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852B1 -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852B1
KR950002852B1 KR1019890001428A KR890001428A KR950002852B1 KR 950002852 B1 KR950002852 B1 KR 950002852B1 KR 1019890001428 A KR1019890001428 A KR 1019890001428A KR 890001428 A KR890001428 A KR 890001428A KR 950002852 B1 KR950002852 B1 KR 950002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eight ratio
composition
phenol ethoxylate
tr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542A (ko
Inventor
퍂 라즐로
살코지 피터
쏨 화이 에바
셰고 아드라스
세컬리 이스반
히다시 교지
졸탄 싼도르
덱 네 몰나르 아니코
헤쥐더스 애그니스
벌톡 벨라
보탈 산도르
가쟈리 안탈
내기 라죠스
Original Assignee
치노인 기오기스제르 에스 베기에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아라 알티
기울라 스주크 타마스 스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노인 기오기스제르 에스 베기에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아라 알티, 기울라 스주크 타마스 스주트 filed Critical 치노인 기오기스제르 에스 베기에스제티 테르메케크 기아라 알티
Publication of KR890012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본 발명은 피레트로이드를 활성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절지동물을 죽이는 효과가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온혈생물에게는 독성이 없는 몇 가지 피레트로이드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것으로 상승적으로 살충효과를 갖는 살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살충제 조성물은 피레트로이드 활성성분으로 1S트란스 R-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구조식 I), 테트라메트린이나트란스-테트라메트린(구조식 II), 피페로닐 부톡씨드(구조식 III) 뿐아니라 다른 피레트로이드계 물질 및 첨가제 등을 포함한다.
Figure kpo00001
이때, 구조식(I)의 화합물은 0.1∼20중량%, 구조식(II)의 화합물은 0.05∼10중량%, 구조식(III)의 화합물은 0.05∼10중량%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100%를 만들기 위하여 첨가제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다음의 약자를 사용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알파메트린=(S)-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1R, 3R)-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 및 (R)-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1S, 3S)-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
TET=테트라메트린=3, 4, 5, 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도-메틸(1RS)-시스-트란스-크리산티메이트
델타메트린=(S)-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1R,3R)-3-(2,2-디브롬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
트란스 TET=트란스 테트라메트린=3, 4, 5, 6-테트라하이드로 프탈이미도-메틸(1RS)-트란스 크리산티메이트
TRX=트란스믹스=1S트란스R-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와 1R트란스S-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혼합물
SF=상승상수
PBO=피페로닐 부톡싸이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온혈 생물에게는 실질적으로 독성이 없는 물질만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농업 및 원예해충(즉, 보존식품산업 및 냉장산업등에서 자주 접하게 되는 해충)에 사용될 수 있다.
