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732Y1 -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732Y1
KR950005732Y1 KR2019930003587U KR930003587U KR950005732Y1 KR 950005732 Y1 KR950005732 Y1 KR 950005732Y1 KR 2019930003587 U KR2019930003587 U KR 2019930003587U KR 930003587 U KR930003587 U KR 930003587U KR 950005732 Y1 KR950005732 Y1 KR 950005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tor
annular body
vehicle
mounting hole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5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2919U (ko
Inventor
손동연
정태형
김은석
권순범
임철준
박태화
정도희
정상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35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5732Y1/ko
Publication of KR940022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9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265/0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 F28F2265/30Safety or protection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preventing malfunction for preventing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제 1 도는 종래의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를 제 4 도의 선 2-2'를 따라서 취한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의 사시도.
제 4 도는 제 3 도에 도시된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의 평면도, 및 제 5 도는 제 3 도에서 도시된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디에이터 2 :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
3 : 취부구 4 : 라디에이터 탱크 돌출부
9 : 구멍 10 : 원통체
11: 컨넥터 12 : 환형체
13 : 지지체 14 : 하부플랜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취부구에 관한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급출발, 급제동 또는 고르지 않은 노면을 주행할 때 라디에이터에 의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한 라디에이터의 상부 취부구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중에는 엔진 연소실내의 온도가 1500℃이상 상승하며, 이것이 축적되어 일정한도를 초과하게 되면 엔진 몸체를 구성하는 부품의 파손, 윤활유의 점도감소와 변질, 혼합가스의 팽창에 의한 흡입 효율의 저하, 이상 연소등이 발생하게되어 운전 불능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소실, 실린더, 피스톤, 및 밸브장치등에는 냉각장치등이 설치된다. 냉각장치는 크게 공냉식과 수냉식으로 분류되며, 수냉식 냉각장치의 대표적인 것이 라디에이터이다. 라디에이터는 일반적으로 중량이 무거운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만들어져 자동차의 주행시 진동이 심하게 발생되며, 발생된 진동이 자동차의 차체에 전달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줄수 있고 그 진동에 의해 라디에이터 조기 파손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라디에이터에 의한 차체로의 진동전달 및 차체에 의한 라디에이터로의 진동전달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 펠트등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취부구를 통해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에 접속된다.
제 1 도는 종래의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3)를 통하여 라디에이터(1)가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2)에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라디에이터(1)는 탱크돌출부(4)가 취부구(3)의 구멍안으로 삽입 고정되고, 취부구93)는 샤시 프레임(2)에 고정되어, 라디에이터(1)가 자동차의 차체에 확실하게 연결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취부구(3)는 자동차의 급출발이나 고르지 않은 노면을 주행할 때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을 어느정도 흡수할수는 있으나, 취부구(3)의 형상으로 인하여 진동흡수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대부분의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어 차량 탑승자에게 안락감을 줄수 없었으며, 또한 이러한 진동은 자동차의 다른 부품의 파손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가 급출발 또는 고르지 않은 노면을 주행할 때 라디에이터에 의한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차체에 의한 진동이 라디에이터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는 고무재로 압출성형되며, 라디에이터의 탱크 돌출부가 삽입되는 구멍을 가지는 원통체,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 다수의 컨넥터에 의해 상기 원통체와 일체로 연결되고 외주면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체, 및 상기 환형체의 컨넥터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환형체를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지며 상기 환형체와 같은 외경을 가진 하부 플랜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 도를 참조하면, 라디에이터(1)의 탱크 돌출부(4)와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2)에 연결되어 있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3)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2)은 환형체(12)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과 결합되어 접착수단에 의해 홈과 접착된다. 하부플랜지(14)는 원통체(10)의 하단부로 부터 연장하여 라디에이터(1)의 상부면과 밀착되고, 취부구(3)가 고무재로 형성되므로 라디에이터(1)는 흔들림이 없이 확실하게 고정된다.
제 3 도 내지 제 5 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3)가 상세하게 도시되어있다. 취부구(3)는 원통체(10), 환형체(12), 및 하부플랜지(14)를 가지며, 원통체(10)는 라디에이터(1)의 탱크 돌출부(4)가 삽입되는 구멍(9)을 가진다. 환형체(12)는 둥근 고리형태로서 원통체(10)의 외주면으로 부터 연장한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컨넥터(11)에 의해 원통체(10)와 일체로 연결되며, 환형체(12)의 외주면에는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2)과 결합되는 흠이 형성된다. 컨넥터(11)는 원통체(10)와 환형체(12)사이에 다수의 공간 부분을 형성하고, 이러한 공간 부분은 라디에이터(1)에 의한 전후 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환형체(12) 아래에는 컨넥터(11)와 같은수의 지지체(13)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체(13)는 환형체(12)와 하부플랜지(14)를 일체로 연결시켜 준다.
