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2034B1 -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2034B1
KR950002034B1 KR1019860011070A KR860011070A KR950002034B1 KR 950002034 B1 KR950002034 B1 KR 950002034B1 KR 1019860011070 A KR1019860011070 A KR 1019860011070A KR 860011070 A KR860011070 A KR 860011070A KR 950002034 B1 KR950002034 B1 KR 95000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able
connector
contact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587A (ko
Inventor
마리아 페르회벤 라우렌티우스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NL8503553A external-priority patent/NL8503553A/nl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도늘드 에이 호우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우판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87000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5Connection to a rigid planar substrate, e.g. printed circuit board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접속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준비된 케이블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캡의 부분 단면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케이블의 끝부분이 접속기안에 삽입되어 있는 제1도의 접속기의 평면도.
제4도는 접촉 소지자들을 점선으로 나타낸 제1도의 접속기의 측면도.
제5도는 캡이 밑판위로 완전히 눌려지기 전에 예비 조립된 위치에 있는 제1도의 접속기의 정면도.
제6도는 캡이 밑판위로 완전히 눌려진 상태의 제5도에 따른 접속기의 정면도.
제7도는 케이블 끝이 끼워진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의 사시도.
제8도는 한 장의 전기 전도성 판재료로 제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에 이용될 수 있는 펀칭된 접촉 소자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9도는 접촉 소자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밑판 2 : 캡
3 : 제1접촉 소자 4 : 제2접촉 소자
5 : 접촉핀 6 : 포오크형 부분
9, 10, 11, 12, 13 : 공간 14, 15 : 슬롯(slot)
16 : 경사면 17 : 러그(lug)
19 : 윈도우(window) 20 : 케이블 끝
22 : 돌기 25 : 내부 도체
29, 32 : 절단날 30 : 평탄면
31 : 경사진 절단날 33 : 평탄부
34 : 위치결정 다리부
본 발명은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동축 케이블 접속기들은 종종 케이블을 압접 콘택트(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에 의해 종단하도록 이용된다. 1985년 8월 6일자로 특허된 미합중국 특허 제 4, 533, 193호 및 제 4, 533, 199호에 동축 케이블을 인쇄 회로기판과 상호 접속하는 이러한 타입의 접속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접속기는 절연재료로 된 기부 부재를 포함하는데, 그 기부 부재에는 압접 콘택트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그 콘택트 소자의 한쪽끝은 핀으로 되어있고, 이 핀은 기부 부재를 통해 아래로 돌출하여 인쇄 회로기판의 구멍에 끼워지게 되어 있다. 콘택트 소자의 반대쪽 끝에는 슬롯(slot)이 있다. 하나의 콘택트 소자의 슬롯이 다른 것보다 더 넓게 되어있으서 케이블의 절연외장을 관통하고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다른 콘택트 소자의 슬롯은 더 좁게 되어있으며 내부 절연층을 관통하여 내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이 접속기에는 경첩연결된 덮개 부재도 포함되어 있어서 기부 부재상의 콘택트 소자를 완전히 덮고 그곳에 고정될 수 있다.
단일 차폐식 동축 케이블은 주로 전기 전도 재료로 된 원통형 내부 도체를 중심으로 동심적인 구조로 되어있다. 내부 도체의 둘레에는 절연 재료로 된 원통형 내피가 덮여있고 내피의 둘레에는 전기 전도 재료로된 원통형 외부 도체가 차폐식으로 덮여있다. 외부 도체는 주로 절연 재료의 외피로 덮여 있다. 내부 도체는 단선 또는 직경이 작은 꼬인 도선과 같은 다수의 도선들로 될 수 있다. 외부도체는 제직된 차폐도선, 두루마리 금속 포일이나 그 둘을 조합한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중 차폐식 케이블에서는, 내부 도체가 하나가 아니라, 절연 피복이 제공된 2개 이상의 내부 도체가 사용될 수 있다. 제직된 차폐형 외부 도체와 단선 내부 도체를 가진 동축 케이블이 실제로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이런 타입의 케이블을,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에 접촉시키려면 통상 케이블 끝에서 외부 도체 둘레의 일정 길이에 걸쳐 손으로 외장을 제거해야 한다. 외부 도체는 내피 둘레에서 더 짧은 길이로 제거된다. 마지막으로, 내피는 내부 도체 둘레에서 한층더 짧은 길이로 제거된다. 이것은 완전히 노동집약적이고 따라서 시간 소모가 많은 일이며, 케이블에 손상을 줄 위험성이 대단히 크고 케이블의 품질을 향상시킨 다거나 접속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효과는 없다.