여러종류의 기생하는 절지해충들은 목축산업에 큰 피해를 야기시킨다. 해충들은 동물을 불안하게 함으로써, 생산성과 체중을 감소시키며, 일상행동 양상을 교란시키기 때문에할 수 없이 동물을 도살하게 된다. 심각한 생산성 감소는 저장소에서 발견되는 절지해충에 의해 야기되는데, 이는 이 작물들은 이미 수확이 되었고(즉, 비용이 이미 연루되었다), 사람이나 동물에 유해한 물질이 수확물을 사용할 때 포함되지 않도록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말라리아, 황색병, 수면병, 이질, 흑사병등과 같은 여러가지 절지해충에 의해 전파되는 질병에서 보호하기 위해, 온혈생물에 무해하고 피부에 무해하며 피부자극이나 알레르기를 초래하지 않는 물질만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살충제는 신경계 독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하등 및 고등동물 모두에게 있어 신경계 기능에 해를 주게 한다[에프. 마쯔무라 : 살충제와 할로겐화 방향족 물질의 독성차이, 퍼가몬 프레스 1984]. 따라서, 대부분 조성물의 선택성은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다음과 같은 해충에 대해 뛰어난 활성을 보여준다 : 예컨데 ; 이들 해충은 하이드로태아 이리탄스, 모렐리아 심플렉스, 엠 호르토룸, 해마 토블라 종, 스토목시스 칼시트란스, 무스카 도메스티카, 엠. 아우 툼날리스, 그로씨나 종, 시무리움 종, 쿨리코이드, 프레보토무스 종, 타바니대와 같은 파리류 ; 제놉실라 종, 푸렉스 종, 크테노세팔리드 종과 같은 벼룩류 ; 시멕스 종, 트리아토마 종, 로드니우스 종, 트리아토마종과 같은 벌레류 ; 페디쿨러스 종, 프티리우스 푸비스, 다마리나아, 해마토피누스 같은 이류 ; 이속드, 스포로프테스 종, 스카비에이 같은 진드기류 ; 아노펠레스 종, 아에데스 종, 쿨렉스 종, 만소니아 종같은 모기류 ; 블라텔라 져매니카, 블라타 오리엔탈리스, 페리프라네타 아메리카나, 페리프라네타 오스트랄라지, 수펠라 론기팔파 같은 바퀴류 ; 트리볼리움 종, 트로고더마 종, 스테고비움 종, 시토필러스 종, 테네브리오 스플크, 스타고비움 파니세움, 시토트로가 세리아렐라, 자오로테스 서브페시아터스, 리조페르타 도미니카, 프티너스 종, 크리재필러스 수리나멘시스, 오 머카토르, 라지오더마 세리코네, 네크로비아 종, 더메스테스 종, 카르포포힐러스 종, 드립토레스테스 종, 메지움 종, 알피토비우스 디아펄시너스, 에이 래비가터스, 칼로소브루쳐스 종, 브루쳐스 종, 안쓰레너스 버바치, 이페스타아 종, 플로디아 인터펑텔라, 아카리스 시로, 티로파거스 푸트레, 티 센티 알레, 티 롱지노르, 티로리쿠스 카제이 같은 여러종류의 저장해충 ; 레피톱테라, 콜레옵테라, 헤테롭테라, 호모프테라, 히메놉테라, 딥테라, 아카리폼 등의 속에 속하는 농업해충등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살충제 조성물은 또 하나의 활성성분으로 0.1∼20중량%의 1R트란스S-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를 함유한다. 1S트란스R 대 1R트란스S의 비율은 0.7-1.3 : 1.3-0.7이며 바람직하게는 1 : 1로 한다. 사이퍼메트린(cypermethrin)의 4개의 트란스 이성체에서 가장 활성이 적은 1S트란스R 이성체는 테트라메트린과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와 함께 사용될 때 상승적인 활성과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온혈동물에 대해 가장 낮은 독성을 갖는다는 장점이 이용될 수 있으며, 뛰어난 선택성을 갖는 절지해충을 죽이는 조성물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승작용을 하는 조성물에 관한 데이타는 표 1과 같다.
집파리(무스카도메스티카)에 국부적 방법으로 실험한 트란스믹스 이성체와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의 상호작용의 효과.
[표 1]
Figure kpo00002
X=트란스 시페르메트린으로 계산한 것
부형제로 칼슘 아릴 술포네이트, 칼슘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와 같은 음이온 장력저하제(tenside)와, 노닐 또는 디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EO=16-20) 같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된다. 또, 조성물은 비이온 성분으로 트리스티닐 페놀 에톡실레이트(ED=20)등을 함유할 수도 있다. 충전제로 크실렌, 방향족 용매 혼합물, 지방족 탄수화물 혼합물, 알킬 벤젠, 광물성유 또는 식물성유와 고체담체등이 조성물에 함유될수도 있다.
조성물의 처방은 사용방법에 따라 다르다.
