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711B1 - 숙성이 억제되는 점성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숙성이 억제되는 점성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711B1
KR950001711B1 KR1019920000803A KR920000803A KR950001711B1 KR 950001711 B1 KR950001711 B1 KR 950001711B1 KR 1019920000803 A KR1019920000803 A KR 1019920000803A KR 920000803 A KR920000803 A KR 920000803A KR 950001711 B1 KR950001711 B1 KR 950001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ntent
phenol
emulsion
ethoxy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0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443A (ko
Inventor
리바스 헤르실리오
루이사 벤트레스카 마리아
산체즈 게라르도
Original Assignee
인테베프 ,에스. 에이.
롤프 베커 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테베프 ,에스. 에이., 롤프 베커 비. filed Critical 인테베프 ,에스. 에이.
Publication of KR930004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1/00Liquid carbonaceous fuels
    • C10L1/32Liquid carbonaceous fuels consisting of coal-oil suspensions or aqueous emulsions or oil emulsions
    • C10L1/328Oil emulsions containing water or any other hydrophilic pha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1Emulsifying
    • B01F23/4105Methods of emulsif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34Mixing in several steps, e.g. successive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391Affecting flow by the addition of material o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lloid Chemistry (AREA)
  • Liquid Carbonaceous Fuel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숙성이 억제되는 점성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단계를 도시한 계통도.
제2도는 실시예 2에 따라서 제조된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숙성(aging)에 대한 오일 소적 크기의 효과를 도시한 3가지 곡선이 그라프.
제3도는 실시예 4에 따라서 제조된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숙성에 대한 소적 크기의 효과를 도신한 3가지 곡선의 그라프
본 발명은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멀젼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저점도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캐나다, 소련, 미합중국, 중국 및 베네수엘라 산 점성 탄화수수(12°API 이하의 비중)는 실온에서 10,000내지 50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를 갖는 액체이다. 일반적으로, 이 점성 탄화수소는 단독 기계적 펌핑, 증기 주입과 병합한 기계적 핌핑 및 채광 기술을 통해서 생산된다. 상업적으로 더욱 유용한 상기 종류의 탄화수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그이 운반 및 보관의 실효성 및 수익성을 증가시켜 다른 생성물의 유도 또는 다른 용도에 있어서 원료로서의 그이 일련의 용도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탄화수소를 핌핑 가능하도록 변화시키고 통상적인 관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이 탄화수소를 변형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이 착상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상기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방법이다.
이 에멀젼은 탄화수소 단독일 때 보다 점도가 훨씬 낮고, 따라서 통상적인 핌핑 장치를 사용하여 송유관을 통해서 더욱 신속히 핌핑될 수 있다.
상기 에멀젼제는 양이온, 음이온 및(또는) 비이온성 일 수 있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그의 제조는 다수의 변수, 즉 이화학적(에멀젼의 제조를 포함) 및 기계적(교반의 방법 및 속도와 관련)인 변수를 포함한다. 이들 변수는 에멀젼의 안정성, 즉 그이 성분의 상이 분리되지 않고 점도가 시간 지나서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상기 변수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탄화수소를 운반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화학적 첨가제를 사용하여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을 형성시켜 탄화수소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여러 가지 방법이 제시되었다.
미합중국 특허 제3,380,531호, 동 제 3,467,159호 ; 동 제3,487,844호 ; 동 제3,006,354호, 동 제3,425,429호 ; 동 제3,467,195호 ; 동 제3,519,006호, 동 제3,943,954호 ; 동 제4,099,537호; 동 제4,108,193호, 동 제4,239,052호 ; 동 4,249,554호 ; 동 제4,627,458; 및 동 제4,795,478호에는 전형적인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방법은 수산화나트륨 또는 암모늄, 비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에멀젼의 상 합체에 의해 안정한 에멀젼을 생성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는 이 에멀젼에 영향을 미치는 숙성 현상을 제어 또는 제거하는 것이다. 숙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에멀젼의 점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숙성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한가지 기술은 전해질을 첨가하는 것이며, 이는 에멀젼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추가 비용을 부담시킨다.
