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823B1 - 비누 분말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누 분말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823B1
KR950004823B1 KR1019910009289A KR910009289A KR950004823B1 KR 950004823 B1 KR950004823 B1 KR 950004823B1 KR 1019910009289 A KR1019910009289 A KR 1019910009289A KR 910009289 A KR910009289 A KR 910009289A KR 950004823 B1 KR950004823 B1 KR 950004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weight
fatty acid
active compound
detergent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9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912A (ko
Inventor
하리코너 제프리
도날드손 로버트
티모시 하이트 앤드류
죠지 멕레온 고돈
피터 도날드
죤 러셀 피터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 브이, 에이치. 드 로이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 브이
Publication of KR92000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11D17/065High-density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0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 C11D10/04Compositions of detergents, not provided for by one single preceding group based on mixtures of surface-active non-soap compounds and soap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누 분말 조성물
본 발명은 직물의 세탁에 사용되는 비누를 기본물로 하는 세제분말에 관한 것이다.
다량의 비누를 함유하는 직물 세척용 분말은 합성 세제활성화합물을 기본물로 하는 분말로 세척하는 경우에 비해 세척력이 우수하고 직물에 부드러운 촉감이 남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선호한다. 비누는 또한 완전히 생분해될 수 있다는 점에서 환경보호적인 장점을 가지며 재생 가능한 원료로부터 유도하는 천연물질이다.
그러나 비누는 특히 현재의 저에너지 세탁기에서 보편 저온에서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용해되지 못하는 기술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양상이 있다. 첫째로 좋지못한 습윤력으로 인해 덩어리지거나 겔이 형성된다. 둘째로 습윤력이 만족할만한 수준인 경우 조차도 특히 저온에서는 비누 고유의 열등한 용해도가 문제가 된다.
영국 특허제 2 034 741 B호(유니레버)에는 고유 용해도를 개선시킨 비누분말 조성물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이 비누분말은 빌더염 및 기타 통상성분 외에도, 다음과 같은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C12-C22지방산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크라프트점이 낮은(25℃ 이하) 특정의 비누는 혼합물을 15-60중량% 함유한다.
(i) 탄소원자수 14 이하를 갖는, 1종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5-60중량%
(ii) 탄소원자수 14 이상을 갖는, 1종 이상의 포화 지방산 5-32중량%
(iii) 탄소원자수 14이상을 갖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35-90중량%
이 비누 혼합물은 표준 코코넛/탤로우 혼합물과 비교할때 고유 용해도가 향상된 우수한 세척력을 가지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혼합물을 함유하는 분말의 습윤력이 이상적인 것으로 입증되지 못했으며, 특히 이 분말을 상부-투입식 세탁기내에서 낮은 세탁 온도에서 사용하는 경우 현저하게 덩어리가 형성된다.
유럽 특허제 340 013 A호(유니레버)에는 합성세제 활성화합물(특히 알킬벤젠술폰산염) 및 제올라이트를 기본물로 하는 세제분말로서 교반작용과 커팅작용을 함께 갖춘 고속혼합기/과립화기, 예를들면 후카에 (Fukae) FS 시리즈 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650g/l 이상의 벌크밀도를 가지도록 과립화 및 고밀화시킨 세제분말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놀랍게도 크라프트점이 낮은 비누를 기본물로 하는 비누분말을 과립화 및 고밀도화 시킴으로써 다른 바람직한 특성의 손실없이 습윤력과 분산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우수한 분말특성(벌크밀도, 유동율, 압축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일본 특허제 62 086 099 A호(니폰 오일 & 패트)에는 복합 비누분말(이 명세서 사용되는 '복합비누분말'은 비누가 총세제활성 화합물의 70중량% 이하로서, 비누와 합성세제 활성화합물을 함유하는 분말을 의미한다)의 제조방법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지방산 비누(칩의 형태), 합성세제활성제 및 무기 및/또는 유기빌더를 미분한 다음 수평형 혼합기/과립화기(2종의 교반기가 함유된 원통형 하우징)내에서 혼합시킴으로써 비비누성 세제의 함량이 높은 경우까지도 구형의 과립으로 구성되는 고벌크밀도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이 제품은 일반적으로 40-55중량%의 비누, 5-20중량%(예를들면 7-15중량%)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제 25-50중량%의 빌더를 함유한다. 여기서 비누의 선택은 제한적인 요소가 아니다. 비누의 예를들면 우지나트륨 비누, 우지칼륨비누 및 혼합비누(코코넛/콩/우지 4:1:15)등이 있다. 크라프트점이 낮은 비누에 대한 언급은 없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성분을 함유하는 600g/l 이상, 바람직하게는 650g/l 이상의 벌크밀도를 가지는 비누분말을 제공한다.