만약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내부 도체에 대하여 너무 길게 제거되었다면, 케이블의 임피이던스에 심각한 부정합이 야기되어 케이블을 따라 송신되어질 전기 신호에 교란을 일으킬 수 있다.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 533, 193호 제 4, 533, 199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동축 케이블을 인쇄 회로 기판에 비교적 빨리 접속시킬 수는 있다. 그러나, 케이블이 접속기 안에 배치되기 전에 우선 외장과 외부 도체를 케이블 끝에서 동일한 길이에 걸쳐 제거하여야 하고 이 과정에서 내피는 내부 도체 둘레에 그대로 남아 있어야 한다. 다음에 이런식으로 준비된 케이블은 IDC(압점 콘택트)또는 각 절연피복들을 꿰뚫어 절단하는 접촉 소자들의 슬롯형 끝 부분 위에 놓는다. 그후, 기부 부재에 선회가능하게 경첩연결된 덮개를 내려서 접속기를 닫는다. 이 덮개에는 안쪽으로 돌출하는 다양한 앤빌(anvil)들이 마련되어 있어서, 덮개가 닫힐때, 을빌이 조립된 캐이블위로 눌려져서 그 케이블을 조립된 위치에 보유한다.
이런 유형의 동축 케이블 접속기에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다. 케이블을 처음에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은 접촉기의 슬롯형 끝부분 뿐이다. 덮개가 아래로 회동하면, 앤빌들 중 하나는 케이블 끝의 외장을, 다른 하나는 내피를 누르고 또다른 하나는 벗겨진 도체를 누른다. 이 과정에서 그 부분들이 구부러지면서 잘못된 압축 및 인장 응력이 동축 케이블에 가해진다. 따라서, 케이블을 준비할때는, 앤빌의 압력에 의해 발생된 굽힙작용으로 내부 도체와 제직된 외부 도체 사이에 전기접촉이 야기될 수 있으므로, 특히 내피와 같은 케이블의 남은 부분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더우기, 전술한 접속기에는 조립된 케이블의 길이방향, 즉 앞뒤로 위치된 접촉 소자들의 방향으로 인장력이 가해질때, 접속이 느슨해지지 않게하고 또한, 예컨대 내부 도체가 외부 도체의 접촉 소자와 전기접촉되지 않게 하는 변형 방지 수단이 없다.
또한, 이런 유형의 접속기에는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최종 위치에 있는 케이블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검사하는 수단이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를 닫을 때 케이블에 압력이 가해지면 접속이 끊어지는 일까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윈도우(window)가 없다는 것은, 특히, 규모가 큰 조립체의 경우에 대단한 불이익이 되는데, 그 이유는 최종 접속 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측정 계기를 이용하는 방법 밖에 없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알려진 바로는 케이블의 기계적 구조 때문에, 상기 접속기들에 이용되는 IDC 접촉 소자에 실제로 큰힘이 자주 발생되어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로의 전기 접속을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축 케이블과 같은 차폐 케이블을,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에 접속하는 접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속기에서는 조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접속차단을 일으키지 않고 케이블의 길이 방향의 상당히 큰힘을 흡수할 수 있는 접속 상태가 제공되어 최종 접속 상태가 보다 더 확실하게 신뢰성있게 제공된다.
본 발명의 따른 접속기는 캡을 포함하며, 그 캡에 마련된 특정 형상의 공간들은 일 측면의 케이블 끼움단부에서 시작하여 케이블의 끼움방향을 따라 서로 앞뒤로 배치되어 적당한 벗김 기술에 따라 준비된 케이블의 끝을 수용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도록 끼움 구멍에서부터 감소하는 안쪽 치수를 가지고 있다. 또한, 그 캡에는 캡이 밑판으로 눌려질때, IDC 또는 누름 접촉기 말단이 통과하여 연장되어지는 슬롯들이 마련되어 있다. 그 슬롯들이 몇개의 상기한 공간들을 통과하고 있으므로 누름 접촉기가 그 공간으로 관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에서는, 동축 케이블이 캡내의 밀접하게 부합되는 공간들에 의해 전체면에서 지지된다. 이 공간들의 내부 치수는 벗겨진 케이블 부분들의 여러 외부치수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러한 케이블 부분은 훨씬 더 양호하게 지지된다. 특히, 끼움 구멍이 케이블의 외경과 부합되는 경우, 상당히 큰 인장력이 흡수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로, IDC 또는 누름 접촉기의 말단이 하우징안에서 케이블의 끼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안에 위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촉기들은 케이블이 길이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 한층 더 큰힘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동축 케이블의 외장을 수용하는 공간이 밑판과 마주하는 쪽에서 개방되어 있다. 밑판에는 그 개방된 측으로 미끄럼식으로 끼워 맞춰지며 케이블의 외경과 부합되는 윗면을 가진 직립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직립부의 길이는, 캡이 밑판에 고정된 후, 케이블의 외장을 전체면에서 지지하는 공간이 제공되도록 정해진다.
이러한 연결에 있어서, 제1공간의 개방된 측으로 끼워맞추어지는 돌출부의 치수는, 캡이 밑판에 놓여서 고정된 다음에 케이블의 외피에 더 강한 고정력이 가해지도록 정해진다.