자연적으로,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멀젼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멀젼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최종 에멀젼이 26.7℃(80℉)에서 1500 센티포아즈 이하의 점도를 나타태는 상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종 에멀젼 생성물의 평균 오일 소적크기가 15μ 이상인 상기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전히 다른 목적은 탄화수소가 50℃(122℉)에서 100 센티포아즈 초과의 점도 및 16°API 이상의 API 비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가 천연 원유, 타르유 또는 기타 천연 탄화수소유 또는 잔유성 연료유인 상기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잇점은 이하에서 명백해지다.
본 발명은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 더욱 구체적으로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저 점도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점성 탄화수소를 유화제 및 물과 15중량% 이하의 수 함량이 되도록 혼합시킴으로써 먼저 농축 에멀젼을 형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 상기 혼합물은 48.9℃(120℉) 내지 93.3℃(200℉)의 온도로 가열시킨 후 가열된 혼합물을 4μ 이하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갖는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기위해 조절된 조건하에서 교반시킨다. 농축 수에멀젼을 얻은 후, 먼저 30중량% 이하의 수 함량이 되도록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물로 희석시킴으로써 최종 에멀젼이 제조된다. 이 후 희석된 혼합물을 60℃(160℉) 내지104.4℃(220℉)의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어서, 가열된 희석 혼합물을 15μ 이하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갖는 최종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도록 조절된 조건하에서 교반시키고, 여기서, 최종 에멀젼의 점도는 ls-1및 26.7℃(80℉)에서 1500 센티포아즈 이하이다.
상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화수소 수에멀젼은 안정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선행 기술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화수소 수에멀젼에서 나타난 숙성 현상에 실질적으로 영향이 없는 에멀젼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멀젼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를 도시한 계통도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1 내지 16°API의 API 비중 ; 50℃(122℉)에서 100,000 내지 50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 ; 98.9℃(210℉)에서 10,000 내지 16,000 센티포아즈의 점도 ; 약 5 내지 25중량%의 아스팔트 함량 ; 3 내지 30중량%의 수지 함량 ; 78.2 내지 85.5중량%의 탄소 함량 ; 9.0 내지 10.8중량%의 수소 함량 ; 0.25 내지 1.1중량%의 산소 함량 ; 0.5 내지 0.7중량%의 질소 함량 ; 2.0 내지 4.5중량%의 황 함량 ; 50 내지 1000ppm의 바나듐 함량 ; 20 내지 500ppm의 니켈 함량 ; 5 내지 100ppm의 철 함량 ; 10 내지 500ppm의 나트륨 함량 및 0.55 내지 0.3중량%의 회분(ash) 함량의 이화학적 특성을 갖는 점성 탄화수소에 특히 적합하다. 점성 탄화수소는 중질 원유, 천연 역청, 천연 타르, 중질 잔유물 등의 형태가 좋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은 먼저 농축 에멀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은 점성 오일을 물 및 유화 첨가제와 혼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탄화수소 및 유화 첨가제와 혼합되는 물의 양은 농축 에멀젼 중의 수 함량이 물 15중량% 이하가 되도록 하는 양이다. 유화 첨가제는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전체 중량기준으로 0.1 내지 5.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바람직한 유화 첨가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는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중량% 양으로 계면활성제와 혼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에톡실화 알킬 페놀, 에톡실화 알코올 및 에톡실화 소르비탄 화합물의 에스테르가 있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3 초과의 친수성-친지성 밸런스(HLB)를 가져야 한다.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페놀 에톨실레이트가 있다. 특히, 유용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알킬 아릴술포네이트 및 알킬 아릴술페이트 및 긴 사슬 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도된 계면활성제가 있다. 바람직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는 13 초과의 HLB를 갖는 것, 예를 들면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와 같은 암모늄 알킬아릴 술포네이트가 있다.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는 3 내지 7개의 에톡시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혼합된 점성 탄화수소, 물 및 유화 첨가제를 약 48.9℃(120℉) 내지 93.3℃(200℉)의 온도를 가열시키고, 이 후 가온된 혼합물을 4μ 이하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갖는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형성하도록 조절된 조건하에서 교반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가열된 혼합물은 고속 믹서에서 2000rpm 이하, 바람직하기로는 1000 내지 1500rpm의 rpm으로 교반시킨다.
