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692B1 - 젖병용 젖꼭지 - Google Patents

젖병용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692B1
KR950003692B1 KR1019920700911A KR920700911A KR950003692B1 KR 950003692 B1 KR950003692 B1 KR 950003692B1 KR 1019920700911 A KR1019920700911 A KR 1019920700911A KR 920700911 A KR920700911 A KR 920700911A KR 950003692 B1 KR950003692 B1 KR 950003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bottle
slit
beverage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210A (ko
Inventor
레이고 사까시타
Original Assignee
오스카 세이야꾸 주식회사
오스카 아끼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카 세이야꾸 주식회사, 오스카 아끼히꼬 filed Critical 오스카 세이야꾸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920702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1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 A61J11/002Teats having means for regulating the flow rate by us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젖병용 젖꼭지
제1도는 본 발명의 젖병용 젖꼭지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 확대단면도.
제3도는 슬릿을 폐쇄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젖꼭지의 측면도.
제5도는 젖꼭지의 사시도.
제6도는 유두부의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7-7선 단면도.
제8도는 송출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9-9선 단면도.
제10도는 유두부가 눌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11도는 송출구멍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2도는 유두부의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제13도는 측벽을 한면만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의 14-14선 단면도.
제15도는 연통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6도는 젖꼭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17-17선 단면도.
제18도 및 제19도는 유두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0도는 공기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1도는 칸막이벽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2도 및 제23도는 첵밸브를 2개 설치한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제24도는 제23도의 24-24선 단면도.
제25도는 종래의 젖꼭지의 1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젖꼭지 B : 젖병
C : 캡 1 : 유두부
2 : 몸통부 3 : 접속부
5 : 첵밸브 11 : 송출구멍
21 : 측벽 33 : 공기밸브
34 : 돌기 35 : 공동
51 : 칸막이벽 52 : 슬릿
53 : 핀호울 54 : 미소한 간격
본 발명은 씹는 동작(이하 씹는 근육의 동작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한다)에 의해서 수유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아이나 아동에 측두하악골증, 부정교합, 치주질환 등의 증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원인은 씹는 기관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최근의 유아는 이전의 유아에 비하여 씹는 능력이 낮다.
즉, 씹는 힘이 약하다.
일반적으로, 씹는 능력의 발달에는 3가지 단계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고 있다.
그 중, 초기단계는 모유를 삼킴에 따라 씹는데 필요한 구강주위근육들의 기초적인 힘이 붙는 시기이고, 동시에 씹는다는 행동패턴을 얻는 시기이다.
최근, 인공유로 키워진 유아는 이 시기에 문제가 있다.
즉, 모유로 키워진 유아에 비하여 씹고 삼키고 하는 능력이 약하다.
또, 씹는 능력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초기단계에서 씹는 능력의 차이로 생긴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인공유는 유방과 유사한 형태를 한 고무젖꼭지를 통하여 젖병으로부터 유아로 공급된다.
종래의 젖꼭지는 제25도와 같이 우유를 빨아내는 구멍(81)이 있는 반구형의 유두부(80)와 젖병의 목부분에 접속되어 있는 플랜지형의 접속부(82)와의 사이에 중공의 몸통부(83)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유아는 상기 유두부(80)를 입에 넣는 상태로 빠른 동작을 함으로써 젖병내의 인공유를 빨아내는 구멍(81)을 통하여 먹을 수 있다.
즉, 유아는 오로지 빨아들인다는 동작에 의해서 우유를 먹는다.
본 발명자는 연구결과, 상기 종래의 젖병용 젖꼭지는 우유를 먹는데 씹는 동작이 필요없다는 점에서 인공유로 키워진 유압의 씹는 기관의 발달이 나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것에 비해 모유는 먹는데에는 어머니의 젖꼭지를 씹는 동작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모유로 키워진 유아는 씹는 기관이 양호하게 발달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유두부와 몸통부와의 사이에 유두부를 압축함에 따라 음료의 유통을 규제하고, 압축을 제거함으로써 음료의 유통을 허용하는 첵밸브를 갖춘 젖병용 젖꼭지를 제안하였다. (EP-A-O 384,394참조).
