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846B1 -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846B1
KR950002846B1 KR1019870008963A KR870008963A KR950002846B1 KR 950002846 B1 KR950002846 B1 KR 950002846B1 KR 1019870008963 A KR1019870008963 A KR 1019870008963A KR 870008963 A KR870008963 A KR 870008963A KR 950002846 B1 KR950002846 B1 KR 950002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umigation
methyl
cyclopent
propy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438A (ko
Inventor
시노부 야마모또
구니히로 오까다
사또시 오히
시로 오야마
야스하루 다께이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모리 히데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2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본 발명은 모기, 집파리 등의 곤충을 구제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소량의 활성성분을 함유하는 전기 훈증기에 사용되는 살충 매트용 살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의 조성물은 전열기 등에 의해 가열될 때, 장시간에 걸쳐 충분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어, 대기중에서 상기 활성성분을 훈증한다.
현재까지, 해충을 억제하는 여러가지 기구가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 기구에는, 소위 모기 코일(모기 구충향), 유상의 살충제, 에어로솔, 전기 훈증기 및 최근 개발된 촉매에 의한 메탄올의 산화를 이용한 캠프용 또는 야외작업용의 휴대용 모기 구충제가 포함된다. 상기의 기구들 가운데, 전기 훈증기가 널리 사용된다. 가열 훈증법에 의해 곤충을 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펄프, 아스베스토스, 무기성 다공질 물질, 다공질의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매트를 살충 피레트린제 제제로 함침시키고(침지 및 적가) 및/또는 피복시킨다. 그 다음 상기의 매트를 전열기 등에 의해서 약 120°∼200℃로 가열하여 장시간에 걸쳐 임의의 량의 살충 활성성분을 효과적으로 훈증한다.
상기 방법의 목적은 가열에 의해서 활성성분을 계속 훈증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살충 활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살충 제제는 피나민 포르테
Figure kpo00001
[dl-3-알킬-2-메틸시클로펜트-2-엔-4-온-1-일-d-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의 상품명)]와 같은 열훈증 가능한 살충제, 적당량의 훈증 조절제, 항산화제, 향료, 색소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열훈증 살충 매트를 단위 매트당 40mg이상의 상기 제제로 함침시켜 충분한 살중 활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열훈증 살충 매트내에서 살충제로서 사용되는 피나민 포트테는 낮은 열 안정성을 갖으므로, 즉, 쉽게 분해되는 성질이 있으므로, 열분해를 억제하기 위해서 항산화제를 부가한다. 또한, 피나민 포르테는 높은 증발성을 가지고 있어서 단시간내에 훈증되므로, 항산화제, 공력제(synergist) 및/또는 고비점을 갖는 유기 화합물을 훈증을 조절하기 위해서 부가한다. 피나민 포르테는 비교적 높은 녹초(knock-down)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피레트린제 살충제와 비교하여 볼때 낮은 치사효과를 나타낸다.
현재까지, 유상 또는 분말상 제제(제형), 유제 또는 에어로솔과 같은 상온-접촉형 제제의 치사효과를 증가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많은 연구가 행하여지고 있다. 상기의 결과로서, 피레트린제 살충제에 소위 공력제를 부가함으로써 살충 활성이 개선된다는 것이 확실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살충 활성은 살충 활성성분의 형태 또는 공력제, 그의 조합, 살충제의 형태 또는 해충의 종류에 의해서 크게 영향을 받는다. 어떤 경우에는, 공력제를 부가하여도 살충 활성의 개선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열훈증 제제에 대해서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믿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의 제제에 관한 상세한 보고는 의외로 거의 없다. 상기의 보고들 가운데, 모기 코일에 있어서 살충 활성의 변화 경향이 다른 제형에 있어서 살충 활성의 변화 경향과는 다르다고 보고하고 있는, 모기 코일에 관한 연구("합성 피레트린제의 살중 활성에 대하여", 봇유(가가꾸(살충 과학), 제37권, 11)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열훈증 살충 매트 제제를 시험하여 살충 활성 변화 경향이 상온-접촉형 제제에 의한 살충 활성의 변화 경향과는 다르다는 결과를 얻었다. 형태나 양에 따라서, 공력제의 부가는 때때로 개선 현상을 나타내지 않거나, 또는 때때로 훈증을 억제함으로써 활성을 약화시키기로 한다.
