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5004B1 - 굴착기 - Google Patents

굴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5004B1
KR950005004B1 KR1019900005906A KR900005906A KR950005004B1 KR 950005004 B1 KR950005004 B1 KR 950005004B1 KR 1019900005906 A KR1019900005906 A KR 1019900005906A KR 900005906 A KR900005906 A KR 900005906A KR 950005004 B1 KR950005004 B1 KR 950005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outer arm
inner arm
bucket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554A (ko
Inventor
미쓰히로 키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자파니쿠
키시 미츠 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7990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80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544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4573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7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517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자파니쿠, 키시 미츠 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자파니쿠
Publication of KR900016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0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ith telescopic dipper-arm or boo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25Combined or convertible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Earth Drilling (AREA)
  • Jib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굴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굴착기의 구성부분인 바깥쪽아암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굴착기의 구성부분인 안쪽아암이 제2도의 바깥쪽 아암으로부터 떼어내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굴착기의 구성부분인 동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굴착기내에 사용되는 바깥쪽 아암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동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의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바깥쪽아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의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안쪽아암이 제10도의 바깥쪽아암으로부터 빼내어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의 A-A선에 따른 설명도.
제13도는 제9도의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동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갈고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15도의 (a) 내지 (c)는, 제14도의 갈고리 기구의 갈고리체를 수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굴착기내에 사용되는 바깥쪽 아암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제18도는 제16도의 한 구성부분인 동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사시도.
제20도는 제19도의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바깥쪽아암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21도는 제20도의 평면도.
제22도는 제19도의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동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23도는 제20도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제24도는 제22도의 동기기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 사시도.
제25도는 제19도의 굴착기의 구성부분인 안쪽아암이 바깥쪽아암에서 빼내어진 수축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단면도.
제26도는 안쪽아암이 제25도의 상태에서 바깥쪽아암으로부터 최대로 신장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한 구성부분인 바깥쪽아암의 일부절개 측면도.
제28도는 제27도의 동기기구의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크롤러(Crawler)
3 : 붐(Boom) 4 : 제1유압실린더
5 : 바깥쪽아암 6 : 제2유압실린더
7 : 안쪽아암 8 : 버켓(Bucket)
9,10 : 레버(Lever) 11 : 버켓실린더
12 : 피스톤로드 13 : 안내판
14 : 슬라이더(Slider) 15 : 축지지판
16 : 핀 17 : 제3유압실린더
18 : 피스톤로드 22,23 : 로울러
24 : 스프로켓바퀴 25 : 스프로켓바퀴
26 : 스프로켓바퀴 27 : 바퀴
28 : 체인 29 : 체인
30 : 오목부 31 : 랙(Rack)
32 : 구멍 33 : 축지지판
34,35 : 축 36,37 : 피니언
38,39 : 가이드 40 : 랙
245 : 호이스트(Hoist) 246 : 와이어
247,251,252,262 : 풀리 248 : 갈고리체
249 : 갈고리 250 : 갈고리리시버
255 : U자형머리 256 : 축
257,258 : 풀리 259 : 역전된 몸체
260 : 핀 261 : 스톱퍼
317 : 고정부재 318 : 체결막대
330 : 몸체 331,332 : 안내체
333 : 구멍 334,335 : 고정나사
337,338 : 너트 339 : 구멍
340 : 접속체 341 : 로드
342,343 : 고정볼트 344,345 : 삽입홈
346,347 : 핀 348,349,350,351 : 너트
355 : 바렐(Barrel) 356 : 지붕부
357 : 미끄럼체 358,359 : 부착판
360,361 : 나사 362,363 : 오목부
364,365 : 미끄럼부재 366,367 : 연결구멍
368,369 : 긴나사 370,371,372,373 : 너트
본 발명은, 굴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그의 길이 방향으로 신축이 자유로운 아암 및 토사를 파고 버리는 버켓(Bucket)이 마련되고, 아암(Arm)의 끝단부에 갈고리기구가 마련된 굴착기에 관한 것이다.
토목작업에 있어서는, 종래로부터 도랑이나 구멍을 파기 위하여, 대략 C자형의 구성을 가지며 이동가능한 차체의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붐(Boom)과, 붐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거의 직선형상을 가지며 붐의 끝단에 접속되는 아암 및 아암의 끝단에 장착되는 버켓으로 구성되는 굴착기가 주로 사용된다.
백호(back hoe)라고도 불리우는 굴착기는 도로공사 또는 매설공사에 널리 사용된다.
붐, 아암 및 버켓등은 일체로 형성되어, 버켓이 땅으로 밀어 넣어져서 토사를 파내며, 그 파여진 토사를 배출하도록 버켓이 들어올려진다.
굴착기의 기본적인 구성은, 굴착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로 협동하는 3개의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지만,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제1단점은, 도랑 및 구멍의 깊이를 깊게하려면, 붐과 아암의 길이가 각각 연장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더우기, 강변등에서 굴착기에 의하여 토사채취 및 수집하는 경우에, 붐과 아암의 길이가 고정되는 만큼, 버켓은 소정길이를 초과하는 위치에 이르지 못하게 되며, 파내는 깊이 및 토사로의 길이가 제한된다.
이론상으로는, 파내는 깊이에 대한 붐 및 아암의 길이를 연장하는 것과, 버켓이 더 먼 거리에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버켓 및 아암의 길이가 연장되면, 굴착기는 전체적으로 수송하기에 곤란하게 된다.
이 경우, 토사를 채취한 후 버켓을 선회하도록 붐이 이동가능한 차체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하면, 붐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전선이나 기타 구조물과 접촉하기 쉽게된다.
즉, 제1단점은 붐 및 아암의 길이가 고정되어 있고, 이동가능한 차체, 붐, 아암 및 버켓은 단순히 그들의 접합점에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동가능한 차체로부터 버켓이 도달하는 거리를 연장할 수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토사가 깊은데서 채취되어야 할 때는 길다란 붐이 필요하게 되고 이는 매우 불편한 것이다.
제2의 단점은, 종래의 굴착기는 땅을 깊게 파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므로 인간의 힘과 비교할때 작업능률이 매우 향상되며, 많은 양의 토사를 기계적으로 효과적으로 팔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장에서의 굴착작업은 통상 홈(Hume)콘크리트관등을 포함하는 매설관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관 매설작업이나, 철판등에 의해 파여진 도랑 또는 구멍을 덮는 복개작업등이 수반된다.
인력에 의하여 다룰 수 있는 무게를 가지는 물체들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홈콘크리트관이나 철판과 같은 하중물의 경우에는, 안전을 고려하여 크레인과 같은 들어올리고 내리는 수단등이 필요하다.
굴착기 외에 작업장에서 크레인을 필요로 하는 공정을 채택하는 것은 매우 드물고, 이들 상이한 기능의 2개의 장비가 작업장을 점유하는 경우도 드물다. 굴착기가 드나드는 주작업장을 둘러싸는 좁은 양쪽길과 같은 보조작업구역 및 주 작업구역으로 작업장이 구성되는 경우에는, 굴착기만이 작업장으로 들어가게되며, 크레인의 출입을 막게된다.
또한, 크레인의 작업시간은 굴착기와 비교할때 매우 짧기 때문에, 크레인용의 공간이 있어도 노는 시간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토사의 굴착작업동안에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경우, 굴착기의 버켓에 와이어(wire)가 매달리게 되고, 무거운 물체가 그 와이어에 달려지며, 그 후 버켓을 지지하는 붐이 수직으로 움직여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게 된다.
비록, 이러한 작업은 매우 단순하지만, 굴착기 자체는 하중물을 들어올리는 기능자체를 내장하고 있는 것은 아니므로, 와이어가 버켓으로부터 벗겨지기 쉽다.
따라서, 본래의 기능에서 벗어난 용도로 굴착기를 사용하면, 버켓에 매달리는 물체의 하중한계를 알 수 없으므로 매우 위험한 작업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굴착기의 결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일본국 특원소 63-315878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크레인에 결합된 굴착기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굴착기는, 신축가능한 크레인기구가 아암의 축부에 마련되거나 아암의 내부에 수용되어 하중물을 들어올릴때 크레인이 아암으로부터 연장되고, 크레인기구의 끝단에서 와이어가 늘어뜨려지며, 와이어의 끝단에 갈고리가 매달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중물이 들어올려지지 않을때는, 크레인기구가 수축되어 버켓에 의한 굴착작업이 방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굴착기는 물체를 들어올리는 기능 및 토사를 굴착하는 기능을 하나의 기구내에 동시에 가지게 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 매우 편리하다.
