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937B1 -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937B1
KR950002937B1 KR1019910018115A KR910018115A KR950002937B1 KR 950002937 B1 KR950002937 B1 KR 950002937B1 KR 1019910018115 A KR1019910018115 A KR 1019910018115A KR 910018115 A KR910018115 A KR 910018115A KR 950002937 B1 KR950002937 B1 KR 950002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guide rail
wheel
unit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7859A (ko
Inventor
가쓰요시 마끼무라
다쓰야 사까가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하마구찌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0819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6565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08198U external-priority patent/JP2538303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하마구찌 히데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후꾸
Publication of KR92000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9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3Electric propulsion by line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3/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 B61C13/08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systems or purposes for saddle or like balanced type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4Monorail systems
    • B61B13/06Saddle or like balanced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 1실시예를 예시하는 전체의 측면도,
제2도는 파워트롤리 위치에서의 정면도,
제3도는 파워트롤리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4도는 동 종단정면도,
제5도는 프리트롤리의 트롤리 본체와 후부 보조트롤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6도는 후부 보조트롤리를 도시하는 측면도,
제7도는 동 종단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운송용 전차 2 : 가이드 레일
3, 4, 7, 8 : 트롤리 9 : 피운송물지지대
10 : 트롤리 본체 12,13 : 신장부
14 : 개구부 15 : 위치결정용 홈
19,20 : 조향용 수직축 로울러 23 : 구동차륜유니트
25 : 구동차륜 26 : 종동차륜유니트
27 : 종동차륜
본 발명은 한가닥의 가이드 레일에 주행가능하게 지지되는 모노레일전차를 이용한 운송장치, 즉 한가닥의 가이드 레일, 이 가이드 레일위를 회전이동하는 1개의 구동차륜을 가지는 구동차륜유니트와, 차륜유니트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트롤리 본체로 구성되는 파워트롤리, 상기 가이드 레일 위를 회전이동하는 1개의 종동차륜을 가지는 종동차륜유니트와, 이 차륜 유니트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트롤리 본체로 형성되는 프리트롤리 및, 전후 양단이 상기 양 트롤리의 상단에 각각 수직지지축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운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 1의 문제점 및 해결수단)
이 종류의 운송장치로, 특히 상기 각 트롤리 본체가 상기 각 차륜 유니트를 상단에서 착탈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한쪽에 위치하는 수직지주부와, 이 수직지주부의 상하 양만으로부터 상기가이드 레일의 상하 양단에 달아내도륵 일체로 연이어설치된 상하 각 신장부로 구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종래 이 종류의 운송장치에서는, 상기 트롤리 본체의 윗쪽 신장부를 상기 차륜의 전후 양쪽위치에서 각각 독립하여 외팔지지형상으로 달아내는 전후 2개의 아암부로부터 구성되고, 이 양 아암부의 선단과 기부에 상기 조향용 수직축로울러를 축받이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대형 중량물을 취급하는 전차의 경우, 트롤리에 작용하는 큰 하중에 의해 상기 트롤리 본체의 윗쪽 신장부에 있어서의 아암부가, 비틀림 변형을 일으켜 조향용 수직축 로울러와 가이드 례일리 정상으로 맞닿지 않게되어, 원활한 주행이 방해되거나, 상기 아암부나 로울러가 파손될 우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제1의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특징은 상기트롤리 본체의 윗쪽 신장부를 평면에서 보아 주위가 닫혀진 상하방향의 개구부를 가지는 4각형 틀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개구부의 주위에 상기 조향용 수직축로울러를 축받이하고, 상기 구동차륜 및 종동차륜을 상기 윗쪽 신장부의 개구부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운점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조향용 수직축로울러를 축받이 하는 윗쪽 신장부가, 각각 독립하여 외팔지지형상으로 달아내는 2개의 아암부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윗쪽 신장부 전체의 비틀림강도가 현저하게 증강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트롤리 본체를 가지는 파워트롤리 및 프리트롤리의 상단에서 지지되는 피운송물 지지대에, 대형중량물을 탑재하는 대형중량물 전차로서 실시할 경우에도, 상기 윗쪽 신장부의 비틀림 변형에 의해 조향용 수직축로울러와 가이드 레일간에 뒤틀림이 생길 우려가 없어지고 항상 원활한 주행을 실현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윗쪽 신장부나 로울러 파손 우려도 해소된다.