또한, 캡에는 그 캡의 공간들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하나이상의 윈도우가 마련된다. 케이블 끝이 캡안으로 미끌어져 들어가고, 캡이 밑판에 고정되어 그의 여러 부분들이 누름 접촉기들 사이에 고정된 후, 벗겨진 케이블 끝의 위치와 모양을 그 윈도우를 통해 볼 수 있다.
또한, 밑판에는 서로 마주하여 위치되고 밑판의 각 측면 가장자리들에서 위로 돌출하는 2개의 탄성 잠금러그가 마련된다. 러그의 상부 자유단부에는 안쪽을 향한 돌기가 마련되고, 잠금 러그가 위치된 곳에 상응하는 캡의 측면 가장자리들에는 앞뒤로 위치된 면들이 마련되어 캡이 밑판위로 눌려지는 경우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들이 그 면들 뒷쪽에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제1접촉 소자의 돌출부는 2중 누름 접촉기의 구조로 되는 동시에 평행한 접촉요소들은 포오크형이(tooth)와 같은 형태로 되어 있다. 그 이들에는, 끼움방향으로 보았을때, 각 이의 최상부에서 절연 외장을 찔러 절단하는 날카로운 횡방향 절단날, 절연외장을 더 꿰뚫어 절단하는 경사진 절단날, 및 케이블의 끼움방향에 평행하고 벗겨진 도체와 접촉하게 되어 있는 평탄면이 순차적으로 마련되어 있어서, 케이블의 절연 재료를 계단식으로 꿰뚫어 절단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촉장치의 밑판과 캡은 사출성형되는 절연 재료로 만들어지고, 전기접촉 소자는 전기전도성 판재료에서 펀칭 성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규모가 큰 동축 케이블을 종단하는 간단하고 값싼 수단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나타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속기는 제1접촉소자(3)와 이와 떨어진 제2접촉소자(4)가 설치된 절연 재료로 된 밑판(1)을 포함하는데, 제1및 제2접촉 소자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전도성 판 재료를 펀칭하여 형성된 것이다. 두 접촉 소자(3, 4)에는 굽혀진 핀들(5)이 밑판(1)을 관통하여아래로 돌출되어 있다. 이 핀들은 가령, 인쇄회로 기판의 구멍들에 끼워 넣어진 다음 그곳에 납땜되어 그 기판과 전기 접촉하게 된다. 접촉 소자(3, 4)를 만들기 위해 판금 재료를 펀칭하는 것외에 다른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접촉 소자(3)는 이중 누름 접촉기의 모양으로 되어 있고, 부분(6)은 포오크형 이(tooth)모양을 하고 밑판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두개의 나란한 쌍 누름접촉기로서 절연 밑판(1)위로 돌출한다. 각 누름 접촉기에는 포오크의 두개의 이 사이에 공지된 방법으로 슬롯이 마련되는데, 그 슬롯에는 절연 물질을 절단하는 절단날이 있다. 이 사항은 제2접촉소자(4)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누름 접촉기의 안쪽을 향하고 있는 제1접촉소자(3)의 절단날들은, 케이블 끝(20)(제3도 내지 제7도 참조)이 누름 접촉기들 사이로 밀어 넣어질때 케이블의 선택적인 외장을 관통하여 동축 게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제2접촉 소자(4)의 누름 접촉기들은 절연 내피가 빠지지 않을 정도로 절연내피를 관통하여 내부 도체의 도선과 접촉한다. 절단날은 도체들의 재료를 파고 들어갈 수 있다.
캡(2)은 제2도에 부분 단면도로 나타나 있다. 준비된 케이블 끝(20)의 여러부분을 수용하도록 캡(2)안에 특별히 형성된 수용 공간들은 참조 부호(9, 10, 11, 12, 13)로 나타내었다. 케이블의 절연 외장과 내피 및 외부 도체가 케이블 끝에서부터 계산된 일정 길이에 걸쳐 특별한 방법으로 제거되거나 벗겨진 다음, 그 케이블 끝은 제1도 및 2도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캡(2)의 전술한 공간들을 통해 미끄럼 이동한다. 다음에 피복 제거된 내부 도체는 공간(12)안에 수용되어 한쪽은 아래로 개방된 공간(12)의 윗면에 의해 그리고 다른쪽은 공간(13)에 의해 지지되어 정착하게 된다. 케이블 끝의 나머지 부분은 공간들(9, 10)에 의해 지지된다. 절연 외장의 횡방향 절단 단부와 외부 도체는 윈도우(19)쪽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공간(11)에 대해 눌려지는데, 윈도우(19)자체는 지지 공간(10)을 포함하는 공간의 연장부분이다. 더우기, 횡방향 공간(11)과 벗겨진 도체 전면의 공간들(12, 13)사이에는 경사면(16)이 위치되어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절연되었든 안되었든 그대로 내부 도체용 공간과 접촉 소자 쪽으로 안내한다.