유화가 가능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음이온 장력저하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분과 용액등이 혼합물에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슘알킬아릴술포네이트 2-5%(중량비)가 음이온 장력저하제로, 노닐-, 디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EO=16-20) 1-2%(중량비)가 비이온 계면활성제로,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EO=20) 0.5-2%(중량비)가 비이온 성분으로, 크실렌이 용매로 사용될 수도 있다. 투명한 유화성 조성물은 음이옴 장력저하제로서 알킬아릴술포네이트중 칼슘염 2.5-9%(중량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노닐, 디노닐 페놀 에톡실레이트(EO=16-20) 1.25-3.5%(중량비), 또다른 비이온 성분으로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EO=20) 0.7-3.5%(중량비) 및 용매로 특히 크실렌 5-10%(중량비)에 에틸렌 글로콜 1-3%(중량비)와 나머지는 100%(중량비)에 이르도록 물을 사용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분산제와 담체등을 첨가함으로서 습윤성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 1-2%(중량비)와 중합된 나트륨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6-8%(중량비)가 분산제로, 규산 및 탈크가 담체로 사용될 수 있다.
물가나 넓은 들 등에서 볼 수 있는 모기와 같은 해충은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을 ULV(Ultra Low Volume의 약자로서 극소량 투약을 의미함)형으로 비행기 또는 헬리콥터에서 분산시킴으로써 박멸시킬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활성성분 이외에도 충전제로 1 : 100-1 : 2의 비율로 지방족 탄화수소 혼합물과 광물성유 또는 식물성유를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헝가리 특허출원번호 3245-87, 3246-87, 4975-87, 4974-87같은 다른 방법으로 처방될 수도 있다.
활성성분은 HU-PS 152 558 및 EPA 86900 830등의 알려진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공지된 피레트로이계 혼합물은 예를들어 페르메트린과 데카메트린의 혼합물(EP번호 5826)과 페르메트린과 테트라메트린의 혼합물(HU-PS 184 614, DOS 2704 066)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공지의 조성물보다 더 효과적이며 상기 공지의 조성물에 저항성을 갖는 종류에 대해서도 활성을 갖는다(생물학적실시예 3 참조).
본 발명의 상세한 점은 다음의 제한되지 않는 실시예에서 설명될 것이다.
I. 생물학적 실시예
실시예 1
실험동물 : 실험실에서 3∼5일간, 자란 암컷 집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 WHO/SRS성체를 양육했다.
활성성분인 N-부탄올 또는 에톡시 에탄올을 셀로솔브에 녹이고, 이 용액을 이산화탄소로 중간정도를 마취된 집파리의 등표피에 0.22μl를 떨어뜨린다. 설탕과 물이 임의로 들어 있는 플라스틱 용기내에 이 집파리를 넣었다가 24시간 후에 검사한다. 죽은 날파리의 비율을 백분율(사망률 %)로 나타내었다. 이 LD50는 프로비트분석법에 의해 얻어진 데이타로부터 산출된다. 이 조합으로 인한 상호작용은 성분활성도 자체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 기대활성치(E)와 측정활성치(M)의 비율로 나타난다. 측정활성치가 기대활성치보다 높다면 그 활성은 상승작용효과가 있고, 두 활성치가 동일하다면 그 활성은 누가작용이 있으며, 측정활성치가 기대활성치보다 낮을 때는 두 조성물사이에 길항작용이 있게 된다.
조합평균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기대치 :
Figure kpo00003
기대치와 측정치의 비율로 표현된 상승상수 :
Figure kpo00004
여기서 SF는 상승상수이고, A와 B는 조성물의 양 또는 그 조성물의 비율, 그리고 색인에서는 LD50에 연결된 값들이다.
얻어진 결과치는 표 1에서 볼 수 있듯이, 다양한 싸이퍼메트린 이성체의 서로 다른 작용에 근접한 1R트란S+1S트란스R(트란스믹스)이성체의 1 : 1혼합물의 두드러진 상승작용을 보여준다. 그 자체가 매우 활성적이지 못한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의 경우에 상승작용은 감소하는 LD50값으로 부터 추론할 수 있다. 국부적방법으로 측정된 집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SRS)에 대한 몇개의 싸이퍼메트린 이성체의 활성치에 대한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의 효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kpo00005
*피레트로이드와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의 비율=1 : 2
실시예 2
여러 비율의 트란스믹스+테트라메트린 혼합물은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와 함께, 그리고 없이 상기 방법으로 실험해 보았다.