또한 상기 신장부의 개구부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운 구동차륜 또는 종동 차륜을 축방향으로 탈착할 수 없게되나, 이들 차륜을 축받이하는 차륜유니트는 상기 트롤리 본체에 대하여 탈착이 자유이므로, 이 차륜유니트를 트롤리 본체로부터 제거함으로써 상기 차륜의 탈착이 지장없이 행해진다.
(제2의 문제점 및 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파워트롤리는 출력축에 구동차륜을 부착시킨 감속기와 모터로 형성되는 구동차륜유니트의 상기 감속기를 트롤리 본체의 상단에 부착시켜 구성하고, 프리트롤리는 종동차륜을 축받이한 종동차륜유니트를 트롤리 본체의 상단에 부착하여 구성하나, 당연히 상기 감속기에 비하여 단순히 종동차륜을 축받이만하는 상기 종동차륜유니트는 작고 높이 낮은 것이므로, 종래 이종류의 전차에서는 이들 구동차륜유니트(감속기)의 상단과 종동차륜유니트의 상단으로 피운송물 지지대를 지지시키기 위하여, 구동차륜유니트(감속기)측에는 높이가 낮은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를 부착하고, 종동차륜유니트측에는 높이가 높은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를 부착하여, 이들 전후 한쌍의 구조 및 크기가 다른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에 의해 피운송물 지지대를 지지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구조 및 크기가 다른 2개의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를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부착작업에 있어서도 2개의 축받이 유니트의 부착위치를 하나 하나 선택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으며, 그 특징은 상기 각 차륜유니트의 상단을 동일 레벨로 구성하고 이들 각 차륜유니트의 상단에 탈착자유롭게 부착된 동일구조 동일 크기의 축받이 유니트에, 상기 피운송물 지지대의 전후양단을 지지하는 수직지지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 점에 있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로서 같은 것을 2개 사용하면 되고,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와 함께 파워트롤리 및 프리트롤리로부터 피운송물 지지대를 제거하여 바닥면상에 적재할때에, 전후 한쌍의 피운송물 지지대 지지용 축받이 유니트가 같은 것이기 때문에, 이들 축받이 유니트를 통하여 피운송물 지지대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바닥면위에 적재할 수 있다.
(제3의 문제점 및 해결수단)
상기와 같은 모노레일전차에는, 가이드 레일측에 부설된 전기공급전선으로부터 운송용 전차측의 집전유니트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 및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파워트롤리의 모터를 가동시키기 위하여 제어유니트가 필요하다.
이 제어유니트는 비교적 대형의 중량물이기 때문에, 종래의 이 종류의 운송용 전차에서는 이 제어유니트를 상기 파워트롤리와 프리트롤리로 지지된 피운송물 지지대의 바닥부에 부착하고 있었다.