이어서,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20 내지 3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8중량%의 수 함량이 되도록 물로 희석시킨다.
이어서, 희석된 혼합물을 약 60℃(140℉) 내지 104.4℃(220℉), 바람직하기로는 82.2℃(180℉) 내지 104.4℃(220℉)의 온도로 가열시킨다. 이어서, 가열된 묽은 에멀젼을 15μ 이상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 및 26.7℃(80℉)에서 1500 센티포아즈 이하의 점도를 갖는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최종 생성물을 얻도록 고속 믹서에서 최대 4500rpm, 바람직하기로는 3500 내지 4500rpm의 속도로 진탕시킨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서 형성된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은 약 70 내지 80중량%의 오일, 약 20 내지 30중량%의 물, 약 0.1 내지 5중량%의 유화제로 이루어지고, 15μ 이상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 및 ls-1및 26.7℃(80℉)에서 1500 센티포아즈 이하의 점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숙성율을 월 당 100 센티포아즈 미만, 바람직하기로는 년 당 100 센티포아즈의 평균 점도 변화이다. 숙성율은 주어진 온도에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점도의 변화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있어서, 비숙성 탄화수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의 혼합물 또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와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유화제를 함유하며, 여기서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는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중량% 양으로 계면활성제와 혼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은 다른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 탄화수소 수에멀젼에 유해한 숙성 현상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비숙성 특성은 이하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명백해진다.
[실시예 1]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멀젼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천연 점성 탄화수소를 물 및 유화 첨가제와 혼합시켰다. 상기 천연 점성 탄화수소는 베네수엘라의 오리노코(Orinoco)유전 지대로부터의 써로 니그로(Cerro Negro) 타르이었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써로 니그로 타르의 이화학적 다음에 기재하였다.
API 비중[15.6℃(60℉)] 8.4
포화물(중량%) 11.8
방향족 화합물(중량%) 45.8
수지(중량%) 30.9
아스팔트(중량%) 11.5
산도, mgKOH/g(역청) 3.07
전체 질소(ppm) 5561
황(중량%) 3.91
니켈(ppm) 105.9
바나듐(ppm) 544.2
유화 첨가제는 인테베프, 에스.에이(Intevep, S.A)의 상표인 상표 INTAN-100으로 시판 중인 알킬페톨 에톡실화된 화합물 형태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5 단위의 산화에틸을 갖는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유화 조성물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97중량% 및 페놀-포름알데히드-에톡실화 수지 3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그 혼합물은 써로 니그로 타르 93중량%, 증류수 6.7중량% 및 상기유화 조성물 0.3중량%로 이루어져 있다. 이 혼합물은 75℃(167℉)의 온도로 가열시키고 서서히 예비혼합시켰다. 이어서, 혼합물을 나선형 팰릿(palet)을 사용하여 1200rpm의 속도에서 교반시켜 제1농축 에멀젼을 얻었다. 각각 2분, 4분, 4분 및 4분간 교반시킨 후 4개의 제1농축 에멀젼 시료를 취하였다. 제1농축 에멀젼의 4개 시료의 평균 오일 소적 직경 크기를 측정하고, 결과를 아래 표 1에 기재하였다.
이어서, 4개의 제1농축 에멀젼 시료를 각각 증류수로 희석시켜 28중량%의 수 함량을 얻었다. 이어서, 희석된 에멀젼을 80℃(176℉)의 온도로 가열시키고, 4000rpm의 속도로 교반시켰다. 4개 시료를 각각 1분, 2분, 3분 및 4분의 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최종 냉각된 에멀젼은 26.7℃(80℉)에서 24시간 동안 보관하고, 각각의 시료의 점도로서 오일 소적의 평균 직경을 측정하였다. 48시간후 다시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2에 기재하였다.
