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6463B1 - 렌즈배럴 - Google Patents

렌즈배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6463B1
KR950006463B1 KR1019910023307A KR910023307A KR950006463B1 KR 950006463 B1 KR950006463 B1 KR 950006463B1 KR 1019910023307 A KR1019910023307 A KR 1019910023307A KR 910023307 A KR910023307 A KR 910023307A KR 950006463 B1 KR950006463 B1 KR 95000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optical axis
support member
gear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956A (ko
Inventor
타다노리 오카다
마사오 아오야기
시게오 나카시마
타쯔야 사토
타쯔오 치기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41207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721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1206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72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12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721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1207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72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412066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67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12065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673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41206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72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41206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217214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지 게이조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012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6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렌즈배럴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부분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렌즈배럴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단면도.
제8도 내지 제12도는 제7도에 도시한 제3실시예의 부분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통부재 2 : 보강링
3 : 장착덮개부재 4 : 선택스위치
5 : 스위치스프링 6 : 나사
7 : 베이스부재 8 : 초점조절부재
8c : 캠종동부 9 : 중간통
9b,10b : 캠면 9c : 키
10 : 앞쪽렌즈군 통 11 : 뒤쪽렌즈군 통
12 : 조리개유닛 12a : 조리개유닛구동용 전자모터
13 : 메인회로기판 14 : 렌즈지지부재구동용 전자모터
15 : 기어열 15a∼15e : 기어
15f : 내부기어 16,17,18 : 클러치레버
16c,17c : 돌출부 19 : 탄성부재
20 : 가압판 21 : 전기스위치
본 발명은 사진용 카메라, 비데오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렌즈배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카메라본체에 장착하는 촬영(교환가능한)렌즈의 렌즈배럴에 있어서는, 카메라본체에 장착하는 데 사용되는 고정통부재상에, 초점조절렌즈구동용의 모터, 기어, 전기부품이 실장된 메인회로기판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배럴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카메라본체내의 초점일치상태검출장치로부터 전송된 전기적 초점일치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또 해당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초점조절렌즈를 광축을 따라 직진이동시켜서 초점조적동작을 행하고 있다.
그러한 렌즈배럴에서는, 고정통 부재속의 카메라본체와의 결합에 사용되는 장착부근방에, 모터, 기어 및 메인회로기판이 장착되어 있다. 이때문에, 초점조절조작을 위한 초점조절렌즈의 광축방향이동시에, 조리개 유닛 및 이 조리개유닛구동용의 모터도 함께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모터와 메인회로기판은 가요성 회로기판을 개재해서 연결하지 않으면 안되어, 각 구성성분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사진용 카메라 또는 비데오카메라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2-14051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렌즈배럴의 고정통부재의 일부분에 초점조절렌즈구동용의 모터와 기어가 내장되어 있다. 자동초점조절모드에 있어서는, 카메라 본체내의 초점일치상태검출장치로부터 출력된 구동(초점일치)신호에 의해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모터의 구동(회전)력은, 렌즈배럴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통부재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회전식 나사부재에 전달됨으로써, 촬영(집속)렌즈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식 나사부재와 나사결합하고 있는 렌즈지지부재를 광축방향으로 직진이동시킨다.
또한, 수동초점조절모드에 있어서는, 초점일치상태검출장치를 정지시키고,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부재의 일부분을 분리해서 수동으로 초점조절부재를 회동시킴으로써 초점조절조작을 행한다.
종래의 렌즈지지부재의 구동기구에서는, 나사부재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조립시 상기 나사부재를 충분한 정밀도로 결합시켜야만 하며, 그러한 나사부재의 존재에 의해 전체구조가 복잡해지고, 또 조립공정수도 증가하며, 조립품의 조정을 더욱 곤란하게 하는 경향이 있었다.
더욱이, 회전 및 직진용의 나사부재를 합성수지재료로 형성하고자 하면, 일반적으로 나사부재를 3부분으로 분리된 몰드구조로 성형해야만 하므로, 구성이 복잡해지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제5도는 상기 일본국 실개소 62-140512호 공보에 개시된 렌즈배럴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5도를 참조하면, 고정통부재(41)의 단부에는, 카메라 본체(도시안함)와 결합되는 베이어닛(bayonet)장착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제1이동링(42) 및 제2이동링(44)은 각각 초점용렌즈(L4)-(L6) 및 (L1)-(L3)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제2이동링(44)의 바깥주변부(외주면)에는 제1이동링(42)의 안쪽주변부(내주면)(42a)와 끼워맞춤되는 끼워맞춤부(44a)와 제1이동링(42)에 제2이동링(44)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제2이동링(4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이동링(42)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걸어맞춤부(42b),(42b),…에 걸어맞춤되는 복수개의 돌기부(44b),(44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통부재(41)상에 저지된 모터(46)는, 상기 고정통부재상에 고정된 요크(46a1),(46a2), 영구자석(도시안함)등으로 이루어진 고정자와, 코일, 회전축(46b)등으로 이루어진 회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또, 회전축(46b)과 연동됨과 동시에 회전수를 변화시키는 기어열로 구성된 기어(G1)∼(Gn)는 상기 고정통부재(41)상에 고정된 판부재(48)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고정통부재(41)의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한 회전링(50)의 내주에는, 상기 제1이동링(42)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42C)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부(50a)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외주면에는 베어링볼(52)을 지지하는 V자형 단면을 지닌 블레이스홈부(50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베어링(52)은, 회전링(50)의 상기 홈부(50b) 따라 볼스페이서(54)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위치되어, 상기 고정통부재(41)의 내주부에 끼워맞춤되고 일단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제1볼수용링(56)과 상기 고정통부재(41)내면의 나사(41a)와 나사결합하는 제2볼수용링(5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판형상 스페이서(60)는 상기 제1볼수용링(56)과 고정통부재(41)사이에 설치되어 해당 스페이서의 두께에 의해 볼(52)에의 압력을 조정하고 있다. 상기 기어기구안에는 부호기 등의 위치검출기(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링(50)의 외주의 일부는 보다 작은 직경부(50c)로 형성하고, 기어링(64)은 상기 보다 작은 직경부(50c)상에 고정되어 상기 기어(G1)∼(Gn)의 출력기어와 맞물려 있다.
