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031B1 - 분활 가능한 병상자 - Google Patents

분활 가능한 병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031B1
KR950001031B1 KR1019870700421A KR870700421A KR950001031B1 KR 950001031 B1 KR950001031 B1 KR 950001031B1 KR 1019870700421 A KR1019870700421 A KR 1019870700421A KR 870700421 A KR870700421 A KR 870700421A KR 950001031 B1 KR950001031 B1 KR 950001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roove
box
lockslide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70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0758A (ko
Inventor
헬무트 아우어
Original Assignee
슈프리트-복스-파텐트훼어벨퉁 카게
페터 크레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프리트-복스-파텐트훼어벨퉁 카게, 페터 크레머 filed Critical 슈프리트-복스-파텐트훼어벨퉁 카게
Publication of KR880700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0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32Bail handles, i.e. pivoted rigid handles of generally semi-circular shape with pivot points on two opposed sides or wall parts of the cona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분활 가능한 병상자
제1도는 분리가능한 병상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략도.
제2도는 제3도에서 Ⅱ-Ⅱ선 방향으로 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방향으로 본 도면.
제4도는 로크해제 및 분리된 상자 요소를 보이는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5도는 제4도에서 화살표 Ⅴ의 방향에서 본 로크기구를 구성하는 슬라이드의 개략도.
제6도는 제 5도의 Ⅵ-Ⅵ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해 로크슬라이드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제 5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화살표 Ⅷ의 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해 로크 슬라이드의 실시형태의 변형예의 제7도에 대응하는 도면.
제10도는 제9도의 화살표 Ⅹ의 방향으로 본 도면.
제11도는 상자요소상의 핸들의 이 발명에 의해 설계된 힌지영역의 제2도에 대응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로크슬라이드 21 : 핸들
이 발명은 하나의 외벽에 평행으로 되어 있는 분리부를 기지는 복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요소로부터 이루어진 병에 사용되는 분리가능한 상자로서, 상기의 상자 요소가 보조벽에 의하여 구획이 정해져 있으며, 한쪽 모서리 부근에 있어서는 상기 보조벽을 지나서 돌출하고 있는 훅크와, 다른 쪽 모서리 부근에서는 샤프트내에 개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훅크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요홈의 형태를 가지는, 확실히 작동하는 로크요소가 상기 보조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 로크 스라이드가 배치됨과 동시에, 로크위치에 있어서 상자의 대응요소의 훅크의 배후부에서 대응평탄부에 계합하고 있으며, 핸들이 상자요소의 좁은 측부분에 힌지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상자요소방향으로 선회 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의 다리부분의 자유단이 그의 힌지단을 넘어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핸들의 적어도 자유단에는 상기 샤프트를 갖추고 있는 측부에로 연장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벽이 상기 연장부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로크슬라이드가 상기 개구분에 요홈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개구 및 요홈이 상기 핸들이 각 상자요소 방향으로 선회되는 때는 상기연장부가 상기 로크슬라이드의 요홈에 계합하며, 또 로크슬라이드를 로크위치에 상승시킬수 있게된 형상 및 형태를 가지고 있는 병에 사용되는 분리가능한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합성수지 재료 병상자는 독일특허공보 제3034650호에 표시되어 있다.
상기의 병상자의 경우에 처음에 핸들의 각각이 양 로크슬라이드의 다만 하나와 즉 핸들이 힌지고정되어 있는 상자 요소에 관련하는 것하고만 공동작용 하는 것이 목적으로 되어 있었으나 양 핸들이 각 로크스라이드와 공동작용하는 것까지 개발되었다.
병상자들이 전체로서, 즉 조립된 상태에서 쌓아 올려질수 있도록 하려면 병상자의 일부를 형성하는 핸들은 양 경우에서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재치됨과 동시에 상자 요소를 향하여 되돌아 선회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위치에 있어서 핸들은 상자의 상단부를 넘어서 돌출해서는 안되며 그렇지 않으면 조립된 상자의 적립 가능성에 유해한 효과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자 요소를 파지하고자하는 경우에 핸들은 수평의 로크위치로 부터 상방으로 수직의 로크위치로 선회되어 진다.