도면 제2도는 농축 에멀젼 및 최종 희석 에멀젼의 오일 소적의 직경 크기가 최종 에멀젼의 점도임을 입증하고 있다. 표 2로부터 4μ 미만의 평균 오일 소적 직경을 갖는 시료2,3 및 4는 실제로 최종 에멀젼 생성물의 숙성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며, 반면에 농축 에멀젼 내에 8.6μ의 평균 오일 소적 직경을 갖는 시료 1은 최종 에멀젼 생성물로 형성되었을 때 숙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시료 2,3 및 4의 최종 에멀젼 생성물 내의 평균 오일 소적 직경이 증가될 때 생성물의 최종 점도는 크게 감소되었다. 오일 소적의 크기가 증가되면서 최종 희석 에멀젼의 점도가 개선될 뿐아니라, 마찬가지로 오일 소적의 직경 크기의 증가와 함께 에멀젼의 비숙성 특성도 증가하였다. 이 실시예는 농축 에멀젼 및 최종 희석 에멀젼 모두에 있어서 오일 소적의 직경 크기가 최종 에멀젼 생성물 내 저 점도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는데 결정적임을 명백히 입증하고 있다. 표 2로부터 에멀젼은 4μ이하의 오일 소적 크기를 갖고, 최종 에멀젼 생성물은 15μ이상의 오일 소적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단지 교반시간만 변화시킨체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서 5개의 추가 시료를 제조하여 농축 에멀젼 및 최종 희석 에멀젼에 있어서 상이한 오일 소적 직경 크기를 얻었다. 아래 표 3에 5개 시료의 각각의 농축 및 희석 에멀젼의 평균 오일 소적 직경을 기재하였다.
시료를 26.7℃(80℉)에서 보관하고, 규칙적인 시간 간격으로 10일 동안 에멀젼의 점도를 측정하여 에멀젼의 비숙성 특성을 결정하였다. 결과를 제 2도에 요약하였다. 도면 제2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의 농축 에멀젼 내 오일 소적의 크기는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는데 중요하다. 이외에, 최종 오일 소적의 직경이 저 점도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는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
유화 조성물이 암모늄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 97중량% 및 실시예 2에서 사용된 동일한 포름알데히드 수지의 3중량%의 혼합물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2를 다시 반복하였다. 농축 에멀젼 및 최종 희석 에멀젼이 형성된 후 다시 각각의 시료에 대해 평균 오일 소적 직경을 측정하였다. 다시 최종 희석 에멀젼을 26.7℃(80℉)로 냉각시키고, 24시간 및 48시간 후 점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4에 기재하였다.
다시 최종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점도 및 최종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비숙성 특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4μ 이하의 농축 에멀젼 내 오일 소적의 크기를 얻는 것이 중요함을 명백히 알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3의 유화제 조성물 사용하고 상기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2개의 추가 시료를 제조하였다. 각각의 시료의 농축 및 희석 에멀젼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아래 표 5에 기재하였다.
다시 에멀젼을 26.7℃(80℉)로 냉각시키고, 1일, 3일 및 5일 후 점도를 측정하였다. 보관 시간에 따른 에멀젼의 변화를 제3도에 요약하였다. 다시, 농축 에멀젼으로서 오일 소적의 크기는 저점도,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는데 중요하다.
본 발명은 그의 정신 또는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남 없이 다른 형태로 설명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태양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기재되어 있고, 동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화는 이 범위안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한다.