(a) 다음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는 유기 세제활성화합물 35-80중량%
(a1) 20℃ 이하의 크라프트점(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정의됨)을 가지는 지방산 비누(70-100중량%)
(a2) 임의선택적인 비비누성 세제활성화합물(0-30중량%)
(b) 무기염 및/또는 빌더염 20-65중량%
(c) 임의선택적인 기타 세제성분
본 발명은 또한 다음과 같은 성분, 즉
(a) 다음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는 유기세제 활성화합물 35-80중량%
(a1) 20℃ 이하의 크라프트점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정의됨)을 가지는 지방산 비누(70-100중량%)
(a2) 임의선택적인 비비누성 세제활성화합물(0-30중량%)
(b) 무기염 및/또는 빌더염 20-65중량%
(c) 임의선택적인 기타 세제성분
을 함유하는 입자상 출발물질을 교반작용과 커팅작용을 함께 갖춘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처리함으로써, 벌크밀도가 600g/l, 바람직하게는 650g/l 이상의 수준이 되도록 과립화 및 고밀도화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누분말은 두가지 필수성분, 즉 지방산 비누를 기본물로 하는 세제활성성분(a) 및 빌더/염성분(b)을 함유한다.
세제활성성분(a)
세제활성성분(a)은 본 발명의 비누분말의 35-80중량%, 바람직하게는 40-60중량%를 구성한다.
세제활성성분(a)의 70중량% 이상은 지방산 비누에 의해 구성된다. 이 비누는 크라프트점이 2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의 세탁온도에서 개선된 용해도를 가지는 비누이다.
물에 대한 순수 비누의 용해도는 그 비누의 크라프트점에 의해 결정된다. 크라프트점은 그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비누가 미셀의 형성에 의해 물에 쉽게 용해될때의 그 온도로서 정의된다. 이에 대한 것은 "계면화학, 이론 및 산업적 이용"(LloydI Osipow, Reinhold & Co, New York, 1952)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세제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순수 비누로 다루어지지 않고, 서로 다른 사슬길이 및 불포화도를 가진 지방산의 염의 혼합물인 천연 제품으로서 또한 이들의 혼합물로서 다루어진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는 순수 비누 뿐만아니라 비누혼합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다음과 같은 유용한 크라프트점의 실제적 정의를 채택하였다. 즉 크라프트점이란 물속의 20% 비누를 결정에서 액체형태로 변화시키는 상전이 온도로 정의된다. 이러한 크라프트점은 시차 열분석(DTA)의 표준방법에 의해 쉽게 또한 신속하게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정의 및 측정법을 이용한 결과 일본 특허제 62 086 099 A호(니폰 오일 & 패트)에 기재된 3가지 비누의 크라프트점은 다음과 같다.
우지나트륨 비누 46℃
우지 칼륨 비누 24℃±3℃
코코넛/콩/우지 4:1:15 39℃
* 순수한 Na 및 K 비누 및 우지 Na 비누에 대한 구입가능한 자료로부터 계산됨.