그러나, 크레인을 가지는 이러한 굴착기는, 복잡한 기구를 요구한 굴착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크레인기구에 수축되어야 한다는 결점이 있다.
더우기, 크레인기구는, 아암 및 붐에 부가하여 별도로 마련되므로 많은 제작공정 및 높은 비용이 필요하다.
상기 제1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신축이 자유로운 아암 및 상기 아암의 먼끝단에 부착되는 버켓이 마련되는 굴착기를 제안하였다.
일본국 특원평 1-107990호에서 개시된 바와같이, 아암들중의 하나는 작업장의 가장 깊은 위치까지 내려질 수 있고, 가장 먼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아암에 대하여 버켓의 각 거리 또는 각 위치제어하기 위한 유압실린더는, 바깥쪽아암에 대한 안쪽아암의 이동과 동시에 움직이므로, 유압실린더의 일부가 바깥아암에 대하여 움직이고, 유압실린더의 기초부가 안쪽아암의 이동과 동기하여 앞쪽와이어 또는 뒤쪽와이어에 의해 이동하도록 고안된다.
그러나, 이러한 굴착기는, 앞쪽 및 뒤쪽와이어가 항상 연장되어 있고, 복잡한 기구를 필요로 하므로, 유압실린더의 기초부가 안쪽아암과 동기하여 움직이지는 않는다는 결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관련된 이하의 기술로부터 명백해진다.
[실시예]
제1실시예(제1도 내지 제5도 참조)
굴착기는 이동가능한 차체(1)와, 이 차체(1)의 앞부분에서 그의 끝단이 착설되는 붐(3)과, 차체(1)의 앞부분에 그의 한쪽끝단이 착설되고 상기 붐(3)을 그의 길이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이동하도록 붐(3)의 중앙부와 그의 끝단이 접속되도록 피스톤 로드가 마련되는 제1유압실린더(4)를 가진다.
또한, 상기 붐(3)의 다른쪽 끝단에는 선회가능하게 피버트식으로 착설되는 바깥쪽아암(5)과, 붐(3)의 뒷면에 착설되며 상기 붐(3)과 바깥쪽아암(5) 사이의 각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에 접속되는 피스톤로드가 마련된 제2유압실린더(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깥쪽아암(5)내로 삽입되며 바깥쪽아암(5)의 길이방향으로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안쪽아암(7)과, 안쪽아암(7)의 끝단에 접속되는 버켓(8)과, 피스톤로드가 마련되고 버켓(8)에 접속되는 한쪽끝단을 가지는 버켓실린더(11)와, 버켓(8)과 안쪽아암(7)사이의 각 거리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여 변화되지 않은 채로 있도록, 피스톤로드가 버켓실린더(11)로 부터 늘어나게끔 버켓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버켓실린더(11)의 뒷끝단에 접속되며, 바깥쪽아암(5)에 고정된 안내판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착설되는 안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에 접속되며, 안쪽아암(7)을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된 로드(18)를 가지는 제3유압실린더(17)와, 안쪽아암(7)의 신축가능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기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굴착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체(1)는 그 위에 유압발생기 등을 수납하고 있으며, 1쌍의 크롤러(2)들은 차체(1)의 오른쪽 및 왼쪽아래에 마련되어 차체(1)는 상기 1쌍의 크롤러(2)에 의하여 움직일 수 있다.
붐(3)은 그의 한쪽 끝단에서 차체(1)의 앞에 착설되며 그의 중앙부가 약간 굽어 있다.
피스톤 로드를 가지는 제1유압실린더(4)들은 그들의 한쪽 끝단에서 차체(1)의 앞에 착설되며, 붐(3)은 차체(1)대하여 자유로운 각 거리로 이동시키도록 붐의 중앙부에서 피스톤로드에 의하여 접속된다.
직선형의 바깥쪽아암(5)은 붐(3)의 다른쪽 끝단에 선회 가능하게 착설된다.
제2유압실 실린더(6)는 바깥쪽아암(5)과 붐(3) 사이의 각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붐(3)의 뒷면과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 사이에 놓여진다.
강판으로 제조되는 바깥쪽아암(5)은 통형상이며 단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바깥쪽아암(5)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안쪽아암(7)은 바깥쪽아암(5)의 안쪽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바깥쪽아암(5)내로 삽입된다.
버켓(8)은 안쪽아암(7)의 끝단에 선회가능하게 착설된다.
레버(9), (10)는 링크기구를 형성하도록 한쪽아암(7)의 끝단 및 버켓(8)의 뒷부분에 부착되며, 버켓실린더(11)의 피스톤로드(12)가 접속되는 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그의 끝단에서 서로 접속된다.
단면이 L자형상인 1쌍의 안내판(13)은 바깥쪽아암(5)의 윗면의 오른쪽 및 왼쪽 모서리에 고정된다.
안내기구로서의 슬라이더(14)는 1쌍의 안내판(13)사이에 삽입되어 안내판(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미끄럼 가능하며, 1쌍의 사다리꼴 형상의 축지지판(15)들은 소정간격을 두고 슬라이더(14)에 고정된다.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는 1쌍의 지지판(15)사이에 삽입되며, 핀(16)을 통하여 1쌍의 축지지판(15)의 피버트식으로 접속된다.
제2도에서 있어서, 안쪽아암(7)을 신축가능하게 연장시키기 위하여 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3유압실린더(17)를 가진다.
제3유압실린더(17)는 그의 기초부에서 바깥쪽아암(5)의 뒤쪽끝단(제2도의 오른쪽)에 고정되며, 제3유압실린더(17)의 피스톤로드(18)는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된다.
바깥쪽아암(5)은 그의 끝단부에서 지지된 바퀴(27)와 그의 뒷끝단에서 지지되는 스프로켓바퀴(25)를 가진다.
체인(29)은 끝단부에서 슬라이더(14)에 접속되며, 바퀴(27)에서 반전되고, 바깥쪽아암(5)과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스프로켓 바퀴(25)에서 다시 반전되어 안쪽아암(7)의 뒷끝단에서 접속된다.
스프로켓바퀴(2)는 바깥쪽아암(5)위로 상반부가 노출된 채로 바깥쪽아암(5)의 뒷끝단에 지지되며, 스프로켓 바퀴(26)는 바깥쪽아암(5)의 안쪽 및 안쪽아암(7)의 바깥쪽에서 바깥쪽아암(5)에 의해 지지된다.
체인(28)은 슬라이더(14)에 접속되어 바깥쪽아암(5) 및 안쪽아암(7) 사이의 공간내로 삽입 되도록 스프로켓바퀴(24)에 의하여 반전되고, 버켓(8)방향으로 연장되며, 스프로켓바퀴(26)에 의해 다시 반전되어 안쪽아암(7)의 뒷끝단에서 접속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작용을 이하에서 기술한다.
크롤러(2)는 이동가능한 차체(1)가 도랑 및 구덩이를 팔곳으로 이동하여 버켓(8)은 토사가 굴착되는 곳에 위치되며, 제1 및 제2유압실린더(4), (6) 및 버켓실린더(11)들은 맞물리는 방식으로 작용하여 버켓(8)을 선회시키면서 토사를 팔 수 있다.
또한, 도랑이나 구덩이가 깊어질때, 버켓(8)은 더 깊은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되며, 이때, 제3유압실린더(17)는 가입기름을 받아들이게 되어 피스톤로드(18)를 안쪽아암(7)쪽으로 민다.
피스톤로드(18)가 제3유압실린더(17)로 부터 빠져나옴에 따라 안쪽아암(7)을 바깥쪽아암(5)의 밖으로 밀어내며, 안쪽아암(7)은 제2도에서 나타낸 위치로부터 제3도에서 나타낸 위치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버켓(8)은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위치로부터 더 길게 위치한 곳까지 움직이므로, 가장 깊은 위치까지 도달하게 되고 토사를 팔 수 있게 된다.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으로 부터 빠져 나왔을 때, 체인(29)은 스프로켓바퀴(25)를 통하여 반전되며, 바퀴(27)에 의해 다시 반전되므로 슬라이더(14)는 바깥쪽아암(5)의 개방된 끝단방향을 향하여 움직일수 있다.
