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766B1 -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766B1
KR950002766B1 KR1019950000621A KR19950000621A KR950002766B1 KR 950002766 B1 KR950002766 B1 KR 950002766B1 KR 1019950000621 A KR1019950000621 A KR 1019950000621A KR 19950000621 A KR19950000621 A KR 19950000621A KR 950002766 B1 KR950002766 B1 KR 950002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ule
spawn
concave
seed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0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철
Original Assignee
전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철 filed Critical 전병철
Priority to KR1019950000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2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7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섯재배용 종균캡술의 제조방법
제1도는 종래의 종균제조 및 이식방법을 보인 순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종균캡슐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종균캡슐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종균캡슐이 다수 형성된 시트판을 나타낸 사시도.
제5도의 (a)(b)(c)(d)도는 본 발명의 버섯재배용 캡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공정도.
제6도는 제5도에 의하여 제조 완성된 캡슐의 단면도.
제7도는 종균이식 후 버섯재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캡슐 4 : 종균
20 : 시트판 21 : 요형 주머니
22 : 비닐테이프 23 : 개구부
24 : 외주연태 30 : 배양물
본 발명은 송이(松珥), 표고(椎珥)등의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종균 이식작업에 있어서는 취급이 용이하고, 이식후에는 발육번식이 활발하도록 톱밥 등의 배양물이 내장된 보온, 보습 및 통기성의 보호캡슐을 먼저 완성한 후, 그 외표면에 종균을 묻혀주는 방법으로 종균캡슐을 제조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섯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참나무나 밤나무, 떡갈나무 등의 통나무 원목에 균사(菌絲)나 포자(胞子)등의 종균을 이식 매입한 후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맞추어 주므로써 배양한다.
이때 종균을 통나무 원목에 이식 매입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제1도에 도시된 (a)(b)(c)도의 순서와 같다.
즉, (a)도에서와 같이 수개의 요형(凹型)주머니(11)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시트판(12)을 준비한 후, 그곳에 종균과 배양물로서 수분이 함유된 톱밥을 넣고 적당한 온도 및 습도의 상태에서 약 1주일 동안 균사를 1차 배양한다.
이후 상기한 배양물이 요형주머니(11)상에서 굳게 되면 (b)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밑에서 상형으로 눌러 꺼내고, 이를 (c)도에서와 같이 통나무 원목(13)에 마련된 구멍(14)에 삽입하고 그 표면을 밀납등으로 봉하여 주면 이식 매입작업이 완료되는 것인데 이상에서와 같은 종래의 이식 매입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었다.
먼저, 제1도의 (b)도에서 보듯이 종균과 수분을 포함한 톱밥은 시간이 경과하면 굳어지게 되는데 이를 꺼내고자 하려면 요형주머니(11)의 아랫부분을 밀어 올려 합성수지제 시트상에서 일일이 하나씩 분리해주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더딜뿐 아니라 이때 고형상태의 톱밥이 너무 쉽게 부스러지는 폐단이 많이 발생되는등 분리작업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종균의 생산율이 저조해지게 되며, 또한 종균과 수분을 포함한 톱밥은 그속에 포함된 종균이 어느 정도 균사를 내어 통나무 원목(13)에 적응할때까지 영양분 공급 및 보온, 보습작용을 하게 되는데, 종래의 경우 고형화된 톱밥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보온, 보습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며, 배양물이 단지 참나무 톱밥만을 채워넣은 것이기 때문에 충분히 영양공급을 기대할 수 없었다.