우선, 소비자의 건강이 현재보다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안전성의 관점에서, 소량의 살충 활성성분을 갖는, 즉, 낮은 독성과 환경오염이 적은 열훈증 살충 매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되는 살충 활성성분의 양이 적으면 제조단가를 낮출수가 있으므로 경제적으로 이롭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살충 활성성분에 미치는 공력제의 효과는 열훈증 살충 매트내에서 사용되는 제제에 있어서 충분히 분명하지는 않다. 공력제의 부가는 항상 살충 활성을 개선시키는 것은 아니며, 어떤 경우에 있어서는, 반대로 공력제의 형태 또는 양에 따라서 살충 활성을 감소시킨다. 물론, 이제까지 사용되어온 것보다 살충 활성성분의 함량이 적으며 장시간에 걸쳐 살충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능력을 갖는 열훈증 살충 매트는 수득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 집파리 등과 같은 곤충을 구제하는데 사용되는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며, 살충 매트내에서 소량의 살충 활성성분을 갖는 상기 조성물이 계속 대기중에서 살충 활성성분 및 공력제를 훈증할 수가 있어서 장시간에 걸쳐 충분한 살충 활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적으로 특별한 살충 활성성분, 특별한 몫의 특별한 공력제로 구성된 제제 및 다공질 매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의 매트를 상기의 제제로 함침시키고/또는 피복시킨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은 필수적으로 이하의 (A) 및 (B)로 구성된다 :
(A)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크리산테메이트(이하 PA라 약한다) 및 공력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PA에 대한 상기 공력제의 중량비가 0.5∼8인 제제의 유효 살충량, 및 (B) 다공질 매트, 상기의 다공질 매트는 상기의 제제로 함침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살충 활성성분에 대한 공력제의 훈증비가 사용되는 PA의 양이 적다고 할지라도 충분한 살충 활성이 장시간에 걸쳐 계속 나타나기 때문에, 장시간에 걸쳐서 높은 수준으로 유지된다는 것으로 높은 상승효과를 확실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살충 매트에는 상기의 PA가 5∼20mg 함유되어 있는 반면, 종래의 매트에는 일반적으로 약 2배량의 살충 활성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소량의 살충 활성성분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매트가 환경오염이 적으며 안전성이 높고 낮은 제조단가와 같은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공력제로서, α-[2-(2-부톡시에톡시)에톡시]-4,5-메틸렌디옥시-2-프로필톨루엔(이하 피페로닐 부톡시드라 약한다), 옥타클로로디프로필 에테르(이하 S-421이라 약한다) 및 N-(2-에틸헥실)-비시클로-[2,2,1]-헵트-5-엔-2,3-디카르복시이미드(이하 MGK-264라 약한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보다 바람직한 것은 피페로닐 부톡시드이다.
피나민 포르테를 사용하는 종래의 살충 매트에서는 상승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이하와 같다 :
첫째, 피나민 포르테의 증기압이 종래 사용된 공력제의 증기압과는 다르다. 따라서, 피나민 포르테와 비교하여 공력제가 보다 빨리 훈증되거나 또는 보다 느리게 훈증되어 상승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둘째, 피나민 포르테의 빠른 훈증으로 인해,피나민 포르테의 훈증율을 조절하는 것이 비교적 어렵다. 환언하면, 충분량의 공력제를 훈증하여 장시간에 걸쳐 상승효과가 나타나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공력제의 적당한 헝태 또는 몫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의 조건하에서, 소량의 살충 활성성분으로 충분한 살충 활성을 갖는 살충 매트를 수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제에서 사용되는 PA는, 피나민 포르테와 비교하여 볼 때, 낮은 훈증율과 높은 살충 활성과 같은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므로, 실질적으로는 넓은 범위의 함량내에서, 특별하게는 함량을 낮추어 사용할수가 있다.