본 발명의 비누분말에 사용되는 지방산 비누는 어떠한 적합한 양이온(예를들면,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치환암모늄(예를들면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이들의 배합물)도 함유할 수 있다. 앞서 제시한 우지비누에 대한 수치에 의해 확인될 수 있는 바와같이 칼륨비누는 해당 나트륨보다 크라프트점이 낮은 경향이 있다. 암모늄 및 아민염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비-나트륨비누는 나트륨비누보다 제조비용이 높으며 또한 보다 높은 연화성 때문에 공정에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따르면 낮은 크라프트점은 특히 선별된 배합의 사슬길이와 불포화도를 가지는 지방산 비누의 혼합물의 사용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이로인해 값이 싸고 확실한 가공성을 제공하는 나트륨비누를 다른 양이온 비누보다 더 사용할 수 없다. 여기서 낮은 온도에서의 우수한 용해도는 세척력을 감소시키면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앞서 언급한 영국 특허제 2 034 741 B호(유니레버)에 따르면, 본 발명의 비누분말중의 지방산 비누(a1)은 다음의 지방산으로 구성되는 C12-C22지방산의 수용성염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i) 탄소원자수 14 이하를 갖는, 1종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5-60중량%
(ii) 탄소원자수 14 이상을 갖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5-32중량%
(iii) 탄소원자수 14 이상을 갖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35-90중량%
특히 바람직한 배합물은 영국 특허제 2 034 741 B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범위의 비누는 단지 전통적인 비누제조 원료인 코코넛유, 팜핵유 및 탤로우만을 사용해서 얻을 수 없다. 코코넛유 및 팜핵유는 (i)군의 지방산이 풍부하며 탤로우급 지방은 (ii)군 및 (iii)군의 포화 및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다. 땅콩유는 올레산 함량이 높고 리놀레산 및 리놀레인산의 함량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iii)군의 지방산 함량을 향상시켜주는 바람직한 천연 공급원이다. (iii)군의 지방산이 비교적 풍부한 기타 다른 오일로는 콩기름, 해바라기유, 평지씨유 및 면실유등이 있으나 이러한 물질은 모두 리놀레산/리놀레인산 함량이 높기 때문에 산화되기 쉬우므로 덜 바람직하므로, 적합한 산화방지제, 예를들면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및/또는 에탄-1-히드록시-1,1-디포스폰산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누분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비누는 천연성 오일 이외에도, 시중구입 가능한 공업등급의 지방산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비누는 코코넛 나트륨 비누와 올레산나트륨을 배합하여 얻을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배합은 각각 50중량%로 구성되는 배합이며, 예를들면 37중량%의 (i)군 비누, 13중량%의 (ii)군 비누 및 50중량%의 (iii)군의 비누로 구성되는 배합이다. 이것의 크라프트점은 약 5℃이다.
지방산비누(a1)의 세척력은 필요하다면 총 세제활성화합물의 70중량% 이상이 비누에 의해 구성된다는 전제하에 비비누성(합성)세제-활성화합물(a2)을 추가적으로 함유시킴으로써 촉진시킬 수 있다. 비비누성 세제활성화합물(a2)는 총 세제활성화합물의 10-3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28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비비누성 세제활성화합물은 당해분야에 매우 잘 알려져 있다. 비비누성 음이온 세제활성화합물은 세척력 뿐만 아니라 기포성을 향상시켜주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벤젠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올레핀 술폰산염 1차 및 2차 알콜 황산염, 알킬에테르황산염,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및 지방산 에스테르술포네이트 등이 있다.
이중 본 발명의 비누분말에 사용하기에 특히 바람직한 물질은 알킬에테르 황산염이다.
또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도 사용될 수 있으나 매우 낮은 기포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므로 상부-투입식 세탁기에 사용하도록 의도된 조성물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적합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로는 1차 및 2차 알콜에톡실레이트, 특히 알콜 1몰당 평균 3-20몰의 산화 에틸렌으로 에톡실화된 지방족 C12-C151차 및 2차 알콜:알킬페놀 에톡실레이트 : 및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등이 있다. 이러한 예는 한정적인 범위가 아니며 또다른 물질의 예에 대한 것은 표준 문헌, 예를들면 "계면활성제 및 세제"(Vol. I and Vol. II, Schwartz, Petty and Berch)에 기재되어 있다.
무기염 및 빌더염(b)
본 발명의 비누분말은 또한 세척력 증강작용을 할 수 있는 무기염 및/또는 유기빌더염을 함유한다. 비누의 자가증강 특성 때문에 빌더의 필요량은 온전한 비비누성 세제조성물에서와 같이 높지 않다. 무기 및/또는 빌더염은 20-6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무기염에는 탄산나트륨이 있다. 탄산나트륨을 알칼리도를 증가시킬 뿐만아니라 세척력 증강작용에 공헌함으로써 세척력을 향상시킨다. 탄산나트륨은 5-30중량%, 바람직하게는 15-25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이 적합하다.