특히 주사기등을 이용하여 톱밥속에 종균을 포함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의할 것 같으면 그 종균으로부터 자라는 균사가 톱밥의 중앙부분에서 부터 통나무 원목에 이르기까지는 긴 시간이 소요되는 바, 이러한 이유에 의해 그만큼 성장속도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점은 식균작업이 매우 빠르며, 제조와 보관 및 이송시 파손되지 아니하므로 취급이 간편하고 표면에 종균처리하므로써 원목에의 균사활착시간을 단축시켜 버섯의 생상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을 제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온, 보습 및 통기성 재질의 시트판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형주머니속에 톱밥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양물을 충진하는 공정과, 상기 요형주머니들의 개구부를 밀봉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트판의 상면부를 비닐테이프로 접착시켜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처리된 요형주머니들을 날개로 절단 분리하여 캡슐을 만드는 공정과, 상기 분리된 캡슐의 외표면에 종균을 묻혀주는 공정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완성된 캡슐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며, 제4도는 요형주머니가 다수 형성된 부직포 시트판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완성된 캡슐(2)은 요형주머니(21)속에 톱밥과 왕겨분(왕겨가루)은 약 7 : 3의 비율로 섞은 배양물(30)이 들어 있으며, 그 상측 개구부(23)는 비닐테이프(22)로 밀봉되어 있다.
상기 비닐테이프(22)는 그 요형주머니(21)의 상측 개구부(23)둘레에 있는 외주연테(24)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며, 또한 요형주머니는 그 재질이 보온, 보습 및 통기성이 있는 재질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의 부직포로서 형성하게 되며, 종균(4)은 그 외표면에 묻혀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균캡슐을 제조방법은 제5도의 (a)(b)(c)(d)도의 순서에 따르면 되는데 제4도에서 이미 나타낸 바와 같이 부직포로 된 시트판(2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형주머니(21)속에 배양물(30)읕 수북히 채우면 제5도의 (a)도와 같은 상태가 되는데 이후 (b)도에서와 같이 압압돌편(51)을 가진 압압기구(5)로서 각각의 요형주머니(21)상부로 쌓인 배양물(30)을 살짝 눌러준다.
이후 (c)도에서와 같이 시트판(20)의 전체 상면에 대해 밀봉체로서 예를 들면, 비닐테이프(22)를 붙혀 각각의 요형주머니(21)속에 있는 배양물을 밀봉시키게 되는데, 이때 비닐테이프(22)는 그 접착 성분이 분말체로 준비되어 있다가 열압착 수단(도시 없음)에 의해 가열압압되어 접착되는 것이며, 접착면은 각각의 요형주머니(21) 외주연면(24)에 접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비닐테이프(22)로 된 밀봉재를 밀봉, 접착한 다음에는 (d)도에서와 같이 전단기구(6)의 원형칼붙이(61)로서 상기 요형주머니(21)의 외주연부를 절단해주는데, 이는 각각의 요형주머니 전체를 일시에 따내듯 절단하는 것이다. 그러하면 제6도와 같이 배양물이 내장된 개개의 캡슐체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며, 이후에 요형주머니의 외표면에 종균(4)을 묻혀주면 제2도 및 제3도와 같은 종균캡슐이 완성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42는 버섯을 나타낸다.
이상에서와 같은 제5도의 종균캡슐의 제조공정은 자동화가 용이하여 실제로 하나의 시트판(20)상에는 수백개씩의 종균캡슐을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만들어진 종균캡슐을 통나무 원목에 매입하여 제배하게 되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슐의 외표면 즉, 통기성재질의 부직포 표면에 안착하여 캡슐내부의 배양물로부터 영앙공급을 받는 종균(4)에서 자라나는 균사(41)가 곧바로 통나무 원목(3)에 활착, 번식하기 시작하므로 배양물의 중심으로부터 표면으로 뻗어나면서 성장하게 되는 종래에 비해 성장속도가 휠씬 빠르게 된다.