한편, 파워트롤리와 프리트롤리는, 수평커브경로부분에 있어서도 지장없이 주행할 수 있도록, 피운송물지지대에 대하여 수직지지축의 주위에서 상대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되므로, 파워트롤리의 모터와 상기피운송물 지지대측의 제어유니트와의 사이 및, 파워트롤리와의 사이의 접속케이블은, 상기 트롤리와 피운송물 지지대와의 사이의 수평방향 상대요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가설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배선 코스트가 높아질뿐만 아니라 상기 접속케이블의 사용수명도 짧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고, 그 특징은 상기 피운송물 지지대를 지지하는 전후 한쌍의 수직지지축을, 상기 각 트롤러의 차륜유니트에 부착시킨 축받이 유니트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로위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파워트롤리측의 상기 축받이 유니트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중간으로하여 상기 파워트롤리와 좌우 배분형상이 되도록 제어유니트를 부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부설된 전기공급전선에 미끄럼 접촉하는 집전유니트를 상기 파워트롤리에 부착시킨 점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대형으로 중량물로 되는 제어유니트와 집전유니트를 파워트롤리에 부착하였으므로, 피운송물 지지대에 제어유니트를 부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기 제어유니트와 파워트롤리의 차륜구동용 모터 사이의 접속케이브리나, 상기 제어유니트와 집전유니트 사이의 접속케이블을 고정적으로 배열설치할 수 있으므로 배선코스트를 내릴 수 있는 동시에, 접속케이블의 사용수명도 길어진다.
더구나 상기 제어유니트를 파워트롤리의 가이드 례일측과는 반대측에 부착하는 것이 아니고, 가이드 레일을 중간으로 하여 파워트롤리와 좌우 배분 형상이 되도록 이 파워트롤리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제어유니트를 포함하는 파워트롤리 전체의 좌우 밸런스가 개선되고, 파워트롤리에 축받이되는 조향옹 수직축로울러와 가이드 레일 사이의 당접력이 감소하여 이들 로울러나 가이드 레일의 마모손실도 적게되는 동시에, 전차자체의 수행도 원활하게 행해진다.
또 파워트롤리로부터 직접 상기 제어유니트를 지시하는 브래킷을 연이어 설치하는 것이 아니고, 파워트롤리를 피운송물 지지대에 원추형 접합하기 위한 축받이 유니트를 이용하고, 이 축받이 유니트에 브래킷을 통하여 상기 제어유니트를 부착하므로, 제어유니트 부착구조가 간단하게 되며 염가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제4의 문제점 및 해결수단)
이 종류의 운송장치에 있어서는 전차의 피운송물 지지대에 탑재되는 피운송물이 상기 파워트롤리와 프리트롤리간의 거리보다도 긴 경우에, 전차끼리의 접근시에 피운송물끼리 서로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양 트롤리의 적어도 한쪽에 연결로드를 통하여 보조트롤리를 연결하고, 이 보조트롤리에 선행정지전차를 검출하여 자동정지제어를 행하게 하기 위한 검출기 또는 피검추부가 부착되어 있다.
종래 이 종류의 보조트롤리 부착전차에 있어서는, 이 브조트롤리 자체가 한가닥의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자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이드 레일과 걸어맞추어지는 조향용 수직축 로울러에 의해 좌우 횡방향의 넘어짐은 방지되어 있으나, 가이드 레일의 상단 레일의 상단 레일면에 올라타는 1개의 차륜만으로는 전후방향(주행방향)의 넘어짐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자립시킬 수 없으므로, 전후방향에 2개의 차륜을 축받이하거나, 가이드레일 바닥면에 맞닿는 백업로울러를 병설할 필요가 있어, 대형으로 코스트가 오르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제4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고, 그 특징은 상기 파워트롤리의 프리트롤리와의 안쪽, 적어도 한쪽에 연결로드를 통하여 보조트롤리를 연결하고, 이 보조트롤리에 주행제어용검출기 또는 피검출부를 부착한 모노레일전차용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트롤리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 양단에 걸어맞추는 조향용 수직축로울러 이외에는, 이 가이드 레일의 상단면에 올라타는 1개의 차륜만을 축받이하고, 이 차륜의 축심높이 또는 그에 가까운 높이로 상기 연결로드를 연결하고, 이 연결로드의 양단은 상기 트롤리에 대하여 수평방향에만 상대요동이 가능하게 연결한 점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보조트롤리는 