이 젖병용 젖꼭지에 의하면, 압축된 유두부의 압축을 제거한 상태에서 첵밸브가 음료의 유통을 허용하기 때문에 젖병내의 우유 그밖의 음료를 첵밸브를 통하여 유두부에 도입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유두부를 씹어 수축시키면 첵밸브가 음료의 유통을 규제하기 때문에 유두부에 도입된 음료를 유두부의 송출구멍을 통하여 입속으로 송출할 수 있다.
그러나, 유아는 젖꼭지를 반복해서 씹음으로써 젖병에 있는 음료를 차례로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빨아들이는 동작없이 씹는 동작으로 우유 등의 음료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인공유로 키워진 유아의 씹는 기관을 충분히 발달시킬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를 실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아가 젖병안의 음료를 계속 먹게 되면 젖병안이나 젖꼭지내에 부압이 걸리는 경향이 있다.
이 때문에, 첵밸브를 설치한 젖병용 젖꼭지에서는 부압상태가 상당히 진척되면 압축된 유두부가 복원되지 않고 첵밸브가 폐쇄상태로 잠겨 버린다.
이와 같은 체밸브의 잠긴 상태는 압축된 유두부가 복원될 때 송출구멍을 통하여 공기가 유두부내에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음료의 송출시에만 열리고 그 이외에는 폐쇄되는 구조의 송출구멍을 채용한 경우에 특히 발생하기 쉽다.
이와 같이 첵밸브가 폐쇄상태로 잠기게 되면 젖꼭지의 몸통부에서 유두부로의 음료유통이 차단되기 때문에 유두부가 눌린채 어지간한 원상태로 회복되지 않고, 젖꼭지로부터의 음료송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된 것이고, 인공유로 키워진 유아의 씹는 기관을 충분히 발달시킬 수 있으며, 음료가 송출되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젖병용 젖꼭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의 목부분에 접속되는 접속부, 접속부에 연속하는 중공의 몸통부, 몸통부에 연속하는 유두부, 유두부로부터 음료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구멍, 젖꼭지 내부를 칸막이하기 위하여 몸통부와 유두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칸막이벽, 칸막이벽에 형성되어 젖꼭지가 가압되지 않은 자유상태로 구멍이 열리게 되어 몸통부와 유두부 사이의 음료가 유통되게 하며 유아가 젖꼭지를 가압하면 폐쇄되어 몸퉁부에서 유두부 사이의 음료의 유통을 규제하는 슬릿, 칸막이벽에 형성되어 슬릿이 폐쇄된 상태에서 몸통부에서 유두부로 소량의 음료가 유통되는 연통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구성의 젖병용 젖꼭지에 의하면, 유아에 의해서 젖꼭지가 가압되지 않을 때에 구멍이 열린 슬릿을 통하여 젖병내의 우유 그밖의 음료를 유두부로 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유아에 의해서 젖꼭지가 가압되면 슬릿이 폐쇄되어 몸통부와 유두부와의 사이의 음료가 유통이 규제되기 때문에 유두부에 도입된 음료를 유두부의 송출구멍을 통하여 입속으로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아는 젖꼭지를 반복해서 씹음으로써 젖병에 있는 음료를 차례로 먹을 수 있다.
또, 반면에 일단 수축된 유두부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아 슬릿이 폐쇄상태로 잠겨도 칸막이벽에 설치된 연통부를 통하여 몸통부에서 유두부로 소량의 음료가 도입되기 때문에 눌린 유듀부가 복원되기 시작하고, 이것을 시초로 하여 폐쇄되어 있던 슬릿이 즉시 열려질 수 있다.
상기 접속부에는 젖병내부에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공기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 따라, 공기밸브를 통하여 젖병내부에 공기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가 젖병내부의 음료를 연속적으로 먹어도 젖병내부가 과도하게 부압에 걸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슬릿이 폐쇄상태로 잠겨질 확률을 적게 할 수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젖병용 젖꼭지(A)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5도는 사시도이다.
젖꼭지(A)는 선단이 곡면으로 되어 있는 유두부(1)와 젖병(B)의 목부분(B1)에 접속되는 플랜지상의 접속부(3)를 테이퍼튜우브형의 몸통부(2)를 통하여 매끄럽게 연속시킨 것이다.
젖꼭지(A)는 이소프렌고무,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고무 등의 고무소재를 사출성형, 압공성형, 침지성형 등으로 소정형상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된 것이다.