Claims (30)

  1. (a)① 점성 탄화수소를 15중량% 이하의 수함량이 되도록 유화 첨가제 및 물과 혼합시키고 ; ② 혼합물을 48.9℃(120℉) 내지 약 93.3℃(200℉)의 온도로 가열하고 ; ③ 가열된 혼합물을 4μ 이하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갖는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도록 조절된 조건하에서 교반시킴으로써 농축 에멀젼을 형성시키고 ; (b)① 상기 농축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30중량% 이하의 수함량이 되도록 물로 희석시키고 ; ② 희석된 혼합물을 60.0℃(180℉) 내지 104.4℃(220℉)의 온도로 가열시키고 ; ③ 가열된 혼합물을 15μ이상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갖고, 최종 에멀젼의 점도가 ls-1및 26.7℃(80℉)에서 1500 센티포아즈 이하인 최종 탄화수소 수에멀젼을 얻도록 조절된 조건하에서 교반시킴으로써 최종 에멀젼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시간의 경과에 따른 에멀젼의 숙성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저점성의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②에서 상기 혼합물이 48.9℃(120℉) 내지 약 82.2℃(180℉)의 온도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단계 (a)③에서 상기 가열된 혼합물이 1000 내지 1500rpm의 속도로 교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②에서 상기 희석된 혼합물이 약 82.2℃(180℉) 내지 약 104.4℃(220℉)의 온도로 가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단계 (b)③에서 상기 가열된 희석 혼합물이 3500 내지 4500rpm의 속도로 교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 탄화수소가 1 내지 16˚API 비중 ; 50℃(122℉)에서 100,000 내지 50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 ; 98.9℃(210℉)에서 10,000 내지 16,000 센티포아즈의 점도 ; 5 내지 25중량%의 아스팔트 함량 ; 3 내지 30중량%의 수지 함량 ; 78.2 내지 85.5중량%의 탄소 함량 ; 9.0 내지 10.8 중량%의 수소 함량 ; 0.25 내지 1.1중량%의 산소 함량 ; 0.5 내지 0.7중량%의 질소 함량 ; 2.0 내지 4.5중량%의 황 함량 ; 50 내지 1000ppm의 바나듐 함량 ; 20 내지 500ppm의 니켈 함량 ; 5 내지 100ppm의 철함량 ; 10 내지 500ppm의 나트륨 함량 및 0.55 내지 0.3중량%의 회분 함량의 이화학적 특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농축 또는 최종)에멀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5중량%의 양으로(농축 또는 최종) 에멀젼 내에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는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3 초과의 친수성-친지성 밸런스를 갖고,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3 내지 7개의 에톡시 단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에톡실화 알킬 페놀, 에톡실화 알코올 및 에톡실화 소르비탄 화합물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카르복실산 및 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암모니아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알킬 페놀 에톡실화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암모니아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70 내지 80중량%의 오일, 약 20 내지 30중량%의 물, 약 0.1 내지 5.0중량%의 유화제로 이루어지고, 15μ 이상의 평균 오일 소적 크기를 갖고, 26.7℃(80℉)에서 1500 센티포아즈 이하의 점도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실질적인 비숙성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탄화수소로부터 형성된 저 점도의 비숙성 탄화수소 수에멀젼.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점성 탄화수소가 1 내지 16˚API 비중 ; 50℃(122℉)에서 100,000 내지 500,000 센티포아즈의 점도 ; 98.9℃(210℉)에서 10,000 내지 16,000 센티포아즈의 점도 ; 5 내지 25중량%의 아스팔트 함량 ; 3 내지 30중량%의 수지 함량 ; 78.2 내지 85.5중량%의 탄소 함량 ; 9.0 내지 10.8 중량%의 수소 함량 ; 0.25 내지 1.1중량%의 산소 함량 ; 0.5 내지 0.7중량%의 질소 함량 ; 2.0 내지 4.5중량%의 황 함량 ; 50 내지 1000ppm의 바나듐 함량 ; 20 내지 500ppm의 니켈 함량 ; 5 내지 100ppm의 철 함량 ; 10 내지 500ppm의 나트륨 함량 및 0.55 내지 0.3중량%의 회분 함량의 이화학적 특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는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3 초과의 친수성-친지성 밸런스를 갖고,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3 내지 7개의 에톡시 단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에톡실화 알킬페놀, 에톡실화 알코올 및 에톡실화 소르비탄 화합물의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유화 첨가제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13 초과의 친수성-친지성 밸런스를 갖고 상기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가 3 내지 7개의 에톡시 단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카르복실산 및 술폰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암모니아 도데실벤젠술포네이트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2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알킬 페놀 에톡실화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3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첨가제가 암모니아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 및 페놀-포름알데히드 에톡실화 수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탄화수소 수에멀젼.