이상 설명한 구성에 있어서는, 모터(46)와 기어(G1)∼(Gn)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은, 이동링(42)과 고정통부재(41)사이에 형성되어, 고정통부재(41)와 이동링(42)사이에 고정된 볼(52),(52),…용의 베어링을 구성하는 부재(50),(56),(58)에 의해 유지되고 있다.
조리개유닛(D)은 이동링(42)의 내주면과 보다 작은 직경을 지닌 벽부(42e)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리개유닛(D)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EMD)는 해당 조리개유닛위에 고정되어 있다.
경질인쇄회로기판(70)은 모터(46) 및 (EMD)을 구동하기 위한 전기회로를 탑재하고 있다. 또, 상기 기판(70)은 가요성 인쇄회로기판(도시안함)을 통해서 모터(46)와 접속되어 있으며, 또한, 제1이동링(42)과 장착부(41A)사이의 간극에 위치되어 상기 고정통부재(41)에 고정되어 있다.
카메라본체(도시안함)와 전기신호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접점블록(71)은, 납땜(71a)에 의해 경질인쇄회로기판(7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베이어닛장착부(41A)의 내주부에는 뒤쪽덮개(69)가 끼워맞춤되어 있다.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2)은, 모터(EMD)와의 접속부(72a)로부터 제1이동링(42)안의 구멍부(42d)를 통해서 뻗은 후, 카메라본체의 렌즈장착개구부쪽으로 만곡되고, 또한 고정통부재(41)안쪽의 공간으로 카메라본체를 향해서 더욱 만곡되어, 그의 일단부(72c)가 경질인쇄회로기판(70)에 납땜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모터(46)는 카메라본체로부터 전송된 렌즈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모터(46)의 회전토크는 기어(G1)∼(Gn)를 개재해서 회전링(50)으로 전달되어 정위치에서 회전링(50)을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링(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이동링(42)을 키수단(도시안함)에 의해 회전을 규제하면서, 나사부(42c)를 통해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2이동링(44)은 제1이동링(42)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렌즈(L1)∼(L6)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기구에 있어서,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2)은 제1이동링(42)의 움직임에 추종하고, 상기 고정통부재(41)와 제1이동링(42)사이의 상기 기판(72)의 만곡부(72b)의 위치는 상기 제1이동링(42)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이상 설명한 종래의 렌즈배럴에서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72)은, 광축과 평행하고 고정통부재(41)와 제1이동링(42)을 따라 위치한 부분과 상기 고정통부재(41)와 제1이동링(42)사이에 위치한 만곡부(72a)에 의해, 고정통부재(41)와 제1이동링(42)의 상대이동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가요성 회로기판은, 제1이동링(42)이 광축에 대해서 회전하면 비틀어져서 파손될 경우가 있고, 또 그의 광축방향이동밖에 추종할 수 없었다.
또한, 가요성 프린트기판을 제1이동링(42)의 회전에도 추종시키기 위해서는, 그러한 회전운동을 추출해서 상기 회전에 추종할 수 있는 부분을 구성해야만 하므로, 필연적으로 구성이 복잡해지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 본체에 장착하는 촬영(교환가능한)렌즈의 렌즈배럴은 고정통부재(외부렌즈통)와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한 초점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부재는, 경량화를 위해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상기 초점조절부재를, 예를들면 어깨가 달린 숄더부재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예를들면 나사에 의해 상기 고정통부재와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호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지성형된 고정통부재와 초점조절부재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지니지 못하여 외부압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므로, 예를들면 초점조절부재가 적절하게 회전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초점조절부재는, 그의 수지성형된 슬라이딩부가 고정통부재의 마찬가지의 수지성형된 슬라이딩부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원활하게 회전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카메라본체에 장착하는 촬영(교환가능한)렌즈의 렌즈배럴은, 주요부품으로서, 고정통부재(외부렌즈통)와 카메라본체에 장착하는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통부재의 앞쪽에는, 회전가능한 초점조절부재(초점조절속링)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통부재의 안쪽에는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이동을 추종하는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렌즈지지부재, 조리개유닛, 상기 조리개유닛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통부재와 상기 장착부재는, 조립공정 및 조립시의 조정을 고려해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별개로 독립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렌즈배럴은, 일반적으로 고정통부재의 앞쪽(피사체쪽)으로부터 초점조절부재를 끼워맞춘 후, 상기 고정통부재의 뒤쪽(카메라본체쪽)으로부터 상기 초점조절부재를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기어를 조립하고, 최종적으로 고정통부재의 후단부에 장착부재를 끼워맞춤하여 조립을 수행하고 있다.