이 시점에서 핸들다리 부분의 자유단들은 로크슬라이드로부터 이탈된다. 핸들과 로크슬라이드 사이의 공동작용을 가져오고 있는 운동, 즉 핸들의 상자 요소에의 힌지고정에 관련하는 강제훽터와 조합된 핸들의 선회운동 및 로크슬라이드의 수직이동에 의해, 한편으로는 상가 요소상의 힌지점을 넘어서 핸들 다리 부분의 자유단이 돌출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핸들 다리부분의 단부와 공동 작용을 하는 로크슬라이드에 있는 개구의 높이가 결정된다. 이점에 관련하여 로크슬라이드의 개구의 위치는 수직의 로크해제위치로 부터 수평의 로크위치로 핸들의 선회시에 로크슬라이드의 개구에 계합된 핸들다리 부분의 단부가 개구의 상단부에 재치되도록됨과 동시에 로크위치에로 핸들을 이동시에 로크슬라이드가 결합된 상자요소가 확실히 로크되기까지 상방으로 이동되도록 그렇게 선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로크슬라이드의 개구의 하단부의 위치를 결정하는 개구의 높이는 로크해제 위치에로 핸들을 치켜올리는 경우에 핸들다리 부분의 단부가 로크슬라이드이 개구의 하단부 방향에로 주행하며, 이것에 의하여 상기 슬라이드를 하방에, 핸들의 다리부분의 단부가 로크슬라이드의 개구로부터 이탈되기전에 로크해제가 달성되도록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결정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개구의 높이는 필연적으로 한정된다.
이점으로부터 핸들다리 부분의 단부가 로크슬라이드와 공동작용하기전에 이미 로크위치에로 로크슬라이드의 근소한 이동함 만으로도 즉 상방을 향하여 근소한 이동만으로도 핸들다리 부분의 단부는 로크슬라이드에 설치된 개구에 도달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핸들은 더 이상 완전히 상자요소에 대하여 되돌아 선회될 수 없다. 로크 작용에 힘을 사용하면 핸들 또는 로크슬라이드는 손상된다. 상자요소의 완전히 복귀선회되지 않는 핸들을 가지고는 합성수지 병상들을 또한 적립할수가 없다.
특히 양핸들이 각 로크슬라이드와 공동 작용을 하도록 한 병상자의 설계 형태의 경우에는 일방의 핸들이 타방보다 먼저 로크위치에 선회되는 일이 자주 있다. 그 결과, 양 로크슬라이드는 그의 하방로크 위치로부터 들어올려지며, 핸들의 다리부분의 단부가 로크슬라이드에 설치된 개구에 접근할뿐이다. 지연되어서 남은 타방의 핸들은 이미 들어올려진 로크슬라이드에 의해 방해되어 수평으로 로크위치에 이동할 수가 없게된다. 상자요소가 실제로 조립되었다고 해도 상자는 전체로서 적립할수가 없게되며, 그 이유는 일방의 핸들, 즉 늦어서 남아있는 것이 상자의 상단을 넘어서 돌출하고 있기때문이다.
전술에서 설명한 선행기술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에 말한 타입의 상자, 특히 로크기구를 상자요소에 힌지고정된 양핸들이 상자요소가 조립된 후에도 수평로크위치에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은 이 종류의 병상자의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고 있으며 여기서는 핸들 및/또는 로크슬라이드에 스프링 탄설부(spring catch)가 설치되며 로크슬라이드가 이미 로크위치에 완전히 또는 일부 들어올려져 있는 때에도 상기 핸들을 각 상자요소 방향에로 선회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핸들이 로크위치에 선회할때에는 그 주행경로가 이미 들어올려진 로크슬라이드에 의해 방해되게 되면 여기서는 한편으로 핸들의 다리부분의 자유단은 설치된 개구내에 이행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타방에서 로크해제 위치에의 선회에 의해 핸들과 로크슬라이드와의 작동적 연결이 보증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로크슬라이드가 로크해제 위치, 즉 그의 하방종단위치로부터 이미 들어 올려져 있는 때에도 이 로크슬라이드의 이동의 이유에 관계없이 상자요소에 힌지고정된 핸들을 수평로크 위치에 선회시키는 과제는 해결된다.
따라서 로크슬라이드가 그의 하방 종단위치에 없을 경우에도 핸들은 수평로크 위치에 이행할 수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핸들은 상자요소에 대하여 완전히 복귀선회하며, 따라서 조립된 병상자의 상단부를 넘어서 돌출하는 일은 없으므로 병상자는 원하는 바에 따라 적립될 수가 있다.
이 발명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 탄설부는 여러가지 종류와 설계 형태에서 실시되어 질수가 있다.
제1실시형태의 경우에 스프링 탄설부의 요소는 핸들의 다리부분의 자유단을 수용하기 위하여 로크슬라이드에 설치된 요홈의 하방의 제2요홈이며, 경사면이 요홈의 깊은곳으로 부터 제1요홈의 하단부 방향에로 지나고 있다.