KR1019920000803A 1991-08-19 1992-01-21 숙성이 억제되는 점성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KR950001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46,985 US5354504A (en) 1991-08-19 1991-08-19 Method of preparation of emulsions of viscous hydrocarbon in water which inhibits aging
US746,985 1991-08-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443A KR930004443A (ko) 1993-03-22
KR950001711B1 true KR950001711B1 (ko) 1995-02-28

Family

ID=25003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0803A KR950001711B1 (ko) 1991-08-19 1992-01-21 숙성이 억제되는 점성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5354504A (ko)
JP (2) JP2588338B2 (ko)
KR (1) KR950001711B1 (ko)
CN (1) CN1027866C (ko)
BE (1) BE1006034A3 (ko)
BR (1) BR9200315A (ko)
CA (1) CA2059312C (ko)
DE (1) DE4220989A1 (ko)
DK (1) DK4192A (ko)
ES (1) ES2038083B1 (ko)
FR (1) FR2680517B1 (ko)
GB (1) GB2260088B (ko)
IT (1) IT1256678B (ko)
MX (1) MX9200166A (ko)
NL (1) NL9200214A (ko)
RU (1) RU2021329C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285B1 (ko) * 1999-12-28 2006-03-30 주식회사 케이티 엠피3(mp3) 디코딩장치와 이를 이용한 엠피3 재생장치
KR20100134013A (ko) * 2008-03-11 2010-12-22 라텍스 팔트 비.브이. (1→3)-베타-d-글루칸의 에멀젼 안정화제로서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4504A (en) * 1991-08-19 1994-10-11 Intevep, S.A. Method of preparation of emulsions of viscous hydrocarbon in water which inhibits aging
US5603864A (en) * 1991-12-02 1997-02-18 Intevep, S.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viscous hydrocarbon in aqueous buffer solution emulsions
JPH09500476A (ja) * 1993-11-12 1997-01-14 エクサバイト コーポレイション ヘリカルスキャン記録機においてヘッドパラメータを決定しかつ使用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863301A (en) * 1994-06-02 1999-01-26 Empresa Colombiana De Petroleos ("Ecopetrol") Method of produce low viscosity stable crude oil emulsion
JPH08325582A (ja) * 1995-06-01 1996-12-10 Kao Corp 超重質油エマルション燃料の製造方法
US5725609A (en) * 1996-02-09 1998-03-10 Intevep, S.A. Water in viscous hydrocarbon emulsion combustible fuel for diesel engine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5997590A (en) * 1996-11-13 1999-12-07 Quantum Energy Technologies Corp. Stabilized water nanocluster-fuel emulsions designed through quantum chemistry
US5800576A (en) * 1996-11-13 1998-09-01 Quantum Energy Technologies Corporation Water clusters and uses therefor
US5792223A (en) * 1997-03-21 1998-08-11 Intevep, S.A. Natural surfactant with amines and ethoxylated alcohol
US6656236B1 (en) 1997-12-12 2003-12-02 Clean Fuel Technology, Inc. Constant heating value aqueous fuel mixture and method for formulating the same
US6010544A (en) * 1997-12-18 2000-01-04 Quantum Energy Technologies Supercritical water fuel composition and combustion system
US6187063B1 (en) * 1998-04-22 2001-02-13 Rudolf W. Gunnerman Aqueous emulsion fuels from petroleum residuum-based fuel oils
US6419714B2 (en) * 1999-07-07 2002-07-16 The Lubrizol Corporation Emulsifier for an acqueous hydrocarbon fuel
US6530965B2 (en) * 2001-04-27 2003-03-11 Colt Engineering Corporation Method of converting heavy oil residuum to a useful fuel
US7279017B2 (en) * 2001-04-27 2007-10-09 Colt Engineering Corporation Method for converting heavy oil residuum to a useful fuel
US6903138B2 (en) * 2002-06-03 2005-06-07 Intevep, S.A. Manufacture of stable bimodal emulsions using dynamic mixing
US6677387B2 (en) * 2002-06-03 2004-01-13 Intevep, S.A. Preparation of stable emulsion using dynamic or static mixers
JP2004155268A (ja) 2002-11-05 2004-06-03 Nsk Ltd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FR2883882B1 (fr) * 2005-04-05 2007-05-25 Ceca S A Sa Additifs pour produits bitumineux, produits bitumineux les contenant et leurs utilisations
FR2894845B1 (fr) * 2005-12-16 2008-02-29 Total Sa Procede de preparation d'une emulsion calibree
GB0526418D0 (en) * 2005-12-23 2006-02-08 Ass Octel Process
DE602007011124D1 (de) 2006-02-07 2011-01-27 Colt Engineering Corp Mit Kohlendioxid angereicherte Rauchgaseinspritzung zur Kohlenwasserstoffgewinnung
US20080148626A1 (en) * 2006-12-20 2008-06-26 Diamond Qc Technologies Inc. Multiple polydispersed fuel emulsion
US20080249194A1 (en) * 2007-04-04 2008-10-09 Corporation De L'ecole Polytechnique De Montreal Stable emulsion and process of preparation thereof
US20100314296A1 (en) * 2009-01-29 2010-12-16 Luis Pacheco Pipelining of oil in emulsion form
US10704003B2 (en) 2015-11-06 2020-07-07 Quadrise International Limited Oil-in-water emulsions
EP3260522A1 (en) 2016-06-22 2017-12-27 Iurii Zubaniuk Process for producing a hydrocarbon mixtur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341516A1 (es) * 1966-06-30 1968-09-16 Armour & Co Un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on de una emulsion bitumi- nosa.