전차주행시에 상기 연결로드에 의해 뒤에서 밀거나 또는 잡아당겨지나, 이 연결로드에 의해 뒤에서 밀거나 또는 잡아당겨지는 위치가, 이 보조트롤리에 설치된 차륜의 축심높이 또는 그에 가까운 높이이며, 너구나 이 보조트롤리는 상기 연결로드에 의해 연결되는 파워트롤리 또는 프리트롤리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수평요동만이 허용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상단레일면에 올라타는 유일한 1개의 차륜으로 이 가이드 레일에 지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차륜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에 경사하여 움직이는 일없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보조트롤리를 소형경량 또는 심플하게 구성할 수 있고, 운송용 전차 전체의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로위 위치로부터 옆쪽편으로 비키게 하여 배열설치할때는,이 연결로드의 높이를 가이드 레일의 상단 레일면위에서부터 옆쪽편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이 상단 레일면높이에 접근시킬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트롤리에 가이드 레일면의 청소용 브러시를 부착설치하는 경우라도, 보조트롤리에 축받이되는 상기 차륜을 소직경으로 하고, 그리고 이 소직경 차륜의 축심높이 부근에서 상기 연결로드를 보조트롤리에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가지 특징에 대하여 열거하였으나, 이들 모두의 특징을 짜넣은 본 발명의 가장 적절한 실시예를 첨부한 예시도에 의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은 한가닥의 가이드 레일(2)에 주행가능하게 지지된 운송용 전차로서 파워트롤리(3)와 프리트롤리(4), 양 트롤리(3, 4)에 각각 연결로드(5, 6)를 통하여 보조트롤리(7, 8) 및 상기 파워트롤리(3)와 프리트롤리(4)에 의해 전후 양단부가 지지된 피운송물 지지대(9)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파워트롤리(3)와 프리트롤리(4)는, 동일구조, 동일크기의 트롤리 본체(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트롤리 본체(10)는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다 ㄷ자형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의 한쪽편에 위치하는 수직지주부(11)와, 이 수직지주부(11)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가이드 레일(2)의 윗쪽 및 아래쪽에 뻗은 신장부(12, 13)로 형성되며, 윗쪽 신장부(12)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보다 주위가 닫혀진 상하방향의 개구부(14)를 형성하는 4각형 틀형상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고, 수직 지주부(11)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대부(15)로부터 일체로 뻗은 전후 한쌍의 아암부(16a,16b)와, 양 아암부(16a,16b)의 선단부간에 일체성형된 연결브리지부(17)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부(14)의 4귀퉁이 근방위치에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단측 좌우 양측면(18a, 18b)을, 전후 2개소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4개의 조향용 수직축 로울러(19)가 축받이하고 있다.
또 아래측 신장부(13)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2)의 하단측 좌우 양측면(18c,18d)을 전후 2개소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4개의 조향용 수직축 로울러(20)가 축받이하고 있다.
상기 트롤리 본체(10)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대부(15)에는, 그 전폭에 걸쳐 좌우 횡방향의 위치결정용 홈(15a)이 형성되고, 파워트롤리(3)에 있어서의 지지대부(15)에는 모터(21)와 감속기(22)로 형성되는 구동차륜유니트(23)에 있어서의 상기 감속기(22)의 바닥면에 헝성된 좌우 횡방향의 돌출부(22a)를 상기 위치결정용 홈(15a)에 끼워맞춘 상태로, 이 감속기(22)를 지지대부(15)에 볼트(24)에 의해 탈착자유롭게 거치(置)하고, 감속기(22)의 출력축에 부착된 구동차륜(25)을 상기 트롤리 본체(10)의 윗쪽 신장부(12)에 있어서의 개구부(14)에 이동가능하게 끼운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단 레일면(18e) 상에 맞닿게 하고 있다.