또 로크슬라이드가 그의 타방 종단위치로 부터 상방으로 , 즉 핸들의 자유단이 로크 슬라이드에 설치된 제1요홈에 직접도달할수가 없도록 상방에 이미 이동되어 있으며 핸들의 상기 자유단은 로크슬라이드 제1요홈의 하방에 추가하여 설치된 제2요홈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 핸들을 하방으로 선회하는 경우에 일반적으로 이미 어느 정도의 고유 탄성을 가지는 핸들다리 부분의 단부는 제2의 요홈의 경사면을 따라서 미끌어지고 여기서 밖으로 향하여 밀쳐지며, 그 결과로 제1요홈의 하단부를 우회하여 수평의 로크위치에 이행하며 제2요홈에 계합한다. 이렇게하여 요홈에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핸들은 다시 그의 로크해제 기능을 실행할수가 있다. 이 설계형태에서는 핸들 다리 부분의 단부는 핸들 자체에 관련하여 스프링 탄성을 가지도록 조정되어 있다.
다른 수단으로서 또는 점증적으로 핸들다리부분의 단부와 공동 작용을 하도록 로크슬라이드에 형성된 요홈에 관련하여, 밀려질수 있는 탄성표면요소들에 의하여 형성되어지며 핸들다리부분의 단부가 제2요홈의 경사면상을 주행할 때 핸들다리 부분의 단부가 제1요홈으로 계합하기까지, 상기 요소가 빠져 나갈수 있도록 구성할수가 있다.
이 경우에는 경사면은 설상부(舌狀部)의 형태로하고 핸들이 하방으로 선회시, 즉 경사면을 주행하는 핸들의 다리부분의 단부에 의해 밀어 젖힐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설상부의 단면은 핸들이 상방에로 선회시에, 즉 로크 해제시에, 핸들 다리 부분의 단부의 접촉 계합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제2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스프링 탄설부에 대하여 직각의 작동방향을 가지는 스프링 탄설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즉 이것은 핸들의 다리부분이 선회하는 평면내에서 작동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핸들 다리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로크슬라이드의 요홈은 하방으로 뻗쳐있는 단부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로크슬라이드의 단부의 하단으로 부터 주행하고 있으며 종방향 단부에 설치되어 밀어 젖힐수 있는 스프링 설상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프링 설상부의 단면은 요홈의 하부 한계를 형성하게 하도록 하여질수가 있다.
로크슬라이드가 이미 로크해제위치로 부터 로크위치로 이동된 상태까지 핸들이 로크해제 위치로부터 로크위치로 선회되면, 원형 경로를 이동하는 핸들 다리 부분의 단부의 단면(端面) 스프링 설상부를 주행하고 또 그것을 통과하며, 핸들이 다시 다리부분의 단부가 선회하는 평면내에서 선회하며, 각부의 단부가 로크슬라이드에 설치된 요홈에 계합하면 스프링 설상부는 그의 처음위치에 스냅작동에 의해 되돌아 온다.
이렇게해서 처음위치에 배치됨과 동시에 요홈의 하부 한계를 형성하는 상기 스프링 설상부는 핸들이 상방으로 선회시에, 즉 로크해제 위치로 이행되어서 로크슬라이드가 대응하여 그의 로크해제 위치에 이동된때, 다시 다리부분의 단부의 접촉계합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스프링 탄설부의 작동방향이 제2의 실시형태의 스프링 탄설부의 그것에 대응하고 있는 제3의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 탄설부는 상자요소에 대한 핸들의 힌지점 부근으로 이동된다.
이 경우에 핸들의 베어링 핀은 상자요소의 수평으로된 장공내에 부착됨과 동시에 스프링에 의하여 처음의 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기지의 로크슬라이드는 변하지 않고 유지되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로크슬라이드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로크위치에 치켜 올려진 상태에서 핸들이 로크해제 위치로 부터 로크위치로 선회된다면 핸들의 다리부분의 단부의 단면은 로크슬라이드의 대향벽면을 주행한다. 핸들이 다시 하방으로 선회되면, 이 핸들은 베어링핀에 의해 상자요소상을 안내되어서 상기 베어링핀의 배후부에 계합하는 스프링의 힘에 대향하여 이동되며, 상기 핸들이 완전히 수평로크위치에 이행하는것이 가능하게 된다. 핸들의 다리부분의 단부가 로크슬라이드에 형성된 요홈의 수준에 도달되자마자 핸들은 베어링핀의 배후부에 계합하는 압력 스프링의 작용으로 다시 그의 처음의 위치로 되돌아 온다. 이 처음위치에서 다리부분의 단부는 로크슬라이드의 요홈으로 계합되며 이로소 그 다음에 로크 해제 조작중에 핸들과 로크슬라이드와의 공동작용을 하는 상태로 복귀된다.
특정한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핸들은 각 로크슬라이드와 공동작용을 하고 있다. 이것을 위하여, 로그슬라이드를 수용하는 샤프트는 타방의 상자 요소로부터 나오는 로크 훅크에 대면하는 측부에 샤프트의 타측부의 개구 및 요홈에 대응하는 개구 및 요홈이 형성되어 있다. 핸들의 2개의 디리부분 단부는 로크슬라이드와 공동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 핸들과 로크슬라이드는 계합영역에서 스프링 탄설부를 설치하고 있다.