기타 바람직한 성분으로는 규산나트륨이 있으며 이는 2-15중량%의 양으로 함유된다. 규산나트륨도 또한 알칼리도를 증가시키며 세탁기에 있어서 금속부분의 부식을 억제시킨다.
황산나트륨과 같은 중성염도 또한 이온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무기빌더염으로 또한 유용한 물질로는 결정형 또는 무정형 알칼리금속 알루미노규산염, 예를들면 제올라이트 A 및 X와 신규한 제올라이트-최대 알루미늄 제올라이트 P-(유럽 특허제 384 070 A호(유니레버)에 발표되어 그 특허청구로 하고 있음)가 있다.
사용 가능한 유기빌더염으로는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말레산 공중합체, 아크릴 포스피네이트와 같은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중합체 : 시트레이트, 글루코네이트, 옥시디숙시네이트, 글리세롤 모노-, 디- 및 트리숙시네이트, 카르복시메틸옥시숙시네이트, 카르복시메틸옥시말로네이트, 디피콜리네이트, 히드록시에틸이미노디아세테이트와 같은 단량체 폴리카르복실레이트 : 알킬- 및 알케닐 말로네이트 및 숙시네이트, 황산화 지방산염등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무기 인산염빌더를 5중량% 이상 함유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산염빌더를 사실상 함유하지 않는다.
기타 세제성분(c)
본 발명의 비누분말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기타 작용성성분, 예를들면 표백성분, 형광제, 향료, 효소, 톨루엔 술폰산나트륨 또는 크실렌 술폰산나트륨과 같은 히드로트로피제, 및 항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고벌크밀도
본 발명의 비누분말의 근본적인 특징은 벌크밀도가 600g/l 이상이라는 점이다. 특히 벌크밀도가 650g/l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고벌크밀도의 조성물은 배치식 또는 연속식의 여러가지 공정, 예를들면 분무건조 분말의 후탑식 고밀도화 공정 또는 완전한 비탑식 공정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공정은 입자상 출발물질을 특히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과립화 및 고밀도화 처리하는 방법이다. 실제에 있어서는 출발물질이 분무건조 공정 또는 건조혼합 또는 과립화와 같은 비탑식 공정에 의해 이미 제조된 통상의 벌크밀도를 가지는 비누분말일 수도 있다.
이와는 달리 고속혼합기/과립화기를 원료물질로부터 직접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양극한 경우의 중간에 해당하는 공정도 수행 가능하다. 즉, 고속혼합기/과립화기에 사전 제조된 기본분말과 기타성분을 투입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르게 사전 제조된 2종 이상의 기본분말을 투입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특히 바람직한 공정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또는 전부 분무건조 분말로 구성되는 출발물질을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과립화 및 고밀도화 시키는 것이다. 이렇게 고밀도화된 제품은 저벌크밀도의 출발물질 분말보다 우수한 분말특성을 가지며 세탁기에서 보다 더 분산이 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립화 및 고밀도화는 유럽 특허제 340 013 A호(유니레버)에 발표되어 그 특허청구를 하고 있는 교반적용 및 커팅작용을 함께 갖춘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교반기와 커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속도를 별도로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기는 고에너지의 교반과 커팅작용을 배합하여 작동시킬 수 있으며, 또한 커팅기를 작동시키면서 또는 작동시키지 않고 이와다른 온화한 교반레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혼합기는 매우 융통성이 있고 유용한 장치이다.
바람직한 형태의 배치식 고속혼합기/과립화기에는 보울 형태이며 근본적으로 수직 교반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혼합기는 일본의 후카에 포우테크(Fukae Powtech) 공업회사에서 제작되는 후카에(상표 FS-G 시리즈이다. 이 장치는 상부를 통해 주입가능한 보울형태의 용기이며 그 기저부근에는 근본적으로 수직축을 가지는 교반기는 갖추어져 있고 양벽에는 커터가 위치하고 있다. 교반기와 커터는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되며 속도를 별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또다른 배치식 혼합기로는 디오스나(Diosna : 상표) V 시리즈(독일의 디르크스 & 쉐네사 제품), 및 파르마 매트릭스(Pharma Matrix : 상표)(영국의 티케이 필더사 제품)가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는 또다른 혼합기로는 후지(Fuji : 상표) VG-C시리즈(일본의 후지 산교사 제품) 및 로토(Roto : 상표)(이탈리아의 쟌케타사 제품)가 있다.