두 성분(트란스믹스와 트란스메트린)의 단순한 조합의 경우, 보통의 길항작용을 나타내었다(표 3 참조). 그러나, 표 4에서는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와 혼합된 이중 조합의 기대하지 않은 상승작용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두 개의 피페트로이드 그 자체와 피페로닐 부톡싸이드의 어떤 상승작용으로도 설명될 수 없다. TET 그자체는 사용량에서 효과가 없었다.
[표 3]
국부적 방법으로 측정된 집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에 대한 여러 비율의 트란스믹스와 테트라메트린 혼합물의 효과
Figure kpo00006
[표 4]
국부적 방법으로 측정된 피페로닐 부톡싸이드, 트란스믹스와 테트라메트린의 집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 : SRS)에 대한 전체 효과
Figure kpo00007
실시예 3
저항곤충에 대한 효과실험
돼지농장으로부터 채집한 집파리유충(무스크 도메스티카, NTR)을 성충으로 길렀다. 페르메트린의 작용은 LD50값의 증가에 의해 실험되어, 큰 이종발생(heterogenicity)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용량효과곡선을 평평하게 하며, LD95의 증가를 늘리는 결과를 초래했다. 저항력을 강화하고 개체군과 적당수의 실험곤충의 동종발생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국부적으로 주어진 투여량(LD70)으로 각 세대마다 2000마리의 숫놈과 2000마리의 암놈파리에게 줌으로써 LD60의 수준으로 5세대동안 선택압력(selection pressure)을 받게 했다. 살아 남은 파리는 부모세대가 되었다. 양육은 사윅키(sawicki)에 의해 다음과 같이 실시되었다. 곤충들은 상기의 실시예 1에 의한 방법으로 관찰되었다.
LD50는 프로비트분석법에 의해 얻어졌다.
[표 5]
국부적 방법으로 시험된 집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 : NTR)에 대한 트란스믹스와 테트라메트린 조합의 효과
Figure kpo00008
P0=부모 세대
F6=자손 세대
트란스믹스+테트라메트린-피페로닐 부톡싸이드 혼합물의 저항 파리에 대한 효과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4
실시예 3 또는 실시예 4에 의해 제조된 유화가능한 농축물을 각각 200, 400, 800, 1600, 3200, 6400배의 물로 희석하여 얻어진 현탁제를 9㎝지름의 페트리접시에 2바(bar)의 압력으로 0.5ml씩 두겹 분무기로 뿌려주었다. 3-5일 건조시킨후, 늙은 암놈파리(무스카 도메스티카(SRS))를 각 용량에 따라 4복제(replicates)씩으로 하여 각 접시에 10마리씩 넣는다. 60분후 녹다운된 파리를 계산하여, 그 비율을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표 6참조)
[표 6]
Figure kpo00009
스토모산R=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한 페르메트린 200g/
Figure kpo00010
을 포함하는 조성물
녹다운 효과는 희석을 매우 많이 한 곳에서도 상당히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실시예 5
시험곤충 : 바퀴벌레(브라텔라 져매니카)
1 내지 2주일 연속실험 배양하여 얻어진 20마리의 숫놈바퀴를 낮은 농도의 이산화탄소 혼수상태에서 적합한 농도의 시험화합물의 0.02μl n-부탄올 용액으로 국부적으로 처리하였다. 처리후 3일에 임의로 물과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개밥을 프라스틱컵에 넣어 얻은 곤충을 관찰하였다. 사망한 곤충의 비를 퍼센트로 표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고 있다.