다음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다.
대응하는 상자요소(1) 및 (1')는 각각 하나의 종방향 측벽(11), 그곳에서 부터 연장되고 있는 좁은 부분측벽(12) 및 (13), 그리고 좁은부분 측벽(12) 및 (13)으로부터 연장함과 동시에 종방향 측벽(11)에 평행하게 되어 있는 보조벽(14)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벽(11) 내지 (14)들은 그 자체가 공지된 방법으로 구멍들이 뚫려 있다.
상자요소(1) 및 (1')에서 구획실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상자저면에 놓여질 병을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상자요소(1')의 대응요소를 설명할때는 부호 '를 붙여서 설명하기로 한다.
좁은부분측벽(12)으로부터 보조벽(14)에로의 이행부에 있어서, 상자요소에는 샤프트(1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샤프트(16)는 벽의 높이에 걸쳐서 연장하여져 있음과 동시에 정부가 막혀져 있다. 좁은부분 측벽(13)으로부터 보조벽(14)에로의 대향이행부(對向移行部)에는 다수개의 훅크(17)가 설치되어 있으며 훅크(17)는 벽의 높이에 걸쳐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보조벽(14)를 넘어서 돌출하고 있다. 상자요소(1) 및 (1')가 서로 결합될때 그의 일방은 최초로 180°선회되며, 상기 훅크가 대응샤프트(16)의 대향벽(161)의 개구(162)를 통하여 들어가며, 샤프트(16)내를 (제2도에서 이중화살표 A방향으로)승강되는 로크슬라이드(lock slide)(16)와 함께 움직인다(제2도 내지 제 4도). 이와 같은 함께 움직이는 공동관계(共同關係)가 반대측에 있어서의 상자요소(1)로부터 연장하는 훅크, 상자요소(1')의 샤프트(16'), 및 샤프트(16')내에 배치된 로크슬라이드사이에서도 이루어진다. 로크기구는 전방측의 로크영역에 관련해서 후술한다. 후방영역의 로크영역의 구조 및 작동방법은 동일하다.
제5도에서 측면도로 그리고 제6도에서 단면도로 나타내어진 샤프트(16) 내에 배치된 로크슬라이드(18)는 캠(182)을 갖추고 있으며, 이 캠(182)은 그의 외벽(181)으로부터 돌출함과 동시에 상자요소(1)의 좁은 부분 측벽(12)에 평행하며 또 샤프트(16)의 대응외벽(163)에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캠은 샤프트외벽(163)의 계구(164)내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필요에 의해 로크슬라이드(18)를 수동으로 제2도의 2중 화살표의 방향으로 승강시키기 위하여 이동된다.
상자요소(1)의 보조벽(14)에 평행함과 동시에, 따라서 상자요소(1')의 보조벽(14')과 대면하며 또 외벽(181)으로 부터 연장하는 슬라이브벽(183)내에 샤프트벽(161)의 개구(162)에 대응하는 요홈(184)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는 로크슬라이드(18)가 하강된 때에 샤프트벽(161)내의 개구와 일직선으로 맞추어진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자요소(1)(1')가 서로 결합될때는 상자 요소(1')의 보조벽(14')를 지나서 돌출하는 훅크(17')가 샤프트벽(161)의 개구(162) 및 로크슬라이드(18)의 벽(183)의 요홈(184)을 통과하여 로크슬라이드 내부에 도달한다.
이 요홈의 상부영역(1841)에서 이 요홈(184)은 훅크헤드(17)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계되어 있음과 동시에, 훅크헤드(17)를 보지하는 웨브(171)에 관련하여 확대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하부영역(1842)에 있어서는 요홈(184)의 폭은 훅크헤드(17)를 보지하는 웨브(171)의 폭에 대응할뿐이다. 로크슬라이드가 상승하면 훅크(17)의 웨브(171)은 요홈(184)의 하부좁은 부분영역(1842)내에 도달되며, 그곳을 웨브(171)가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훅크(17)가 상기 웨브의 단부영역의 배부(背部)에서 계합하며, 따라서 훅크(17)는 요홈(184)으로부터 풀려나올 수가 없게된다. 따라서 상자요소(1) 및 (1')는 서로 확실히 고정된다.