종래의 렌즈배럴은 비교적 큰 외장부품인 상기 고정통부재와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렌즈배럴은, 구성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조립 및 조정단계가 복잡하여 필연적으로 구성이 복잡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카메라본체에 장착하는 촬영(교환가능한) 렌즈의 렌즈배럴은, 렌즈지지용의 렌즈지지부재와 상기 렌즈지지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외경이 상이한 원통형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외경이 상이한 렌즈지지부재와 원통형 지지부재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8-78132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나사 또는 접착제에 의해 서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렌즈배럴에 있어서 렌즈지지부재와 원통형 지지부재를 고정할 때, 나사나 접착제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 조정 및 분해 등에 상당한 시간을 요하므로 생산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촬영렌즈의 초점조절방법으로서는, 초점조절부재(초점조절링)를 수동으로 회동시켜 행하는 수동초점조절방법 또는 카메라본체의 초점상태검출장치에 의해 얻어진 초점일치신호에 따라 모터에 의해 초점조절부재를 구동시켜 행하는 자동초점조절방법이 있다.
이러한 자동초점조절은, 렌즈배럴의 고정통부재에 설치된 기어기구를 개재해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초점조절부재를 회동시켜 행하고, 이러한 초점조절동작의 절환은, 대부분의 경우 상기 고정통부재에 설치된 선택스위치에 의해 행해진다.
또한, 많은 렌즈배럴에 있어서, 초점용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지지부재는 복수개의 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수단을 통해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그러한 기어수단은 일반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한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찰구조를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마찰구조는 공동축상에 마찰 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해 상호결합된 입ㆍ출력기어를 포함하고, 그 마찰력에 의해 입력기어로부터 출력기어로 구동토크를 전달하고 있다. 그래서, 기어수단에 급격히 외력이 가해진 때에는 , 상기 2개의 기어가 상기 스프링의 부세력에 대항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어의 파손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마찰구조는, 2개의 분리된 기어, 스프링부재, E자형 링과 같은 스토퍼 및 워셔 등의 부품의 수가 많아져 구성이 복잡해지고, 조립공정수도 증가해가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수단과 함께 초점조절렌즈를 지지하는 렌즈지지부재와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된 기어수단을 구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 및 위치맞춤이 용이한 렌즈배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제1도에 도시한 실시예의 각 부분의 사시도이다.
수지성형에 의해 형성된 고정통부재(1)의 후단부에는, 카메라본체(도시안함)와 베이어닛결합하는 장착부재를 구성하는 베이어닛클램프(1a)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선단부의 내주면상에는 보강링(2)과 베이어닛결합하기 위한 베어어닛클램프(1c)와 홈부(1d)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고정통부재(1)의 통형상부(1b)의 내주면상에는, 후술하는 제2렌즈지지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간통(9)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키(9c)와 결합하기 위하여 광축과 평행한 복수개의 키홈부(1g)가 형성되어 있다.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링(2)은, 고정통부재(1)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해당 보강링(2)의 외주면상에는 상기 고정통부재(1)의 내주면상에서 베이어닛클램프(1c)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홈부(2a)가 형성되어 있고, 그의 내주면상에는 후술하는 고정통부재(8)의 베이어닛클램프(8a)에 걸어맞춤하기 위한 홈부(2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링(2)의 고정통부재(1)안쪽으로 끼워맞춤된 후, 보강링(2)의 홈부(2a)의 옆면(2a1)이 고정통부재(1)상에 형성된 스토퍼(1h)와 접촉할 때까지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보강링(2)은 광축방향으로 위치결정됨과 동시에 그의 내주면과의 마찰에 의해 고정통부재(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통부재(1) 후단부로부터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고정통부재(1)의 후단부상에 고정된 장착덮개부재(3)는, 디스크부(3a) 및 상기 디스크부의 주변부로부터 돌출하여 수지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복수개의 걸어맞춤클릭(3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덮개부재(3)는, 상기 수지재료의 탄성을 이용해서, 상기 고정통부재(1)상에 형성된 걸어맞춤홈 또는 구멍부안으로 상기 걸어맞춤클릭(3b)을 끼워맞춤하여 고정통부재(1)와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초점조절부재(8)의 자동초점조절방식 또는 수동초점조절방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스위치(4)는, 돌출부(4a)상에서, 나사(6)에 의해 장착된 스위치스프링(5)을 지지함과 동시에, 스위치스프링(5)의 탄성을 이용해서 베이스부재(7)에 형성된 홈부(7a)를 따라 광축방향(4b)과 평행한 방향으로 미끄럼성을 부여한다. 상기 베이스부재(7)는, 스위치(4)의 돌출부(4a)와 스위치스프링(5)이 고정통부재(1)내에 형성된 구멍부(1e)안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고정통부재(1)의 고정면(1f)상에 고정되어 있다.
초점조절부재(링)(8)는, 수동으로 또는 후술하는 전자모터(14)의 구동력에 의해 전동으로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다. 초점조절부재(8)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상기 보강링(2)의 내주면상에 형성된 홈부(2b)에 끼워맞춤되는 베이어닛 클램프(8a)가 설치되어 있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초점조절부재(8)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초점조절부재(8)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초점조절부재(8)가 회전할때 보강링(2)의 내주면과 미끄럼 접촉하는 복수개의 돌출한 슬라이딩면(8b)이 형성되어 있다.
제2렌즈지지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중간통(9)의 이주면의 일부에는, 고정통부재(1)상에 형성된 키홈부(1g)안으로 삽입되는 키(9c)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중간통(9)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한다.