캡(2)에는 아래쪽에서 공간들(9, 10, 12)을 지나 각기 뻗어 있는 슬롯들(14, 15)이 형성된다. 이 슬롯들은 접촉 소자들(3, 4)의 편평한 쌍누름 접촉기들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 슬롯들의 폭은 접촉기들과 같게되어 있어, 동축 케이블이 끼워질 때 각 접촉기들이 측방으로 지지된다.
캡(2)안에 특별히 형성된 구멍은 전술한 윈도우(19)로 되어 있는데, 외부에서 이곳을 통해 보면 캡의 여러 공간들에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의 위치가 바로되어 있는지 쉽게 검사할 수 있다.
케이블 끝이 캡(2)안에 놓였으면, 캡이 절연 밑판(1)위로 내리 눌려진다. 이와 동시에, 편평한 포오크형 부분들(6)이 슬롯들(14, 15)안으로 미끌어져 들어가고 벗겨진 케이블 끝 부분들이 누름 접촉기들 사이로 미끌어져 들어 간다.
캡(2)의 밑판(1)위로 눌려지고 케이블 끝이 누름 접촉기 안으로 눌러지면, 케이블 끝은 캡(2)안에 형성된 미리 조립된 위치로 쉽게 보유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외부도체가 제1접촉 소자(3)와 또한 내부 도체가 제2접촉 소자(4)와 확실하게 양호한 전기 접촉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모든 상황은 윈도우(19)를 통해 관측될 수 있다. 캡을 배치하는 도중에 케이블이 손상되었는지의 여부는 물론 최종 접속 위치에서 케이블이 여전히 바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내부 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접속이 일어난 적이 없는지의 여부도 윈도우(19)를 통해 관측될 수 있다.
캡을 배치하는 도중에 케이블이 손상되었는지의 여부는 물론 최종 접속 위치에서 케이블이 여전히 바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지 그리고 내부 도체와 외부도체 사이에 바람직하지 않은 접속이 일어난 적이 없는지의 여부도 윈도우(19)를 통해 관측 될 수 있다.
밑판(1)의 양쪽에는 서로 마주하여 위로 돌출하는 러그형 잠금 요소(17)가 있다. 잠금 요소 또는 러그(17)는 절연재료로 된 밑판(1)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러그들(17)의 위끝에 마련된 돌기(22)는 안쪽으로 돌출한다. 또한, 각 돌기(22)에는 위로 경사진 부분(23)이 있다. 캡(2)이 밑판(1)으로 내리 눌려지면, 러그들(17)은, 캡의 바깥쪽 양측에서 러그(17)를 수용하는 슬롯에 형성된 면들에 의해 서로 멀리 벌어진다.
캡(2)이 완전히 내리 눌려진 다음에는, 러그들(17)의 돌기(22)가 캡의 바깥쪽 양측에 있는 슬롯에 형성된 면(18)의 뒤에 맞닿는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2)은 횡방향면(28)과 러그(17)수용 슬롯내의 경사면(27)을 포함한다. 이들은 러그(17)의 돌기(22)의 경사진 모양과 부합된다. 이 수단으로, 캡(2)은,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판(1)상의 예비조립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예비조립된 위치에서는, 접촉소자들(3, 4)이 아직 캡 안의 예정된 공간에 위치되지 않았으므로, 케이블 끝이 쉽게 미끌어져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케이블이 끼워진 다음에는, 캡(2)이 밑판(1)으로 더눌려지고, 케이블이 접촉소자들과 전기 접촉된다. 예비조립된 위치에서, 캡(2)은 밑판(1)과 함께 저장 및 신속처리될 수 있다.
제3도는 케이블 끝(20)이 벗겨짐 또는 다른 준비 과정을 거쳐서 캡(2)안으로 그의 최종 위치까지 미끌어져 들어간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실선이 나타내는 것은 케이블 끝(20)중에 캡(2)의 외부에 위치된 부분 및 캡(2)의 외부에서 윈도우(19)를 통해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도체와 내부 도체 사이의 내피는 종래의 벗기기 기술에 따라 벗겨진 내부 도체(25)까지 또는 도체(25)를 둘러싸는 별도의 절연 피복부까지 일직선으로 절단된다.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로서, 접촉 소자들을 나타낸다. 밑판(1)은 이미 캡 구조물 안에 완전히 들어가 있는데, 이 경우에 캡 구조물에는 위치결정 다리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점선은 접촉 소자들(3, 4)을 측면도로 나타낸다.