GB1338477A (en) * 1971-02-16 1973-11-21 Shell Int Research Bituminous emulsions
FR2249915B1 (ko) * 1973-11-05 1977-09-16 Mobil Oil France
US4251229A (en) * 1977-10-03 1981-02-17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Stabilized fuel slurry
GB2065148A (en) * 1979-12-14 1981-06-24 Cooper & Co Ltd Edwin Lubricating composition
US4814094A (en) * 1982-04-02 1989-03-21 Magna Corporation Oil recovery method utilizing highly oxyalklated phenolic resins
US4496474A (en) * 1982-12-20 1985-01-29 Akzona Incorporated Asphalt emulsions comprising N-aliphatic-1,3-diaminopentane emulsifier and process
US4551239A (en) * 1983-04-11 1985-11-05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Water based demulsifier formulation and process for its use in dewatering and desalting crude hydrocarbon oils
US4462840A (en) * 1983-06-20 1984-07-31 Westvaco Corporation Mixing of asphalt emulsion and aggregate in aqueous bituminous emulsion-aggregate slurries
US4539099A (en) * 1983-12-30 1985-09-03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rocess for the removal of solids from an oil
GB8404347D0 (en) * 1984-02-18 1984-03-21 British Petroleum Co Plc Preparation of emulsions
US4646771A (en) * 1984-03-02 1987-03-03 Occidental Petroleum Corporation One-step system for transforming a water-in-oil emulsion into an oil-in-water emulsion
US4627458A (en) * 1984-03-02 1986-12-09 Occidental Petroleum Corporation One-step process for transforming a water-in-oil emulsion into an oil-in-water emulsion
DE3435430A1 (de) * 1984-09-27 1986-04-03 Hüls AG, 4370 Marl Verfahren zum transport von zaehfluessigen rohoelen
GB8521968D0 (en) * 1985-09-04 1985-10-09 British Petroleum Co Plc Preparation of emulsions
DE3634644A1 (de) * 1985-10-24 1987-04-30 Pfizer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foerderung von viskosem rohoel
DE3609641A1 (de) * 1986-03-21 1987-09-24 Huels Chemische Werke Ag Verfahren zum transport von zaehfluessigen oelen
US4976745A (en) * 1986-06-17 1990-12-11 Domingo Rodriguez Process for stabilizing a hydrocarbon in water emulsion and resulting emulsion product
US4795478A (en) * 1986-06-17 1989-01-03 Intevep, S.A. Viscous hydrocarbon-in-water emulsions
US4978365A (en) * 1986-11-24 1990-12-18 Canadian Occidental Petroleum Ltd. Preparation of improved stable crude oil transport emulsions
US4983319A (en) * 1986-11-24 1991-01-08 Canadian Occidental Petroleum Ltd. Preparation of low-viscosity improved stable crude oil transport emulsions
US4725287A (en) * 1986-11-24 1988-02-16 Canadian Occidental Petroleum, Ltd. Preparation of stable crude oil transport emulsions
GB8717836D0 (en) * 1987-07-28 1987-09-03 British Petroleum Co Plc Preparation & combustion of fuel oil emulsions
US4949743A (en) * 1987-12-14 1990-08-21 Nalco Chemical Company Fluidization of heavy slurries
JP2793190B2 (ja) * 1988-03-30 1998-09-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重質油、水混合燃料組成物
JPH0798954B2 (ja) * 1988-03-31 1995-10-2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重質油、水混合燃料油用添加剤