슬라이더(14)의 이동과 함께, 슬라이더(14)의 양끝단은 안내판(13)에 의하여 안내되고 미끄럼 접촉되며, 버켓실린더(11)는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도록 안쪽아암(7)의 이동과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제3유압실린더(17)가 피스톤 로드(18)의 연장에 의해 바깥쪽아암(5)의 밖으로 안쪽아암(7)을 밀도록 작용할 때, 버켓실린더(11)는 피스톤로드(18)의 연장과 동시에 움직이므로 차체(1)에 대하여 동일한 각 거리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굴착작업이 어렵지 않게 시행될 수 있다.
토사가 버켓(8)에 의해 떠올려졌을 때, 제3유압실린더(17)은 피스톤 로드(18)를 끌어당기도록 제일 먼저 작동하여 안쪽아암(7)은 바깥쪽아암(5)의 안쪽부분으로 움직인다.
체인(9)이 안쪽아암(7)의 뒷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한, 체인(28)은 바깥쪽아암(5)의 기초방향으로 늘어나고 스프로켓바퀴(26)에 의하여 반전되어 스프로켓 바퀴(24)에 의하여 재반전되고, 이에따라 슬라이더(14)를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방향으로 움직이도록 늘어난다.
따라서, 안쪽아암(7)이 상술한 바와같은 방식으로 움직일 때, 버켓실린더(11)는 안쪽아암(7)과 동기하여 동일한 이동량만큼 늘어나며, 이에 따라 버켓(8)이 움직이는 반면 이동가능한 차체(1)에 대한 버켓(8)의 각 거리는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토사는 버케(8)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그 후에, 제1및 제2유압실린더(4), (6) 및 버켓실린더(11)는 서로 맞물려져서 버켓(8)에 의해 파여진 토사는, 차체(1)의 뒷쪽에서 대기하는 트럭에 싣거나, 다른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실시예(제6도 내지 제8도 참조)]
제1실시예에서 채택된 것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목부(30)는 안쪽아암(7)의 상부중앙부에서 그의 길이 방향으로 구획되며, 바깥쪽아암(5)은 그의 중앙부를 개방함에 따라 구획되는 구멍(32)을 가진다.
축지지판(33)은 안쪽아암(7)의 중앙상부에 고정되며, 구멍(32)의 양쪽으로부터 평행하게 오목부(30)의 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피니언(36), (37)은 축지지판(33)에 고정된 축(34), (35)에 지지되어, 피니언(36)은 랙(31)과 맞물리고 피니언(36), (37)도 서로 맞물리며, 피니언(36)은 랙(31)과 맞물리고 피니언(36), (37)도 서로 맞물리며, 피니언(37)의 상부 톱니면은 바깥쪽아암(5)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1쌍의 안내판(13)은 그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서 그들 사이에 놓이는 가이드(38), (39)가 형성되어 1쌍의 안내판(13) 사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38), (39)사이에 접속되고 톱니면이 아래로 향한 랙(40)을 가진다.
이들 가이드(38), (39) 및 랙(40)은 H자 형상으로 조립되어 안내판(13)에 의해 안내되고, 바깥아암(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랙(40)이 피니언(37)과 맞물리며, 슬라이더(14)는 랙(40)이 삽입되는 U자형의 오목부를 가지므로 슬라이더(14)와 랙(40)은 서로 접속된다.
제2실시예에 의한 굴착기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안쪽아암(7)의 바깥쪽아암(5)으로부터 늘어났을 때, 제3유압실린더(17)는, 피스톤로드(18)를 제3유압실린더(17)밖으로 밀도록 작용하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으로부터 밀려나와 버켓(8)과 바깥쪽아암(5)의 뒤쪽끝단 사이의 간격이 연장되고, 안쪽아암(7)의 이동과 동시에 랙(31)이 움직여 피니언(36)을 회전시킨다.
피니언(36)의 움직임 또는 회전은 피니언(37)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반전되어 랙(40)으로 전달됨에 따라 랙(40)은 가이드(38), (39)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내판(13)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랙(40)의 이동방향 및 이동량은 안쪽아암(7)과 동일하므로, 랙(40)과 접속된 슬라이더(14)는 안쪽아암(7)과 동일한 이동량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더(14)에 고정된 버켓실린더(11)의 이동량은 안쪽어암(7)과 동일하게 되며, 버켓(8)의 경사각은 일정하게 동일한 상태로 유지된다.
버켓(8)이 안쪽아암(7)을 수축시킴으로써 올려졌을 때, 상술한 바와 반대로 제3유압실린더(17)의 방향으로 밀어지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의 내부로 움직임에 따라, 피스톤로드(18)의 동작은 랙(31) 및 피니언(36), (37)을 통하여 랙(40)으로 전달되어 슬라이더(14)가 안쪽아암(7)과 동일한 이동량으로 되돌아오게 되므로, 버켓(8)의 경사각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되며 뒷쪽으로 움직인다.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게 된다.
버켓을 더 깊은 위치로 내리고 긴 거리로 놓임으로써 토사가 굴착되는 작업장내의 작업영역을 넓힐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붐의 길이는 종래의 굴착기의 붐과 동일하지만, 종래의 굴착기의 버켓과 비교할 때 더 깊은 위치까지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굴착기가 움직이거나 붐을 수직으로 올려 움직일 때 붐의 높이는 늘어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붐은 전선이나 구조물과 충돌하지 않으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3실시예(제9도 내지 제13도 참조)]
제3실시예의 굴착기는, 이동가능한 차체(1)와, 이 차체(1)의 앞부분상에 그의 끝단이 착설되는 붐(3)과, 차체(1)의 앞부분에 그의 한쪽 끝단이 착설되고, 상기 붐(3)을 그의 길이방향으로 선회가능하게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붐(3)의 중앙부와 그의 끝단이 접속되도록 피스톤로드가 마련되는 제1유압실린더(4)를 가진다.
상기 붐(3)의 다른쪽 끝단에는 선회가능하게 피버트식으로 착설되는 바깥쪽아암(5)과, 붐(3)의 뒷면에 착설되며 상기 붐(3)과 바깥쪽아암(5)사이의 각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에 접속되는 피스톤로드가 마련된 제2유압실린더(6)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바깥쪽아암(5)내에 삽입되며 바깥쪽아암(5)의 길이방향으로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신축 가능하게 이동가능한 안쪽아암(7)과, 안쪽아암(7)의 끝단에 접속되는 버켓(8)과, 피스톤로드가 마련되고 버켓(8)에 접속된 한쪽 끝단을 가지는 버켓실린더(11)와 버켓(8)과 안쪽아암(7)사이의 각거리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여 변화되지 않은 채로 있도록, 피스톤로드가 버켓실린더(11)로부터 늘어나게끔 버켓실린더(1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버켓실린더(11)의 뒷끝단에 접속되며, 바깥쪽아암(5)에 고정된 안내판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착설되는 안내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그의 기초부에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에 접속되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된 로드를 가지는 제3유압실린더(17)와, 안쪽아암(7)의 신축가능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기수단 및 안쪽아암(7)의 앞부분에서 착설되는 갈고리기구로 구성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갈고리기구를 이하에서 기술한다.
슬라이더(14)는 그의 뒷끝단에 고정되는 호이스트(hoist) (245)를 가지며, 이 호이스트(245)로부터 인출된 와이어(246)는, 바깥쪽아암(5)에 마련된 풀리(247)에 의해 반전되어 바깥쪽아암(5)과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바깥쪽아암(5)쪽으로 안내된다.
풀리(251)는 바깥쪽아암(5)의 뒷쪽 내부에 지지되고 와이어(246)가 이 풀리(251)에 의해 반전되어 안쪽아암(7)의 내부 중앙부로 안내되며, 풀리(252)는 안쪽아암(7)의 끝단부에 지지되어 와이어(246)는 풀리(252)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한다.
갈고리체(248)는 와이어(246)에 의해 아래쪽으로 향하여 갈고리리시버(250)에 의해 매달린체로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대략 U자형으로 안쪽아암(7)앞부분의 아래면에 부착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굴착기는 다음과 같이 하중물을 매단다.
갈고리(249)는 갈고리체(248)가 아래쪽으로 자유롭게 매달리도록 갈고리리시버(250)로부터 이탈되고, 호이스트(245)로부터 와이어(246)가 풀려나와 풀리(247), (251), (252)를 통하여 꺼내지어지며, 갈고리체(248)는, 안쪽아암(7)의 끝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매달린다.