앞쪽렌즈군 통(10)은, 촬영렌즈의 앞쪽렌즈군을 지지하는 제1렌즈지지부재를 구성한다. 상기 앞쪽렌즈군통(10)은, 중간통(9)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걸어맞춤구멍부(9f)안으로, 상기 앞쪽렌즈군 통(10)상에 일체로 형성된 복수개의 걸어맞춤클릭(10c)을 끼워맞춤함으로써 중간통(9)에 고정된다.
제2렌즈지지부재의 일부를 구성하는 뒤쪽렌즈군통(11)은 촬영렌즈의 뒤쪽렌즈군을 지지하며, 중간통(9)상에 형성된 홈부(9a)와 결합되는 베이어닛클램프(11a)가 설치되어 있다. 중간통(9)과 뒤쪽렌즈군통(11)은 제2렌즈지지부재를 구성한다. 또한, 앞쪽렌즈군통(10)과, 중간통(9)과 뒤쪽렌즈군통(11)은 광축을 따라 직선운동가능한 렌즈지지부재를 구성한다.
중간통(9)의 선단부상에는, 앞쪽렌즈군 통(10)의 후단부에 형성된 캠면(10b)에 대향하고 있는 캠면(9b)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중간통(9)과 앞쪽렌즈군통(10)은, 상기 2개의 캠면(9b) 및 (10b)에 의해 평행한 캠홈공간을 형성하도록 서로 대향해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캠면(9b),(10b)에 의해 형성된 캠홈공간안에는, 초점조절부재(8)로부터 연장된 캠종동부(8c)가 끼워맞춤되어 캠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광축을 중심으로 초점조절부재(8)가 회동함으로써, 캠종동부(8c)를 개재해서 앞쪽렌즈군 통(10), 뒤쪽렌즈군 통(11) 및 이들과 일체로 구성된 중간통(9)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다.
이하, 제4도를 참조하면서 중간통(9)과 그밑에 위치된 뒤쪽렌즈군 통(11)간의 관계를 설명한다.
뒤쪽렌즈군통(11)은 수지재료로 성형되어 있다. 뒤쪽렌즈군(40)은 끼워맞춤부(11f)에 끼워맞춤되어, 상기통(11)의 내주면상에서 대략 일정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세 위치에 설치된 충돌용 돌기부(11b)와 접촉하고 있다. 상기 충돌용 돌기부(11b)에 각각 대응해서 위치된 코킹핑거(caulking finger)(11c)는 열코킹에 의해 고정위치에서 뒤쪽렌즈군(40)을 유지한다. 3개의 돌기부(베이어닛 클램프)(11a)는 뒤쪽렌즈군통(11)의 외주면상에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돌기부(11a)의 면을 구성하는 걸어맞춤면(11a')은, 중간통(9)의 걸어맞춤숄더부(베이어닛부)(9g)와 걸어맞춤하고 있다. 3개의 충돌용 돌기부(11e)는, 뒤쪽 렌즈군통(11)의 외주면상의 돌기부(11a)와 각도 방향으로 벗어난 위치에 대략 일정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돌기부(11e)의 충돌면(11e')은 중간통(9)의 충돌면(9j)과 접촉하여 뒤쪽렌즈군통(11)의 광축방향의 위치를 규정한다.
중간통(9)의 걸어맞춤숄더부(9g)와 결합된 뒤쪽렌즈군통(11)의 돌기부(11a)의 걸어맞춤면(11')과 중간통(9)상에 충돌을 유지하고 있는 뒤쪽렌즈군통(11)의 충돌부(11e)의 충돌면(11e')사이의 광축방향의 거리는 고정밀도로 유지되고 있다.
걸어맞춤숄더부(9g)는, 뒤쪽렌즈군통(11)의 돌기부(11a)와 베이어닛결합하기 위하여, 중간통(9)의 내주부상에 대략 일정한 각도만큼 떨어져서 세 곳에 설치되어 있다. 정지용 돌기부(9h)는 걸어맞춤숄더부(9g)에 각각 인접하게 형성되어, 걸어맞춤시 상기 돌기부(11a)상에 충돌한다. 뒤쪽렌즈군통(11)의 돌기부(11a)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걸어맞춤숄더부(9g)에는 각각 인접하게 간극(9i)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통(11)의 충돌부(11e)의 충돌면(11e')상에는 충돌면(9j)이 충돌하고 있다.
다음에는, 제4도를 참조하면서 뒤쪽렌즈군(40), 뒤쪽렌즈군통(11) 및 중간통(9)의 조립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뒤쪽렌즈군(40)을 뒤쪽렌즈군통(11)의 끼워맞춤부(11f)안으로 끼워맞춤한후, 상기 렌즈군(40)을 충돌용 돌기부(11b)와 접촉시킨 상태에서 코킹핑거(11c)의 열코팅에 의해 고정한다.
다음에, 중간통(9)의 간극(9i)안으로 뒤쪽렌즈군통(11)의 돌기부(11a)를 삽입하고, 상기 뒤쪽렌즈군통(1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통(9)의 돌기부(9h)위로 상기 돌기부(11a)를 슬라이딩시켜 걸어맞춤숄더부(9g)에 위치시킴으로써 중간통(9)상에 뒤쪽렌즈군통(11)을 고정한다. 이 상태에서, 뒤쪽렌즈군통(11)의 광축방향의 위치는 돌기부(11e)의 충돌면(11e')과 중간통(9)의 충돌면(9j)과의 접촉에 의해 결정되고, 뒤쪽렌즈군통(11)은, 돌기부(11a)의 탄성변형에 의해 지지된다.