샤프트(16)안에서 로크슬라이드(18)의 제2도에 보이는 로크위치에의 상승은 베어링핀(19)에 의한 상자요소(1)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핸들이 제4도에 보여진 상방선회 위치로부터 제2도에 보여진 상자요소(1)위에로 선회된 위치까지 이동될때에 행하여진다. 베어링핀(19)을 넘어서 돌출하고 있는 핸들(21)의 자유각단부(自由脚端部)(211), 그래서 특히 연장부(212)는 샤프트벽(161)에 대면하는 샤프트벽(166)의 개구(167)를 거쳐서 로크슬라이드(18)의 상단에 형성된 요홈(186)내에 도달하며,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는 요홈(186)의 상부한계(1861)에 대한 로크위치에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핸들(21)이 제2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제4도에 표시된 위치로 상방으로 선회된다면 로크슬라이드(18)의 요홈(186)내에 있는 상기 핸들의 연장부(212)의 하단부는 로크슬라이드의 요홈(186)의 하부한계(1862)에 도달하며, 그리고 핸들(21)이 높이 선회되는 것이 계속될때에 로크슬라이드(18)를 하부의 로크해제 위치에로 옮겨놓으며 이 로크해제위치에서 타방의 상자요소(1')의 훅크(17')는 요홈(184)의 하부의 좁은 부분영역(1842)의 단부로부터 또다시 이탈되며 이것에 의하여 상자요소(1) 및 (1')는 분리되어 질수 있다. 그러나 조합된 상자요소(1)(1")가 핸들(21)을 제4도에서 보인 위치로부터 제2도에서 보인 위치에 복귀선회 시키는 것에 의해 다시 서로 로크시키려는 경우에는 로크슬라이드(18)는 그의 하방종단 위치에 있어야 한다.
실질적으로 제형횡단면 형상을 가지는 로크슬라이드(18)는 머리 부분 카버(187) 및 저부카버(188)를 가지는 성형부편(成形部片)으로 되어 있으며, 벽(181), (183) 및 (185)가 양카버 사이에서 연장하고 있음과 동시에 안정화웨브(189)가 벽부(181)로 부터 뻗쳐있다.
이들 중에서 벽부분(181)의 종방향 모서리로 부터 뻗쳐있는 벽부분(183) 및 (185)는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다.
상자요소(1) 및 (1')의 측벽에 대하여 평행한 벽부분(181)이 설치되어 이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그 캠(182)이 샤프트벽(163) 전체에 걸쳐서 연장하고 있으면서, 제2도에서 이중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로크슬라이드(18)의 직접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벽부분(183)이 대응하는 상자요소(1')의 로크훅크(17)를 수용하기 위한 요홈(184)를 가지고 있는데 대하여 벽(181)은 그의 상부영역에 상자요소(1)에 관련하는 핸들(21)의 자유각단부(211)의 연장부(212)를 수용을 위하여 벽(181)전체의 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는 요홈(186)을 가지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샤프트는 상부(168)가 막혀 있으며, 로크슬라이드(18)는 저부가 개방된 로크샤프트(16)안으로 하방으로 부터 도입되며 샤프트 벽(163)에 있는 개구(164)내로 안내되는 캠(182)에 의하여 보지되어 진다. 로크슬라이드(18)의 길이에 걸쳐서 연장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안내요소는 샤프트 벽부에 있는 대응하는 홈(169)안으로 안내되어 있다. 상자요소(1) 및 (1')에 부착되어 있는 핸들(21)(21')은 이것이 접혀진때 이상자 요소의 상단의 단부내에 끼워지며 그 결과로 이 위치에 있어서 핸들은 조립되어진 상자로 부터 상방 또는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만족할만하게 겹쳐 쌓여 올릴수 있다.
제5도 및 제6도에 표시된 로크슬라이드(18)는 원칙적으로 이 발명이 근거하고 있는 통상의 로크슬라이드이다. 상기 로크슬라이드의 요홈(186)의 부근에 배치된 핸들(21)의 자유각단부(211)의 연장부(212)가 제4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제2도에 표시된 위치에로 핸들의 선회시에 요홈(186)으로 들어오게 할 경우에는 로크슬라이드(18)는 하방의 종단위치에 있지 않으면 안되며, 그렇지 않으면 핸들(21)의 선회운동은 상기 로크슬라이드의 횡벽(183)에 의하여 방해된다. 제7도 내지 제10도는 이 발명의 로크슬라이드 형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발명에 의해 설계된 슬라이드의 부편만이, 즉 상기 로크슬라이드(18)가 그의 하방 종단위치로 된때에도, 핸들을 제4도에 표시된 위치로부터 제2도에 표시된 위치까지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한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그밖의 점에 있어서는 제5도에서 보여진 로크슬라이드와 동일한 새로운 로크 슬라이드(18)는 핸들(21)의 연장부(212)를 수용하기 위한 벽(181)의 폭에 걸쳐서 뻗쳐 있는 하부요홈(186)과 벽(185)으로부터 뻗쳐있는 또다른 요홈(191)을 가지며, 이 요홈의 후벽(1911)은 개구의 저부로부터 로크슬라이드(18)의 벽(181)에 일직선상에 맞추어져서 슬라이드(18)의 요홈(186)의 하부한계(1862)의 전단부에로 향하여 연장하고 있으며, 환언하면 핸들(21)의 각부(211), 따라서 각부의 자유단의 연장부(212)가 선회를 행하는 평면B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고 뻗쳐있다.