젖꼭지(A)는 캡(C)과 젖병(B)의 목부분(B1)과의 사이에서 접속부(3)를 끼워 넣음으로써 젖병(B)에 접속된다.
유두부(1)의 꼭대기 부분에는 인공유 그밖의 음료를 젖꼭지(A)의 내부에서 유아의 입속으로 송출하기 위한 송출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송출구멍(11)으로는 크로스컷(제6도 및 제7도 참조), 이 크로스컷의 내면에 움푹들어간 부분(11a)이 있는 슈우퍼크로스컷(제8도 및 제9도 참조), Y자커트 등 음료를 송출할 때 이외에는 폐쇄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 채용되고 있다.
또, 유두부(1)의 측면에는 서로 마주보는 편평한 측벽(21)이 형성되어 있다.
젖꼭지(A)의 내부에는 유두부쪽(A1)과 접속부쪽(A2)을 칸막이하기 위하여 첵밸브(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첵밸브(5)는 유두부(1)와 몸통부(2) 사이에 설치된 칸막이벽(51)과 이 칸막이벽(51)의 중앙부에 형성된 슬릿(52)으로 되어 있다.
이 슬릿(52)은 제2도와 같이 측벽(21)과 평행방향으로 걸쳐 있다.
또, 슬릿(52)은 양끝부분에서 교차하는 2개의 오목면(52a)이 있고 양끝으로 가면서 서서히 폭이 좁아진다.
슬릿(52)의 최대 개구폭(L)은 0.5~5mm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첵밸브(5)의 슬릿(52)은 그 주위를 제2도의 화살표(X)로 표시하는 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폐쇄된다(제3도 참조).
이 슬릿(52)의 폐쇄에 따라 몸통부(2)와 유두부(1)와의 사이의 음료의 유통이 실질적으로 규제된다.
또, 압축을 해제하면 슬릿(52)이 개방되어 몸통부(2)와 유두부(1)와의 사이의 음료가 유통된다.
칸막이벽(51)에는 유두부(1)와 몸통부(2)를 연이어 통하는 연통부로서의 핀호울(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호울(53)은 칸막이벽(51)의 1곳 또는 여러곳에 형성되어 있고 슬릿(52)이 폐쇄된 상태에서 몸통부(2)에서 유두부(1)로 소량의 음료가 유통된다.
또한, 칸막이벽(51)의 두께는 슬릿(52)이 폐쇄된 상태에서 구부러지지 않도록 어느정도 두껍게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부(3)에는 젖병(B)의 목부분(B1)에 끼워 맞춘 오목형의 돌기(34)가 일정간격마다 있고, 이들 각 돌기(34)사이의 소정위치에 1개 또는 복수의 공기밸브(33)가 형성되어 있다(제1도 및 제4도 참조).
공기밸브(33)는 각 돌기(34)사이에 형성된 컵형의 공동(35)의 저부에 짧은 직선상의 슬릿(33a)을 형성한 것이다.
이 슬릿(33a)은 지름방향으로 나있다.
이것은 접속부(3)를 캡(C)으로 조인 경우에 슬릿(33a)이 캡(C)의 조이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공기밸브(33)는 돌기(34)사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돌기(34)에 의해서 외압으로부터 보호된다. 공동(35)의 돌출높이는 2mm정도가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0.6mm 이상으로 설정된다.
또한, 접속부(3)와 캡(C)과의 사이에는 공기밸브(33)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통로가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인 것이면, 유아는 젖꼭지(A)의 유두부(1)를 입게 넣으면 불능적으로 유두부(1)를 씹음으로써 그 씹는 동작에 따라 유두부(1)가 수축되고, 동시에 첵밸브(5)가 폐쇄되어 유두부(1)로 도입된 음료가 송출구멍(11)을 통하여 유아의 입으로 송출된다.
그리고, 유두부(1)의 압축이 제거되면 그 유두부(1)는 탄성복원력으로 원상태로 복원되고, 이것에 따라 첵밸브(5)의 슬릿(52)이 개방되어 몸통부(2)에서 유두부(1)로 재차 음료가 도입된다.
그러나, 유아는 유두부(1)를 반복하여 씹음으로써 젖병(B)안의 음료를 먹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젖꼭지(A)는 씹는 동작에 따라 음료를 먹을 수 있기 때문에 개구파열증의 유아도 용이하게 음료를 먹을 수 있다.