제5도는 캡(2)이 밑판(1)위에 예비 조립된 위치로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를 정면도로 나타낸다. 제6도는 이와 비슷한 도면으로서, 상기 밑판(1)에 완전히 눌려진 캡(2)을 나타낸다. 제1도 및 2도에서와 같은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제7도는 케이블 끝(20)을 수용하고 있는 캡(2)이 밑판(1)위에 놓여서 잠금 러그(17)에 의해 밑판(1)에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를 사시도로 나타낸다. 다수의 접속핀들(5)이 밑판(1)의 바닥면에서 돌출하여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2접촉 소자(4)가 접속핀을 하나만 가지고 있다. 이는 제1접촉 소자(3)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제8도에는 제1접촉 소자(3)의 일 실시예의 특정 형태가 판재료에서 펀칭된 상태로 나타나있다. 편평한 포오크형 부분들(6)의 끝에는 절단날들 간의 거리를 둔 계단형 감소부분이 있고 부분(26)이 안쪽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동축 케이블의 절연 외장을 통과하면서 계단식으로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날카로운 절단날들(29) 또는 칼들이 도면의 평면에 대해 횡방향으로 각 이의 최상부에 위치된다.
그 절단 날들(29)이 처음으로 절연 외장을 절개한다. 안쪽면에 있는 평탄부(33)가 절단날(29)과 합쳐져 있다. 다음에, 그 평판부(33)는 안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부분(26)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그 절연 외장은 경사진 절단날(31)을 가진 경사부(26)와 절단날(32)을 가진 바깥쪽 경사부에 의해 더욱 절단되는데, 이 양자는 지붕 모양의 중심 절단날 또는 측면 절단날을 가진 칼날의 구조로 되어 있다. 전술한 부분들에 인접한 평탄면(30)은 절단되어서는 안되는 전기 전도성 피복층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날카로운 절단날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 평탄면(30)은 캐이블의 끼움 방향에 나란한 평면으로 되어 있다. 이 평탄면은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에 알맞다. 다른 타입 및 다른 형태의 절단날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경사진 절단날(31)이 생략될 수도 있다.
제8도의 평면도에서, 중심부의 접속 핀(5)은 이미 아래로 굽혀져서 이 도면의 평면에서 아래쪽으로 뻗어있다. 제8도의 우측에는 포오크형 부분(6)이 위로 굽혀져서 직립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제9도는 제8도의 우측 부분에 대한 측면도로서, 포오크형 부분(6)이 위로 굽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동축 케이블의 심선과 접촉하는 제2접촉 소자(4)도 비슷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접촉 소자(4)가, 예컨대, 절단 슬롯에서 계단형으로 좁아지는 부분이나 절단날(31)이 없는 상태로 도시되었다.
예컨대, 캡(2)의 수용 공간들(12, 13, 9)을 변형시키면, 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여러가지로 변경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접촉 소자(4)는 절연 피복을 절단하는 누름 접촉기의 구조로도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동축 케이블의 절연 내피는 케이블 끝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완만히 제거될 필요가 없다.
내부 도체가 하나뿐이고 그 도체 둘레에 동축으로 배치된 외부 도체가 있는 동축 케이블 대신에,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는, 예컨대, 2개의 개별 내부 도체가 있는 차폐 케이블과 같이 하나 이상의 내부 도체를 가진 차폐 케이블에도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접촉 소자(4)와 같은 접촉 소자들이 서로 앞뒤로 세워지거나 케이블 끝의 끼움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공동으로 변위되는 형태로 두개더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체는, 끼움방향에서 보았을 때 앞쪽에 위치된 제2접촉 소자와 나란하게 다소 더 뒤쪽으로 위치된 추가의 접촉 소자로 인도될 수 있다. 또한, 그 추가의 접촉 소자들은 서로 옆으로 세워질 수도 있다. 이로써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요한 장점중 하나인 공간(9)과 표면(8)에서 외피를 고정하는 작용이 유지되므로, 캡(2)에 추가의 내부 도체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게 하면서도 매우 양호한 견인 또는 변형 방지 작용이 얻어진다. 공간들(9, 10, 11, 12, 13)은 칫수 및 순서에 제한되지 않고 벗겨진 다른 케이블 끝에도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도면들에 나타낸 실시예들은 이용될 수 있는 한가지의 바람직한 벗김 기술을 나타낸 것 뿐이다.