한편, 톱밥과 왕겨분을 혼합한 배양물을 사용할 경우 톱밥에 없는 영양분을 왕겨분에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균사의 증식이 더욱 양호하게 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캡슐(2)을 제5도의 (a)(b)(c)(d)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1차 제조한 후 이를 종균배양소로 가져가 그 외표면에 종균을 무작위로 묻혀주는 방법으로 대량생산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버섯재배농가에서 톱밥 종균을 일일이 만든 후 주사기로 배양물 내부로 주입하여 사용하던 종래에 비하여 이식 가능한 종균의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보온, 보습 및 통기성이 있는 재질로 된 요형주머니 전체를 캡슐로 하여 이식하는 것이므로 고형화된 톱밥종균을 시트판으로부터 일일이 꺼내야 했던 종래에 비해 파손되는 일이 없고 보관, 이송 등의 취급관리 및 이식작업이 월등히 간편해지므로서 생산성의 향상을 피할 수 있고 인건비 절감효과가 뛰어나며, 또한 본 발명의 종균캡슐을 사용해 이식재배하게 되면 캡슐표면의 종균에서부터 자라는 균사가 직접 통나무 원목에 증식하기 시작하므로서 톱밥속에서 부터 균사를 증식해 왔던 종래에 비하여 벗서 발생시간이 훨씬 단축될 수 있으며, 캡슐에 의해 보호되므로 잡균 특히 모기유충 등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어 수익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보온, 보습 및 통기성 재질의 시트판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요형 주머니 속에 톱밥을 주성분으로 하는 배양물을 충진하는 공정과; 상기 요형주머니들의 개구부를 밀봉시켜 주기 위하여 상기 시트판의 상면부를 비닐테이프로 접착시켜 밀봉하는 공정과; 상기 밀봉처리된 요형주머니들을 낱개로 절단, 분리하여 캡슐을 만드는 공정과; 상기 분리된 캡슐의 외표면에 종균을 묻혀주는 공정과; 를 구비하여 종균캡슐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판은 부직포재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KR1019950000621A 1992-05-09 1995-01-16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KR950002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0621A KR950002766B1 (ko) 1992-05-09 1995-01-16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20007853 1992-05-09
KR1019950000621A KR950002766B1 (ko) 1992-05-09 1995-01-16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07853 Division 1992-05-09 1992-05-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766B1 true KR950002766B1 (ko) 1995-03-27

Family

ID=26629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0621A KR950002766B1 (ko) 1992-05-09 1995-01-16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276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76901C (en) Cultivation of morchella
US4757640A (en) Cultivation of morchella
JPH0342849B2 (ko)
KR101220035B1 (ko) 관상용 표고버섯 재배 원목 및 그 제조방법
US4866878A (en) Cultivation of morchella
JPS59173020A (ja) しいたけ人工榾木の製法
KR950002766B1 (ko) 버섯재배용 종균캡슐의 제조방법
CN1117514C (zh) 泥炭营养钵组合物及其产品
KR100326149B1 (ko) 버섯재배방법
CN113079944B (zh) 一种金耳椴木高效栽培方法
JPH05111326A (ja) きのこの栽培方法
JPH0220224A (ja) 袋詰め栽培床及び植物の植え付け方法並びに植え換え方法
TWI291326B (en) Method for cultivating Agaricus Blazei Murill
JPH08242687A (ja) 種菌カプセルを用いた乾式茸種菌の製造方法
JP2967203B2 (ja) 包装培養士
KR20060039475A (ko) 꽃송이버섯의 인공 재배방법
KR20240000327U (ko) 활목버섯재배법
CN117243050A (zh) 一种红灵芝椴木仿野生栽培方法
JPH1042714A (ja) 移植用の育苗容器
JPS63240725A (ja) しいたけ人工榾木
JP2005080595A (ja) 菌床の作成方法、茸類の栽培方法、菌床
JPH0690622A (ja) フイルム袋法のキノコ用菌床製造法
JPH0564518A (ja) 容器入り種駒
JPS6328324A (ja) 椎茸の人工ほだ木栽培方法と、この方法に用いる人工ほだ木成型容器
JP2000128683A (ja) 松茸四季栽培用の肥料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3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