그러나, PA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우수한 성질을 나타낸다고 하더라도, 함량이 너무 낮을때는 충분한 살충 활성을 나타낼 수가 없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높은 살충 활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공력제를 부가하여 상승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충분한 상승효과를 이용하여 살충 활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살충 활성성분에 대한 공력제의 훈증비를 올려주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장시간에 걸쳐 우수한 살충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이, 상기 언급한 PA 및 특별한 공력제를 특별한 함량비로 사용함으로써 살충 활성성분에 대한 공력제의 높은 훈증비로부터 제조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PA는 산 잔기로부터 유래한 기타 이성질체 및 산 잔기와 알코올 잔기의 비대칭 탄소원자로부터 유래한 광학 이성질체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이성질체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사용된 PA의 함량은 본 발명의 매트당 5∼20mg의 범위내이다. 그에 대한 한 이유는 본 발명의 목적이 사용되는 PA의 함량을 낮추는 것이고, 다른 이유는 PA를 높은 함량으로 사용할 때 살충 활성성분에 대한 공력제의 훈증비를 높게하여 수득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때때로 훈증비가 감소되는, PA 및 공력제의 훈증비를 조절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다. 상기 기재한 PA함량은 폭 22mm, 길이 35mm 및 두께 2mm의 매트를 기준으로 하며, 다른 크기의 매트를 사용할 때는, 상기 기재한 바와 같이 PA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매트는 1∼3mm범위내의 두께로, 바람직하게는 1.5∼2.5mm의 두께로 사용할 수가 있다.
PA에 대한 공력제의 중량비는 1/2∼8의 범위내이다. 비율이 1/2이하일 때, PA에 대한 공력제의 훈증비가 너무 낮아져서 충분한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반대로, 비율이 8을 넘으면, 곤충의 치사율은 단지 약간의 상승작용만을 보여준다. 따라서, 최대 치사율은 1∼4부근의 중량비내의 값으로 예상할 수가 있다.
PA 및 공력제 이외에, 항산화제, 기피제, 훈증 조절제, 향료 또는 색소를 본 발명의 제제에 부가할 수 있다. 크리산테메이트는 일반적으로 열, 빛 및 산화에 대한 안정성이 부족하므로,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적당량의 2,6-디-3차-부틸-4-메틸페놀(BHT), 3-3차-부틸-4-히드록시아니솔(BHA), 2,2'-메틸렌-비스(4-에틸-6-3차-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3차-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5-메틸-6-3차-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2-메틸-6-3차-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3차-부틸페놀), 4,4'-메틸랜-비스(2,6-디-3차-부틸페놀), 스테아릴-β-(3,5-디-3차-부틸-4-히드록시페놀)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3차-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3차-부틸)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3차-부틸-4-히드록시신나메이트)]메탄, 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및 디스테아릴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항산화제, 또는 벤조페논, 트리아졸, 살리실레이트 화합물 등으로부터 유래한 U.V.흡수제를 부가할 수가 있다.
PA에 대해서, 상기 언급한 항산화제 또는 U.V.흡수제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안정화제를 부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펄프, 아스베스토스, 다공질의 합성수지, 다공질의 무기분말, 유리섬유, 직물,광물질 분말, 다공질 자제물질 등과 같은 다공질 물질상에 상기 언급한 제제를 함침시키고/또는 피복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살충 매트를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다공질 매트의 한 예를들면, 50%의 면 섬유와 50%의 펄프 섬유로 구성된 매트가 있다. 살충 활성성분의 흡수성 및 유지의 관점에서 볼 때 매트용으로는 천연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제조공정은, 휘발성 용매법 또는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에 의해서 수행할 수가 있다.