또, 젖꼭지(A)에는 칸막이벽(51)에 핀호울(5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젖병(B)의 내부나 몸통부(2) 및 압축된 유두부(1) 내부 등이 과도하게 부압되어 유두부(1)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고, 첵밸브(5)의 슬릿(52)이 폐쇄상태로 잠긴 경우에(제10도 참조) 핀호울(53)을 통하여 몸통부(2)에서 유두부(1) 쪽으로 음료를 도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눌린 유두부(1)가 원상태로 회복되기 시작하고 이것을 시초로 하여 슬릿(52)을 빨리 열 수 있다.
또한, 접속부(3)의 공기밸브(33)를 통하여 젖병(B)의 내부에 공기를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젖병(B)의 내부가 과도하게 부압될 수 있는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유아가 연속적으로 음료를 계속 먹는 경우에도 첵밸브(5)의 슬릿(52)이 폐쇄상태로 잠기는 확률을 가능한한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유두부(1)에 마주보는 편평한 측벽(21)이 형성되어 있고, 슬릿(52)이 편평한 측벽(21)과 평행방향으로 나있기 때문에 젖꼭지(A)를 유아의 입속으로 넣을 때 그 젖꼭지(A)의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즉, 젖꼭지(A)를 유아의 입속으로 넣을 때 편평한 측벽(21)이 유아의 잇몸과 평행하게 되도록 그 젖꼭지(A)를 유아의 입속에 넣는 것만으로 슬릿(52)을 적절한 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측벽(21)의 유아의 입에 맞기 때문에 젖꼭지(A)를 쉽게 씹을 수 있다.
또, 유두부(1)의 송출구멍(11)이 음료를 송출할 때외에는 폐쇄되기 때문에 슬릿(52)을 통하여 유두부(1)에 음료가 도입될 때 송출구멍(11)을 통하여 유두부(1)에 공기가 들어가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음료를 유두부(1)로 효율적으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몸통부(2)는 쉽게 눌리지 않도록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유아가 몸통부(2)를 입에 넣을 때 그 몸통부(2)가 쉽게 눌리면 목적으로 하는 턱의 운동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송출구멍(11)은 제11도와 같이 복수개가 있어도 좋다.
이 제11도의 송출구멍(11)은 길이가 0.5~1.5mm 정도로 짧은 커트라인으로 되어 있고, 그 갯수는 2~10개 정도이다
송출구멍(11)의 형성방향은 측벽(21)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송출구멍(11)은 젖꼭지(A)를 빨을 때에만 음료가 송출되기 어렵다.
그러나, 젖꼭지(A)를 씹으면 음료가 쉽게 송출된다.
따라서, 유아를 빠는 동작이 아닌 씹는 동작으로 음료를 먹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슬릿(52)의 최대 개구폭 L은 유두부(1)의 안쪽의 짧은 길이 L1(제12도 참조)의 1/2이하인 것이 좋다.
또, 슬릿(52)의 긴쪽방향의 치수 M은 유두부(1)의 안쪽의 긴 치수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최대 개구폭 L과 긴쪽방향의 치수 M과의 관계는
L/M=1/20~1/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긴쪽방향의 치수 M이 긴만큼 성형이 쉽고, 최대 개구폭 L이 적은만큼 쳇밸브(5)의 기능이 좋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젖꼭지(A)의 두께는 전체를 균일하게 해도 좋지만, 제2도에서의 좌우부분을 상하부분보다 두껍게 하면 압축된 유두부(1)를 복원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편평한 측벽(21)은 제13도 및 제14도와 같이 한면만 형성해도 좋다.
제15도는 핀호울(53) 대신에 슬릿(52)을 폐쇄한 상태에서 슬릿(52)의 양끝부분에 미소한 간격(54)을 형성함으로써 몸통부(2)와 유두부(1)를 통하게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슬릿(52)의 양끝부분에 종방향으로 나있는 짧은 직선부분(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제15도의 1점쇄선과 같이 슬릿(52)이 개폐된 상태로 그 양끝부분에 미소한 간격(54)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두부(1)가 원상태로 복원되지 않는 경우에도 간격(54)을 통하여 음료가 유두부(1)에 도입되어 슬릿(52)을 빨리 열 수 있다.