본 발명의 공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또다른 배치식 혼합기는 뢰디게(Ldige : 상표) FM 시리즈 배치식 혼합기(스코클랜드의 모톤머신사 제품)이다. 이 장치는 교반기가 수평축을 가진다는 점에서 앞서 언급한 혼합기가 다르다.
바람직한 공정조건 및 기타 상세한 것은 앞서 본 명세서에 참고적으로 소개된 유럽 특허제 340 013 A호(유니레버)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과립화/고밀도화 공정은 세분화된 입자상 유동보조제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몇몇 조성물의 경우에는 필수적이다. 이러한 유동 보조제는 0.1-20㎛, 바람직하게는 1-10㎛의 평균 입자크기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다.
바람직한 유동보조제로는 세분화된 무정형 알루미노규산나트륨, 예를들면 알루실(Alusil : 상표)(영국, 체셔, 와링톤 소재의 크로스필드 화학주식회사 제품)이 있다. 알루실은 1-7중량%, 바람직하게는 1.5-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유동보조제는 유럽 특허제 339 966 A호(유니레버)에 발표되어 그 특허를 청구하고 있는 바와같이 과립화 공정이 완료된 후에(추가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동보조제는 알루실이며 0.2-5중량%, 바람직하게는 0.5-3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앞서 기재한 바와같이, 후카에 및 유사 혼합기는 배치식 작동을 필요로 한다. 이와는 달리 예를들면 뢰디계(상표) 리사이클러와 같은 연속된 고속혼합기/과립화기와 임의선택적으로 이에 대한 후속장치로서 뢰디계플라우쉐어와 같은 중속의 연속식 혼합기/과립화기를 사용하여 연속식 공정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후카에 혼합기와 같은 장치는 후탑식공정 및 비탑식공정(원료로부터 자체적으로 제조되는 공정 포함)에 모두 사용 될 수 있다. 적합한 공정에 대해서는 유럽 특허제 367 339 A호, 유럽 특허제 390,251 A호 및 유럽 특허제 420 317 A호(유니레버) 및 우리의 계류중인 유럽 특허출원제 91 200 740.8호에 기재되어 있다.
혼합기/과립화기로부터 제조된 과립물은 그 자체를 완전 세제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과립물은 기타 다른 성분 또는 별도로 제조된 혼합물과 혼합하여 최종제품의 일부분을 또는 대부분 구성할 수도 있다.
입자크기분포
특히 우수한 분산성 및 분말특성을 미세입자(180㎛ 미만의 입자)의 함량이 높지 않은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2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중량% 보다 높지 않은 경우에 달성된다. 이러한 미세입자는 시빙과정에 의해 고밀도화된 제품으로부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렇게하여 미세입자의 함량이 1중량% 이하로 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모든 부 및 퍼센트는 별도의 설명이 없는한 중량기준이다.
[실시예 1]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비누기본 분말을 수성슬러리를 분무건조시켜 제조하였다.
중량부
나트륨비누 39
알킬에테르황산염(C12-C15, 3EO) 14
탄산나트륨 20
알칼리성 규산나트륨 10
황산나트륨 5
톨루엔 술폰산나트륨 2
미량성분 1.6
(형광제, EDTA,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수분 8.0
나트륨비누는 코코넛나트륨비누와 올레산나트륨의 50 : 50(중량비) 혼합물이었다. 이는 37중량%의 (i)군 비누, 13중량%의 (ii)군 비누, 50중량%의 (iii)군 비누로 구성되었다. 이 비누혼합물의 크라프트점은 5℃였다.
이러한 기본분말을 다음과 같은 후카에 FS-100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고밀도화 시켰다. 즉 39Kg의 기본분말과 1.0㎏의 알루실 유동보조제를 혼합기내에 넣고 교반기속도 130rpm, 커터속도 1676rpm으로 12분간 과립화시켰다. 여기에 500g의 알루실을 추가로 가하고 5분간 더 과립화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과립화 과정동안 존재하는 알루실의 총량은 3.7중량%였다. 그다음 혼합기를 교반속도 80rpm 커터속도 300rpm으로 작동시키면서 700g의 알루실(즉 1.7중량%)을 혼합하였다. 그리고나서 제품을 꺼내었다.