프리트롤리(4)의 트롤리 본체(10)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내부(15)에는, 상기 파워트롤리(3)에 있어서의 구동차륜유니트(23)(감속기 22)의 거치구조와 동일한 거치구조를 가지고 종동차륜유니트(26)가 탈착자유롭게 거치되고, 이 종동차륜 유니트(26)에 축받이된 종동차륜(27)을, 상기 트롤리 본체(10)의 윗쪽 신장부(12)에 있어서의 개구부(14)에 이동가능하게 끼운 상태로, 상기 가이드 레일(2)의 상단 레일면(18e) 상에 맞닿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파워트롤리(3) 및 프리트롤리(4)에는, 상기 구동차륜(25) 및 종동 차륜(27)을 커버하는 원호형의 커버 플레이트(28)나, 주행시에 가이드 레일(2)의 상단 레일면(18e)을 청소하는 전후 한쌍의 청소브러시(29)를 필요에 따라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파워트롤리(3)의 구동차륜유니트(23)에 있어서의 감속기(22)의 상단과, 상기 프리트롤리(4)에 있어서의 종동차륜(26)의 상단에는, 동일구조 동일크기의 축받이 유니트(30, 31)가 외팔지지형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들 축받이 유니트(30, 31)에는, 가이드 레일(2)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수직 지지축(32)(제4도 참조)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들 수직지지축(32)의 상단에 부착된 부착시이트(33, 34)에 피운송물 지지대(9)의 전후 양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때 피운송물 지지대(9)가 가이드 레일(2)과 평행이 되도록, 상기 파워트롤리(3)의 구동차륜유니트(23)의 상단(감속기(22)의 상단)과, 상기 프리트롤리(4)에 있어서의 종동차륜유니트(26)의 상단이 동일레벨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바꾸어 말하면 종동차륜유니트(26)의 높이를 상기 감속기(22)의 높이에 맞추어서 높게하고 있다.
또 파워트롤리(3)의 트롤리 본체(10)에 있어서의 수직지주부(11)에는, 가이드레일(2)의 한측면에 부설된 전기공급전선유니트(35)에 미끄럼접합하는 집전유니트(36)가 부착되어있다.
이 집전유니트(36)를 통하여 전기공급전선유니트(3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차륜유니트(23)의 모터(21)등을 구동시킬때에 필요한 제어유니트(37)는, 제1도 및 제2도(제4도에서는 도시생략)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을 중간으로 하여 구동차륜유니트(23)와 좌우 배분되도록, 상기 파워트롤리(3) 측의 축받이 유니트(30)에 브래킷(38)을 통하여 부착하고 있다.
제1도에 도시하는 상기 보조트롤리(7, 8)는 동일구조 동일크기의 것으로 제6도 및 제7도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의 상단 레일면(18e) 상에 맞닿는 한개의 차륜(39)과, 가이드 레일(2)의 상단측 좌우 양측면(18a, 18b)을 좌우 양측에서 끼우는 2개의 조향용 수직축로울러(40)와, 가이드레일(2)의 하단측 좌우 양측면(18c, 18d)을 전후 2개소에서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4개의 조향용, 수직축로울러(41)를 구비하고, 필요에 따라 가이드 레일(2)의 상단 레일면(18e) 상을 청소하는 전후 한쌍의 청소브러시(42)가 부착되다.