개구가 전자모터(12a)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제어되고 있는 조리개유닛(12)은, 해당 조리개유닛(12)의 앞쪽 디스크면위에 중간통(9)으로부터 돌출된 걸어맞춤클릭을 끼워맞춤함으로써 고정한다.
전기부품을 장착하고 있는 메인회로기판(13)은 중간통(9)상에 나사에 의해 고정하고, 조리개유닛(12) 구동용의 모터(12a)로부터 연장되고 있는 코일단자(12b)는 메인회로기판(13)상에 직접 납땜한다.
앞쪽렌즈군통(10), 중간통(9) 및 뒤쪽렌즈군통(11)으로 구성된 렌즈지지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모터(14)는, 중간통(9)의 외주부상의 모터장착부(9d)상에 나사에 의해 고정한다. 상기 모터(14)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코일단자(14a)는 메인회로기판(13)상에 직접 납땜한다.
기어열(15)은 모터(14)의 회전토크를 전달하기 위한 기어수단을 구성하고, 각 기어는 중간통(9)상에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최후의 기어는 초점조절부재(8)의 내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내부기어(15f)와 맞물리게 된다.
다음에는, 본 실시예의 렌즈배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기 렌즈배럴은 카메라본체상에 장착되어 있다. 자동초점조절모드일 때는, 모터(14)는 카메라 본체내에 설치된 초점상태검출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모터(14)의 회전토크는 기어열(15)을 개재해서 초점조절부재(8)의 내주면에 설치된 내부기어(15f)에 전달됨으로써, 초점조절부재(8)를 고정통부재(1)에 대해서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중간통(9)의 캠면(9b)과 앞쪽렌즈군통(10)의 캠면(10b)에 의해 형성된 캠홈공간에는, 초점조절부재(8)의 캠종동부(8c)가 끼워맞춤되어 있으며, 또 중간통(9)은, 키(9c)와 키홈부(1g)로 구성되는 키구조에 의해, 고정통부재(1)에 대하여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초점조절부재(8)의 회동에 따라 캠종동부(8c)를 통해 앞쪽렌즈군통(10)과 중간통(9)이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중간통(9)에 베이어닛 결합된 뒤쪽렌즈군통(11)도 중간통(9)과 일체적으로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수동초점조절모드일 때는, 선택스위치(4)를 수동모드 절환함으로써, 모터(14)의 회전토크가 초점조절부재(8)에 전달되지 않도록 기어열(15)의 일부를 분리한다. 이 상태에서는, 수동으로 초점조절부재(8)를 회동시킴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점조절부재(8)를 광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앞쪽렌즈군통(10), 중간통(9), 뒤쪽렌즈군통(11), 중간통(9)의 외주부의 모터장착부(9d)상에 장착된 모터(14), 중간통(9)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기어축에 끼워맞춤된 기어열 및 중간통(9)상에 고정된 메인회로기판(13)을 일체적으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조절을 행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배럴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조리개유닛구동용의 모터의 코일단자는 가요성 회로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메인 연장되어 직접 납땜되어 있으므로, 렌즈배럴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및 조정이 용이하며, 또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배럴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통부재, 초점조절부재, 제1 및 제2렌즈지지부재 등의 요소를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나선형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함으로써, 렌즈배럴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및 조정이 용이하며, 또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예시한 것으로서, 이것은 이하의 점에서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르다.
조리개유닛(12)의 구동용의 모터(12a)는 제5도에 도시한 종래의 구조와 다르며, U자 형상의 이동흡수기구없이 가요성 인쇄회로기판(12c)을 통하여 메인회로기판(13)에 직접 납땜되어 있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배럴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요소를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이동흡수기구를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기판의 수를 줄이며, 인쇄회로기판을 모터와 직접 연결시키고, 그리고 장착부에서의 접점이외의 전기회로를 일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렌즈배럴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및 조정이 용이하며, 또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배럴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통부재, 금속보강링 및 초점조절부재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수지슬라이딩면간의 접촉에 비해서, 금속슬라이딩면과 수지슬라이딩면사이의 접촉이기 때문에, 기계적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초점조절부재의 회전시에 보다 원활한 동작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나사나 접착제없이도, 베이어닛결합에 의해 고정통부재와 보강링을 고정함으로써, 렌즈배럴의 조립 및 조정을 용이하게 한다.
더욱이,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의하면, 요소들은, 렌즈배럴의 일부를 구성하는 고정통부재상에, 각 요소를 전술한 바와 같이 장착하고, 또 상기 통부재에 장착부재도 일체화됨으로써, 렌즈배럴은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및 조정이 용이하며, 또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7도 내지 제10도와 관련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다른 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클러치레버(16),(17),(18)는 기어(15)중 1개의 기어를 기어축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중, 클러치레버(16)는 고정베이스부재(7)상에 축(16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일단부에 있는 U자형홈(16b)은 스위치(4)의 돌출부(4a)와 걸어맞춤되어 있다. 또 클러치레버(16)의 타단부에는, 클러치레버(17)상에 형성되고 광축을 따른 렌즈배럴의 전체 이동량보다 긴 길이를 가진 긴구멍(17a)과 걸어맞춤하는 돌출부(16c)를 구비하고 있다. 또, 클러치레버(17)상에 광축과 직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긴 구멍(17b)에는, 중간통(9)의 외주상에 설치된 돌출부(9fa)가 광축과 직각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또한, 클러치레버(18)상에 광축에 평행하게 형성된 긴구멍(18a)에는, 중간통(9)의 외주상에 설치된 걸어맞춤숄더부(9g)가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걸어맞춤한다. 더욱이, 클러치레버(17)상에 형성된 돌출부(17c)는, 클러치레버(18)상의 광축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뻗은 긴구멍(18b)과 걸어맞춤한다. 또한, 클러치레버(18)의 일부에는, 기어와 걸어맞춤하는 일단부에 U자 형상의 걸어맞춤부를 가진 탄성부재(19)가 고착되어 있다.