하중물이 와이어 서스펜서(Wire Suspencer)를 사용하여 갈고리(249)에 걸린후에, 호이스트(245)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246)를 그의 둘레에 감게되므로, 갈고리체(248)가 올려져 하중물이 위쪽으로 매달리게 된다.
이와같이 위로 하중물이 움직일 때, 제3유압실린다(17)는 피스톤로드(18)를 위로 밀어올리도록 작용하여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으로부터 미끄러져 나와 갈고리체(248)는 차체(1)로부터 이탈되며, 이때 슬라이더(14)는 체인(29)에 의해 움직인다.
슬라이더(14)의 이동량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일하므로 와이어(246)는 느슨해지거나 늘어나지 않고 길이가 변해지지 않은채로 나올 수 있으며, 갈고리체(248)는 안쪽아암(7)의 미끄러짐에 따라 수직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될 수 있기 때문에 하중물은 갈고리체(248)와 높이와 동일수준에서 유지되어 움직일 수 있다.
하중물이 갈고리체(248)에 의해 위쪽으로 매달린때 버켓실린더(11)는 제10도 및 제1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수축되어 버켓(8)는 큰 범위에서 위로 선회하게 되며, 안쪽아암(7) 및 바깥쪽아암(5)의 작업각도가 변화할 때, 제2유압실린더(6)는 그의 경사각을 변화하도록 작동한다.
하중물을 매다는 작업종료후에, 갈고리(249)느 갈고리리시버(250)에 의해 걸려지며, 와이어(246)를 잡아 당기게 되어 갈고리체(248)가 안쪽아암(7)에 고정된다.
[제4실시예(제14도 내지 제15도 참조)]
제3실시예에서 채택된 갈고리리시버(250)는, 제4실시예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즉,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구를 가지는 U자형 머리(255)는, 안쪽아암(7)의 앞의 내부에 부착되고, 2개의 풀리(257), (258)는 머리(255)내에서 축(25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머리(255)는, 그 하부에 역전된 몸체(259)를 가지며 역전된 몸체(259)는 버켓(8)방향으로 축(256)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핀(2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갈고리체(248)는 그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풀리(262)를 가지며, 와이어(246)는 풀리(257)에 의해 아래쪽으로 역전되어 풀리(262)에 의해 다시 위쪽으로 역전되고, 풀리(258)에 의해 아래쪽으로 또 다시 역전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변형된 갈고리체를 가지는 굴착기의 작용을 제15도(a) 내지 제15도(c)를 참조로 기술한다.
제15도(a)는, 머리(255)에 의해 매달린 갈고리체(248), 즉 안쪽아암(7) 내부에 수납되지 않은 상태로서, 와이어(246)가 호이스트(245) 주위에 감겨진 상태에서 갈고리체(248)는 와이어(246)에 의해 위쪽으로 매달린다.
갈고리체(248)의 윗면은 제15도(b)에 나타낸 바와같이 역전된 몸체(259)의 하부와 접촉하며, 만약 이 상태에서 호이스트(245)에 의해 더욱 감기면, 와이어(246)의 길이가 역전된 몸체(259)에 의해 제한되는 한, 와이어(246)의 힘이 역전된 몸체(259)에 직접 인가되므로 와이어(246)의 힘은 역전된 몸체(259)에 가해지는 수직력으로 변경된다.
역전된 몸체(259)의 핀(260) 및 축(256)에 위쪽으로의 힘이 가해지는 만큼, 위쪽의 힘중심은 변위되어 와이어(246)의 힘은 역전된 몸체(259)를 돌리는 성분이 됨에 따라, 와이어(246)의 힘은 제15도(c)에 나타낸 바와같이 역전된 몸체(259) 및 갈고리체(248)가 그 상태로 있게 되어 이들을 위로 올리게 한다.
따라서, 와이어(246)가 호이스트(245) 주위에 감겼을 때, 역전된 몸체(259)는 수평위치로 위로 올려지면서 스톱퍼(261)와 접촉하여 이 상태에서 정지된다.
갈고리체(248)가 수직방향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역전된 몸체(259)에 의해 역전되는 만큼, 갈고리체(248)는 안쪽아암(7)내부에 직접 수용되며, 갈고리체(248)가 안쪽아암(7)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갈고리체(248)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안쪽아암(7)은 마치 수직으로 돌출된 부분이 없는 것처럼 형상 지워진다.
따라서, 버켓(8)은 토사를 팔 수 있도록 작용하며, 그의 굴착작용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제5실시예(제16도 내지 제18도 참조)]
오목부(30)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안쪽아암(7)의 상부 중앙부에서 구획되고 그 바닥에 랙(31)를 가지며, 바깥쪽아암(5)은 그의 중앙부분을 개구함으로써 구획되는 구멍(32)을 가진다.
축지지판(33)은 안쪽아암(7)의 중앙상부에 고정되며, 구멍(32)는 양쪽으로부터 평행하게 오목부(30)방향의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피니언(36), (37)은, 축지지판(33)이 고정되는 축(34), (35)에 의해 지지되고, 피니언(36)이 랙(31)과 맞물리고 피니언(36), (37)이 서로 맞물리며, 피니언(37)의 상부 톱니면은 바깥쪽아암(5)의 윗면으로 돌출된다.
1쌍의 안내판(13)은 그의 앞부분 및 뒷부분에서 이들 사이에 높이는 가이드(38), (39)를 가지며, 이 가이드(38), (39)는 1쌍의 안내판(13)사이에 미끄럼 가능하게 삽입되어 아래쪽으로 향하는 톱니면이 형성된 랙(40)을 가진다.
가이드(38), (39) 및 랙(40)은 안내판(13)에 의해 안내되어 바깥쪽아암(5)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랙(40)은 피니언(37)가 맞물리고, 슬라이더(14)는 랙(40)이 삽입되는 U자형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슬라이더(14)와 랙(40)은 서로 접속된다.
제5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작용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으로부터 빠져나왔을때, 제3유압실린더(17)는 피스톤로드(18)를 밀어내도록 작용하여 안쪽아암(7)은 바깥쪽아암(5)으로부터 밀려 나와 버켓(8)과 바깥아암(5)의 뒷끝단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며 안쪽아암(7)의 이동과 동시에 랙(31)은 피니언(36)을 회전시키면서 움직인다.
따라서, 피니언(36)은 회전은 피니언(37)에 의하여 반대 방향으로 역전되어 랙(40)으로 전달되며, 이 랙(40)은 가이드(38), (39)에 의해 안내되면서 안내판(13)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인다.
이때, 랙(40)의 이동량 및 방향은 안쪽아암(7)과 같으며, 랙(40)과 접속된 슬라이더(14)는 안쪽아암(7)과 동일한 이동량만큼 움직이게 되므로, 슬라이더(14)에 고정된 버켓실린더(11)의 이동량은 안쪽아암(7)과 같아지며, 버켓(8)의 경사각도는 항상 같은 상태로 유지된다.
안쪽아암(7)이 수축됨으로써 버켓(8)이 올려졌을때, 피스톤로드(18)는 제3유압실린더(17)방향으로 당겨지고, 안쪽아암(7)은 바깥쪽아암(5)의 내부로 움직인다.
따라서, 피스톤 로드(18)의 움직이는 동작은 랙(31)을 통하여 랙(40)으로 전달되어 피니언(36), (37)은 안쪽아암(7)과 같은 이동량만큼 슬라이더(14)를 되돌리므로, 버켓(8)은 항상 경사각이 일정한 채로 뒤로 움직이게 된다.
제4 및 제5실시예에 의한 굴착기의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토사를 굴착하는 작업 및 하중물을 드는 작업을 굴착기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이 안전해진다.
안쪽아암이 바깥쪽아암에 대하여 미끄러질수 있으므로 통상의 크레인 기구에서와 같이 아암의 길이방향으로 하중물이 움직여질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굴착기에 채택된 바와같이, 붐에 크레인기구가 마련될 필요가 없어지며, 구조가 간단해지고 용이하게 제조가능하다.
버켓이 굴착작업에서 더 깊은 위치로 움직일때 안쪽아암이 이동함으로써 더 긴 거리로 움직일수 있기 때문에 작업범위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제6실시예(제19도 내지 제26도 참조)]
굴착기는 이동가능한 차체(1)와, 이 차체의 앞부분에 그의 끝단이 착설되는 붐(3)과, 상기 차체의 앞부분에 그의 한쪽 끝단이 착설되고, 상기 붐(3)을 그의 길이방향으로 선회 가능하게 이동하기 위해 붐(3)의 중앙부와 그의 끝단이 접속되도록 피스톤 로드가 마련되는 제1유압실린더를 가진다.
