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507B1 -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507B1
KR950005507B1 KR1019870003553A KR870003553A KR950005507B1 KR 950005507 B1 KR950005507 B1 KR 950005507B1 KR 1019870003553 A KR1019870003553 A KR 1019870003553A KR 870003553 A KR870003553 A KR 870003553A KR 950005507 B1 KR950005507 B1 KR 950005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amide
sulfonylmethyl
group
water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3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9991A (ko
Inventor
코르넬리스 마리아 엠마뉠 바렌드세 니콜라스
Original Assignee
루쎌 위클라프 소시에떼 아노님
쟝 끌로드 비에유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쎌 위클라프 소시에떼 아노님, 쟝 끌로드 비에유포스 filed Critical 루쎌 위클라프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870009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9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5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5/00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 C07C315/04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the formation of sulfone or sulfox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5/00Preparation of sulfones; Preparation of sulfoxid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물과 2차산 존재하에서 술핀산, 포름 알데히드 및 포름아미드를 반응시켜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결과 얻어진 화합물은, 최근에 제조유기화학에서 "블록재"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진 화합물의 종류인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의 제조과정의 중요한 출발물질이다(Lect. Heterocycl. Chem. 5, S111-S122(1980)의 개관참조).
이 부류에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화합물은, TosMIC라는 약명으로도 알려진 이소시안화파라 톨루엔 술포닐메틸이다.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의 가능한 합성방법에 대한 설명은 테트라헤드론레터(Tetrahedron Letters, 2367-2368(1972))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출발화합물인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가 공업적인 규모로 양호한 수율로 쉽게 제조되지 않기 때문에,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의 대규모적인 사용은 심각하게 방해를 받고 있다.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의 대규모적인 제조를 위하여, 물과 포름산 존재하에 술핀산, 포름아미드 및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키는 만니히 축합반응(Mannichcondensation)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결과 얻은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를 계속해서 탈수시켜서 얻고자하는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을 얻는다.
상세한 설명은 예를들면 유기합성
Figure kpo00001
102-106(1977) 특히 토론(part 3)에 있다. 그 반응은 다음의 반응개요도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2
R은 유기기이고 더욱 상세히는 R은 치환 또는 치환되지 않을 수도 있는 히드로카르빌기 또는 헤테로아릴기가 될 수 있다.
히드로카르빌기는 지방족기, 지환족기, 단일고리아릴기 또는 다중고리아릴기일 수 있다.
지방족기는 알킬기, 알케닐기 또는 알키닐기일 수 있다. 지환족기는 시클로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알킬기일 수 있다. 아릴기는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일 수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1개 이상의 질소, 산소 또는 황원소고리를 갖는 1개이상의 5,6 또는 7-원고리를 갖는 기일 수도 있다. 치환체가 존재할 경우, 1개 또는 2이상의 치환체가 있을 수 있으며 그것들은 알킬기, 알케닐기, 알키닐기, 알콕시기, 염소나 브롬같은 할로겐, 아미노기, 니트로기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지방족기와 지환족기는 탄소원자 10개까지 바람직하게는 6개를 함유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개 내지 4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킬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또는 저급알킬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파라메틸페닐기이다.
탈수단계(2)는 순조롭게 진행된다. 온화한 조건아래서 쉽게 구입할 수 있고 가격이 저렴한 화학약품을 사용하여 80-90%의 수율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선행한 만니히 축합반응(1)은 낮은 수율로 진행한다. Rec. Trav. Chim. Pays Bas 91, 209-212(1972)에서는, 15-55% 범위에 이르는 수율로 얻어지는 다섯가지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가 보고되어 있다. 유기합성 57, 102-106(1977)에는 TosMIC를 합성하는 출발화합물인 N-(파라톨릴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를 제조하는데 단지 42-47%의 수율이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이 물이 없거나 단지 소량으로 존재하는 반응매체에서 수행될때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를 생성하는 만니히 축합반응의 수율이 실질적으로 향상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물의 양은 40%(w/w)를 초과하지 않고 바람직하게는 15%(w/w)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w/w) 이하이다. 이렇게 물의 양을 조절하고 앞에서 언급한 유기합성 방법에서 사용되는 양보다 훨씬 적게 사용함으로써 90% 이상의 수율이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의 더욱 좋은 점은 초기의 반응생성물이 더 이상의 분리를 거치지 않고 사용되어 계속해서 축합단계를 거쳐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마지막에 언급된 화합물의 종류가 이제는 더욱 경제적인 단 도가니법(one-pot-process)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술핀산은 보통 염의 형태로, 예를들면 나트륨염의 형태로, 반응혼합물에 첨가되는데, 혼합물에서 과량의 산에 의해 술핀산이 해리된다. 이 과량의 산으로 바람직한 것은 포름산이다. 포름알데히드는 그 자체 또는 파라포름알데히드처럼 그자리에서 발생되는 형태로 반응물에 첨가된다. 반응물과 산은 바람직하게는 술핀산에 대하여 과량으로 사용한다.