Claims (9)

  1. 하나 이상의 내부 도체 및 절연 재료로 된 내피에 의해 상기 내부 도체로부터 절연된 하나 이상의 외부 도체를 가진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로서, 절연 재료로 된 밑판, 상기 밑판에 설치되어, 전기적으로 분리 되어있고 상기 밑판에서 수직하게 위쪽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각각의 한쪽 끝에 상기 밑판을 지나 아래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핀을 포함하는 제1및 제2접촉 소자, 상기 밑판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상기 제1접촉소자의 반대쪽 끝에 형성되며,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둘러싸는 임의의 절연재료를 관통하여 상기 외부 도체와 전기 접촉하도록 된 제1누름 접촉 수단, 상기 밑판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상기 제2접촉 소자의 반대쪽 끝에 형성되며, 상기 내피를 관통하여 상기 내부 도체와 전기 접촉하도록 된 제2누름 접촉 수단, 특정 형태의 내부 공간들이 제공되며 밑판에 연결되는 캡으로서, 그 한쪽 끝에는 동축 케이블을 상기 캡안으로 끼우는 끼움구멍, 및 그 끼움방향으로, 접속기 안에 끼우기 위해 미리 벗겨진 동축 케이블 끝의 바깥쪽 치수들에 상응하며 상기 끼움 구멍에서부터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내부 치수를 가진 다수의 공간들이 있고, 상기 각 공간은 상기 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될때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 끝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캡, 및 상기 캡안에서 일정 갯수의 상기 공간들을 통해 연장되어 상기 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될때 상기 제1및 제2접촉 소자의 위로 연장하는 누름접촉 수단을 수용함으로써, 상기 누름 접촉 수단이 일정갯수의 상기 공간들을 관통하게 되도록 형성된 슬롯들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의 공간들중 제1공간이 상기 외부도체를 둘러싸는 절연재료를 가지는 케이블 끝의 제1부분을 수용하게 되고, 상기 제1공간이 상기 밑판과 대향하는 쪽에서 개방되어 있고, 상기 밑판에는 상기 제1케이블 끝부분의 외형과 부합되는 윗면을 가지고 있고 상기 제1공간안에 미끄럼식으로 끼워지는 직립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밑판에 연결될때, 상기 제1공간이 상기 제1케이블 끝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지지하게 되어있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는 그 캡안의 하나 이상의 상기 공간들의 일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가 마련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에는 그 밑판의 각 측면 가장자리들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로 돌출하는 2개의 탄력적인 잠금 러그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각 러그에는 그의 최상부 자유단에 다른 러그의 상응하는 부분을 향해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이 제공되며, 상기 캡의 양측에는 그 캡이 상기 밑판 위에 눌려질때 각 러그의 상기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분들과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바깥쪽면들이 마련되어 있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및 제2접촉 소자들을 수용하는 캡내의 상기 슬롯들의 치수는 제1및 제2접촉 소자를 전체면에서 지지하도록 정해지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끼움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슬롯들의 폭이 상기 제1및 제2접촉 소자들의 폭과 같은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수단이, 끼움방향으로 보았을때, 상기 외부도체를 둘러싸는 절연 재료를 절단하도록 최상부에 각각 마련된 날카로운 횡방향 절단날, 상기 절연재료를 더 꿰뚫어 절단하는 하나이상의 경사진 절단날 및 케이블의 끼움방향에 평행하고 상기 외부 도체와 접촉하게 되어있는 평탄면이 연속으로 형성된 포오크형 이들을 가진 한쌍의 나란한 누름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케이블을 절연 재료를 계단식으로 꿰뚫어 절단하게 되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절단날이 각 이의 최상부에 있는 날카로운 횡방향 절단날에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절단날이 상기 날카로운 절단날에서부터 안쪽으로 뻗어있고, 상기 날카로운 절단날과 상기 안쪽으로 경사진 절단날 사이에 제2평탄면이 안쪽으로 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2평탄면이 케이블의 끼움방향에 나란하게 위치한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KR1019860011070A 1985-12-23 1986-12-22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KR9500020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503553 1985-12-23
NL8503553A NL8503553A (nl) 1985-12-23 1985-12-23 Contactinrichting voor een afgeschermde kabel.
NL8503553 1986-01-10
NL8600041A NL8600041A (nl) 1985-12-23 1986-01-10 Contactinrichting voor een afgeschermde kabel.
US8600041 1986-01-10
NL8600041 1986-01-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587A KR870007587A (ko) 1987-08-20
KR950002034B1 true KR950002034B1 (ko) 1995-03-08

Family

ID=26646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1070A KR950002034B1 (ko) 1985-12-23 1986-12-22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4701001A (ko)
EP (1) EP0228750B1 (ko)
JP (1) JP2577476Y2 (ko)
KR (1) KR950002034B1 (ko)
AT (1) ATE88298T1 (ko)
BR (1) BR8606315A (ko)
CA (1) CA1284526C (ko)
DE (1) DE3688284T2 (ko)
MX (1) MX160129A (ko)
NL (1) NL860004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503553A (nl) * 1985-12-23 1987-07-16 Du Pont Nederland Contactinrichting voor een afgeschermde kabel.