휘발성 용매법은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살충 제제를 휘발성 유기용매내에 용해시킨다. 매트를 상기의 용액내에 침지시키거나 상기의 용액을 매트상에 적가함으로써 필요량의 제제를 매트에 부가한다.그 다음 휘발성 용매를 제거하여 매트를 건조시키고 충전시킨다. 그러나,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휘발성 용매법에는, 대량의 휘발성 유기용매 및 그의 건조제 사용에 의한 환경오염, 및 화재의 위험과 같은 난점이 있기 때문이다.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에 의해서, 유기용매가 없는 제제를 매트상에 적가한 후 충전시킨다. 2 또는 3일내에, 상온(ca.20∼25℃)에서, 제제를 매트위에 균일하게 확산시킨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PA는 실온(ca.20∼25℃)에서 액상이므로, 휘발성 용매를 이용하지 않는 방법을 유리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이하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영역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길이 35mm, 폭 22mm 및 두께 2mm의 다공질 매트(면섬유:50%, 펄프섬유:50%)를 5,10,20,30 또는 40mg의 (s)-2-메틸-4-옥소-3-(2-프로피닐) 시클로펜트-2-에닐(1R)-시스·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이하 프랄레트린이라 약한다). 40mg의 피페로닐 부톡시드, 1.5mg의 BHT 및 0.5mg의 색소로 구성된 다른 제제로 함침시켜 시험용 살충 매트를 제조한다. 비교용으로, 40mg의 피나민 포르테 및 40mg의 피페로닐 부톡시드를 함유하는 시판품 매트 A를 또한 시험한다(폭 22mm, 길이 35mm 및 두께 2.8mm). 상기의 매트를 전열기상에서 165℃로 12시간 동안 계속해서 훈증한다. 2시간 간격으로 공력제 및 살충 활성성분의 훈증율을 프랄레트린, 피나민 포르테 및 피페로닐 부톡시드의 정량 분석으로부터 결정한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있다.
살충 활성성분 및 공력제의 훈증된 양은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 증발된 시료를 실리카겔로 충전된 컬럼에 의해 2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모아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한다 : 그 다음 추출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정량 분석한다.
이하의 식에 의해서 훈증비를 계산한다 :
훈증비=(공력제의 훈증된 량)/[살충 활성성분의 훈증된 량)
[표 1]
Figure kpo00002
상기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매트내에 단위 매트당 5∼20mg의 프랄레트린의 함유시 높은 훈증비가 수득된다. 시판품 매트 A를 사용한 경우의 값과 비교하여 약 10배의 값이 수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높은 상승효과가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는 다음의 실시예에서도 또한 볼 수 있다.
실시예 2
다공질 매트(면섬유:50%, 펄프섬유:50%)를 5,10,20,30 및 40mg의 프랄레트린, 20mg의 피페로닐 부톡시드, 항산화제로서 10mg의 2,2'-메틸렌-비스(4-에틸-6-3차-부틸페놀) 및 0.5mg의 색소로 구성된 제제로 함침시켜 시험용 매트를 제조한다. 또한 매트를 피페로닐 부톡시드를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성분으로 구성된 제제(블랭크)로 함치시겨 시험용 매트를 제조한다.
내경 20cm, 높이 45cm의 실린더내에, 20마리의 암컷 성충 모기(큘렉스 피피엔스)를 풀어 놓는다. 상기 실린더내에, 그 위에 시험용 매트를 갖는 전기 훈증기를 30조 동안 놔두는데, 매트는 가열기에 의해 165℃에서 훈증된다. 그다음 녹초된 모기를 꺼내어, 24시간 후에 죽은 모기의 수를 센다. 상기 과정을 5회 반복한다. 죽은 모기의 총수를 풀어 놓은 모기의 총수로 나누어 수득된 값으로 치사율을 정하는데, 치사율 비는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
치사율 비=[공력제가 함유된 매트를 사용한 경우의 치사율)/(블랭크 매트를 사용한 경우의 치사율)
결과는 하기 표 2에 있다.
[표 2]
Figure kpo00003
상기 결과로부터, 프랄레트린의 함량이 비교적 낮은 범위내에서는, 즉, 높은 치사율 비, 즉, 높은 상승효과가 수득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치사율 비가 1보다 작고 공력제의 함량이 프랄레트린 함량의 1/2보다 작을때는 상승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실시에 3
상기와 동일한 크기의 매트(면섬유:50%, 펄프섬유:50%)를 10mg의 프랄레트린, 0,10,20,40,60 또는 80mg의 피페로닐 부톡시드, 10mg의 BHT 및 1mg의 색소로 함침시켜 시험용 매트를 제조한다.
상승효과를 보기 위하여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치사율 시험을 수행한다. 결과는 하기 표 3에 있다.
[표 3]
Figure kpo00004
상기의 결과로부터, 공력제의 함량이 프랄레트린 함량의 8배보다 작을때 뚜렷하게 높은 상승효과가 수득되는 것이 확실하다.
실시예 4
10mg의 프랄레트린, 30mg의 피페로닐 부톡시드, 20mg의 BHT 및 1mg의 색소로 구성된 제제를 상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매트(면섬유:50%, 펄프섬유: 50%)상에 적가하여 시험용 매트를 제조한다. 제제내에 피페로닐 부톡시드가 함유되지 않는 것만 제외하고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른 시험용 매트(블랭크)를 제조한다.