고밀도화 이전과 이후의 기본분말의 분말특성을 다음과 같다.
고밀도화된 분말은 2000㎛ 이상의 입자를 7중량% 이하로 함유하였다. 미세입자(180㎛ 미만의 입자)의 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므로(37중량%), 시빙에 의해 이를 제거시킴으로써 미세입자의 함량이 약 0.6중량%가 되었다.
일본의 상부투입식 세탁기(내쇼날(상표) 일렉트로닉 W 100)내에서 8℃ 물에 대한 고밀도화 분말의 분산이 50초내에 완전히 이루어지는데 반해 고밀도화 처리되지 않은 분말의 경우는 분산이 140초내에 완전히 이루어진다. 전도성을 측정함으로써 고밀도화 분말의 완전한 용해는 2-3분내에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세탁기 평가
고밀도화 처리되지 않은 기본분말(비교실시예 A)과 고밀도화된 기본분말(실시예 1)에 다음과 같은 성분을 후첨가시킴으로써 온전한 제품을 제조하였다.
중량부
효소(사비나제 6.0CM) 0.7
향료 0.1-0.2
3종류의 서로 다른 오염의 테스트 천을 사용하여 세척력을 평가하였다.
테스트천1 유성/입자성
테스트천2 단백질성
테스트천3 유성/입자성/단백질성
내쇼날 일렉트로닉 W 100 상부투입식 세탁기내에서 테스트천 모니터 존재하에 1.5Kg의 오염된 면을 세탁하는때에 상기 두 제품을 사용하였다. 제품의 사용량은 물(6°의 프랑스 경도(Ca2+)) 30l에 대해 1.17g/l 수준이었다. 세탁온도는 8℃였으며 세탁시간은 10분, 흐르는 린스시간은 10분이었다. 세탁된 천의 460㎚에서의 반사율을 마이크로매치(상표) 반사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비교를 위해 일본에서 구입가능한 비누가 전혀 함유되지 않는 세제분말(비교실시예 B) 및 독일에서 구입 가능한 액체비누제품(비교실시예 C)도 본 테스트에 포함하였다.
실시예 1의 분말은 1분이내에 세탁기 내에 분산된 반면 비교실시예 A의 분말은 표면상에 덩어리를 형성하므로 분산하는데 2분 이상 걸렸다. 어떠한 분말도 세탁이 완료된후에 세탁물상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았다.
세척력 결과(반사율 δR460)은 다음과 같다.
고밀도화 제품의 세척력은 고밀도화 처리되지 않은 제품의 세척력보다 약간 떨어지지만 비누가 전혀 함유되지 않은 시중제품 및 액체 비누제품의 세척력 보다는 우수하다.

Claims (17)

  1. (a) 다음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는 유기 세제활성화합물 35-80중량%와 ; (a1) 20℃ 이하의 크라프트점(이에 대해서는 앞서 정의됨)을 가지는 지방산비누(70-100중량%) (a2) 임의선택적인 비비누성 세제활성화합물(2-30중량%) (b) 무기염 및/또는 빌더염 20-65중량% ; 및 (c) 임의선택적인 기타 세제 성분을 함유하는, 600g/l 이상의 벌크밀도를 가지는 비누 분말.
  2. 제1항에 있어서, 지방산비누(a1)은 (i) 탄소원자수 14 이하를 갖는, 1종 이상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 5-60중량% (ii) 탄소원자수 14 이상을 갖는, 1종 이상의 포화 지방산 5-32중량% (iii) 탄소원자수 14 이상을 갖는, 1종 이상의 불포화 지방산 35-90중량%을 함유하는 C12-C22지방산의 수용성 염의 혼합물인 비누 분말.
  3. 제1항에 있어서, 650g/l 이상의 벌크밀도를 가지는 비누 분말
  4. 제1항에 있어서, 지방산비누(a1)은 10℃ 이하의 크라프트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
  5. 제4항에 있어서, 지방산비누(a1)은 8℃ 이하의 크라프트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
  6. 제1항에 있어서, 지방산비누(a1)가 나트륨비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
  7. 제1항에 있어서, 지방산비누(a1)은 코코넛비누와 올레산 비누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
  8. 제1항에 있어서, 총 세제활성화합물(a)의 10-30중량%의 합성 세제활성화합물(a2)을 함유하는 비누 분말.