이와 같이 설계된 로크슬라이드(18)가 핸들(21)의 연장부(212)가 이 로크슬라이드와 계합하기 전에 로크위치로 향하여 이동되면, 핸들이 상자요소(1) 방향으로 선회할때, 상기 연장부는 요홈(191)내에 끼워지며, 이 요홈(191)에 다시 접근하며, 이 한정된 고유의 탄성에 의해 핸들이 하방으로 선회할때 안내벽(1911)을 따라서 미그러짐으로서 로크슬라이드(18)의 요홈 또는 단부(181)내에 들어간다.
그러한 설계와 그것으로부터 결과하는 로크슬라이드 및 핸들사이의 공동작용은 특히 핸들(21) 및 (21')이 로크슬라이드(18) 및 (18')와 공동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절대 필요한 점이며, 그 이유는 상기 핸들이 로크위치에 완전히 동기가 되어 이동하는 일이 항상 보증되는 것은 아니며, 또 로크슬라이드가 로크위치에로의 이전을 위하여 선도핸들에 의해 상승되는 경우만이 지연핸들이 상기 로크슬라이드와 효력이 있는 결합을 달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핸들이 로크슬라이드에 대하여 공동작용 하도록 하려면 핸들(21)(21')의 다리단부의 연장부(212)에 관한 수용은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슬라이드의 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표시된 분리 가능한 상자는, 이 경우에 전방측의 로크영역에 관련하여 상자요소(1')에 관련하는 핸들(21')의 전방측의 다리의 자유단에도 연장부가 설치되며, 이 연장부가 상자요소(1)에 관련하는 핸들(21)의 다리부분의 자유단의 연장부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샤프트의 대응벽(161)에 요홈은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 요홈은 로크샤프트(16)의 벽(166)의 요홈(167)에 대응하고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 있어서, 로크슬라이드(18)의 벽(181)의 요홈(186)은 탄성 설상부(舌牀部)(192)의 다면(194)으로부터 하방으로 구획이 정하여져 있으며, 또 상기 설상부(192)는 로크슬라이드(18)의 종방향단부(181) 또는 (185)에 따라서 상기 단부에 향하여 연장하고 있다. 핸들이 로크슬라이드(18)와 공동작용하여 지연하면, 상기 설상부는 핸들의 다리 단부의 연장부(212)로부터 화살표 E의 방향에 있어서 내측방향으로 압압된다. 이렇게 해서 요홈(186)에 들어간후, 연장부(212)는 자유로 통과할 수가 있다. 로크해제에 의하여 상기 연장부(212)는 설상부(192)의 단면(194)에 다시 도달하며 설상부(192)는 그의 개시위치에 스냅, 백되어 로크 슬라이드가 해제된다.
핸들 각부의 자유단에 있는 연장부(212)의 로크슬라이드에 설치된 요홈(186)내에로의 계속되는 이동의 문제도 제11도에 보여진 방법에 의하여 이 발명의 전체적인 개념의 범위내에 있어서 해결된다.
상기의 경우에 핸들(21)을 상자요소(1)에 결합하고 있는 베어링핀(19)은 로크슬라이드(18)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어 있는 긴구멍(196)내에 스프링(197)의 작용에 대향하여 이동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따라서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핸들(21)의 연장부(212)가 이미 상승된 로크슬라이드(18)와 공동작용하여 지연되며 그리고 또 상기 연장부(212)의 단면(斷面)이 상기 로크슬라이드의 벽에 도달하면, 상기 핸들은 이것이 상자요소(1)의 방향으로 선회시, 스프링(197)의 작용에 대항하여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최종적으로 연장부(212)는 로크슬라이드(18)의 단부의 요홈(186)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까지 이동되어서 베어링핀(19)에 작용하는 스프링(197)에 의하여 연장부(212)가 상기 요홈내로 이행된다.