23㎥의 챔버내에, 165℃의 가열온도로 각각의 시험용 매트를 사용하여 12시간 동안 계속 훈증한다. 그 다음, 100마리의 암컷 성충 모기를 하기 표 4에 기재되어 있는 간격으로 상기의 챔버내에 풀어 놓는다. 2시간후, 녹초된 모기를 꺼내고 24시간 후에 죽은 모기의 수를 센다. 치사율은 상기와 같이 정의한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있다.
본 실험의 비교용으로, 또한 40mg의 피나민 포르테 및 30mg의 피페로닐 부톡시드를 함유한 시판품 매트 B 및 피페로닐 부톡시드를 제외하고 동일 성분을 함유한 동일한 매트를 시험한다(양자 모두 폭 22mm, 길이 35mm 및 두께 2.8mm로 동일하다). 블랭크에 대한 시판품 매트 B의 치사율 및 치사율 비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결정한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있다.
[표 4]
Figure kpo00005
상기의 결과로부터, 피나민 포르테를 사용했을 때는 피페로닐 부톡시드에 의한 상승효과가 없는 것이 분명하다. 반대로, 본 발명의 살충 활성성분을 사용했을 때는 뚜렷하게 높은 상승효과가 나타난다.
암컷 성충 모기(큘렉스 피피엔스)에 대한 본 발명 매트 조성물의 녹초 효과를 다른 제제의 녹초 효과와 비교한다.
유상의 분무제 :
활성성분(프랄레트린)을 케로센을 사용하여 미리 결정한 농도로 희석한다. 20마리의 암컷 성충 모기(큘렉스 피피엔스) 군을 0.34㎥ 부피의 챔버내에 풀어 놓는다. 분무기를 사용하여, 살충액 0.7ml를 챔버내에 분무시킨다. 즉시, 녹초비를 10분 동안 일정 간격마다 기록하여 KT50값(노출된 모기의 50%가 녹초되는데 요구되는 시간)을 블리스 프로빗법(Bliss' probit method)에 의해서 계산한다.
모기 코일:0.34㎥ 부피를 갖는 밀폐된 유리 챔버의 중앙에, 활성성분으로서 프랄레트린을 함유하는 모기 코일 0.5g을, 배터리-동력의 작은 전기 팬으로 챔버내에서 발생된 연기를 균일하게 확산시켜 줌으로써 때운다. 그 다음, 즉시 전기 팬을 꺼내고, 20마리의 암컷 성충 모기군을 챔버내에 풀어 놓는다. 그 후, 20분 동안 일정간격으로 녹초된 모기의 수를 세고, KT50값을 블리스 법에 의해서 계산한다.
전기 훈중기 :
40mg의 프랄레트린을 함유하는 살충 매트를 시판품 전기 훈증기(표면온도 : 160∼165℃)상에서 15분 동안 예비로 가열한다. 그 다음 유리 챔버내에 도입하여 15,30 또는 60초 동안 훈증을 실시한다. 그 다음, 챔버로부터 즉시 제거하고 20마리의 암컷 성충 모기군을 챔버내에 풀어 놓는다. 그 후, 10분 동안 녹초 현상을 관찰하고 블리스 프로빗법에 의해서 KT50값을 계산한다.
매트로부터 훈증된 프랄레트린의 양은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
프랄레트린 40mg을 함유하는 살충 매트를 시판품 전기 훈증기(표면온도: 160∼165℃)상에 놓고, 가열을 시작한다. 15분후, 프랄레트린의 훈증된 양을 실리카겔로 충전 컬럼에 의해서 10분 동안 모아 아세톤으로 추출한다 ; 그 다음 추출물을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서 정량 분석한다. 6번 반복 측정하여 얻은 10분동안 훈증된 프랄레트린의 평균 양은 분석시 0.267mg(표준편차:0.0238)이다. 이로부터, 프랄레트린의 훈증된 양은 15초 동안 0.00668mg, 30초 동안 0.0134mg 및 60초 동안, 0.0167mg으로서 평가한다.