JPH0821450B2 (ja) * 1987-10-05 1996-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高速信号用コネクタ
US4887977A (en) * 1988-06-15 1989-12-19 E. I. 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ble connector haing a resilient cover
US4981442A (en) * 1989-03-23 1991-01-01 Nippon Acchakutansh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ical harness
JPH02131281U (ko) * 1989-04-06 1990-10-31
FR2646024B1 (fr) * 1989-04-14 1993-08-06 Entrelec Sa Connecteur de piquage pour cable electrique blinde
JPH031460A (ja) * 1989-05-30 1991-01-08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2906469B2 (ja) * 1989-08-20 1999-06-21 オムロン株式会社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US5060373A (en) * 1989-08-22 1991-10-29 The Phoenix Company Of Chicago, Inc. Methods for making coaxial connectors
FR2655208B1 (fr) * 1989-11-24 1994-02-18 Alcatel Cit Boitier metallique pour connecteur electrique.
US4973258A (en) * 1989-12-21 1990-11-27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Grounding clip of the insulation displacement type
FR2658956B1 (fr) * 1990-02-26 1994-02-25 Alcatel Radiotelephone Dispositif pour fixer un cable coaxial, et le relier a la masse d'une plaque de circuit imprime.
US5052944A (en) * 1991-01-28 1991-10-01 Hirose Electric Co., Ltd. Low profile coaxial connector
JPH082926Y2 (ja) * 1991-03-29 1996-01-29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アンテナコネクタ
SE468918B (sv) * 1991-08-16 1993-04-05 Molex Inc Skarvdon foer skarvning av tvaa koaxialkablar
NO175334C (no) * 1992-03-26 1994-09-28 Kaare Johnsen Kontakthus for koaksialkabel
US5419718A (en) * 1992-09-02 1995-05-30 The Whitaker Corporation Mixed coaxial connector
DE4434702C1 (de) * 1994-09-28 1996-01-18 Siemens Ag Schneidklemm-Anschlußeinrichtung für Koaxialkabel
NO312868B1 (no) * 1994-09-28 2002-07-08 Siemens Ag Tilkoblingsinnretning for knivklemme
US5597323A (en) * 1995-08-07 1997-01-28 The Whitaker Corporation RF connector jack and plug assembly
US6155847A (en) * 1997-05-27 2000-12-05 Osram Sylvania Inc. Grounding device
US6053743A (en) * 1997-06-26 2000-04-25 Motorols, Inc. Clip for surface mount termination of a coaxial cable
DE19801260C2 (de) * 1998-01-09 2002-01-24 Wago Verwaltungs Gmbh Wand-Durchführungsklemme für elektr. Leiter
DE29807349U1 (de) * 1998-04-24 1998-06-18 Harting Kgaa Steckverbinder
DE19823957A1 (de) 1998-05-28 1999-12-09 Siemens Ag HF-Steckverbinder mit versetzten Schneiden
DE20001782U1 (de) * 2000-02-02 2001-06-13 Weidmueller Interface Schneidvorrichtung für Schirmkabel
DE20001912U1 (de) * 2000-02-03 2001-06-13 Weidmueller Interface Verbindungs- und/oder Verteilerelement für Schirmkabel
US6746268B2 (en) * 2001-12-05 2004-06-0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axial cable displacement contact
US6994587B2 (en) * 2003-07-23 2006-02-07 Andrew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installable with common tools
JP3902619B2 (ja) * 2003-10-30 2007-04-11 Tdk株式会社 光合分波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4084292B2 (ja) * 2003-11-21 2008-04-3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の圧接構造
US20070082539A1 (en) * 2005-10-12 2007-04-12 Slobadan Pavlovic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for securing an insulated conductor
US7059889B1 (en) 2005-10-12 2006-06-13 Lear Corporation Splice block for interconnecting electrical conductors
US7134903B1 (en) 2005-10-12 2006-11-14 Lear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US7384307B1 (en) * 2007-08-07 2008-06-10 Ezconn Corporation Coaxial cable end connector
JP4716381B2 (ja) * 2007-09-04 2011-07-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70021B2 (ja) * 2007-12-05 2012-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7976334B2 (en) * 2009-09-10 2011-07-12 Avx Corporation Capp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GB2510280B (en) * 2009-09-10 2014-10-08 Avx Corp Cappe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US8109783B2 (en) 2010-06-30 2012-02-07 Avx Corporatio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JP5756608B2 (ja) * 2010-07-15 2015-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099002B1 (ko) * 2011-03-08 2011-12-29 주식회사 조우테크 전선 이음 커넥터
DE202011000836U1 (de) * 2011-04-08 2011-08-10 Fhf Funke + Huster Fernsig Gmbh Explosionsgeschützter Steckverbinder
DE102011086294A1 (de) * 2011-11-14 2013-05-16 Endress + Hauser Flowtec Ag Printklemme für Koaxialkabel
US8568157B2 (en) 2012-02-29 2013-10-29 Avx Corporation Cap body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IDC)
US9004937B2 (en) * 2012-08-30 2015-04-14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urface mount/through-hole crimp piercing zipcord connector