[표 7]
Figure kpo00011
실시예 6
시험곤충 : 말가루에 꾀어드는 딱정벌레(트리볼리움 콘푸섬)
1 내지 2주일 연속실험 배양하여 얻어진 20마리의 성체를 시험화합물의 0.22μl n-부탄올 용액으로 각각의 용량으로 처리하였다. 처리된 곤충을 탈지면 스토퍼로 봉인한 유리바이알에 넣었다. 24시간후 사망한 곤충의 퍼센트를 표 8에 나타내고 있다.
[표 8]
Figure kpo00012
II 조제실시예
유화가능한 농축액(실시예 1 내지 8)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칼슘염, 노닐페놀 및 디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그리고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를 40℃에서 크실렌 500ml에 용해하고, 피페트로이드를 교반하에서 첨가하여 그 용액을 20℃에서 1000ml로 완성하였다(표 9 참조).
표 9중에 1 내지 8에 따른 조성물을 +30℃에서 0.2, 1 및 5용적 % 중에 있는 CIPAC A 및 D물의 안정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시료를 54±2℃에서 14일간 열처리하고 주어진 온도에서 유화제의 안정성과 재분산성 시험을 상기 CIPAC물에서 수행하였다. 8개의 시료는 새로 제조한 시료와 같이 표준편차 10%내에서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었다.
현탁이 가능한 농축물
[표 9]
Figure kpo00013
투명용액
통상의 방법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알킬아릴술포네이트의 칼슘염, 알킬페놀에톡실레이트 및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를 적합한 양의 방향족 용매혼합물 중에 용해한 후 트랜스믹스와 테트라메트린올 40℃에서 첨가한다. 얻어진 용액을 8%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이온교환수 500ml에 붓고 8%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물로 20℃에서 1000ml로 완성하였다. (표 10, 실시예 9 내지 16 참조)
투명용액
[표 10]
Figure kpo00014
상기한 투명용액을, 유화가능한 농축액에 대해 기술한 방법에 따라 검사하였다. 저장 전후의 시료의 안정성이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실시예 17(ULV)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20g, 트랜스믹스 10g 및 테트라메트린 1g을 250ml의 솔베소(solvesso) 150에서 완전히 용해하여 파라핀유로 20℃에서 1000ml로 완성하였다.
실시예 18(ULV)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10g, 트랜스믹스 5g 및 테트라메트린 1g을 250ml의 솔베소 150에 용해한 후 해바라기유로 20℃에서 1000ml로 완성하였다.
실시예 19(ULV)
40℃에서 규산 745g에 대한 실험실 유동화 건조장치인 2층 부문기에 있어서, 2바(bar)액체압력과 3바 공기압력으로, 크실렌 200ml,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100g, 트랜스믹스 50g 및 테트라메트린 50g의 용액을 분무한다. 건조분말에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20g과 알킬나프탈린 술폰산의 중합화 나트륨염 80g을 혼합한다. 균일 분말혼합물은 울트라플렉스 분쇄기를 사용하여 20마이크로 미터이하의 크기로 분쇄한다.
습윤시간 : 16초
CIPAC에 의한 부유성 : 86%
실시예 20
크실렌 150ml,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20g, 트랜스믹스 10g 및 테트라메트린 1g의 용액을 실시예 19에 따라 규산 894g에 분무한다. 디옥틸술포숙시네이트 15g과 중합알킬 나프탈린 술폰산 나트륨 60g을 균질화기로 건조분말 혼합물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분쇄한다.
분말혼합물의 습윤시간 : 12초
부유성 : 88%
실시예 21
크실렌 75ml, PBO 2g, 트랜스믹스 1g 및 테트라메트린 0.1g의 용액을실시예 19에 주어진 방법에 따라 규산 996g에 분무한다. 분무제로서 분쇄하지 않고 생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22
크실렌 100ml, 피페로닐 부톡사이드 10g, 트랜스믹스 5g 및 테트라메트린 0.5g의 용액을 실시예 19에 주어진 규산 985g에 가한다. 분무제가 얻어진다.