포름아미드의 경우 약 6 : 1,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약 5 : 1, 2차산의 경우 약 4 : 1의 몰비로 최적의 수율이 얻어진다. 필요하다면 반응을 방해하지 않는 희석액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필요하지 않다.
반응온도는 보통 약 50℃에서 그 혼합물의 비점까지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85℃와 95℃ 사이이다. 최적의 온도는 약 90℃이다.
다음의 예들은 본 발명을 잘 설명해 줄 것이다. % 수율은 술핀산염 반응물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실시예 1]
N-(토실메틸)포름아미드
약 4몰의 H2O를 포함하는 파라톨릴술핀산나트륨 51.22g(0.2몰)과 파라포름알데히드 24g(0.8몰), 포름아미드 60ml(1.5몰) 및 포름산 38ml(1몰)의 혼합물을 용기에서 15분에 걸쳐 90℃까지 가열하였다.
혼합물은 약 7%의 물을 함유하였다. 이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킨후에 맑은 용액을 20℃로 냉각시켰다. 시딩(seeding) 및 물 400ml의 첨가후 N-(토실메틸)포름아미드가 결정화되었다. 결정현탁액을 19℃에서 30분간 교반시켰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75ml의 물로 3번 씻어준후, 70℃의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켜 N-(토실메틸)포름아미드 30.16g(70.8%)를 얻었다.
융점 109-111℃ 여과액을 염화메틸렌 100ml로 5번 추출시킴으로써 상당한 여분양의 N-(토실메틸)포름아미드가 얻어졌다. 합하고 증발시킨 추출물로부터 얻은 잔여물 10.5g을 500ml의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시딩한 후에 N-(토실메틸)포름아미드가 결정화되었다. 이 결정성 생성물을 여과하고 씻고 건조시켜 8.18g(19.2%)을 얻었다.
융점 103-107℃
모액의 잔여물(1.90g)을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키고, 그 용액을 실리카겔 칼럼을 통과시켰다. 적재된 칼럼을 처음에 톨루엔으로 용리하여 모든 염화메틸렌을 제거하였다.
계속해서 5%(v/v) 아세톤을 함유하는 톨루엔 0.6ι를 용리에 사용하고 마지막으로 10%(v/v) 아세톤을 함유하는 톨루엔을 사용하였다. 용출액의 합한 부분들로부터의 잔여물을 아세톤에 용해시켰다. 물을 첨가하고 아세톤을 진공상태에서 증발시켰다. 시딩후에 N-(토실메틸)포름아미드가 결정화되어 0.49g(1.15%)을 더 얻었다.
융점 107.5-108℃
회수된 N-(토실메틸)포름아미드의 총수율은 술핀산염을 기준으로 해서 91%의 수율은 나타내는 38.8g이었다.
[실시예 2]
N-(토실메틸)포름아미드
97% 건조 파라톨릴술핀산나트륨 7.34g(40밀리몰)과 파라포름알데히드 4.80g(160밀리몰), 포름아미드 12ml(13.56g, 300밀리몰) 및 99% 포름산 7.6ml(9.27g, 200밀리몰)의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였다. 모든 반응물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었다. 2시간동안 교반시킨 후에 그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30ml의 물을 첨가하여 이때 N-(토실메틸)포름아미드가 결정화되었다. 결과 생성된 N-(토실메틸)포름아미드를 물로 씻고 진공상태에서 건조시켰다.
수율 7.68g(90.1%), 융점 109-111℃
[실시예 3]
N-(페닐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고 다만 파라톨릴술핀산염 대신에 97% 건조 벤젠술핀산나트륨 6.77g(40밀리몰)을 사용하였다. N-(페닐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수율은 6.31g(79.3%)이었다.