DE102013012251A1 (de) * 2013-07-24 2015-01-2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Terminal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TWI684307B (zh) * 2013-07-30 2020-02-01 新加坡商安姆芬諾爾富加宜(亞洲)私人有限公司 絕緣位移連接器
WO2015085166A1 (en) 2013-12-06 2015-06-11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D764412S1 (en) 2014-05-19 2016-08-23 Fci Americas Technology Llc Electrically conductive contact
EP3266069B1 (en) 2015-03-03 2021-12-29 Amphenol FCI Asia Pte Ltd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10895708B2 (en) * 2015-08-05 2021-01-19 Electric Motion Company, Inc. Locatable duct tracer wire bonding connector
WO2019032366A1 (en) * 2017-08-07 2019-02-14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CONNECTOR BLOCK ASSEMBLIES FOR BASE STATION ANTENNAS
CN111193117B (zh) * 2018-11-15 2021-12-31 唐虞企业股份有限公司 线材连接器
WO2021118812A1 (en) 2019-12-12 2021-06-17 Commscope Technologies Llc Dual coax network with power distribution and mid-span tap for signals and/or power from sam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63552A (en) * 1971-06-28 1975-02-25 James H. Bazille (Jr.) Solderless wire connector
US3804971A (en) * 1971-06-28 1974-04-16 Minnesota Mining & Mfg Solderless wire connector
US4033661A (en) * 1974-06-20 1977-07-05 Panduit Corporation Solderless connector for insulated wires
US3963319A (en) * 1974-12-12 1976-06-15 Amp Incorporated Coaxial ribbon cable terminator
US3985416A (en) * 1975-03-05 1976-10-12 Amp Incorporated Opposed edge slotted terminal electrical connector
GB2002599B (en) * 1977-08-12 1982-03-17 Du Pont Electrical connector
FR2408923A1 (fr) * 1977-09-21 1979-06-08 Alsthom Cgee Borne a raccordement rapide
DE3108931A1 (de) * 1981-03-10 1982-11-18 Rolf Friedhelm 5600 Wuppertal Siemers Reihenklemme
US4405193A (en) * 1981-06-08 1983-09-20 Amp Incorporated Preloaded electrical connector
US4466687A (en) * 1982-05-20 1984-08-21 Amp Incorporated Low profile connector providing high density application
JPS5949167A (ja) * 1982-08-09 1984-03-21 モレツクス・インコ−ポレ−テツド マルチゲ−ジ絶縁体排除コネクタ−とそのためのコンタクト
US4533197A (en) * 1983-05-18 1985-08-06 Prince Thomas F Junction block for shielded communications network line
US4533199A (en) * 1983-11-14 1985-08-06 Burndy Corporatio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DE3561571D1 (en) * 1984-04-04 1988-03-10 Molex Inc Electrical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US4632486A (en) * 1985-05-29 1986-12-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nsulation displacement coaxial cable termination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8750B1 (en) 1993-04-14
DE3688284D1 (de) 1993-05-19
KR870007587A (ko) 1987-08-20
NL8600041A (nl) 1987-07-16
DE3688284T2 (de) 1993-10-28
BR8606315A (pt) 1987-10-06
JPH08898U (ja) 1996-05-31
US4701001A (en) 1987-10-20
ATE88298T1 (de) 1993-04-15
MX160129A (es) 1989-12-06
CA1284526C (en) 1991-05-28
EP0228750A1 (en) 1987-07-15
JP2577476Y2 (ja) 199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2034B1 (ko) 동축 케이블용 접속기
US4533199A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EP0286422B1 (en) Electrical connector terminal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US4073560A (en) Electrical connector
US4679868A (en) Multiconductor electrical cable termina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king same
US4040703A (en) Tri-lead cable connector
KR890000970B1 (ko) 접속요소에 납땜, 나사체결, 절연재 제거를 요하지 않고 다중접점을 형성하는 접속용구
US4253722A (en) Insulation pierce-type connector for ribbon cable
US5964620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4072387A (en) Multiple conductor connector unit and cable assembly
EP0021731A1 (en) Electrical contact member and connector including such contact members
US4533193A (en) IDC termination for coaxial cable having alignment & stabilizing means
US4577920A (en) Electrical assembly with cable guiding member
KR970700383A (ko) 절연변위형의 전기 접속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메모리 카드용 전기 접속기(electrical connector for an electronic memory card, including electrical connection means of the insulation-displacement type)
KR0148395B1 (ko) 공통 전기 커넥터
US4441779A (en) Contact device for a multiconductor cable
US4927387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nection to wires in a flexible cable
US4611874A (en) Device for making LSA-PLUS contact with conductor wires of different types and sizes
EP0039978A1 (en) Contact device for a multiconductor cable
JPH07249437A (ja) 弱電装置の導体接続装置
EP0650220A2 (en) Connector apparatus, housing, and connecting element
JPS62160672A (ja) コネクタ
KR101017045B1 (ko) 동축 케이블용 피어싱 단자
JP3638843B2 (ja) 圧接コネクタ
JPH1154217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