Claims (9)

  1. 외벽에 평행하게 주행하는 분리부를 가지는 복수개, 특히 2개의 요소로부터 되어 있는 분활가능한 병상자에 있어서, 상기의 요소가 보조벽에 의하여 구획이 정해져 있으며, 한쪽 모서리에서 상기 보조벽을 넘어서 돌출하는 훅크와, 그리고 모다른 모서리 부근에 있어서 샤프트내에 개구함과 동시에 훅크의 횡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요홈으로 형성된 확실히 작동하는 로크요소가 상기 보조벽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에 로크슬라이드가 배치되며, 로크위치에 있어서 상자의 대응요소의 훅크의 배후부에서 대응평탄부에 계합하고 있으며, 핸들이 상자요소의 좁은 측부에 힌지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상지요소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의 각부의 자유단이 그의 힌지점을 지나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핸들의 적어도 자유단에는 샤프트를 갖추는 측부에 연장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벽이 상기 연장부에 대면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으머, 상기 로크슬라이드가 상기 개구부근에 요홈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개구 및 요홈이, 상기 핸들이 각 상자 요소 방향으로 선회시에 상기 연장부가 상기 로크슬라이드의 요홈에 계합하고 또 로크슬라이드를 로크위치에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향상 및 형태를 가지고 있는 합성 수지 병상자에 있어서, 핸들(예를들면 21) 혹은 로크슬라이드(18)는 로크위치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상승되어 있는 때에도, 상기 핸들(21)을 각 상자요소(1) 방향으로 선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 탄설부(196, 197)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병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탄설부의 구성요소는 요홈(191)의 깊은 곳으로부터 요홈(186)의 하단부(1862)를 향하여 밖으로 나오고 있는 하나의 경사면(1911)을 가지며 핸들(21)의 연장부(212)를 수용하기 위하여 로크슬라이드(18)의 요홈(186)의 하부에 하나의 요홈(191)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경사면(1911)이 압압할 수 있는 스프링 설상부에 의하여 형성되며 이 스프링 설상부의 단면이 상기 요홈(186)의 하단부(1862)를 형성하는 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합성수지 상자.
  4. 제2항에 있어서, 로크슬라이드(18)내에 있는 요홈(186) 및 (191)은 하나의 단부(1862)를 형성하면서, 상호간에 합체하고 있는 밀어젖힐수 있는 탄성표현 요소들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합성수지상자.
  5. 제2항에 내지 제4항증의 어느 하나의 향에 있어서, 핸들(21)의 다리부분의 단부(211)는 스프링 탄성을 가지며 밀어 젖힐수 있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합성수지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핸들(21) 다리부분의 연장부(212)를 수용하기 위하여 로크슬라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요홈(186)은 하방으로 연속하는 단부(段部)의 일부이며, 또 상기 단부는 하나의 저면을 가지며 상기의 로크슬라이드(18)는 종방향 종단부를 가지며 그리고 로크슬라이드(18)의 종방향 단부에는 단부(段部)의 하단으로부터 시작되고 있는 밀어젖힐수 있는 (E)스프링설상부(19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단면(194)은 요홈(186)의 하부한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상자.
  7. 제1항에 있어서, 핸들용 베어링 핀이 수평장공(196)속에서 스프링(197)에 의하여 시초위치에 지지되어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는 합성수지 상자.
  8.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하나 또는 제6항 내지 제7항중의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핸들(21, 21')의 양 다리부분들은 각각 연장부(212)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샤프트(예하면 16) 그리고 로크슬라이드(예하면 18)는 다른 상자요소(예를들면 1')로부터 나오고 있는 로크훅크(예하면 17')에 대면하는 측부에 샤프트(16)의 대향측부의 개구 및 요홈에 대응하는 개구(167) 및 요홈(186)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예하면21) 및 로크슬라이드(예하면 18)의 계함영역에 스프링 탄설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요홈(186) 및 로크슬라이드(18)의 단부(段部)가 상호간에 합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상자.
KR1019870700421A 1985-09-17 1986-09-12 분활 가능한 병상자 KR950001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3533114 DE3533114A1 (de) 1985-09-17 1985-09-17 Teilbarer flaschenkasten
DEP3533114.3 1985-09-17
PCT/DE1986/000363 WO1987001676A1 (en) 1985-09-17 1986-09-12 Divisible crate for bott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0758A KR880700758A (ko) 1988-04-12
KR950001031B1 true KR950001031B1 (ko) 1995-02-08

Family

ID=628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700421A KR950001031B1 (ko) 1985-09-17 1986-09-12 분활 가능한 병상자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4790443A (ko)
EP (1) EP0236380B1 (ko)
JP (1) JPS63500935A (ko)
KR (1) KR950001031B1 (ko)
CN (1) CN1008172B (ko)
AR (1) AR246483A1 (ko)
AU (1) AU600677B2 (ko)
BR (1) BR8606869A (ko)
CA (1) CA1266030A (ko)
DE (1) DE3533114A1 (ko)
DK (1) DK161763C (ko)
FI (1) FI83195C (ko)
GR (1) GR862327B (ko)
LT (1) LT3565B (ko)
MX (1) MX165745B (ko)
RU (1) RU1804429C (ko)
UA (1) UA12795A1 (ko)
WO (1) WO1987001676A1 (ko)
ZA (1) ZA8670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3114A1 (de) * 1985-09-17 1987-03-26 Berolina Kunststoff Teilbarer flaschenkasten
DE3912321A1 (de) * 1989-04-14 1990-10-25 Split Box Patentverwertung Teilbarer kunststoff-flaschenkasten
DE3909352A1 (de) * 1989-03-22 1990-09-27 Wilhelm Goetz Zweiteiliger kasten aus kunststoff od. dgl.