또 각 보조트롤리(7, 8)에는 가이드 레일(2)의 옆쪽편 위치의 트롤리 상단에 좌우 횡방향의 수직부착판(43)이 세워설치되어 있고,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부 보조트롤러(8)의 수직부착판(43)에는, 광선반사면이 후방에 면하는 반사판(44)과, 후방에 수평으로 뻗은 자성판(45)이 부착되고 앞부분 보조트롤리(7)의 수직부착판(43)에는, 선행하는 운송용 전차(1)의 후부 보조트롤리(8)에 있어서의 상기 반사판(44)을 검출하는 반사식 광전센서로 이루어지는 감속용 거리센서(46)와, 상기 자성판(45)을 검출하는 정지용 근접스위치(47)가 부착된다.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트롤리(3, 4, 7, 8)에는 가이드 레일(2)에 대한 옆쪽편 위치에서 보조트롤리(7, 8)에 있어서의 차륜(39)의 축심레벨에 가까운 높이에 연결용 브래킷(48)이 부착되고, 이 연결용 브래킷(48)에 상기 연결로드(5, 6)의 양단이 수직핀(49)을 통하여 좌우 횡방향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 보조트롤리(7, 8)에는, 운송용 전차(1) 끼리의 최근접시에 서로 충돌하는 충돌브래킷(50, 51)이, 상기연결용 브래킷(48)의 전후방향에 인접하는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은, 이 가이드 레일(2)의 전기공급전선유니트(35)가 부착된 측면과는 반대측의 측면에 있어서 적당한 간격을 둔 위치에 부착된 거치용 브래킷(52)을 통하여, 바닥면위에 적당한 높이에 대략 수평으로 가설되어 있고, 직선경로부분과 수평커브경로 부분과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운송용 전차(1)는 집전유니트(36)를 통하여 전기공급 전선유니트(3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과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유니트(37)를 통하여 파워트롤리(3)의 모터(21)를 가동시켜, 이로서 구동차륜(25)을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가이드 레일(2)에 따라 자주(自走)시켜, 피운송물 지지대(9) 위에 탑재되는 피운송물을 운송할 수 있다.
이때, 전후의 보조트롤리(7, 8)는 연결로드(5, 6)에 의해 뒷밀이 또는 잡아당겨져서 파워트롤리(3) 및 프리트롤리(4)와 일체로 가이드 레일(2)에 따라 주행하나, 연결로드(5, 6)에 의해 뒤에서 밀거나 또는 잡아당겨지는 위치가 차륜(39)의 축심레벨에 가까운 높이일것, 중심위치가 차륜(39) 보다 충분히 아래쪽에 있을 것, 그리고 파워트롤리 및 프리트롤리(4)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연결로드(5, 6)의 양단 연결용 수직핀(49) 주위의 수평요동만이 허용되어 있음으로써, 1개의 차륜(39)으로 가이드 레일(2)에 지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차륜(39)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경사되어 움직이는 일없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2)의 수평커브경로부분에서는, 각 트롤리(3, 4, 7, 8)는 각각 조향용 수직축 로울러(19, 20, 40, 41)의 작동으로 가이드 레일(2)의 수평 커브에 따른 방향으로 조향운동하게 되나, 파워트롤리(3)와 프리트롤리(4)의 조향운동은 피운송물 지지대(9)에 대한 수직지지축(32) 주위의 상대회전에 따라 행해지고, 보조트롤리(7, 8)의 조항운동은 파워트롤리(3) 및 프리트롤리(4)에 대한 연결용 수직핀(49) 주위의 상대요동을 수반하여 행해진다.

Claims (6)

  1. 한가닥의 가이드 레일, 이 가이드 레일상을 회전이동하는 1개의 구동 차륜을 가지는 구동차륜유니트와, 이 차륜유니트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트롤리 본체로 이루어지는 파워트롤리, 상기 가이드 레일상을 회전이동하는 1개의 종동차륜을 가지는 종동차륜 유니트와, 이 차륜유니트를 상단에서 지지하는 트롤리 본체로 이루어지는 프리트롤리 및 전후양단이 상기 양 트롤리의 상단에 각각 수직지지축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운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로서, 상기 각 트롤리의 트롤리 본체가 각 상기 각 차륜유니트를 상단에서 탈착자유롭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의 한쪽에 위치하는 수직지주부와, 이 수직지주부의 상하 양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양쪽에 달아내도록 일체로 연이어 설치된 상하각 신장부로 구성하고, 상기 각 신장부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 양단에 걸어맞추는 조향용 수직축로울러를 축받이한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본체의 윗쪽 신장부를 평면에서 보아 주위가 닫혀진 상하방향의 개구부를 갖는 4각형틀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개구부의 주위에 상기 조향용 수직축로울러를 축받이하고, 상기 구동차륜 및 종동 차륜을 상기 윗족 신장부의 개구부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전차용 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롤리 본체의 수직지주부 상단과 상기 각 차륜유니트의 바닥부에 좌우 횡방향으로 상대 미끄럼움직이기 가능하게 서로 끼워맞추는 