또한, 상기 붐(3)의 다른쪽 끝단에는 선회가능하게 피버트식으로 착설되는 바깥쪽아암(5)과, 붐(3)의 뒷면에 착설되며 상기 붐(3)과 바깥쪽아암(5)사이의 각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에 접속되는 피스톤로드가 마련된 제2유압식 실린더(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바깥쪽아암(5)내에 삽입되며 바깥쪽아암(5)의 길이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이동하는 안쪽아암(7)과, 안쪽아암(7)의 끝단에 접속되는 버켓(8)과, 피스톤로드가 마련되고 버켓(8)에 한쪽끝단이 접속되는 버켓(11)와, 버켓(8)과 안쪽아암(7)사이의 각 거리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여 변화되지 않은 채로 있도록, 피스톤로드가 버켓실린더(11)로 부터 늘어나게끔 버켓실린더(1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버켓실린더(11)의 뒷끝단에 접속되며, 바깥쪽아암(5)에 고정된 안내판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착설되는 안내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의 기초부에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끝단에 접속되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되는 로드(18)를 가지는 제3유압실린더(17)와, 안쪽아암(7)의 신축 가능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깥쪽 아암(5)의 기초부 끝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기수단 및 안내기구와 안쪽아암(7)의 앞부분사이에 접속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된다.
동기 수단은 이하에서 기술된다.
각각 작은 직경을 가지는 로울러(22), (23)가 바깥쪽아암(5)끝단의 하부면 및 상부면에서 지지되어 안쪽아암(7)은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스프로켓바퀴(24), (25)는, 바깥쪽아암(5)의 상부면 위로 그의 상반부면이 노출되도록 그의 양측부에서 또한 바깥아암(5)의 뒷끝단에서 지지되고, 스프로켓바퀴(26), (27)는 안쪽아암(7)의 바깥양쪽에서 바깥쪽아암(5)에 의하여 지지된다.
체인(28)은 슬라이더(14)의 뒤쪽 끝단에 접속되어 스프로켓바퀴(24)에 의해 반전되고 안쪽아암(7) 및 바깥쪽아암(5)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버켓(8)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스프로켓바퀴(27)에 의해 다시 반전되어 안쪽아암(7)의 뒷쪽끝단에 접속된다.
체인(29)은 슬라이더(14)의 뒷쪽끝단에 접속되어 스프로켓바퀴(25)에 의하여 반전되고 안쪽아암(7) 및 바깥쪽아암(5)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버켓(8)의 방향으로 연장하여 스프로켓바퀴(27)에 의해 다시 역전되어 안쪽아암(7)의 뒷쪽끝단에 접속된다.
이하, 제23도 및 제24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한다.
바깥쪽아암(5)은 C자형으로 굽은 강판으로 만들어진 바렐(355)과, 바렐(355)의 상부개구에 접하도록 바렐(355)에 고정된 지붕부(356)로 구성되며, 이 지붕부(356)는 양끝단으로 부터 슬라이더(14)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슬라이더(14)와 조립되고, 바렐(355)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된 양끝단을 가진다.
안내기구로서의 슬라이더(14)는 바깥쪽아암(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중앙부에 있는 거의 H자형 몸체(330)을 가진다.
MC 나일론등으로 만들어지는 미끄럼체(357)는 몸체(330)의 하부면에 고정되고, 그의 하부면에서 지붕부(356)의 윗면과 접촉하여 슬라이더(14)는 미끄럼체(357)에 의하여 원활하게 미끄러지며, 1쌍의 축지지판(15)은 그들사이에 소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어 몸체(330)의 뒷면 중앙부에 고정된다.
버켓 실린더(11)는 1쌍의 축지지판(15)사이의 기초부에서 삽입된다.
평평한 형상의 부착판(358), (359)은 몸체(330)의 양쪽에 고정되며, 지붕부(356)와 결합되기 위하여 나사(360), (361)로 고정되는 안내체(331), (332)를 가지며, 이 안내체(331), (332)는 그의 하부안쪽에 C자형으로 형성된 오목부(362), (363)를 각각 가진다.
오목부(362), (363)는 MC 나일론등으로 만들어지며, 그의 안쪽벽내에 걸어맞추어지는 L자형 미끄럼부재(364), (365)를 각각 가진다.
미끄럼부재(364), (365)는 슬라이더(14)를 안내할 수 있는 반면 지붕부(356)의 끝단부와 접촉되며, 슬라이더(14)는 지붕부(356), 즉 바깥쪽아암(5)의 윗쪽을 미끄러지지 않고 움직일 수 있다.
접속관통구멍(333)은 몸체(330)의 중앙부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몸체(33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며, 연결구멍(366), (367)은 몸체(330)를 관통함으로써 관통구멍(333)의 우측 및 좌측에서 구획된다.
체결막대(318)는 고강성을 가지는 얇은 금속띠로 만들어지고, 거기에 인장력을 가하기 위하여 용접등에 의해 그의 앞뒤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나사(334), (335)를 가지며, 고정나사(335)는 접속관통구멍(333)내로 삽입되어 몸체(330)의 뒷부분에서 너트(337), (338)에 의해 겹쳐져 몸체(330)에 나사결합되고, 고정나사(334)는 고정부재(317)의 수직부재를 개구함으로써 구획되는 구멍(339)내로 삽입되어 너트(372), (373)에 의해 겹쳐져 고정부재(317)에 나사결합된다.
체결막대(318)는 고정나사(334), (335)에 의해 고정부재(317) 및 슬라이더(14)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너트(337), (338) 및 (372), (373)를 조정함으로써 장력을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다.
체인(28), (29)들은 그의 끝단에서 긴나사(368), (369)에 접속되고, 긴 나사(368)는 연결구멍(366)내로 삽입되어 몸체(330)의 뒷부분에서 너트(370)에 의해 겹쳐져 나사 결합되며, 긴나사(369)는 연결구멍(367)내로 삽입되어 몸체(330)의 뒷부분에서 너트(371)에 의해 겹쳐져 나사 결합된다.
제6실시예에 따른 굴착기의 작용을 기술한다.
트롤러(2)는 굴착해야할 도랑 및 구덩이가 있는 장소로 차체가 이동하여 버켓(8)이 토사가 있는 위치에서 제1,2,3유압실린더(4), (6), (17) 및 버켓실린더(11)가 버켓(8)을 선회하도록 맞물리는 방식으로 작용함으로써 토사를 파게된다.
구덩이나 도랑이 깊어지는 경우에, 버켓(8)은 더 깊은 위치로 움직이도록 제어되는데, 이때, 제3유압실린더(17)는 가압된 기름을 받아들여 피스톤로드(18)을 안쪽아암(7)쪽으로 밀어댄다.
피스톤로드(18)는 제3유압실린더(17)로부터 빠져나와 안쪽아암(7)을 바깥쪽아암(5)의 밖으로 밀게 되므로, 안쪽아암(7)은 제25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6도에 도시된 위치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에서 버켓(8)이 먼 위치로 이동하여 가장깊은 위치의 토사를 파게된다.
또한,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으로부터 빠져 나왔을때 안쪽아암(7)의 끝단에 고정된 체결막대(318)가 슬라이더(14)를 끌어당기므로, 바깥쪽아암(5)의 윗면에 있는 슬라이더(14)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며, 슬라이더(14)의 이동과 함께 몸체(330)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331), (332)는 바깥쪽아암(5)의 양측과 접촉안내되며, 슬라이더(14)는 바깥쪽아암(5)의 윗면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체결막대(318)가 연장되지 않은 한, 즉 고정부재(317)에 의하여 늘어나는 한, 슬라이더(14)는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일하게 안쪽아암(7)의 이동과 동기하여 움직인다.
이것은 피스톤로드(18)의 연장에 기인하여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의 밖으로 밀려나오도록 제3유압실린더(17)가 작동할때 버켓실린더(11)가 피스톤로드(18)의 연장과 동시에 움직이기 때문이며, 이에 따른 굴착작업에는 지장이 없게 된다.
버켓(8)에 의해 굴착된 토사가 들어올려질때, 제3유압실린더(17)는 피스톤로드(18)를 잡아당기도록 제일 먼저 작동하여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의 내부로 이동한다.