DK0389802T3 (da) * 1989-03-30 1993-10-04 Schoeller Plast Ag Delelig beholder, navnlig en flaskekasse
DE3910735A1 (de) * 1989-04-03 1990-10-04 Berolina Kunststoff Teilbarer flaschenkasten
CA2079315C (en) * 1990-03-30 2003-04-15 Joseph Bradley Phipps Device and method for iontophoretic drug delivery
US5273175A (en) * 1993-01-28 1993-12-28 Rehrig Pacific Company, Inc. Split box case construction
DE202006008565U1 (de) * 2006-05-30 2007-10-11 Burger, Frank Stapelsystem
US20080006541A1 (en) * 2006-07-07 2008-01-10 Cherch Xavier T Carrier for beverage bottles
AT514154B1 (de) * 2013-03-21 2015-02-15 Haidlmair Holding Gmbh Behälter, insbesondere Flaschenkasten
PL2986520T3 (pl) * 2013-04-18 2017-07-31 DS Smith Plastics Karlovac d.o.o. Podzielna skrzynka na butelki
CN111214188A (zh) * 2018-11-24 2020-06-02 慈溪市博生塑料制品有限公司 双桶挤压平板拖把清洁工具
USD928403S1 (en) 2019-05-15 2021-08-17 Chubby Gorilla, Inc. Cigarette case
US11319110B2 (en) 2019-05-15 2022-05-03 Chubby Gorilla, Inc. Connectable safety container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969A (en) * 1956-01-31 browne
US3297196A (en) * 1965-05-06 1967-01-10 Cornelius Co Bottle carrier
US3317081A (en) * 1965-06-14 1967-05-02 Cornelius Co Bottle carrier
US3603475A (en) * 1969-06-16 1971-09-07 Gerald Erickson Interlocking means for divisible container carrier
DE3034650C2 (de) * 1980-09-13 1983-04-07 Cremer, Peter, Dipl.-Kfm., 4600 Dortmund Teilbarer Flaschenkasten
DE3533114A1 (de) * 1985-09-17 1987-03-26 Berolina Kunststoff Teilbarer flaschenkas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87001676A1 (en) 1987-03-26
ZA867067B (en) 1987-05-27
FI83195C (fi) 1991-06-10
CA1266030A (en) 1990-02-20
CN86106203A (zh) 1987-06-03
DK161763B (da) 1991-08-12
JPS63500935A (ja) 1988-04-07
GR862327B (en) 1987-01-12
EP0236380B1 (de) 1990-07-25
CN1008172B (zh) 1990-05-30
FI83195B (fi) 1991-02-28
AU6371486A (en) 1987-04-07
AU600677B2 (en) 1990-08-23
FI872008A (fi) 1987-05-06
EP0236380A1 (de) 1987-09-16
UA12795A1 (uk) 1997-02-28
DK247687A (da) 1987-05-14
KR880700758A (ko) 1988-04-12
LT3565B (en) 1995-12-27
MX165745B (es) 1992-12-03
AR246483A1 (es) 1994-08-31
FI872008A0 (fi) 1987-05-06
DK161763C (da) 1992-01-27
DK247687D0 (da) 1987-05-14
DE3533114A1 (de) 1987-03-26
BR8606869A (pt) 1987-11-03
RU1804429C (ru) 1993-03-23
LTIP876A (en) 1995-05-25
JPH0451429B2 (ko) 1992-08-19
DE3533114C2 (ko) 1987-07-02
US4790443A (en) 1988-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031B1 (ko) 분활 가능한 병상자
EP3828097B1 (en) Stacked storage container latch
US3942630A (en) Sliding cover safety package
US3186574A (en) Receptacle with integral hinged cover and support
CA2273556A1 (en) Foldable container
US10004350B1 (en) Knife holder
US5794540A (en) Child's easel/table
US4238049A (en) Box-type transport container of an electrically driven transport car with a lockable cover
CN111801280A (zh) 儿童安全桶
JP2008013194A (ja) 運搬用容器
US20030205496A1 (en) Pill container
CA2309234A1 (en) Foldable container
US5295496A (en) Compact for cosmetic preparations
KR870007506A (ko) 적층식 카세트 용기
JP4415345B2 (ja) 組立式合成樹脂製容器
JP2001084858A (ja) ロッカスイッチの誤操作防止用カバー
US3506182A (en) Egg cartons
JP2015051791A (ja) コンテナー
JPS6213528Y2 (ko)
JP6411236B2 (ja) フラップ付きコンテナ
US3536250A (en) Locking mechanism for egg cartons
JP4613195B2 (ja) 収納ケース
JPH0613110Y2 (ja) 容器等の係止装置
GB2162821A (en) Container with removable lid
KR0116623Y1 (ko) 사이드 게이트(Side Gate)의 잠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