기어(15a)-(15e)를 제위치에 유지하는 가압판(20)은 나사에 의해 중간통(9)에 고착되어 있다. 카메라본체(도시생략)가 자동 또는 수동초점조절모드에 있는지를 판별하는 전기스위치(21)는 메인회로기판(13)에 직접 납땜되어 있다.
다음에, 선택스위치(4)에 의한 자동 및 수동초점조절모드사이의 절환을 설명한다. 먼저, 제8도에 도시한 자동초점조절모드에서 제9도에 도시한 수동초점조절모드로의 절환을 설명한다.
스위치(4)를 화살표(41b)로 표시한 대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클러치레버(16)를 베이스부재(7)상에 부착된 축(16a)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클러치레버(16)의 일단부에 있는 돌출부(16c)는, 중간통(9)에 대해서 광축과 직각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클러치레버(17)의 광축과 평행한 긴 구멍(17a)에 걸어 맞춤하고 있다. 또한 클러치레버(17)의 출력측에 있는 돌출부(17c)는, 중간통(9)에 대해서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클러치레버(18)의 광축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긴 구멍(18b)에 걸어맞춤하고 있다.
따라서, 스위치(4)의 광축방향의 이동량은 클러치레버(16)에 의해 클러치레버(17)의 광축방향과 직각방향의 이동량으로 변환하고, 또한 클러치레버(18)의 광축방향의 이동량으로 변환하고 있다. 이때 클러치레버(17)의 광축과 직각방향의 이동량에 따라 전기스위치(21)를 작동부(17d)에 의해 절환하고 있다.
클러치레버(18)의 일단에 고정한 탄성부재(18)는, 기어수단(15)중의 기어(15a)를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방향(화살표(4b))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기어(15a)와 기어(15b)의 결합을 분리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설명한 클러치기구에 의해 기어(15a)를 기어(15b)와 결합시키거나 분리함으로써 자동초점조절모드와 수동초점조절모드와의 절환을 행하고 있다.
스위치(4)를 화살표(41a)를 따라 자동초점조절쪽으로 이동시키면, 기어(15a)는 기어(15b)와 맞물리고, 그에 의하여 모터(14)의 구동력을 초점조절부재(8)에 전달함으로써 모우터에 의한 렌즈지지부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한편, 스위치(4)를 화살표(41b)를 따라 수동초점조절쪽으로 이동시키면, 기어(15a)는 기어(15b)에서 분리되며, 그에 의하여 초점조절부재(8)를 모터(14)의 구동력으로 부터 해제하여 수동조절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고정통부재(1)에 고착된 베이스부재(7)상에 부착된 클러치레버(16)와 중간통부재(9)에 부착된 클러치레버(17)사이의 광축을 따른 상호거리는 렌즈배럴의 진출량에 따라 변화하지만, 클러치레버(17)의 긴구멍(17a)의 길이는,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렌즈배럴의 전체 진출량보다 길게되어 있으므로, 스위치(4)의 이동량은 상기 렌즈배럴의 진출량에 의해 영향받지 않고 기어(15)에 전달된다. 즉, 클러치기구의 광축의 방향이동에도 불구하고 클러치기구와 스위치(4)가 연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초점조절부재를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앞쪽렌즈군통(10), 중간통(9), 뒤쪽렌즈군통(11), 중간통(9)의 외주상의 장착부(9d)상에 장착된 모터(14), 중간통(9)과 일체로 형성된 기어축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기어열(15), 그리고 상기 중간통(9)상에 고착된 메인회로기판(13)을 일체적으로 광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초점조절을 행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배럴의 일부로서 구성되는 자동초점조절용의 기어기구 및 자동초점조절모드와 수동초점조절모드와의 절환용의 클러치기구를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렌즈배럴내의 공간의 효율적이 이용과 전체배럴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1도 및 12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의 다른 점을 집중적으로 설명한다.
제11도 및 제12도는 본 실시예의 기어수단(15)의 특징을 예시한 도면이다. 중간통(9)의 선단부상에 나사에 의해 고정된 기어지지판, 즉 가압판(20)은 기어의 축을 지지하고 고정함으로써, 기어수단(15)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어(15a)-(15d)를 회전가능하게 유지하고 있다. 상기 기어지지판(20)은 상기 복수개의 기어중 1개의 기어(15c)의 기어축(41)을 탄성변형 가능하게 지지하는 긴 안내구멍(20a)을 지니고 있다.