체인(28), (29)이 안쪽아암(7)이 뒷부분에 접속되어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방향으로 당겨져 스프로켓바퀴(24), (25), (26), (27)들에 의하여 반전됨에 따라 슬라이더(14)를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따라서, 안쪽아암(7)이 상기한 방식으로 움직일때, 버켓실린더(11)는 안쪽아암(7)과 동기하여 이동하므로 버켓(8)은 안쪽아암(7)에 대하여 각 거리를 유지하여 굴착된 토사를 버켓(8)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그 후에, 제1 및 제2유압실린더(4), (6) 및 버켓실린더(11)가 상호작용하면서 파여진 토사는 차체(1)의 뒷쪽에 대기하고 있는 트럭에 적재되거나 다른 곳으로 옮겨 진다.
[제7실시예(제27도 내지 제28도 참조)]
대략 삼각형형상을 가지는 고정부재(317)는 레버(9)에 인접한 안쪽아암(7)에 고정되고, 단면이 사각형인 접속체(340)에 의해 슬라이더(14)의 몸체(330)에 접속되는데, 이때의 체결기구는 슬라이더(14)의 뒷부분에 접속되는 와이어를 가지고 있지 않다.
접속체(340)는 로드(341)와 그양끝단에 접속되는 고정나사(342), (343)로 구성되며, 로드(341)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서, 단면이 사각형이고, 그의 양끝단에 삽입홈(344), (345)를 가진다.
고정나사(342)는 삽입홈(344)으로 핀(346)에 의해 삽입 및 접속되고, 고정나사(343)는 삽입홈(345)으로 핀(347)에 의해 삽입 및 접속되는데, 고정나사(342)의 나사부는 몸체(330)의 접속구멍(333)내로 삽입되어 고정너트(348), (349)에 의해 이중으로 나사결합되므로써 몸체(330)에 확고히 고정되며, 고정나사(343)의 나사부는 고정부재(317)의 고정구멍(339)내로 삽입되어 너트(350), (351)에 의해 이중으로 나사결합되므로써 고정부재(317)에 확고히 고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으로써, 로드(341)는 핀(346), (347)에 의해 수직으로 선회가능하지만 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지 않게끔 즉, 로드(341)는 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또는 수축되기 어려운 강고한 구조로 형성된다.
제3유압실린더(17)가 피스톤로드(18)를 그의 밖으로 나오도록 밀때, 로드(341)는 고정부재(317)에 의해 끌어당겨지고, 슬라이더(14) 역시 당겨지므로,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는 버켓(8)의 안쪽아암(7)에 대한 각도를 변화시키지 않고 움직일수 있다.
제3유압실린더(17)가 피스톤로드(18)를 수축하도록 작용할때, 피스톤로드(18)에 접속된 안쪽아암(7)은 바깥쪽아암(5)의 내부로 들어가며, 이때 고정부재(317)에 고정된 로드(341)가 강체이므로 몸체(330)를 밀어내면서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를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쪽으로 향하여 위로 밀어낸다.
따라서,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는 안쪽아암(7)의 움직임과 동기하여 움직일 수 있는 반면 버켓(8)은 안쪽아암(7)에 대한 동일 각 위치에 유지되어 버켓실린더(11)는 마치 원래의 버켓(8)이 작용하는 것처럼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와는 달리 제7실시예의 굴착기는 그의 구성부분을 단순하게 할 수 있으며, 제6 및 제7실시예의 굴착기는 제1 및 제2실시예의 장점과 동일하다.
비록, 본 발명은 어느정도 특정한 바람직한 형태로 기술되었으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함은 이해 가능하다.

Claims (16)

  1. 이동가능한 차체(1)와 ; 상기 차체(1)의 앞부분에 한쪽 끝단이 착설되는 붐(3)과 ; 상기 차체(1)의 앞부분에 한쪽끝단이 착설되고, 상기 붐(3)을 길이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붐(3)의 중앙부에 피스톤 로드가 착설되는 제1유압실린더(4)와 ; 상기 붐(3)의 다른쪽 끝단에 선회 가능하게 피버트 착설되는 바깥쪽 아암(5)과 ; 상기 붐(3)의 뒷면에 착설되며, 붐(3)과 바깥쪽 아암(5) 사이의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바깥쪽 아암(5)의 뒷부분에 피스톤로드가 착설되는 제2유압실린더(6)와 ; 바깥쪽 아암(5)내로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이동이 가능한 안쪽아암(7)과 ; 안쪽아암(7)의 끝단에 접속되는 버켓(8)과 ; 버켓(8)에 피스톤로드의 한쪽끝단이 접속되는 버켓 실린더(11)와 ; 상기 바깥쪽 아암(5)의 기초부 끝단에 착설되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된 피스톤로드(18)를 가지는 제3유압실린더(17)로 구성된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버켓(8)과 안쪽아암(7)사이의 거리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여 변화되지 않는 상태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가 핀(16)에 의해 피버트 접속되는 축지지판(15)을 가지며, 이 축지지판(15)이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더(14)가 상기 바깥쪽아암(5)에 고정된 안내판(13)에서 미끄럼 가능하도록 착설되는 안내기구와 ; 상기 안쪽아암(7)의 신축가능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단은, 바깥쪽아암(5)의 앞끝단에 지지되는 바퀴(27)와, 바깥쪽아암(5)의 뒷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로켓 바퀴(24)와, 바깥쪽아암(5)의 안쪽 및 안쪽아암(7)의 바깥쪽에서 바깥쪽아암(5)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로켓 바퀴(26)와, 슬라이더(14)의 앞,뒷끝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안쪽아암(7)의 뒷끝단에 접속되는 체인(28), (29)으로 구성되고 ; 상기 체인(28)은 바깥쪽아암(5) 및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내에 삽입되도록 스프로켓 바퀴(24)에 의해 반전되어 버켓(8)방향으로 연장하여 스프로켓 바퀴(26)에 의해 다시 반전되며, 상기 체인(29)은 바깥쪽 아암(5)과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바퀴(27)에 의해 반전되어 스프로켓 바퀴(25)에 의해 다시 반전되는 굴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단은, 안쪽아암(7)의 상부중앙부에서 구획되는 오옥부(30)와, 오목부(30)의 바닥에 형성된 랙(31)과, 바깥쪽아암(5)의 중앙부의 개구에 의하여 구획되는 구멍(32)와, 안쪽아암(7)의 중앙상부에 고정되어 구멍(32)의 양측으로부터 평행하게 오목부(30)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지지판(33)과, 축지지판(33)에 고정되는 축(34), (35)에 의해 서로 맞물려 지지되는 피니언(36), (37)과, 피니언(36)은 오목부(30)의 랙(31)과 맞물리고, 피니언(37)의 상부 톱니면은 바깥쪽아암(5)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더(14)의 오목부내에서 피니언(37)과 맞물리는 랙(40)을 가지는 가이드(38), (39)로 구성되는 굴착기.
