. 단자볼트(21)의 후단은 편평부(編平部)(21a)로 되어있고, 중간에 플랜지부(21c)가 설치되고, 선단은 단자용나사부(21b)로 되어있다. 단자받침대(22)의 돌출된 원통형 플랜지부(2a)는 노치(notch)부가 마련되어 있다.
24는 절연단자 받침대(22)에 끼워져 닛(17)부를 감싸는 절연 캡이다.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외부전선(25)에 압착단자(26)가 압착접속되어 압착단자(26)는 단자볼트(21)에 끼워져 닛(23)에 의해 조여져 노치부(22b)를 거쳐서 회전하는 것을 막고 있다. 교류반전기에 발생된 삼상교류전압을 정류장치에 의해 직류로 정류해서 출력한다. 제5a도는 종래의 다른예에 의한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측면도로, 출력단자볼트가 후방향으로 나오게한 경우이다. (25)는 후부래킷(2)의 외단에 설치된 출력단자장치로 출력단자볼트(26)가 후방향으로 나와있다.
정류장치에 접속된 출력단자장치(25)를 제5b도에 단면도로 표시한다. 정류장치의 히트싱크(12) 및 (13)의 각 일단의 결합부와 배선판(15)을 결합볼트 겸용의 출력단자볼트(26)를 통해서 결합해서, 후부래킷(2)에 부착시켰다. 출력측의 히트싱크(12)의 결합부가 단자볼트(26)에 압입되어 전기접속 되어 있다. 출력단자장치(25)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출력단자볼트(26)에 절연단자 받침자리(28)를 닛(27)으로 조여 놓았다. 합성수지재로 된 절연단자 받침자리(28)는 원통부(28a)의 일단의 밑부분에 둥근구멍이 설치되어 선단으로부터 노치부(28b)가 설치되어 있다. 출력단자장치(25)는 제4b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출력단자볼트(26)의 나사부(26b)에 외부전선(35)의 압착단자(36)가 닛(37)으로 결합되고 압착단자(36)는 노치부(28b)를 거쳐서 회전하는 것을 막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에서는, 출력단자볼트를 측방향에 내는 경우와, 후방향으로 내는 경우에 따라 정류장치의 히트싱크의 결합분의 결합볼트가 달라지고 변경하는 구성부품수가 많아져서 표준화를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출력단자 볼트의 인출이 측방향 및 후방향의 어느쪽이 되어도, 변경하는 구성부품수가 적어지고, 표준화가 되고, 생산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는, 후부래킷에 부착된 정류장치의 출력측의 히트싱크의 결합부로부터 접속좌(座)를 내어 이 접속좌에 출력단자볼트를 부착하고 있고, 후부래킷 측방에 출력단자볼트를 내는 경우는, 출력단자볼트로는 후단에 편평부를 설치, 선단에 단자용 나사부를 설치한 것으로해서 출력단자볼트를 편평부에서 히트싱크의 접속좌에 겹쳐서 볼트로 결합해서, 측방으로 나오게 한 것이다. 또 후부래킷의 후방에 출력단자볼트를 내는 경우는 출력단자볼트로는 후단에 부착용나사부를 두고, 선단에 단자용 나사부를 둔것으로해 출력단자볼트를 부착용나사부로 히트싱크의 접속좌에 직교해서 통과시켜 닛으로 부착해 후방향으로 나오게 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출력단자볼트는 인출방향에 따른 2종류만을 준비하면 되고, 정류장치는 출력단자볼트의 인출방향에 관계없이 한 종류의 것을 조립할 수가 있어 표준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1a도는 이 발명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측면도이다. 교류발전기의 고정자(도시않음)을 전부래킷(31)과 후부래킷(32)으로 결합하고 있고 양부래킷에 의해 축받침을 통해 회전자(어느것도 도시않음)를 지지하고 있다.
후부래킷(32)에 전류장치(도시않음)를 부착하고 정류장치의 출력측(+극)의 히트싱크에 접속된 출력단자장치(50)의 출력단자볼트(51)가 측방향으로 나와있다. 정류장치의 출력측에 접속된 출력단자장치(50)부를 제1b도에 단면도로 표시한다.
42 및 43은 정류장치의 출력측(+극)의 히트싱크 및 다른측(-극)의 히트싱크로, 도면은 각각 일단의 결합부를 표시하고 있다. 히트싱크(42)의 결합부부터 접속좌(42a)가 나오고, 접속좌의 접속면은 요(凹)부(42b)에 형성되어 있다. 44는 히트싱크(42), (43)의 결합부에 끼워진 절연관, 45는 배선을 파묻은 배선판으로, 일단의 결합부를 표시하며 절연관(44)을 통과시키고 있다. 46은 히트싱크(42), (43)의 결합부 및 배선판(45)의 결합부를 후부래킷(32)에 결합하는 결합볼트이다. 출력단자장치(5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51은 출력단자볼트로, 후단에 편평부(51a)가 설치되고, 중간에 6각형 프랜지부(51c)와 원형좌부(座部)(51d)가 설치되고, 선단에 단자용 나사부(5b)가 설치되어 있다. 53은 합성수지재로된 절연단자 받침자리로, 밑부분을 갖는 원통부(53a)로 되어 있고, 밑부분에는 출력단자볼트(51)의 6각형 프랜지부(51c)에 걸어 맞추어진 6각형구멍(53c)이 뚫어져 있다.