Claims (9)

  1. 온혈생물에게 피해를 주지 않으며 몇가지 피레트로이드 활성성분을 가지며 상승작용이 있는 절지동물을 죽이는 조성물로서, 0.1-20%(중량비)의 1S트란스R-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싸이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구조식 I) ;
    Figure kpo00015
    0.05-10%(중량비)의 시스-트란스-테트라메트린(3, 4, 5, 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도-메틸)1RS(-시스-트란스-크리산테메이트 또는 트란스-테트라메트린(구조식II) ;
    Figure kpo00016
    0.1-40%(중량비)의 피페로닐 부톡싸이드(구조식 III) ; 그리고,
    Figure kpo00017
    나머지는 중량비 100%를 이루기 위해 다른 피레트로이드 또는 첨가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또 하나의 피레트로이드 활성제로서 0.1-20%(중량비)의 1R트란스S-알파-시아노-3-페녹시-벤질-3-(2, 2-디클로르비닐)-2, 2-디메틸 시클로프로판-카르복실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첨가물로서 0.01-20%(중량비)의 부형제 및/또는 착색제 및/또는 충전제를 함유하여 100%(중량비)를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0.01-20%(중량비)의 부형제, 특히 음이온 장력저하제로서 칼슘 도데실 벤젠 술포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노닐-, 디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EO=16-20) 및 또다른 비이온성 성분으로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EO=20)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용매로 크실렌, 방향족 용매 혼합물, 지방족 탄수화물 혼합물, 알킬벤젠, 광물성유 및/또는 식물성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충제 조성물.
  6.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 장력저하제로 2-5%(중량비)의 칼슘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1-2%(중량비)의 노닐-, 디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EO=16-20), 또 다른 비이온성분으로 0.5-2%(중량비)의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EO=20) 및 용매로 특히 크실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화성 농축 조성물.
  7.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이온 장력저하제로 2.5-9%(중량비)의 칼슘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EO=16-20)로 1.35-3.5%(중량비)의 노닐-, 디노닐-페놀 에톡실레이트, 또 다른 비이온성분(EO=20)으로 0.7-3.5%(중량비)의 트리스티릴 페놀 에톡실레이트 및 용매로 특히 크실렌 또는 1-3%(중량비)의 에틸렌 글리콜과, 물로 100%(중량비)에 이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한 유탁액 조성물.
  8.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산제로서 1-2%(중량비)의 디옥틸 술포숙시네이트와 6-8%(중량비)의 중합된 나트륨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및 담체로 규산 또는 활석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윤성 분말 조성물.
  9. 제3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진제로서 지방족 탄수화물 혼합물과 광물성유 및/또는 식물성유를 1 : 100-1 : 2비율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LV조성물.
KR1019890001428A 1988-02-05 1989-02-08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KR9500028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HU540/88 1988-02-05
HU88540A HU198830B (en) 1988-02-05 1988-02-05 Arthropodicides comprising cypermethrin trans-isomers and tetramethrin
HU3028/88 1988-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542A KR890012542A (ko) 1989-09-18
KR950002852B1 true KR950002852B1 (ko) 1995-03-27

Family

ID=10950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428A KR950002852B1 (ko) 1988-02-05 1989-02-08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4950682A (ko)
EP (1) EP0327467B1 (ko)
JP (1) JPH0768093B2 (ko)
KR (1) KR950002852B1 (ko)
CN (1) CN1028345C (ko)
AU (1) AU627445B2 (ko)
BG (1) BG60284B2 (ko)
CA (1) CA1317218C (ko)
CZ (1) CZ287305B6 (ko)
DD (1) DD278713A5 (ko)
DE (1) DE68911160T2 (ko)
DK (1) DK51689A (ko)
EG (1) EG18772A (ko)
ES (1) ES2012674A6 (ko)