암컷 성충 모기(큘렉스 피피엔스)에 미치는 본 발명 매트 조성물의 녹초 효과를 다른 형태의 제제와 비교하여 하기 표 5에 기재한다.
[표 5]
Figure kpo00006
* 단위 유리 챔버당 훈증된 양
KT50값이 1.5분인 살충 활성성분의 양은 유상의 분무제에 대해서는 0.175mg(0.34㎥의 챔버당), 모기 코일에 대해서는 1.0mg(0.34㎥의 챔버당) 및 전기 훈증기용 모기 매트에 대해서는 0.0267∼0.0134mg(0.34㎥의 챔버당)이다. 확실하게 전기 훈증기용 살충 매트가 큘렉스 피피엔스를 즉시 녹초시키는 데에는 가장 적합하다. 그 효과는 유상의 살충제에 비해서는 10배 가량 효과적이며 모기 코일에 비해서는 40∼80배 가량 효과적이다.

Claims (8)

  1. 필수성분으로서, (A)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크리산테메이트 및 공력제(synergist)를 함유하면서, 이러한 크리산테메트에 대한 공력제의 중량비가 0.5∼8의 범위내인 제제의 유효 살충량, 및 (B) 살충 매트상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하며, 상기의 제제를 함침시킨 다공질 매트로 구성된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2.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크리산메이트 및 공력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크리산테메이트에 대한 공력제의 중량비가 0.5∼8의 범위내인 제제.
  3. 제1항에 있어서, 공력제가 피페로닐 부톡시드인 살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공력제의 함량이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크리산테메이트 중량부당 1∼4중량부의 범위내인 살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닐-크로산테메이트의 양이 매트당 5∼20mg의 범위내인 살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청구한 살충 조성물을 가열함으로씨 생성된 증기에 곤충을 노출시키는, 유해 곤충을 녹초시키거나 또는 특정 환경에서 유해 곤충을 제거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유해 곤충인 모기를 녹초시키거나 또는 특정 환경에서 모기를 제거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크리산테메이트가 (s)-2-메틸-4-옥소-3-(2-프로피닐)시클로펜트-2-에틸(1R)-시스ㆍ트랜스-크리산테메이트인 살충 조성물.
KR1019870008963A 1986-08-15 1987-08-14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KR9500028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1527 1896-08-15
JP86-191527 1986-08-15
JP19152786 1986-08-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438A KR880002438A (ko) 1988-05-09
KR950002846B1 true KR950002846B1 (ko) 1995-03-27

Family

ID=16276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963A KR950002846B1 (ko) 1986-08-15 1987-08-14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4874787A (ko)
EP (1) EP0256855B1 (ko)
JP (1) JP2533332B2 (ko)
KR (1) KR950002846B1 (ko)
CN (1) CN1016576B (ko)
BR (1) BR8704228A (ko)
EG (1) EG18369A (ko)
ES (1) ES2041687T3 (ko)
GR (1) GR3005434T3 (ko)
MX (1) MX7753A (ko)
MY (1) MY100958A (ko)
PH (1) PH26016A (ko)
PT (1) PT85534B (ko)
SG (1) SG107692G (ko)
TR (1) TR25449A (ko)
ZA (1) ZA8759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5724A (ja) * 1991-10-07 1993-06-22 Dainippon Jochugiku Co Ltd 蚊取線香
AU658903B2 (en) * 1991-10-17 1995-05-04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Snake-controlling agent
JPH06192020A (ja) * 1992-11-05 1994-07-12 Sumitomo Chem Co Ltd 殺虫組成物
GB9415886D0 (en) * 1994-08-05 1994-09-28 Roussel Uclaf Environmental He Insecticide emanator mats
US6074656A (en) * 1996-11-12 2000-06-13 Dainihon Jochugiku Co., Ltd. Long-acting insecticidal mat and heat-transpiration insecticidal method using the same
US7007861B2 (en) * 2000-06-08 2006-03-07 S.C. Johnson & Son, Inc. Methods and personal protection devices for repelling insects
US8664270B2 (en) 2012-06-01 2014-03-04 S.C. Johnson & Son, Inc. Clog resistant insect control formulations having terminal diyne acetylenic hydrocarbon and pyrethri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02B2 (ko) * 1972-09-29 1980-05-01