또 원통부(53a)에는 선단으로부터 노치부분(53b)이 만들어져 있다. 절연단자 받침자리(53)가 끼워진 출력단자볼트(51)는 편평부(51a)가 히트싱크(42)의 접속좌(42a)의 요(凹)부에 끼워져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으며, 부착볼트(52)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절연단자 받침자리(53)는 후부래킷(32)에 부착된 절연커버(54)에 설치된 둥근구멍(54a)에 끼워져 지지되고 있다.
또 출력단자 볼트(51)의 6각형 프랜지부(51b)와, 이것에 걸어맞춘 절연단자 받침자리(51)의 6각형구멍(51c)과는, 6각형에 한하지 않고, 다른 정다각형이라도 무방하다. 출력단자장치(50)에는 제1b도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출력단자볼트(51)의 나사부(51b)에, 외부전선(35)의 압착단자(36)가 닛(37)으로 조여져 노치부(53b)를 거쳐서 회전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히트싱크(42)로부터 접속좌(42a)가 나온 정류장치를 제2a도에 전방으로부터의 측면도로 표시한다. 배선판(45)의 후방에 복수의 다이오드(41)가 배치되어 출력측(+극)의 히트싱크(42)와 다른쪽(-극)의 히트싱크(43)에 부착되어 있다.
47은 소형 다이오드이다. 히트싱크(42)의 접속좌(42a)의 단면도를 제2b도에 표시하고, 출력단자볼트(51)의 편평부(51a)를 끼워 접속하기 위한 요(凹)부(42b)가 마련되어 있다. 제3a도는, 이 발명에 의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발전기 후방으로부터의 요부측면도이다.
60은 후부래킷(32)의 외단에 설치된 출력단자장치로, 출력단자볼트(61)가 후방향에 나와있다. 정류장치의 출력측에 접속된 출력단자장치(60)부를 제3b도에 단면도로 표시하고, (33), (42~46), (54), (42a), (42b)는 제1b도와 같다. 출력단자장치(6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61은 출력단자볼트로, 선단에 부착용나사부(61a), 그리고 4각 동체부(61c), 중간에 원형 프랜지부(61d), 다른쪽에 단자용나사부(61b)가 마련되어 있다. 이 출력단자볼트(61)는 사각 동체부(61c)가 히트싱크(42)의 접속좌(42a)의 요(凹)부(42b)에 끼워져 닛(62)으로 부착되어 있다.
원평프랜지부(61d) 외단에는 절연커버(54)가 닿여있고, 절연단자 받침자리(63)를 거쳐 닛(64)으로 조여져 있다. 절연단자좌(63)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고, 밑부분을 갖는 원통부(63a)로부터 구성되고, 밑부분에 둥근구멍이 뚫어져 있다.