FI (1) FI97017C (ko)
GR (1) GR1000584B (ko)
HK (1) HK1003968A1 (ko)
HU (1) HU198830B (ko)
IE (1) IE64475B1 (ko)
IL (1) IL89180A (ko)
NO (1) NO174134C (ko)
NZ (1) NZ227887A (ko)
PL (1) PL154475B1 (ko)
PT (1) PT89616B (ko)
RO (1) RO104069B1 (ko)
RU (1) RU2069058C1 (ko)
SK (1) SK76089A3 (ko)
UA (1) UA26842C2 (ko)
ZA (1) ZA89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12188D0 (en) * 1989-05-26 1989-07-12 Wellcome Found Pesticidal compositions
IT1247917B (it) * 1991-05-10 1995-01-05 Endura Spa Composizioni insetticide contenenti miscele ternarie di derivati del metilendiossibenzene e procedimento per la loro preparazione
AU666399B2 (en) * 1992-09-21 1996-02-08 Virbac (Australia) Pty Limited Pesticidal compositions
FR2729541B1 (fr) * 1995-01-20 2000-12-01 Jean Claude Attali Microemulsion aqueuse insecticide et parasiticide ,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d'utilisation
ATE211885T1 (de) * 1996-06-11 2002-02-15 Attavet Insektizide und antiparasitäre wässrige zusammensetzung,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US6117854A (en) * 1997-08-20 2000-09-12 The Clorox Company Enhanced performance insect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plant derived oil carrier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5906983A (en) * 1997-08-20 1999-05-25 The Clorox Company High fructose containing insecticid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W402485B (en) * 1998-05-26 2000-08-21 Sumitomo Chemical Co Pyrethroid compound and composition for controlling pest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UPP858299A0 (en) * 1999-02-08 1999-03-04 Virbac (Australia) Pty Limited Pesticidal compositions
AU1257900A (en) * 1999-11-18 2001-05-30 Ming Zhang Steel-plastic laminating profile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GB0209749D0 (en) * 2002-04-29 2002-06-05 Rothamsted Ex Res Station Compositions and methods
US7867479B2 (en) * 2003-11-14 2011-01-11 Bug Buster, Ltd. Compounds to affect insect behavior and/or bird behavior
US6958146B2 (en) * 2003-05-28 2005-10-25 Bug Buster Ltd. Compounds to affect insect behavior and to enhance insecticides
JP5066915B2 (ja) * 2006-04-03 2012-11-07 住友化学株式会社 1,3−ベンズジオキソール化合物とその用途
CN106857635A (zh) * 2016-12-31 2017-06-20 新昌县云河虫害防治技术开发有限公司 家用杀虫剂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7091A (en) * 1958-06-03 1962-12-04 Phillips Petroleum Co Insect combatting
US3308015A (en) * 1965-10-21 1967-03-07 Richardson Merrell Inc Synergistic insecticidal compositions
JPS5851921B2 (ja) * 1973-10-15 1983-11-1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ソツコウセイサツチユウ サツダニソセイブツ
FR2341307A1 (fr) * 1976-02-19 1977-09-16 Roussel Uclaf Pyrethrinoides a titre de medicament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DE2704066A1 (de) * 1977-02-01 1978-08-03 Neudorff & Co Chem Fab W Insektizidgemisch
DE2967512D1 (en) * 1978-05-30 1985-10-17 Wellcome Found Synergistic pyrethroid formulations and their preparation
JPS5527104A (en) * 1978-07-19 1980-02-27 Sumitomo Chem Co Ltd Pesticidal composition
FR2500265A1 (fr) * 1981-02-20 1982-08-27 Roussel Uclaf Compositions pesticides contenant un melange synergique de 1r, cis 2,2-dimethyl 3(2,2-dihalovinyl) cyclopropane-1-carboxylate de (s) a-cyano 3-phenoxybenzyle et d'autres composes pyrethrinoides