융점 106-107℃
[실시예 4]
N-(베타나프틸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
실시예 2의 과정을 반복하고 다만 파라톨릴술핀산염 대신에 건조한 베타나프틸술핀산나트륨 4.28g(20밀리몰)을 사용하였다. 다른 반응물의 양은 실시예 2에 비해 반으로 하였다.
표제화합물의 수율은 4.63g(93.0%)이었다.
융점 139-141℃
[실시예 5]
N-(토실메틸)포름아미드
실시예 2의 반응물을 함유하는 8개의 반응혼합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각 혼합물의 물×ml의 증가량을 첨가해서 그것들의 물중량%가 0,5,10,15,20,25,30 및 35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혼합물들을 실시예 2에 기술된 대로 반응 및 진행시켰다. 첫번째 혼합물에만 30ml의 물을 첨가하고 다른 혼합물에는 (30-x)ml의 물을 첨가하였으며 결과 생성된 N-(토실메틸)포름아미드를 회수하였다.
얻어진 결과가 다음과 같다.
%물 : 0 5 10 15 20 25 30 35%
표제화합물의 : 7.68 7.09 7.20 6.98 6.95 6.52 6.20 5.70g
수율 : 90.1 83.2 84.5 81.6 76.5 72.8 66.9%
융점 : 109-111℃
[실시예 6]
이소시안화메틸술포닐메틸
메틸술틴산나트륨 1.02g(10밀리몰)과 파라포름알데히드 1.20g(40밀리몰), 포름아미드 3.0ml(75밀리몰) 및 포름산 1.9ml(50밀리몰)의 혼합물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각 반응물은 실질적으로 물이 없었다. 휘발성 반응물들을 90℃의 온도에서 및 진공상태에서 증류 제거시켰다. 잔여물을 10ml의 건조한 아세토니트릴로 실온에서 30분동안 초음파 진동시켰다.
테트라히드로푸란을 10ml 첨가한 후에 진동을 15분 동안 진행하였다. 결과 생성된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디이소프로필아민 13.0ml(93밀리몰)을 넣고 교반시킨후 옥시염화인 3.1ml(33밀리몰)을 첨가하였다. 반응혼합물을 0℃에서 1시간동안 번갈아서 진동시키고 교반시켰다. 그리고는 계속해서 100ml의 얼음포화된 중탄산 나트륨용액에 쏟아넣고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건조하고 농축시킨 추출물을 250ml의 아세트산 에틸로 희석시키고 중성알루미나로 처리하였다. 그 용액을 20ml로 농축시키고 40-60℃의 석유에테르 약 50ml를 서서히 첨가하였다. 결정이 형성되기 시작하며 석유에테르 50ml를 또 첨가하였다. 수율 : 표제화합물 630mg. 모액으로부터 표제화합물 30mg이 또 얻어졌다. 총수율 660mg(출발물질인 메틸술핀산염을 기준으로 하여 55%). 융점 : 50-54℃
재결정후 : 54.5-55.0℃

Claims (9)

  1. 술포닐기에 치환된 유기기 R을 함유하는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제조방법은 R 기를 함유하는 술핀산, 포름알데히드, 포름아미드와 2차산의 반응으로 구성되며, 그 반응매체는 40%(w/w)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반응매체는 15%(w/w)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반응매체는 5%(w/w) 이하의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2차산은 포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반응온도는 85℃에서 95℃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반응물과 2차산은 술핀산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몰비로 즉 포름아미드는 6 : 1, 포름알데히드는 5 : 1, 2차산은 4 : 1의 몰비로 반응혼합물에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1항,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R은 임의로 치환된 페닐기 또는 나프틸기 또는 저급알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N-(토실메틸)포름아미드가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결과생성되는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 탈수되어 이소시안화술포닐메틸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870003553A 1986-04-16 1987-04-14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 KR950005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86200653 1986-04-16
EP86200653.3 1986-04-16
NL86200653.3 1986-04-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9991A KR870009991A (ko) 1987-11-30
KR950005507B1 true KR950005507B1 (ko) 1995-05-24

Family

ID=8195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3553A KR950005507B1 (ko) 1986-04-16 1987-04-14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8)

Country Link
US (1) US4922016A (ko)
EP (1) EP0242001B1 (ko)
JP (1) JP2578797B2 (ko)
KR (1) KR950005507B1 (ko)
CN (1) CN1009924B (ko)
AT (1) ATE61350T1 (ko)
AU (1) AU596650B2 (ko)
CA (1) CA1292479C (ko)
DE (1) DE3768306D1 (ko)
DK (1) DK181387A (ko)
ES (1) ES2021692B3 (ko)
FI (1) FI88292C (ko)
GR (1) GR3002050T3 (ko)
HU (1) HU200323B (ko)
IE (1) IE59893B1 (ko)
IL (1) IL82078A (ko)
NO (1) NO165395C (ko)