지지체(13)는 취부구(3)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컨넥터(11)와 환형체(12)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환형체(12)하부에 위치되어, 환형체(12)와 하부플랜지(14)사이에 다수의 공간 부분을 형성한다. 이 공간 부분들은 라디에이터(1)에 의한 상하방향의 진동을 흡수한다. 하부플랜지(14)는 안쪽이 원통체(10)에 연결되고, 하부플랜지(14)의 외경은 환형체(12)의 외경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자동차가 급출발하거나 급제동할때, 라디에이터(1)의 상부 부분은 관성에 의하여 급격히 뒤쪽으로 쏠리거나 앞쪽으로 쏠리게 되고, 또한 자동차가 고르지 않은 노면을 주행할때, 라디에이터(1)가 심하게 진동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3)의 형상에 의해 그러나 진동은 차체에 전달되지 않고, 취부구(3)에 흡수된다.
즉, 급출발 또는 급제동에 의한 전후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은 원통체(10)와 환형체(12)사이에서 컨넥터(11)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분들로 인하여 자동차 차체에 연결된 라디에이터 취부 브라켓(2)에 전달되지 않고, 취부구(3)에 흡수된다. 또한, 고르지 않은 노면을 주행할때 발생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은 환형체(12)와 하부플랜지(14) 사이에서 지지체(13)에 의해 형성된 공간 부분들로 인하여 라디에이터에 전달되지 않고 취부구(3)에 흡수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는 라디에이터의 전후 및 상하 방향의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므로 자동차의 탑승자에게 안락감을 줄수 있고, 차체의 진동 및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라디에이터의 조기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고무재로 압출성형되며, 라디에이터(1)의 탱크 돌출부(4)가 삽입되는 구멍(9)를 가지는 원통체(10), 상기 원통체(10)의 외주면으로 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한 다수의 컨넥터(11)에 의해 상기 원통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외주면을 따라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체(12), 및 상기 환형체(12)의 컨넥터(11) 아래에 위치되어 상기 환형체(12)를 지지하는 지지체(13)를 가지며 상기 환형체(12)와 같은 외경을 가진 하부플랜지(1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
KR2019930003587U 1993-03-12 1993-03-12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KR950005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587U KR950005732Y1 (ko) 1993-03-12 1993-03-12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587U KR950005732Y1 (ko) 1993-03-12 1993-03-12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919U KR940022919U (ko) 1994-10-20
KR950005732Y1 true KR950005732Y1 (ko) 1995-07-20

Family

ID=1935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587U KR950005732Y1 (ko) 1993-03-12 1993-03-12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5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919U (ko) 199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2693A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KR950005732Y1 (ko) 자동차 라디에이터 상부 취부구조
KR950004670Y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 하부 취부구
KR100333862B1 (ko) 엔진 마운팅 부재
KR100507082B1 (ko) 자동차의 변속기 서포트 브라켓
KR20030015724A (ko) 자동차의 바디 마운팅 방진구
KR0133997Y1 (ko) 자동차용 열교환기 고정장치
JPS6116130A (ja) ラジエ−タマウント構造
KR0126171Y1 (ko) 엔진 마운트의 히트 디플렉터
KR0121031Y1 (ko) 자동차 엔진 장착구
KR19980042240U (ko) 압입 구조를 가지는 지지축을 구비한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100443962B1 (ko) 자동차의 라디에이터용 마운트
KR19980056518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장치
KR0137866Y1 (ko) 자동차 엔진의 마운팅 브라켓 구조
KR100215929B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KR950005728Y1 (ko) 자동차의 냉각장치용 보조팬 취부구조
KR200151395Y1 (ko) 자동차 연료 여과기의 방진장치
KR19980055482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19980030736A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터
KR200206513Y1 (ko) 엔진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19980061696U (ko) 자동차의 방진마운팅부재구조
KR19980030735A (ko) 자동차의 엔진마운터
KR19980020057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구조
KR0139729Y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트
KR19980075275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