상기 기어축(41)은 수지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간통(9)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수지재료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긴 안내구멍(20a)내글 변위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초점조절부재(8)에 가해진 충격력 또는 초점조절조작중에 초점조절부재(8)가 회전스토퍼(stopeer)상에 닿을때에 모터(14)의 구동토크에 의해 발생된 충격력은, 기어(15c) 및 기어축(41)의 긴구멍(20a)에 있어서의 변위에 의해 흡수됨으로써, 기어톱니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긴구멍(20a)의 형상을, 기어(15c)와 맞물리는 모터쪽의 기어(15d)의 기어축(4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기어(15c)가 상기 충격력에 의해 변위할때 이 원호형상을 따라서 변위하도록 함으로써, 기어(15c)는 안정한 맞물림상태를 유지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고, 그리고 나서는 정상의 맞물림상태로 복귀하도록 하고 있다.
본 제4실시예에 의하면 렌즈배럴의 일부를 구성하는 구동수단 및 기어수단을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렌즈배럴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조립 및 조정을 용이하게 유지하면서, 기어에 가해진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을 흡수하고 기어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마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7)

  1.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기어부를 가진 초점조절부재와,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과 연동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지지부재와, 상기 렌즈지지부재의 일부에 설치된 구동수단과, 상기 렌즈지지부재의 일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상기 기어부와 맞물리는 기어수단을 구비한 렌즈배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재는 광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재를 광축중심으로만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통부재를 또 구비하고, 상기 렌즈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통부재의 내주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에는 상기 기어수단의 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조절부재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어부는 그 내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의 축방향의 이동과 동기해서,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제2렌즈지지부재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에는 캠이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에는 상기 캠과 접촉하는 캠종동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서, 상기 캠의 변위에 상당하는 양만큼 상기 렌즈지지부재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에는 제1캠이 형성되고, 상기 제2렌즈지지부재에는 제2캠이 형성되고, 상기 초점조절부재에는 상기 제1캠 및 제2캠과 접촉하는 캠종동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1캠 및 제2캠의 변위에 상당하는 양만큼 상기 렌즈지지부재 및 상기 제2렌즈지지부재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렌즈지지부재상에 직접적으로 장착된 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0.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제1캠면이 형성된 제1렌즈지지부재와,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캠면과 함께 실질적으로 홈을 형성하는 제2캠면이 형성된 제2렌즈지지부재와,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제1캠면과 상기 제2캠면에 의해 형성된 상기 홈에 삽입되는 캠종동부가 형성된 초점조절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렌즈지지부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재에는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을 이용해서 상기 초점조절부재는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을 상기 초점조절부재에 전달하는데 기어수단을 이용하고, 상기 기어수단에는, 상기 제1렌즈지지부재와 상기 초점조절부재와의 광축방향의 상대 이동에 대처하기 위한 기어톱니가 광축방향으로 뻗은 기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3. 렌즈를 지지함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지지부재와, 상기 렌즈지지부재상에 장착된, 적어도 렌즈구동용 제1모터, 조리개기구 및 상기 조리개기구들 구동하기 위한 제2모터를 구비한 렌즈배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의 광축방향에의 이동에 의해서 초점조절작용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의 회전에 의해 캠종동부를 지닌 부재를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렌즈지지부재에 설치된 캠과 상기 캠종동부와의 접촉에 의해, 상기 렌즈지지부재는 광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의 회전을 다른 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또 구비하고, 상기 기어는 상기 렌즈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8.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초점조절부재와, 렌즈를 지지함과 동시에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렌즈지지부재와, 상기 초점조절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에 의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렌즈지지부재상에 설치된 상기 초점조절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모터, 조리개기구 및 상기 조리개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제2모터를 구비한 렌즈배럴.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의 광축방향에의 이동에 의해서 초점조절작용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에는 상기 제1모터 및 제2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캠 및 캠종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의 회전을 상기 초점조절부재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를 또 구비하고 상기 기어는 상기 렌즈지지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3. 고정통부재와, 상기 고정통부재의 내주에 고정된 보강링과, 상기 보강링에 대해 광축중심으로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보강링과 미끄럼접촉하는 미끄럼접촉부 및 상기 보강링으로부터의 빠짐을 방지하는 클릭이 설치되어 있는 회동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부재와 상기 보강링은 베이어닛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5. 렌즈를 지지함과 동시에, 키부가 형성된 렌즈지지부재와, 상기 키부가 삽입되는, 광축방향으로 뻗은 키홈 및 카데라본체를 결합하기 위한 장착부가 설치된 고정통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는 상기 고정통부재의 내주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조절부재를 또 구비하고, 상기초점조절부재는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렌즈지지부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8. 렌즈를 그내주면에 직접 지지함과 동시에, 그 내주면에, 상기 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위치결정하는 제1돌출부 및 반경방향으로 돌출한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1렌즈지지부재와, 상기 제1렌즈지지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돌출부가 광축방향으로 삽입가능한 오목부 및 상기 제1렌즈지지부재가 소정각도만큼 회전할 때 상기 제2돌출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제2렌즈지지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와 상기 걸어맞춤부는 베이어닛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0. 고정통부재와, 상기 고정통부재의 내부에 광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위치함과 동시에, 렌즈구동용모터,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에의 연결 또는 분리상태를 절환하는 클러치가 배치된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통부재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클러치조작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광축방향이동과 관계없이, 상기 클러치조작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클러치를 절환가능한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초점조절을 위한 렌즈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광축을 중심으로한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를 광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구는 캠과 상기 캠과 접촉하는 캠종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4.