또 원통부(63a)에는 선단으로부터 노치부(63c)가 있어, 외부전선(35)의 압착단자(36)가 이곳을 거쳐감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제3c도에 제3b도의 C3-C3선에서의 단면도를 표시한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후부래킷에 부착된 정류장치의 출력측의 히트싱크의 결합부로부터 나온 접속좌에 출력단자볼트를 부착하고 있고, 출력볼트를 측방향으로 내는 경우는, 출력단자볼트는 후단을 편평부로 하고 히트싱크의 접속좌에 걸쳐서 결합하고, 선단의 단자용나사부를 측방향으로 내도록하고, 출력단자볼트를 후방에 내는 경우는, 출력단자볼트는 한쪽을 부착나사부로 해서 히트싱크의 접속자에 수직으로 통해서 결합해서 선단의 단자용나사부를 후방에 나오도록 하였으므로, 출력단자장치는 끌어내는 방향이 변화해도 변경하는 부품은 출력단자볼트와 이 단자용 나사부에 부착되는 외부전선의 단자가 돌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절연단자좌만으로 충분하고, 정류장치는 변경하지 않고 한종류의 것을 조립해 두고 쓸 수 있고, 표준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발생된 교류전압을 직류로 정류해서 출력하는 정류장치가 후부래킷에 부착되어 이 정류장치의 출력측 히트싱크의 일단에 접속된 출력단자 볼트가, 측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나오도록한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측 히트싱크의 일단의 결합부로부터 접속좌를 내고 있고, 끌어내는 방향이 측방인 경우는 출력단자볼트는, 후단을 편평부로해서 상기 접속좌에 겹쳐서 부착시켜 축방향으로 내고, 중간에 다각형 프렌지부를 두고, 선단에 단자용나사부를 설치해 외부전선의 단자를 접속하도록 하고, 끌어내는 방향이 후방인 경우는 출력단자 볼트는 후단을 나사부로 해서 상기 접속좌에 후방으로부터 통과시켜 부착해 선단에 단자용 나사부를 두어 외부전선의 단자를 접속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
KR1019920010419A 1991-07-05 1992-06-16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 KR9500066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92592A JP2585896B2 (ja) 1991-07-05 1991-07-05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端子装置
JP91-192592 1991-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6624B1 true KR950006624B1 (ko) 1995-06-19

Family

ID=16293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419A KR950006624B1 (ko) 1991-07-05 1992-06-16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266857A (ko)
EP (1) EP0521399B1 (ko)
JP (1) JP2585896B2 (ko)
KR (1) KR950006624B1 (ko)
DE (1) DE69202010T2 (ko)
HK (1) HK10024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3648A (en) * 1993-10-14 1995-09-26 General Motors Corporation Bridge rectifier having an output terminal stud
BE1010487A6 (nl) * 1996-06-11 1998-10-06 Unilin Beheer Bv Vloerbekleding bestaande uit harde vloerpanelen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dergelijke vloerpanelen.
DE19714227A1 (de) * 1997-04-07 1998-10-15 Walter Soehner Gmbh & Co Gehäuseteil für eine Lichtmaschine und Lichtmaschine
JP4110439B2 (ja) * 2000-06-27 2008-07-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交流発電機
KR20020076430A (ko) * 2001-03-28 2002-10-11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발전기의 터미널
KR100454550B1 (ko) * 2002-05-30 2004-11-03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차량용 발전기
JP2004153891A (ja) 2002-10-29 2004-05-27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電機
JP4046283B2 (ja) * 2003-07-01 2008-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回転電機
KR100445723B1 (ko) * 2003-11-18 2004-08-26 우리산업 주식회사 Ptc 소자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프리히터
JP5052645B2 (ja) * 2010-04-22 2012-10-17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交流発電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9894A (en) * 1986-09-01 1989-08-22 Mitsuba Electric Mfg. Co., Ltd.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for use in a vehicle
FR2618272A1 (fr) * 1987-07-16 1989-01-20 Equip Electr Moteur Capot d'extremite detachable pour machine dynamo-electrique.
JPH01113555U (ko) * 1988-01-21 1989-07-31
JPH034146A (ja) * 1989-05-31 1991-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整流板およびその制御方法
DE3929427A1 (de) * 1989-09-05 1991-03-07 Bosch Gmbh Robert Gleichrichtereinrichtung fuer drehstromgeneratoren von fahrzeugen
DE9103836U1 (ko) * 1991-03-28 1991-12-05 Larsen, Alfred, 2082 Uetersen, 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2892A (ja) 1993-01-29
HK1002416A1 (en) 1998-08-21
JP2585896B2 (ja) 1997-02-26
EP0521399B1 (en) 1995-04-12
EP0521399A3 (en) 1993-01-27
DE69202010T2 (de) 1995-11-23
US5266857A (en) 1993-11-30
DE69202010D1 (de) 1995-05-18
EP0521399A2 (en) 1993-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624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출력단자 장치
JP2710878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端子装置
JP2837249B2 (ja) 車両の三相交流発電機の整流装置
CA3112723A1 (en) Conduit nipple grounding bushing
US20090167122A1 (en) Rectifier and electric machine comprising said type of device
JP3027900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2832133B2 (ja) 電気接続箱
JP2003139803A (ja) 電流検出装置及びこの電流検出装置が用いられた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3175646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US6334797B1 (en) Battery terminal connector
KR960001986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장치
JPH01103135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端子装置
RU2061991C1 (ru) Генератор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CN213816460U (zh) 一种接线结构以及盘式电机
JPH11136900A (ja) 電気機器の端子箱構造
JP3971924B2 (ja) 端子接続装置
KR200187920Y1 (ko) 발전기의 터미널 조립구조
KR0138929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출력단자 구조
KR200282262Y1 (ko) 전선 연결용 러그
KR950009759Y1 (ko) 올터네이터의 출력단 구조
KR960007452Y1 (ko) 접지선의 링터미날
KR960008926Y1 (ko) 접지선의 링 터미날
JPS584195Y2 (ja) 電気回路収納用ケ−ス
JP3809032B2 (ja) アース送り端子具
KR200350682Y1 (ko) 전장부품의 전선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