PT (1) PT846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3992A (en) * 1993-07-16 1997-01-14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ompounds
JP2013517295A (ja) 2010-01-19 2013-05-16 セラヴァン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二重に作用するチオフェン、ピロール、チアゾールおよびフラン抗高血圧症薬
US8269032B1 (en) * 2011-04-05 2012-09-18 Duquesne University Of The Holy Ghost Composition, synthesis, and use of isonitriles
CN113896664A (zh) * 2020-06-22 2022-01-07 北京颖泰嘉和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对甲苯磺酰甲基甲酰胺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6359A (ja) * 1985-02-14 1986-08-20 Nippon Soda Co Ltd ホルムアミド誘導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42001B1 (en) 1991-03-06
CA1292479C (en) 1991-11-26
HUT44008A (en) 1988-01-28
CN1009924B (zh) 1990-10-10
PT84685B (pt) 1991-09-30
ATE61350T1 (de) 1991-03-15
NO871484D0 (no) 1987-04-08
FI88292B (fi) 1993-01-15
FI871616A0 (fi) 1987-04-13
KR870009991A (ko) 1987-11-30
NO871484L (no) 1987-10-19
PT84685A (en) 1987-05-01
IL82078A (en) 1994-02-27
FI88292C (fi) 1993-04-26
DK181387A (da) 1987-10-17
DK181387D0 (da) 1987-04-09
US4922016A (en) 1990-05-01
AU596650B2 (en) 1990-05-10
JPS62249963A (ja) 1987-10-30
JP2578797B2 (ja) 1997-02-05
ES2021692B3 (es) 1991-11-16
AU7098187A (en) 1987-10-22
NO165395C (no) 1991-02-06
DE3768306D1 (de) 1991-04-11
NO165395B (no) 1990-10-29
EP0242001A1 (en) 1987-10-21
HU200323B (en) 1990-05-28
IE59893B1 (en) 1994-04-20
GR3002050T3 (en) 1992-12-30
CN87102774A (zh) 1987-11-18
IE870824L (en) 1987-10-16
FI871616A (fi) 198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3121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2-arylamino-2-imidazoline derivatives and their salts
US4172074A (en) Preparation of an antidepressant
KR950005507B1 (ko) N-(술포닐메틸)포름아미드의 제조방법
US5831086A (en) Production of cefotaxime and new sodium salts
KR920002295B1 (ko) 프롤리디논 유도체의 제조방법
US3139455A (en) Phenoxyacetamidoximes
US4359416A (en) Process for preparing L-carnosine
BE897952A (fr) Procede de production d'imidazoles et intermediaires utilises a cet effet
EP0055626B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furan derivative
KR920007232B1 (ko) 베반톨올의 제법
US447767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4-chlorobenzoyl)-5-methoxy-2-methyl-3-indoleacetoxyacetic acid
US4764642A (en) Process for preparing optically active alpha-haloalkyl-aryl-ketones
US5338868A (en) Process for preparing alpha-amino-phenylacetic acid-trifluoromethane sulfonic acid mixed anhydrides
EP0506235B1 (en) Glyceraldehyde-3-pentanid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SU415876A3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оизводных бензимидазола
KR810001915B1 (ko) 아미노 알킬푸란 유도체의 제조방법
US4459415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1-(4-chlorobenzoyl)-5-methoxy-2-methyl-3-indoleacetoxyacetic acid
SU1077888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2-циклоалкиламино-1,3,4-тиадиазолов
EP0115406A1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methyl 2-tetradecylgycidate
JPS6324508B2 (ko)
SU1209689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производных 2-имино-3-тиокарбамоилтиазолидина
KR900007314B1 (ko) N-(메톡시아세틸)-n-(2,6-디메틸페닐)-3-아미노-옥사조리딘-2-온의 제조방법
US4189444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N'-disubstituted 2-naphthaleneethanimidamide and intermediates used therein
KR910008735B1 (ko) 아미노 글리코시드계 항생물질의 제조방법
SU1490113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бис-(2,2,2-тринитроэтил)-тионкарбона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