JPH01313594A (ja) * 1988-06-10 1989-12-19 Kao Corp 超重質油エマルション燃料
JPH0397787A (ja) * 1989-09-12 1991-04-23 Kao Corp 超重質油エマルション燃料
JPH0397788A (ja) * 1989-09-12 1991-04-23 Kao Corp 超重質油エマルション燃料
US5354504A (en) * 1991-08-19 1994-10-11 Intevep, S.A. Method of preparation of emulsions of viscous hydrocarbon in water which inhibits ag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285B1 (ko) * 1999-12-28 2006-03-30 주식회사 케이티 엠피3(mp3) 디코딩장치와 이를 이용한 엠피3 재생장치
KR20100134013A (ko) * 2008-03-11 2010-12-22 라텍스 팔트 비.브이. (1→3)-베타-d-글루칸의 에멀젼 안정화제로서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4192D0 (da) 1992-01-13
MX9200166A (es) 1993-02-26
IT1256678B (it) 1995-12-12
JPH0568870A (ja) 1993-03-23
DK4192A (da) 1993-02-20
US5354504A (en) 1994-10-11
DE4220989A1 (de) 1993-02-25
CA2059312C (en) 1996-06-04
ES2038083A1 (es) 1993-07-01
RU2021329C1 (ru) 1994-10-15
FR2680517A1 (fr) 1993-02-26
ITTO920149A1 (it) 1993-08-25
FR2680517B1 (fr) 1996-04-05
GB9200731D0 (en) 1992-03-11
BE1006034A3 (fr) 1994-04-26
GB2260088A (en) 1993-04-07
ITTO920149A0 (it) 1992-02-25
CN1027866C (zh) 1995-03-15
GB2260088B (en) 1995-08-23
NL9200214A (nl) 1993-03-16
ES2038083B1 (es) 1994-02-16
BR9200315A (pt) 1993-04-06
JP2588338B2 (ja) 1997-03-05
CN1069671A (zh) 1993-03-10
JPH08323190A (ja) 1996-12-10
US5505876A (en) 1996-04-09
KR930004443A (ko) 1993-03-22
CA2059312A1 (en) 1993-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711B1 (ko) 숙성이 억제되는 점성 탄화수소의 수에멀젼의 제조 방법
US5480583A (en) Emulsion of viscous hydrocarbon in aqueous buffer solu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5419852A (en) Bimodal emulsion and its method of preparation
US5792223A (en) Natural surfactant with amines and ethoxylated alcohol
EP0833880B1 (en) Method for producing superheavy oil emulsion fuel
US5902227A (en) Multiple emul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5478365A (en) Heavy hydrocarbon emulsions and stable petroleum coke slurries therewith
JPS6354498A (ja) 天然の液体燃料を産出して燃焼させる方法及び乳濁液中の油として形成した天然の液体燃料
US4211575A (en) Asphalt-sulfur emulsion composition
CA2009123C (en) Process for stabilizing a hydrocarbon in water emulsion and resulting emulsion product
US20010049901A1 (en) Emulsion with coke additive in hydrocarbon phas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1373661A (en) Emulsion and method of producing it
CN110330261A (zh) 一种微发泡沥青温拌剂、温拌沥青混合料及制备方法
JPH01247492A (ja) 重質油、水混合燃料組成物
US3936406A (en) Stable emulsions
JPH01185394A (ja) 重質油、水混合燃料油及びその製造方法
US2087400A (en) Bituminous emulsion
US8262385B2 (en) Aqueous dispersions of heavy oil residues
JPH01252697A (ja) 重質油、水混合燃料油製造方法
US2324473A (en) Method of preparing bituminous emulsions
Khil’ko et al. Physicochemical principles of preparation of emulsion fuels
US2267810A (en) Process for producing aqueous bituminous emulsions
JPH0688082A (ja) 重質油エマルジョン燃料
JPH07278579A (ja) 高引火点アスファルト・水混合燃料用添加剤および該添加剤を含有する高引火点アスファルト・水混合燃料
JPH02135281A (ja) タールピッチの乳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