JPS5851921B2 (ja) * 1973-10-15 1983-11-19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ソツコウセイサツチユウ サツダニソセイブツ
JPS5245768A (en) * 1975-10-07 1977-04-11 Chisso Corp Element for coarse-graining oil
JPS53121927A (en) * 1977-03-29 1978-10-24 Sumitomo Chem Co Ltd Insecticidal composition for electiric mosquito-repellent device
JPS5428818A (en) * 1977-08-05 1979-03-03 Fumakilla Ltd Method of enhancing effect of pesticide smoked in short time
AU1718883A (en) * 1982-07-26 1984-02-02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 Pesticides
JPS5948408A (ja) * 1982-09-14 1984-03-19 Fumakiraa Kk 電気蚊取器用殺虫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気蚊取器用マツトの製造方法
JPS59104303A (ja) * 1982-12-03 1984-06-16 Sumitomo Chem Co Ltd 高薬量電気マツト
JPS60139605A (ja) * 1983-12-27 1985-07-24 Sumitomo Chem Co Ltd 燻蒸組成物
FR2587589B1 (fr) * 1985-09-23 1990-05-11 Roussel Uclaf Nouvelles compositions pesticides renfermant du (1r cis,e) 2,2-dimethyl 3/2-fluoro 3-oxo 3-methoxy 1-propenyl/cyclopropane carboxylate de pentafluoro phenyl methyl
JPH05245768A (ja) * 1993-01-29 1993-09-24 Yoshinori Uematsu 研磨布紙ディス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74787A (en) 1989-10-17
PT85534A (en) 1987-09-01
MY100958A (en) 1991-06-15
SG107692G (en) 1992-12-24
TR25449A (tr) 1993-02-10
GR3005434T3 (ko) 1993-05-24
KR880002438A (ko) 1988-05-09
ZA875963B (en) 1989-04-26
EG18369A (en) 1992-10-30
EP0256855B1 (en) 1992-07-08
BR8704228A (pt) 1988-04-12
PT85534B (pt) 1990-05-31
CN87105578A (zh) 1988-04-13
ES2041687T3 (es) 1993-12-01
MX7753A (es) 1993-10-01
JP2533332B2 (ja) 1996-09-11
EP0256855A1 (en) 1988-02-24
CN1016576B (zh) 1992-05-13
JPS63152304A (ja) 1988-06-24
PH26016A (en)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9039B2 (ja) 害虫防除方法
JP7364312B2 (ja) 害虫忌避成分の選択的蒸散方法
JP6965394B2 (ja) 害虫防除製品、及び害虫防除方法
JP2001017055A (ja) 害虫の駆除方法
JPH1160421A (ja) 害虫駆除剤
KR950002846B1 (ko) 전기 훈증기용 살충 조성물
GB2130883A (en) Insecticidal mat for electric fumigator
RU2128436C1 (ru) Инсек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нагревательного окуривания и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вредными насекомыми
WO2016167209A1 (ja) 害虫防除製品、及び害虫防除方法
US4292322A (en) Method for killing insects with electro-mechanical ultrasonic nebulizer
JP4338272B2 (ja) 腹足類駆除剤
KR100305561B1 (ko) 파리박멸용발연및가열기화성살충제및이를이용한파리박멸방법
AU2016227020B2 (en) Water-based insecticidal composition to be vaporized and diffused by being heated, and method for vaporizing and diffusing said composition by heating
JPH037207A (ja) 液体式加熱蒸散用水性殺虫剤
JP2775488B2 (ja) 屋内塵性ダニ類の防除方法
WO2009108038A1 (en) Insect repellent
JP5517884B2 (ja) 害虫防除装置
JP7492343B2 (ja) 一液型水性エアゾール組成物
JP6362225B2 (ja) 害虫忌避剤
JPS6124364B2 (ko)
WO2015198340A1 (en) Manufacture use product formulations of renofluthrin
JPH1072302A (ja) 殺虫マットの揮散持続剤、および殺虫成分と共に、該揮散 持続剤を含有する長時間用殺虫マット
JPH069305A (ja) 液体式加熱蒸散殺虫剤組成物および殺虫方法
RU2129787C1 (ru) Инсект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WO2024028891A1 (en) Renofluthrin insecticidal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6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