유두부(1)의 형상으로는 제16도 및 제17도와 같이 선단을 반구형으로 한 원형단면이어도 좋다.
또, 제18도와 같이 타원형의 단면이어도 좋다.
또한, 제19도와 같이 유아의 구강에 맞도록 소정의 방향성을 가져도 좋다.
또, 공기밸브(33)로는 제20도와 같이 접속부(3)를 관통하는 관통구멍만으로도 형성되어도 좋다.
첵밸브(5)의 칸막이벽(51)과 몸통부(2)의 내주면이란 제21도와 같이 곡면에 의해서 매끄럽게 연속시켜도 좋고, 이 경우에는 칸막이벽(51)의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슬릿(52)이 폐쇄된 상태에서 칸막이벽(51)이 구부러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예를들어 첵밸브(5)로는 소정의 간격으로 2개 형성해도 좋고(제22도 참조), 이 경우에는 유두부(1)의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각 칸막이벽(51)에 형성된 슬릿(52)을 서로 직행하는 방향으로 형성시키면(제23도 및 제24도 참조) 젖꼭지(A)를 2방향으로 선택하여 씹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젖병용 젖꼭지에 의하면 첵밸브의 슬릿이 폐쇄상태로 잠긴 경우에도 유두부와 몸통부를 통하여 연통부를 통하여 몸통부에서 유두부쪽으로 음료를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눌린 유두부가 원상태로 회복하기 시작하고 이것을 시초로 하여 슬릿을 빨리 열 수 있다.
이 때문에, 젖병내의 음료가 송출되지 않는다는 결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젖병의 목부분에 접속되는 접속부(3), 접속부에 연속하는 중공의 몸통부(2), 몸통부에 연속하는 유두부(1), 유두부로부터 음료를 송출하기 위한 송출구멍(11), 젖꼭지 내부를 칸막이하기 위하여 몸통부와 유두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칸막이벽(51), 칸막이벽에 형성되어 젖꼭지가 가압되지 않은 자유상태로 구멍이 열리게 되어 몸통부와 유두부 사이의 음료가 유통되게 하며, 유아가 젖꼭지를 가압하면 폐쇄되어 몸통부와 유두부 사이의 음료를 실질적으로 규제하는 슬릿(52), 칸막이벽에 형성되어 슬릿이 폐쇄된 상태에서 몸통부에서 유두부로 소량의 음료가 유통되는 연통부가 포함되어 있는 젖병용 젖꼭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연통부가 핀호울(53)인 젖병용 젖꼭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연통부가 슬릿을 폐쇄한 상태에서 슬릿의 양끝부분에 형성되는 있는 미소한 간격(54)인 젖병용 젖꼭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부에 젖병내부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하여 공기밸브(33)가 형성되어 있는 젖병용 젖꼭지.
  5. 제 4 항에 있어서, 공기밸브가 공동(35)과 이 공동에 형성된 직선상의 슬릿으로 되어 있는 젖병용 젖꼭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직선상의 슬릿이 지름방향으로 나있는 젖병용 젖꼭지.
  7. 제 1 항에 있어서, 유두부가 편평한 측벽(21)을 가지고 있으며, 슬릿이 편평한 측벽과 평행방향으로 나있는 젖병용 젖꼭지.
  8. 제 7 항에 있어서, 편평한 측벽이 서로 마주보며 2개 형성되어 있는 젖병용 젖꼭지.
KR1019920700911A 1990-08-20 1991-08-14 젖병용 젖꼭지 KR9500036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9801/1990 1990-08-20
JP21980190 1990-08-20
US70002391A 1991-05-14 1991-05-14
US07/700,023 1991-05-14
US07/700023 1991-05-14
PCT/JP1991/001082 WO1992003118A1 (en) 1990-08-20 1991-08-14 Nipple for nursing bo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210A KR920702210A (ko) 1992-09-03
KR950003692B1 true KR950003692B1 (ko) 1995-04-17

Family

ID=2652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911A KR950003692B1 (ko) 1990-08-20 1991-08-14 젖병용 젖꼭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496892B1 (ko)
KR (1) KR950003692B1 (ko)
DE (1) DE69109463T2 (ko)
ES (1) ES2077491B1 (ko)
GB (1) GB2252766B (ko)
NL (1) NL192777C (ko)
WO (1) WO19920031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57744B2 (en) 2003-01-24 2005-10-25 Insta-Mix, Inc. Nipple with multiple pinholes for baby bottle assembly
BE1015792A5 (fr) * 2003-11-19 2005-09-06 Belgian Diagnostic Company S A Tetine de biberon.