  9. 제8항에 있어서, 총 세제활성화합물(a)의 20-28중량%의 합성 세제활성화합물(a2)을 함유하는 비누 분말.
  10. 제8항에 있어서, 합성 세제활성화합물(a2)는 알킬에테르 황산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
  11. 제1항에 있어서, 180㎛ 보다 작은 입자를 20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
  12. 다음과 같은 성분, 즉 (a) 다음과 같은 물질로 구성되는 유기세제 활성화합물 35-80중량% (a1) 20℃ 이하의 크라프트점(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정의됨)을 가지는 지방산비누(70-100중량%) (a2) 임의선택적인 비비누성 세제활성화합물(0-30중량%) (b) 무기염 및/또는 빌더염 20-65중량% (c) 임의선택적인 기타 세제 성분을 함유하는 입자상 출발물질을 교반 작용과 커팅작용을 함께 갖춘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처리함으로써, 벌크밀도가 600g/l 이상의 수준이 되도록 과립화 및 고밀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말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비누 분말은 벌크밀도가 650g/l 이상의 수준이 되도록 과립화 및 고밀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과립화 및 고밀도화는 근본적으로 수직 교반축을 가지는 보울형 고속혼합기/과립화기 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입자상 출발물질은 최소한 부분적으로 분무건조 분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과립화 및 고밀도화는 세분화된 입자상 유동보조제의 존재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세분화된 입자상 유동보조제는 무정형 알루미노규산 나트륨이며 1-7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10009289A 1990-06-06 1991-06-05 비누 분말 조성물 KR950004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09012613A GB9012613D0 (en) 1990-06-06 1990-06-06 Soap powder compositions
GB9012613.7 1990-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912A KR920000912A (ko) 1992-01-29
KR950004823B1 true KR950004823B1 (ko) 1995-05-13

Family

ID=1067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9289A KR950004823B1 (ko) 1990-06-06 1991-06-05 비누 분말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298183A (ko)
EP (1) EP0460897A3 (ko)
JP (1) JPH0765076B2 (ko)
KR (1) KR950004823B1 (ko)
AU (1) AU631994B2 (ko)
BR (1) BR9102334A (ko)
CA (1) CA2043570A1 (ko)
GB (1) GB9012613D0 (ko)
ZA (1) ZA914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3031A1 (de) * 1992-02-04 1993-08-05 Henkel Kgaa Verfahren zur herstellung fester wasch- und reinigungsmittel mit hohem schuettgewicht und verbesserter loesegeschwindigkeit
GB9216386D0 (en) * 1992-07-31 1992-09-16 Unilever Plc Use of aluminosilicates of the zeolite p type as low temperature calcium binders
WO1996035772A1 (en) * 1995-05-12 1996-11-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ap-based laundry bars with improved firmness
GB2323849A (en) * 1997-04-02 1998-10-07 Procter & Gamble Detergent composition
GB9711359D0 (en) * 1997-05-30 1997-07-30 Unilever Plc Detergent powder composition
JP2000290698A (ja) * 1999-04-02 2000-10-17 Asahi Denka Kogyo Kk 粉末洗浄剤組成物
EP1798280B1 (en) * 2004-08-11 2012-10-24 Nof Corporation Powder soap composition
RU2491929C2 (ru) * 2009-04-17 2013-09-10 Сабондама Соуп Ко., Лтд. Противовирусное средство и чистящее средство
US9157053B1 (en) 2009-07-01 2015-10-13 Thomas Tupaj Laundry washing machine deodoriz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74261B2 (en) * 1971-02-05 1976-07-15 Unilever Ltd. Detergent compositions
AT330930B (de) * 1973-04-13 1976-07-26 Henkel & C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esten, schuttfahigen wasch- oder reinigungsmitteln mit einem gehalt an calcium bindenden substanzen
US4605509A (en) * 1973-05-11 1986-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sodium aluminosilicate builders
GB2034741B (en) * 1978-10-23 1983-01-19 Unilever Ltd Soap powder
IN151416B (ko) * 1978-10-23 1983-04-16 Lever Hindustan Ltd
EP0042647A1 (en) * 1980-06-20 1981-12-30 Unilever N.V. Particulate, soap-containing detergent composition
GB8301503D0 (en) * 1983-01-20 1983-02-23 Unilever Plc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
