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4590Y1 -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 Google Patents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4590Y1
KR950004590Y1 KR2019890017982U KR890017982U KR950004590Y1 KR 950004590 Y1 KR950004590 Y1 KR 950004590Y1 KR 2019890017982 U KR2019890017982 U KR 2019890017982U KR 890017982 U KR890017982 U KR 890017982U KR 950004590 Y1 KR950004590 Y1 KR 950004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leds
image
orig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9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572U (ko
Inventor
김만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79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4590Y1/ko
Publication of KR9100095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5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4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5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G03G15/04036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 G03G15/04045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 G03G15/04054Details of illuminating systems, e.g. lamps, reflectors for exposing image information provided otherwise than by direct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to the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e.g. digital copiers by LED array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4Arrangements for exposing and producing an image
    • G03G2215/0402Exposure devices
    • G03G2215/0407Light-emitting array or panel
    • G03G2215/0409Light-emitting diodes, i.e. LED-arr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제1도는 광학적 독취장치의 이미지현상에 대한 예시도.
제2(a), (b)도 는 셰이딩(Shading)현상의 생성원리를 그린 도면.
제3도는 독취장치에서의 독취폭에 따른 셰이딩현상의 발생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제4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
제5도는 셰이딩현상의 보상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고 2 : 광원
3 : 반사거울 4 : 집광렌즈
5 : 이미지 센서
본 고안은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에 관한 것으로, 예컨대 칼라스캐너나 팩시밀리 또는 디지탈복사기 등과 같은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을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로써 사용하기 위하여 3원색(적색, 녹색, 청색)의 LED를 일렬로 배열시켜 셰이딩(Shading)현상을 보정할 수 있도록 창안된 칼라광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광학적 독취장치에 대한 이미지현상방식은,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3원색중 선택 광원(2), 예컨대 적색이 원고(1)에 비춰지면 적색(Red)에 대한 이미지가 반사거울(3)에 반사되어 집광렌즈(4)에서 집광되고 이미지센서(5)에 결상되며, 순차적으로 다음 광원인 녹색(Green), 청색(Blue)이 점멸하면서 이들 3원색(Red, Green, Blue)의 이미지가 이미지센서에 결상되어 전기적신호로 바뀌게 된다.
특히,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집광렌즈(4)와 이미지센서(5)사이에는 색분해장치가 설치되어 이곳에서 광원의 색분해가 이루어져 칼라이미지가 이미지센서(5)에 결상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종래의 형광램프 광원은 그 길이방향에서 양단부가 다소 줄어들고, 렌즈에 의해 맺혀지는 이미지도 양단부의 광량이 중앙부분 보다 적게되어(A2>A1) 제2와 같이 그림자가 생기는 셰이딩(Shading)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중앙부분의 광량을 줄여 전체적으로 평평하게 해주거나 별도의 전기적 신호를 처리해주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므로 이를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와 기술이 필요하고, 이는 생산단가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없어 소비자의 구매의욕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어 왔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칼라광원으로 3원색 LED(이하 "R. G. LED"로 칭함)를 사용하되, 셰이딩현상을 해소시키기 위해 일렬로 배치시킨 구조를 갖도록 하고, 양단부의 LED는 중앙부의 LED보다 고전압을 가해 보다 밝게 광량을 조절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일렬로 배열시킨 LED의 광량을 조절하여 셰이딩현상이 해소되므로 광학적 독취장치의 선명한 이미지결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본 고안의 1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독취할 원고의 최대 폭 만큼 3원색 LED의 광원(2)을 배열시킨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으로서 원고(1)로부터의 높이(h)와 LED간의 간격(a)이 조절 가능하고, 상기 광원의 밝기 또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갖는 것이다.
즉 제4도와 같이, 종래와 같이 광원(2)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원고(1)를 비추고, 이 빛은 반사거울(3)에 반사되어 집광렌즈(4)를 통해 이미지센서(5)에 결상되는 원리를 응용하여, R. G. B LED를 일렬로 배열하여 칼라광원으로 이용하고, 이를 R. G. B LED중앙부의 R. G. B LED보다 양단부의 R. G. B LED의 광원이 보다 밝도록 적절히 조절할 수 있도록 배열시킨 것이다.
위의 구성에 따라 R. G. B LED중 먼저 R LED에 불이 켜져 광원이 원고를 비추면 원고의 R색이미지가 렌즈에 집광되어 이미지센서에 결상된다. 이어서 G LED, B LED를 상기와 같이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면 R. G. B의 3원색 이미지가 이미지센서에 결상되어 각각 전기적신호로 바뀌게 된다.
특히, 양단부의 R. G. B LED와 중앙부의 R. G. B LED의 밝기가 동일하여 제3도와 같이 셰이딩현상이 발생하던 점을 감안하여, 양단부의 R. G. B LED를 중앙부의 R. G. B LED보다 밝게하여 주면 제5도와 같이, 셰이딩현상이 발생하던 부위가 보상되어 선명하고 정확한 결상이 맺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광량의 미세한 리플(Ripple)은 광원(2)과 원고(1)의 높이(h)와 각 LED간의 간격(a)을 조절하므로서 그 허용범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원리의 본 고안은 광원인 LED를 일렬로 배열시켜 광량을 조절하게 되므로 대체효과도 매우 크며, 특히 정밀하고 선명한 결상이 맺어지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충족시킬 수 있고, 대체 광원 또는 기존의 것을 적용시키므로서 실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원고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된 빛을 이미지 센서에 결상하여 원고를 독취하는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전압을 인가하여 광량을 조절하는 적색, 청색, 녹색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순차적으로 반복해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적 독취장치인 광원.
KR2019890017982U 1989-11-30 1989-11-30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KR950004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982U KR950004590Y1 (ko) 1989-11-30 1989-11-30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982U KR950004590Y1 (ko) 1989-11-30 1989-11-30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72U KR910009572U (ko) 1991-06-28
KR950004590Y1 true KR950004590Y1 (ko) 1995-06-10

Family

ID=1929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982U KR950004590Y1 (ko) 1989-11-30 1989-11-30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45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572U (ko) 199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9718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00118355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KR950004590Y1 (ko) 광학적 독취장치의 광원
US4519703A (en) Document reproduction device utilizing a selective color illuminator
JP2884704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
JPS6130865A (ja) カラ−原稿読取装置
JPS589465A (ja) 光学読取装置
JPH03295353A (ja) カラー原稿読取装置
JPH0792619B2 (ja) カラー複写機の照明装置
JPS5913465A (ja) 原稿読取装置
JPS61123262A (ja) 原稿読取り装置
JP2570025B2 (ja) 原稿読取装置
JPH01288060A (ja) 画像入力装置
KR0131012Y1 (ko) 칼라 이미지 스캐너
JPH01154170A (ja) 複写装置
JPS60137166A (ja) カラ−画像読取装置
JP2000151905A (ja) セル構造に基づいた画像センサ
JPH0197050A (ja) 多色画像処理装置
JPS5980059A (ja) 多色原稿の読取装置
JPS623244A (ja) カラ−複写機の照度むら補正装置
JPS6032863B2 (ja) カラ−電子複写機における原稿照明方法
JPH027768A (ja) 画像入力装置
JPH0196766A (ja) 多色画像処理装置
JPS63246970A (ja) 照明装置
JPH03108866A (ja) 読取光学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