  4. 이동가능한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앞부분에 한쪽끝단이 착설되는 붐(3)과 ; 상기 차체(1)의 앞부분에 한쪽끝단이 착설되고, 상기 붐(3)을 길이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붐(3)의 중앙부에 피스톤 로드가 착설되는 제1유압실린더(4)와 ; 상기 붐(3)의 다른쪽 끝단에 선회 가능하게 피버트 착설되는 바깥쪽아암(5)과, 상기 붐(3)의 뒷면에 착설되며, 붐(3)과 바깥쪽아암(5) 사이의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에 피스톤로드가 착설되는 제2유압실린더(6)와 ; 바깥쪽아암(5)내로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이동이 가능한 안쪽아암(7)과 ; 안쪽아암(7)의 끝단에 접속되는 버켓(8)과 ; 버켓(8)에 피스톤로드의 한쪽끝단이 접속되는 버켓 실린더(11)와 ; 상기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에 착설되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된 피스톤로드(18)를 가지는 제3유압실린더(17)로 구성된 굴착기에 있어서, 상기 버켓(8)과 안쪽아암(7)사이의 거리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여 변화되지 않은 상태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가 핀(16)에 의해 피버트 접속되는 축지지판(15)을 가지며, 이 축지지판(15)이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더(14)가 상기 바깥쪽아암(5)에 고정된 안내판(13)에서 미끄럼 가능하도록 착설되는 안내기구와 ; 상기 안쪽아암(7)의 신축가능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의 끝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기수단과 ; 상기 안쪽아암(7)의 앞부분에 착설되는 갈고리기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단은, 바깥쪽아암(5)의 앞끝단에 지지되는 바퀴(27)와, 바깥쪽아암(5)의 뒷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로켓 바퀴(24)와, 바깥쪽아암(5)의 안쪽 및 안쪽아암(7)의 바깥쪽에서 바깥쪽아암(5)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로켓 바퀴(26)와, 슬라이더(14)의 앞, 뒷끝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안쪽아암(7)의 뒷끝단에 접속되는 체인(28), (29)으로 구성되고 ; 상기 체인(28)은 바깥쪽아암(5) 및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내에 삽입되도록 스프로켓 바퀴(24)에 의해 반전되어 버켓(8)방향으로 연장하여 스프로켓 바퀴(26)에 의해 다시 반전되며, 상기 체인(29)은 바깥쪽아암(5)과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바퀴(27)에 의해 반전되어 스프로켓 바퀴(25)에 의해 다시 반전되는 굴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단은, 안쪽아암(7)의 상부중앙부에서 구획되는 오목부(30)와, 오목부(30)의 바닥에 형성된 랙(31)과, 바깥쪽아암(5)의 중앙부의 개구에 의하여 구획되는 구멍(32)과, 안쪽아암(7)의 중앙상부에 고정되어 구멍(32)의 양측으로부터 평행하게 오목부(30)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지지판(33)과, 축지지판(33)에 고정되는 축(34), (35)에 의해 서로 맞물려 지지되는 피니언(36), (37)과, 피니언(36)은 오목부(30)의 랙(31)에 맞물리고, 피니언(37)의 상부 톱니면은 바깥쪽아암(5)의 상부면으로 돌출되어 슬라이더(14)의 오목부내에서 피니언(37)과 맞물리는 랙(40)을 가지는 가이드(38), (39)로 구성되는 굴착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기구는, 슬라이더(14)의 뒷끝단에 고정되는 호이스트(245)와, 바깥쪽아암(5)의 앞,뒷쪽 내부에 지지되는 풀리(247), (251)와, 안쪽아암(7)의 끝단부에 지지되는 풀리(252)와, 안쪽아암(7) 하부에 형성된 갈고리리시버(250)에 의해 걸릴 수 있는 갈고리(249)를 가지는 갈고리체(248)와, 호이스트(245)로부터 인출되어, 풀리(247)에 의해 반전되며 바깥쪽아암(5)과 안쪽아암(7)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바깥쪽아암(5)방향으로 안내되는 와이어(246)로 구성되는 굴착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 기구는, 안쪽아암(7)의 앞의 내부에 부착되어 아래쪽으로 향하는 개구를 가지는 머리(255)와, 머리(255) 내에서 축(25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2개의 풀리(257), (258)와, 머리(255)의 하부에 위치하여 축(256)으로 부터 약간 떨어진 핀(26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역전된 몸체(259)와, 머리(255)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역전된 몸체(259)가 접촉하는 스톱퍼(261)와, 갈고리체(248)의 상부에 접속된 와이어(246)가 풀리(257)에 의해 아래쪽으로 반전되고 풀리(262)에 의하여 위로 반전되며 풀리(258)에 의해 다시 아래쪽으로 반전되는 내부에 갈고리체(248)로 구성되는 굴착기.
  9. 이동가능한 차체(1)와, 상기 차체(1)의 앞부분에 한쪽끝단이 착설되는 붐(3)과 ; 상기 차체(1)의 앞부분에 한쪽끝단이 착설되고, 상기 붐(3)을 길이방향으로 선회가능하도록 붐(3)의 중앙부와 피스톤 로드가 착설되는 제1유압실린더(4)와 ; 상기 붐(3)의 다른쪽 끝단에 선회 가능하게 피버트 착설되는 바깥쪽 아암(5)과 ; 상기 붐(3)의 뒷면에 착설되며, 붐(3)과 바깥쪽 아암(5) 사이의 거리를 보정하기 위하여 바깥쪽아암(5)의 뒷부분에 피스톤로드가 착설되는 제2유압식실린더(6)와 ; 바깥쪽 아암(5)내로 삽입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신축이동이 가능한 안쪽아암(7)과 ; 안쪽아암(7)의 끝단에 접속되는 버켓(8)과 ; 버켓(8)에 피스톤로드의 한쪽끝단이 접속되는 버켓 실린더(11)와 ; 상기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에 착설되며, 안쪽아암(7)이 바깥쪽아암(5)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도록 안쪽아암(7)의 중앙부에 접속된 피스톤로드(18)를 가지는 제3유압실린더(17)로 구성된 굴착기에 있어서 ; 상기 버켓(8)과 안쪽아암(7)사이의 거리가 안쪽아암(7)의 이동량과 동기하여 변화되지 않는 상태로 작동가능하도록 상기 버켓실린더(11)의 기초부가 핀(16)에 의해 피버트 접속되는 축지지판(15)을 가지며, 이 축지지판(15)이 고정설치되는 슬라이더(14)가 상기 바깥쪽아암(5)에 고정된 안내판(13)에서 미끄럼 가능하도록 착설되는 안내기구와 ; 상기 안쪽아암(7)의 신축가능한 길이에 해당하는 길이로 바깥쪽아암(5)의 기초부 끝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기수단과 ; 상기 안내기구와 안쪽아암(7)의 앞부분사이에 접속되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굴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수단은, 바깥쪽아암(5)끝단의 상부 및 하부면에 지지된 각각 작은 직경을 가지는 로울러(22), (23)와, 바깥쪽아암(5)의 상부면 위로 상반부가 노출되도록 바깥쪽아암(5)양측부의 뒷끝단에 지지되는 스프로켓바퀴(24), (25)와, 바깥쪽아암(5)상부의 슬라이더(14)의 뒷쪽끝단 및 안쪽아암(7)의 뒤쪽끝단에 각각 접속되며 스프로켓 바퀴(24)에 의해 반전되어 안쪽아암(7) 및 바깥쪽아암(5)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스프로켓 바퀴(26)에 의해 다시 반전되는 체인(28)과, 바깥쪽아암(5)강부의 슬라이더(14) 뒷쪽끝단 및 안쪽아암(7)의 뒷쪽끝단에 각각 접속되며 스프로켓 바퀴(25)에 의해 반전되어 안쪽아암(7) 및 바깥쪽아암(5)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스프로켓 바퀴(27)에 의해 다시 반전되는 체인(29)으로 구성되는 굴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구는, 바렐(355)의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슬라이더(14)가 지붕부(356)의 양끝단으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슬라이더(14)와 조립되는 몸체(330)와, 몸체(330)의 하부면에 고정되어 지붕부(356)의 윗면과 접촉하는 미끄럼체(357)와, 몸체(330)에 평행하게 고정되는 1쌍의 지지판(15)과, 몸체(330)의 양쪽에 고정되어 지붕부(356)와 결합되도록 나사(360), (361)에 의해 고정되는 안내체(331), (332)를 가지는 평평한 부착판(358), (359)으로 구성되는 굴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331), (332)은 하부안쪽에 C자형의 오목부(362), (363)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62), (363)의 안쪽벽내에 L자형의 미끄럼부재(364), (365)가 걸어맞추어져 슬라이더(14)를 안내할 수 있도록 지붕부(356)의 끝단부와 접촉되며, 상기 몸체(330)의 중앙부에는 접속관통구멍(333)이 수평으로 관통되어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고, 그 좌,우측에 연결구멍(366), (367)이 각각 형성되는 굴착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고강성도의 얇은 금속띠로 만들어지는 체결막대(318)와, 체결막대(318)의 앞,뒷끝단에 각각 접속되는 고정나사(334), (335)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나사(335)는 접속관통구멍(333)내로 삽입되어 몸체(330)의 뒷부분에서 너트(337), (338)에 의해 2중으로 나사결합되며, 상기 고정나사(334)는 고정부재(317)에 형성되는 구멍(339)내로 삽입되어 너트(340), (341)에 의해 2중으로 나사 결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체결막대(318)는 고정나사(334), (335)에 의해 고정부재(317) 및 슬라이더(14)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고 너트(337), (338), (340), (341)의 조정에 의해 장력을 자유로이 결정할 수 있는 굴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멍(366), (367)은, 체인(28), (29)이 접속되어 너트(370), (371)에 의해 2중으로 나사 결합으로 몸체(330)에 고정되는 긴나사(368), (369)를 그 안에 삽입할 수 있는 굴착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로드(341)와 이 로드(341)의 양끝단에 접속되는 고정나사(342), (343)로 이루어지는 접속체(340)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341)는 단면이 4각형으로서 속이빈 파이프 형상이고 그의 양끝단에 삽입홈(344), (345)를 가지며, 고정나사(342)는 핀(346)에 의해 삽입홈(344)내로 삽입되어 접속되고 고정나사(343)는 핀(347)에 의해 삽입홈(345)내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굴착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나사(342)의 나사부는 몸체(330)의 접속관통구멍(333)내로 삽입되어 고정너트(348), (349)에 의해 2중으로 나사결합되며, 고정나사(343)의 나사부는 고정부재(317)의 고정구멍(339)내로 삽입되어 고정부재(317)의 후방부에서 2개의 너트(350), (351)에 의해 2중으로 나사결합되어 확고히 고정되는 굴착기.