EP0117568B1 (en) * 1983-01-20 1986-10-15 Unilever N.V.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
CA1275019A (en) * 1985-10-09 1990-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olubility
AU597909B2 (en) * 1985-10-09 1990-06-14 Procter & Gamble Company, The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solubility
JPS6286099A (ja) * 1985-10-12 1987-04-20 日本油脂株式会社 顆粒状複合石けんの製造法
JPS62240397A (ja) * 1986-04-11 1987-10-21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S62273300A (ja) * 1986-05-21 1987-11-27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2686508B2 (ja) * 1987-12-28 1997-12-08 ミヨシ油脂 株式会社 高密度粒状石けんの製造方法
JPH01271500A (ja) * 1988-04-22 1989-10-30 Nissan Setsuken Kk 溶解性に優れた高密度の粒状石けん
GB8817386D0 (en) * 1988-07-21 1988-08-24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 process for preparing them
GB8810193D0 (en) * 1988-04-29 1988-06-0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 process for preparing them
CA1323277C (en) * 1988-04-29 1993-10-19 Robert Donaldson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s
GB8811672D0 (en) * 1988-05-17 1988-06-2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IN170991B (ko) * 1988-07-21 1992-06-27 Lever Hindustan Ltd
JPH02114200A (ja) * 1988-10-25 1990-04-26 Toshiba Corp 燃料チャンネル取扱具
EP0367339B1 (en) * 1988-11-02 1996-03-13 Unilever N.V. Process for preparing a high bulk density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CA2001927C (en) * 1988-11-03 1999-12-21 Graham Thomas Brown Aluminosilicates and detergent compositions
GB8907187D0 (en) * 1989-03-30 1989-05-10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GB8922018D0 (en) * 1989-09-29 1989-11-15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GB8924294D0 (en) * 1989-10-27 1989-12-13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s
JPH1172500A (ja) * 1997-08-29 1999-03-16 Nippon Seiko Kk 回転速度検出装置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60897A3 (en) 1993-01-07
US5298183A (en) 1994-03-29
JPH04314800A (ja) 1992-11-05
BR9102334A (pt) 1992-01-07
JPH0765076B2 (ja) 1995-07-12
AU631994B2 (en) 1992-12-10
EP0460897A2 (en) 1991-12-11
ZA914330B (en) 1993-02-24
CA2043570A1 (en) 1991-12-07
GB9012613D0 (en) 1990-07-25
KR920000912A (ko) 1992-01-29
AU7811291A (en) 1991-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5061B1 (ko) 고벌크밀도 과립형 세제조성물의 제조방법
KR930005063B1 (ko) 세제조성물
MXPA05004773A (es) Composicion de detergente de lavanderia.
IE57756B1 (en) Detergent with fabric softener
KR920004791B1 (ko) 세제조성물
CA1166115A (en) Method of depositing perfume and compositions therefor
KR950004823B1 (ko) 비누 분말 조성물
JP2004536927A (ja) 実質的に無水の構造化された界面活性剤ペーストを作製する方法及びそれを含有する洗剤組成物
WO2013054624A1 (ja) 衣料用粉末洗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01687B1 (ko) 점토를 함유하는 부피 밀도가 높은 세제 분말의 제조 방법
JPH04363397A (ja) 洗剤組成物
JPH02178398A (ja) 高嵩密度洗剤組成物
US6589931B2 (en)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an improved solubility
JP2802450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H06248300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EP0328190B1 (en) Particulate laundry detergent composition
JP2547444B2 (ja) 濃縮高比重衣料用粉末洗剤
JPH0436398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EP1299511B1 (en) Granular detergent composition having an improved solubility
EP0700427B1 (en) Detergent compositions
JP2800162B2 (ja) 洗浄剤組成物
CN1157471C (zh) 高堆积密度的洗涤剂组合物的生产方法
JP2587700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S63161096A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4219510B2 (ja) 高嵩密度洗剤粒子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