DE3267509D1 (en) * 1981-04-27 1986-01-02 Ici Plc Insecticidal compositions
HU190818B (en) * 1982-11-09 1986-11-28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i Termekek Gyara Rt,Hu Process for producing complexes of piperonyl-butoxide-cyclodextrin
CA1275108A (en) * 1985-01-16 1990-10-09 Laszlo Pap Insect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more than one active ingred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174134B (no) 1993-12-13
CZ76089A3 (cs) 1999-11-17
EP0327467A3 (en) 1990-08-08
SK279882B6 (sk) 1999-05-07
PT89616A (pt) 1989-10-04
BG60284B2 (bg) 1994-04-25
DK51689A (da) 1989-08-06
IL89180A0 (en) 1989-09-10
KR890012542A (ko) 1989-09-18
NO174134C (no) 1994-03-23
IL89180A (en) 1994-11-28
EG18772A (en) 1994-01-30
DD278713A5 (de) 1990-05-16
NO890453L (no) 1989-08-07
CN1028345C (zh) 1995-05-10
PT89616B (pt) 1994-01-31
HU198830B (en) 1989-12-28
FI97017C (fi) 1996-10-10
CN1038918A (zh) 1990-01-24
US4950682A (en) 1990-08-21
PL154475B1 (en) 1991-08-30
GR1000584B (el) 1992-08-26
PL277599A1 (en) 1989-10-16
HK1003968A1 (en) 1998-11-13
JPH01265003A (ja) 1989-10-23
JPH0768093B2 (ja) 1995-07-26
EP0327467B1 (en) 1993-12-08
NZ227887A (en) 1991-12-23
IE890330L (en) 1989-08-05
ZA89796B (en) 1989-10-25
RU2069058C1 (ru) 1996-11-20
FI890527A (fi) 1989-08-06
ES2012674A6 (es) 1990-04-01
IE64475B1 (en) 1995-08-09
CZ287305B6 (en) 2000-10-11
FI97017B (fi) 1996-06-28
RO104069B1 (en) 1993-04-15
DE68911160T2 (de) 1994-06-01
AU2965089A (en) 1989-08-10
FI890527A0 (fi) 1989-02-03
SK76089A3 (en) 1999-05-07
CA1317218C (en) 1993-05-04
DE68911160D1 (de) 1994-01-20
NO890453D0 (no) 1989-02-03
EP0327467A2 (en) 1989-08-09
UA26842C2 (uk) 1999-12-29
AU627445B2 (en) 1992-08-27
DK51689D0 (da) 198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2203827A1 (en) Method for controlling non-crop pests
KR950002852B1 (ko) 절지동물용 살충제 조성물
DE60114831T2 (de) Ungefährliche schädlingsbekämpfung
US7531187B2 (en) Synergistic insec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onicotynyle and pyrethroids compounds
US6124275A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controlling a pest population
AU2006238677B2 (en) Aerosol insecticide composition
JP2018095636A (ja) 害虫防除剤
DE602004006020T2 (de) Verwendung von n-arylhydrazinderivaten für die bekämpfung von schädlingen , welche kulturpflanzen nicht angreifen
AU2014290035A1 (en) Insect repellent
EP0005826B1 (en) Synergistic pyrethroid formulations and their preparation
US4386071A (en) Insecticidal natural bait composition and method of using same
EP0829203A1 (en) Insecticidal composition
AU2023100043A4 (en) Pesticide formulation comprising spinosad and s-methoprene
JPH0463841B2 (ko)
EP0235979B1 (en) Pesticidal formulations
KR101879472B1 (ko) 유해 생물 방제 조성물 및 유해 생물의 방제 방법
KR860000335B1 (ko) 곤충 살충제 조성물
WO1999062334A1 (en) Methods for controlling a pest population
JP2003095813A (ja) 動物の外部寄生虫駆除用液剤
HU195074B (en) Insecticide composition of several active components
KR840001227B1 (ko) 살충제 조성물
Miller New PoOsrsliabnidlioti, e sF lian.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Insecticides
WO1994014323A1 (en) Attracting and ingestion-stimulating agent for cockroach
JPS5948807B2 (ja) 殺ダニ、殺虫組成物
JPS62198605A (ja) 動物用殺虫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