홈과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차륜유니트 상단을 동일레벨로 구성하고, 이들 각 차륜유니트의 상단에 탈착자유롭게 부착된 동일구조 동일크기의 축받이 유니트에, 상기 피운송물 지지대의 전후 양단을 지지하는 수직 지지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전차헝 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운송물 지지대를 지지하는 전후 한쌍의 수직 지지축을, 상기 각 트롤리의 차륜유니트에 부착한 축받이 유니트에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로위 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파워트롤리측의 상기 축받이 유니트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중간으로 하고 상기 파워트롤리와 좌우 배분형상이 되도록 제어유니트를 부착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부설된 전기공급전선에 미끄럼접촉하는 집전유니트를 상기파워트롤리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5. 한가닥의 가이드 레일, 이 가이드 레일상을 회전이동하는 구동차륜을 가지는 구동차륜유니트를 구비한 파워트롤리, 상기 가이드 레일상을 회전이동하는 종동차륜을 가지는 종동차륜유니트를 구비한 프리트롤리 및, 전후 양단이 상기 양 트롤리의 상단에 각각 수직지지축의 주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피운송물 지지대를 구비한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로서, 상기 파워트롤리와 프리트롤리와의 안쪽, 적어도 한쪽에 연결로드를 통하여 보조트롤리를 연결하고, 이 보조트롤리에 주행제어용 검출기 또는 피검출부를 부착한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조트롤리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하 양단에 걸어맞추는 조향용 수직축로울러 이외에는, 이 가이드 레일의 상단면에 올라타는 1개의 차륜만을 축받이하고, 이 차륜의 축심높이 또는 그에 가까운 높이로 상기 연결로드를 연결하고, 이 연결로드의 양단은 상기 트롤리에 대하여 수평방향에만 상대요동이 가능하게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를 상기 가이드 레일의 바로위 위치로부터 옆쪽편으로 비키게 하여 배열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노레일 전차형 운송장치.
KR1019910018115A 1990-10-15 1991-10-15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KR9500029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08198 1990-10-15
JP90-108194 1990-10-15
JP1990108194U JPH0465655U (ko) 1990-10-15 1990-10-15
JP1990108198U JP2538303Y2 (ja) 1990-10-15 1990-10-15 搬送用電車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859A KR920007859A (ko) 1992-05-27
KR950002937B1 true KR950002937B1 (ko) 1995-03-28

Family

ID=2644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8115A KR950002937B1 (ko) 1990-10-15 1991-10-15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03656A (ko)
KR (1) KR950002937B1 (ko)
CA (1) CA2053438C (ko)
DE (1) DE4134120C2 (ko)
ES (1) ES2048067B1 (ko)
FR (1) FR2667837B1 (ko)
GB (1) GB2248813B (ko)
IT (1) IT12519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01A (ko) * 2018-07-02 2020-01-10 (주)에쓰에이오프쇼어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13537C2 (de) * 1994-04-15 1996-11-28 Mannesmann Ag Fahrwerk für Hebezeuge
DE19506670A1 (de) * 1995-02-25 1996-08-29 Montech Ag Laufwagen zum Transport von Werkstücken
US5662045A (en) * 1995-09-06 1997-09-02 Symorex, Ltd. Locomotive for material handling train
US5676061A (en) * 1996-04-10 1997-10-14 Hk Systems, Inc. Carrier cell for a monorail sortation system
US5934198A (en) * 1998-02-25 1999-08-10 Fraser; Michael Monorail transportation system
EP1300310A1 (de) 2001-10-08 2003-04-09 Siemens Schweiz AG Einschienenförderbahn mit vertikal angeordneter Laufschiene
EP1300311A1 (de) 2001-10-08 2003-04-09 Siemens Schweiz AG Einschienenförderbahn mit horizontal angeordneter Laufschiene