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구동력을 피구동부재에 전달하는 기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어수단은 복수개의 기어와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지지하는 복수개의 기어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기어축중 적어도 1개의 제1기어축은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 가능한 제1기어축의 변형방향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또 구비하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제1기어축에 지지된 제1기어와 맞물리는 제2기어를 지지하는 제2기어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따라 상기 제1기어축의 탄성변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부재는 초점조절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부재는 초점조절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KR1019910023307A 1990-12-18 1991-12-18 렌즈배럴 KR950006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12071A JPH04217217A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90-412067 1990-12-18
JP2412068A JPH04217210A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2412072A JPH04217218A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90-412071 1990-12-18
JP90-412066 1990-12-18
JP2412070A JPH04217212A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90-412070 1990-12-18
JP90-412068 1990-12-18
JP90-412069 1990-12-18
JP41206690A JPH0816734B2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90-412072 1990-12-18
JP41206590A JPH0816735B2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2412069A JPH04217211A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2412067A JPH04217214A (ja) 1990-12-18 1990-12-18 レンズ鏡筒
JP90-412065 1990-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956A KR920012956A (ko) 1992-07-28
KR950006463B1 true KR950006463B1 (ko) 1995-06-15

Family

ID=27573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307A KR950006463B1 (ko) 1990-12-18 1991-12-18 렌즈배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64966A (ko)
KR (1) KR9500064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5833B2 (ja) * 1991-07-02 2000-05-2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防滴防水カメラ用レンズ鏡筒
JPH0650013U (ja) * 1992-12-15 1994-07-08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レンズ支持構造
US5592335A (en) * 1993-03-23 1997-01-07 Nikon Corporation Reduced diameter camera lens barrel with lens shift device and improved focus lens drive linkage
JPH085894A (ja) * 1994-06-22 1996-01-12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H085893A (ja) * 1994-06-22 1996-01-12 Nikon Corp レンズ鏡筒
US6002531A (en) * 1994-12-22 1999-12-14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US6002530A (en) * 1994-12-22 1999-12-14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JP3587324B2 (ja) * 1996-02-16 2004-11-10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インナーフォーカス式ズームレンズ
US20040201707A1 (en) * 1998-03-12 2004-10-14 Kazuhiro Noguchi Variable magnification lens having image stabilizing function
US6717743B2 (en) * 2000-06-28 2004-04-06 Pentax Corporation Lens moving device
US6757490B1 (en) * 2003-05-29 2004-06-29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assembly having forward and return cam surfaces for a turret on different parts
JP4539696B2 (ja) * 2007-09-04 2010-09-08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US8072698B2 (en) * 2008-01-18 2011-12-06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support apparatus
JP2010021535A (ja) * 2008-06-11 2010-01-28 Canon Inc 変形機構、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US8363149B2 (en) * 2008-09-10 2013-01-29 Panasonic Corporatio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US20110273777A1 (en) * 2010-05-10 2011-11-10 Sony Corporation Lens barrel
JP7130498B2 (ja) 2018-09-04 2022-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1756A (en) * 1976-03-19 1979-07-17 Jos. Schneider & Co. Optische Werke Control system for varifocal objective
JPS6020089Y2 (ja) * 1978-11-17 1985-06-17 ミノルタ株式会社 ズ−ムレンズ鏡胴
JPS5878132A (ja) * 1981-11-04 1983-05-11 Canon Inc モ−タ−駆動による紋り装置
JPS6042726A (ja) * 1983-08-18 1985-03-07 Canon Inc レンズ鏡胴
JPS62140512A (ja) * 1985-12-13 1987-06-24 Yokogawa Electric Corp Mosfetの駆動回路
US4950060A (en) * 1988-05-07 1990-08-21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Lens driving cam mechanism
US4999656A (en) * 1988-05-24 1991-03-12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with double-sided printed circuit board
JPH02220014A (ja) * 1989-02-21 1990-09-03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鏡筒
US5115348A (en) * 1989-07-26 1992-05-19 Canon Kabushiki Kaisha Lens barr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64966A (en) 1993-11-23
KR920012956A (ko) 199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6463B1 (ko) 렌즈배럴
US5172276A (en) Structure for stabilizing image in optical system
US6075655A (en) Optical mechanism which allows play between transmission members for moving optical components
US5461443A (en) Lens barrel
JP2530814B2 (ja) 交換レンズ鏡筒のマウント構造
US5239417A (en) Lens barrel for automatic focusing camera
US8167508B2 (en) Light amount adjusting device and image capture apparatus
EP2290419B1 (en) Lens device
US6752542B2 (en) Lens shutter mechanism
EP3561589A1 (e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lens apparatus, and camera system
JP2009098378A (ja) レンズ鏡筒
JPH064719U (ja) フレキシブル基板の装着構造
JP2956099B2 (ja) レンズ鏡筒
US6038404A (en) Lens barrel for a camera having a non-rotatable cam ring moved by a feed screw
JPH01251007A (ja) レンズ鏡筒
KR100226118B1 (ko) 렌즈배럴
JPH06289270A (ja) レンズ鏡筒
JP4827571B2 (ja) レンズ位置検出手段を備えた交換レンズおよびカメラ
US20020136546A1 (en) FPC mounting structure
US5675445A (en) Lens barrel having optical systems which can be individually installed in corresponding lens frames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optical systems
US4682854A (en) Lens barrel incorporating a motor
US5754896A (en) Lens device having a focusing lens unit coupled to a drive ring by a coupling member and having a notch to prevent the coupling member from obstructing insertion of the focusing lens unit into the lens device
US6002532A (en) Lens barrel
KR100383694B1 (ko) 카메라용렌즈지지기구
JP2002162557A (ja) レンズ鏡筒の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