US7540388B2 (en) 2004-05-07 2009-06-02 Medela Holding Ag Artificial feeding nipple tip with variable flow construction
EP1681045B1 (de) * 2005-01-13 2009-05-06 Lamprecht AG Sauger für Trinkgefässe, insbesondere Säuglingsflaschen
AU2005329741B2 (en) * 2005-03-31 2011-02-24 Mayborn (Uk) Limited Vented teat
TWI329012B (en) * 2005-12-08 2010-08-21 Otsuka Pharma Co Ltd 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EP2296604B1 (en) 2008-07-07 2016-05-04 Koninklijke Philips N.V. Peristaltic teat
FR2949322B1 (fr) * 2009-09-03 2013-01-11 Francois Fave-Lesage Systeme d'allaitement artificiel
GB2520315B (en) 2013-11-15 2017-12-06 Babyhappy Ltd Oral Syringes
EP3474932B1 (en) * 2016-06-22 2021-01-20 Capster Oü Nasal rinsing cap for bottles
US20180036207A1 (en) * 2016-08-02 2018-02-08 Edgardo Clores Baby bottle nipple and configurations thereof
EP3689321A1 (en) * 2019-02-01 2020-08-05 Koninklijke Philips N.V. Teat for use with a container for containing liqui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4728A (en) * 1928-04-27 1931-03-03 Earl L Oliver Reenforcing means for nipples
FR1124286A (fr) * 1955-05-13 1956-10-08 Filtre pour biberon
JPH01244760A (ja) * 1988-03-26 1989-09-29 Jiekusu Kk 哺乳瓶用乳首
AU625111B2 (en) * 1989-02-20 1992-07-02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Nipple for a nursing bottle
JP3927695B2 (ja) * 1998-07-16 2007-06-13 キヤノン株式会社 眼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77491B1 (es) 1996-08-01
NL9120007A (nl) 1992-08-03
EP0496892A4 (en) 1992-12-02
GB2252766B (en) 1994-06-01
EP0496892B1 (en) 1995-05-03
GB2252766A (en) 1992-08-19
GB9208136D0 (en) 1992-05-27
WO1992003118A1 (en) 1992-03-05
KR920702210A (ko) 1992-09-03
NL192777B (nl) 1997-10-01
DE69109463T2 (de) 1995-10-12
DE69109463D1 (de) 1995-06-08
ES2077491A1 (es) 1995-11-16
EP0496892A1 (en) 1992-08-05
NL192777C (nl) 1998-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4394B1 (en) Nipple for a nursing bottle
KR950003692B1 (ko) 젖병용 젖꼭지
US6575999B1 (en) Nipple pacifier
US6474268B1 (en) Composite chew toy
EP2253299B1 (en) Artificial nipple
US7682346B2 (en) Low-profile enterostomy device
US3924621A (en) Orthodontic device
EP1779833B1 (en) Artificial nipple, feeder, and method of producing artificial nipple
US7540388B2 (en) Artificial feeding nipple tip with variable flow construction
US5411491A (en) Low profile gastrostomy device with one-way cross-slit valve
US4586621A (en) Nipple for the feeding of nursing infants, or for stimulation of their buccal motions
TWI329012B (en) Artificial nipple for a nursing bottle
TWI598091B (zh) Artificial nipples and their use of the nipple and pacifier toys
KR100769545B1 (ko) 고무 젖꼭지
US5673806A (en) Teat for a baby's bottle, and a bottle fitted with such a teat
US6203566B1 (en) Pacifier
US20050224444A1 (en) Milk bottle nipple structure
JP2927547B2 (ja) 哺乳瓶用乳首
JP2549890Y2 (ja) 哺乳瓶用乳首
JP2000189496A (ja) 人工乳首
US20050224443A1 (en) Nursing bottle
AU644472B2 (en) Nipple for nursing bottle
US20060011572A1 (en) Infant nursing nipple
JP6447192B2 (ja) 哺乳びん用乳首
JP2622598B2 (ja) 哺乳器用乳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