DE102008032151B4 (de) * 2008-07-08 2017-06-01 Eisenmann Se Fördervorrichtung für Werkstücke mit einer Elektro-Schienenbahn
DE102010045010A1 (de) 2010-09-10 2012-03-15 Eisenmann Ag Fördereinheit und Fördersystem zum Fördern von Fahrzeugkarosserien sowie Anlage zur Behandlung von Fahrzeugkarosserien
CN103543295A (zh) * 2012-07-17 2014-0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测试转台
FI127757B (fi) * 2017-09-22 2019-02-15 Konecranes Global Oy Nosturin nostovaunu
EP4077176A2 (en) * 2019-12-16 2022-10-26 Laitram, L.L.C. Conveyor scrubb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1922A (en) * 1956-01-24 Vehicle for traverse on a monorail system
GB1247342A (en) * 1967-11-24 1971-09-22 Becorit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onorail conveyors and locomotives therefor
DE2320777A1 (de) * 1973-04-25 1974-11-07 Mannesmann Ag Haengebahn
LU78204A1 (de) * 1977-09-29 1979-05-25 Bleichert Foerderanlagen Gmbh Einschienenfoerderanlage
US4260869A (en) * 1978-05-30 1981-04-07 Midcon Pipeline Equipment Co. Traveling welding carriage
DE3030929C2 (de) * 1980-08-16 1983-01-05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Laufkatze
GB2175555B (en) * 1985-04-17 1989-02-01 Daifuku Kk Cart type conveying apparatus
GB2214146B (en) * 1987-12-26 1991-11-20 Daifuku Kk "conveyor trolley"
JPH061501Y2 (ja) * 1988-07-06 1994-01-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二次導体分割タイプのリニアモータ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US5065963A (en) * 1988-09-01 1991-11-19 Daifuku Co., Ltd. Transporting train travel control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3601A (ko) * 2018-07-02 2020-01-10 (주)에쓰에이오프쇼어 파이프라인 단부 매니폴드용 배관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121766D0 (en) 1991-11-27
ES2048067A2 (es) 1994-03-01
DE4134120A1 (de) 1992-04-16
IT1251926B (it) 1995-05-27
US5303656A (en) 1994-04-19
FR2667837B1 (fr) 1993-11-26
CA2053438A1 (en) 1992-04-16
KR920007859A (ko) 1992-05-27
GB2248813A (en) 1992-04-22
ITMI912715A1 (it) 1993-04-15
ES2048067B1 (es) 1997-07-01
CA2053438C (en) 1998-05-19
DE4134120C2 (de) 1996-08-08
ES2048067R (ko) 1996-12-16
GB2248813B (en) 1994-09-28
FR2667837A1 (fr) 1992-04-17
ITMI912715A0 (it) 199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937B1 (ko) 모노레일전차형 운송장치
KR890003876B1 (ko) 반송장치
JP3595951B2 (ja) 自動倉庫における移動台車の走行位置検出装置
JP2573699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設備
ES2097563T3 (es) Unidad de transporte de una instalacion transportadora a la altura del suelo.
JP2974329B2 (ja) 可動体の搬送設備
CN209758189U (zh) 翻板式分拣机器人
JPH0355488Y2 (ko)
CN219566637U (zh) 一种rgv小车
JPS616063A (ja) 電動走行台車利用の搬送装置
JPH0415767Y2 (ko)
JP3503728B2 (ja) 搬送車の被案内部構造
JP2538303Y2 (ja) 搬送用電車
JP2545270B2 (ja) ホーク式格納台車の駆動装置
JPH0773994B2 (ja) 自動車ドアの搬送装置
JPH0739866Y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JP3663263B2 (ja) 搬送車
JPH0813641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JPH0569795A (ja) 全方向移動台車
JPH0536784Y2 (ko)
JPH042125Y2 (ko)
GB1573302A (en) Conveying systems u
JPH03561A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JPH048087Y2 (ko)
JP4279908B2 (ja) 門形クレーンによるビレット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