KR1019900005906A 1989-04-26 1990-04-26 굴착기 KR9500050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990 1989-04-26
JP10799089A JPH066808B2 (ja) 1989-04-26 1989-04-26 伸縮可能なバケットを有する掘削機
JP125443 1989-05-18
JP12544389A JPH0745736B2 (ja) 1989-05-18 1989-05-18 クレーン付き掘削機
JP1247005A JPH0715173B2 (ja) 1989-09-22 1989-09-22 伸縮可能なバケットを有する掘削機
JP247005 1989-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554A KR900016554A (ko) 1990-11-13
KR950005004B1 true KR950005004B1 (ko) 1995-05-17

Family

ID=2731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906A KR950005004B1 (ko) 1989-04-26 1990-04-26 굴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92733A (ko)
EP (1) EP0395305B1 (ko)
KR (1) KR950005004B1 (ko)
AU (1) AU636604B2 (ko)
CA (1) CA2014164C (ko)
DE (1) DE690198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8322C (fi) * 1991-10-08 1993-04-26 Raunisto Airi Med ledbommar foersedd arbetsmaskin
US5375348A (en) * 1992-04-23 1994-12-27 Japanic Corporation Deep excavator
US5377432A (en) * 1992-10-29 1995-01-03 Japanic Corporation Deep excavator
US5487229A (en) * 1993-05-28 1996-01-30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Apparatus for pneumatic excavation
EP0718444A1 (en) * 1994-12-21 1996-06-26 Nikken Corporation Oil supply mechanism in a deep excavator
US7111419B1 (en) * 2000-07-31 2006-09-26 Rockland, Inc. Thumb for a backhoe
JP3950289B2 (ja) * 2000-09-04 2007-07-25 株式会社室戸鉄工所 作業機のスライドアーム
US6488305B2 (en) * 2001-03-02 2002-12-03 Jost International Corp. Carrier assembly for movably supporting a fifth wheel assembly
US20050135915A1 (en) * 2003-12-05 2005-06-23 Charlie Hall Pipe-handling boom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739813B2 (en) * 2006-04-17 2010-06-22 Eric Beaton Telescoping boom for excavating apparatus
US7752932B2 (en) * 2008-04-06 2010-07-13 Hiwin Mikrosystem Corp. Linear actuator
GB201117251D0 (en) * 2011-10-05 2011-11-16 Autochair Ltd Hoist mechanism
CN103603386B (zh) * 2013-12-02 2016-02-24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道路机械分公司 一种新型工作装置及挖掘机
DE102014000027A1 (de) 2014-01-04 2014-10-30 Johannes Burde Teleskopsystem für die Integration in Monoblock- und Verstellausleger für das Verfahren des Stiel- und Hauptlagers
GB2559811A (en) * 2017-02-21 2018-08-22 Bailie Russell James Device for an excavator
RU183825U1 (ru) * 2018-03-27 2018-10-0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архитектурно-строите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Рабочее оборудование одноковшовых гидравлических экскаваторов
KR102044346B1 (ko) * 2019-02-26 2019-11-15 장성교 선회체와 무관하게 버켓의 좌우회전이 가능한 포크레인
DK180402B1 (en) * 2019-08-13 2021-04-06 Unicontrol Aps Position Detection Unit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Excavator for an Excavator
CN113463703A (zh) * 2021-06-16 2021-10-01 深圳市先进智能技术研究所 一种带液压快换接头的机械手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72158A (ko) * 1960-12-08
US3245559A (en) * 1964-09-04 1966-04-12 John A Russell Extension housing for dipper-stick of backhoe
US3390794A (en) * 1967-03-09 1968-07-02 Deere & Co Extensible and retractable boom
US3624785A (en) * 1970-12-07 1971-11-30 Morton A Wilson Extendable dipper-stick
US3688930A (en) * 1971-04-05 1972-09-05 John F Shumaker Extensible dipper stick for backhoe
FR2142291A5 (ko) * 1971-06-16 1973-01-26 Richier Sa
US3836025A (en) * 1973-05-21 1974-09-17 Loed Corp Material-handling machine
DE2900410C2 (de) * 1978-01-17 1983-08-04 J.C. Bamford Excavators Ltd., Rocester Uttoxeter, Staffordshire Tieflöffelbagger
US4274797A (en) * 1979-06-25 1981-06-23 Coon David B Backhoe excavating apparatus
US4293269A (en) * 1979-07-30 1981-10-06 Zook Grant W Conversion or extension beam
DE2944882A1 (de) * 1979-11-07 1981-06-19 Adolf 7140 Ludwigsburg Klenzel Zusatzgeraete fuer hydraulikbagger
DE3004524C2 (de) * 1980-02-07 1983-09-22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7951 Kirchdorf Teleskopierbarer Abbruchstiel mit einem an einen Hydraulikbagger oder dergleichen anschließbaren Hohlträger
US4523684A (en) * 1982-09-30 1985-06-18 Jerry Baisden Crane tool for attachment to a backhoe arm
US4699562A (en) * 1983-10-19 1987-10-13 Crook James D Extendable dipperstick for excavators and backhoes
JPS60115727A (ja) * 1983-11-25 1985-06-22 Hiromasa Tanabe バツクホウ取付けクレ−ン
AU5681386A (en) * 1985-05-20 1986-11-27 Deere & Company Backhoe telescoping dipper stick
GB2207117B (en) * 1987-07-24 1991-06-12 Massey Ferguson Mfg Material handl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14164C (en) 1995-12-12
EP0395305A2 (en) 1990-10-31
DE69019876D1 (de) 1995-07-13
AU5369290A (en) 1990-11-01
US5092733A (en) 1992-03-03
KR900016554A (ko) 1990-11-13
EP0395305B1 (en) 1995-06-07
CA2014164A1 (en) 1990-10-26
AU636604B2 (en) 1993-05-06
EP0395305A3 (en) 1992-01-22
DE69019876T2 (de) 1995-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004B1 (ko) 굴착기
US5267824A (en) Tool controlling mechanisms for excavator with telescopic arm
IE42743B1 (en) Apparatus for handling pipes or pipelines
US3472401A (en) Pipe-lifting attachment for excavating equipment
JPH0745736B2 (ja) クレーン付き掘削機
JP3205485B2 (ja) 土木工事方法及び装置並びに土留め装置
JP3127435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の押込み装置
EP0541813A1 (en) Wire saw excavator, cut-off wall or landslide protection construction constructed thereb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H1046580A (ja) 土留め用仮設枠型及びそれを用いた埋設配管施行法
JPH0497026A (ja) クレーン付き掘削機
CN219343350U (zh) 一种伸缩式加压抓斗
CN214699463U (zh) 低扰动顶管装置
CN115341768B (zh) 一种钢筋预埋底座施工用居中定位装置
JP2000351600A (ja) 牽引式門型ジャッキ
JPH0440514B2 (ko)
CN221255472U (zh) 一种用于混凝土管桩的翻桩架
CN114197553B (zh) 一种基坑开挖装置及方法
JPH07292706A (ja) 建設機械の多段伸縮アーム
JPH0420446B2 (ko)
JPS6145249Y2 (ko)
JPH06336723A (ja) 山留め装置
JPH0629221Y2 (ja) 鋼管杭打設装置
JPS5941254Y2 (ja) 門型引抜機
JPS5845319Y2 (ja) 土留ジヤツキ
CN115929988A (zh) 大口径退管装置及退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