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008B1 -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008B1
KR950001008B1 KR1019860007222A KR860007222A KR950001008B1 KR 950001008 B1 KR950001008 B1 KR 950001008B1 KR 1019860007222 A KR1019860007222 A KR 1019860007222A KR 860007222 A KR860007222 A KR 860007222A KR 950001008 B1 KR950001008 B1 KR 950001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omposition
water
oil
cryst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2825A (ko
Inventor
유찌로 미츠노
게이쿄 노다구찌
도시유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93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53910A/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3816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96585A/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마루타 요시오 filed Critical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28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28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95Liquid cryst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61K8/375Esters of carboxylic acids the alcohol moiety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8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9/00Liquid crystal materials
    • C09K19/52Liquid crystal material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which are not liquid crystals, e.g. additives with special physical aspect: solvents, solid particles
    • C09K2019/528Surfact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16/00Colloid systems and wetting agents; subcombinations thereof; processes of
    • Y10S516/01Wetting, emulsifying, dispersing, or stabilizing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16/00Colloid systems and wetting agents; subcombinations thereof; processes of
    • Y10S516/01Wetting, emulsifying, dispersing, or stabilizing agents
    • Y10S516/06Protein or carboxylic compound conta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16/00Colloid systems and wetting agents; subcombinations thereof; processes of
    • Y10S516/90Liquid crystal material of, or for, colloid system, e.g. g ph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새로운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lamella type, singl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특히, 함유된 수분이 증발될 때 우수한 퍼짐성의 유성졸(sol)로 전환될 수 있으며, 물로 쉽게 세척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 또는 외용약품 조성물의 기질로서 유용한,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크린싱 화장품 및 마사지 화장품은 피부먼지 또는 메이크-업 화장품의 제거 또는 마사지 전에 피부에 유분을 제공하는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들은 피부에 적용된 후 최종적으로는 피부로부터 제거된다.
상기한 목적을 충족시키기에 상업적으로 유용한 기존의 물질들은 오일물질, 함수 유성 에멀션 또는 함수수성 에멀젼을 기질로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들이다. 근간에, 오일-계면활성제 에멀젼의 겔이 크린싱 화장품 조성물의 기질로서 적용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참조: 일본 공개특허 제 46123/1984호).
오일물질 또는 유성에멀젼을 기질로서 함유하는 기존의 화장품 조성물들은 적용된 크린싱 화장품 또는 마사지 화장품이 유분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연속상(continuous phase)으로 인하여, 완전히 제거되기는 어렵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통상의 경우, 화장품을 화장지 등으로 닦아낸 후 안면 세척제 등으로 완전히 씻어 내었다. 그러나 화장지의 그 자체가 피부에 각질 세포를 제거하며, 화장지에 옮겨진 오일이 손가락에 끈끈한 느낌을 주므로 그다지 바람직한 것은 못되었다. 함유 수성 에멀젼(oil-in-water emulsion)을 기질로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화장지의 사용없이 화장품의 세척이 가능하지만 그 세척정도가 충분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일본 공개특허 제 46123/1984호에 개시된 오일-계면활성제 에멀젼의 겔형 물질은 우수한 에멀션 분산성을 가지며 물로 쉽게 세척될 수 있지만, 사용상 끈끈한 느낌을 주며 2상 조성물(two phase composition)이기 때문에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한 결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용상 끈끈한 느낌을 주지 않고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가지며 화장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완전히 세척 제거될 수 있는 크린싱 화장지, 마사지 크림 및 외용약품에 유용한 기질 물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자들은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물질, 오일물질 및 물로부터 제조되며 그 시스템이 단상영역 내에 있는 액정 조성물이 상기한 목적에 적합한 물질임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물질, 오일물질 및 물로부터 제조된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그러한 조성물을 기질로서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10이상의 HLB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의 옥시에틸렌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 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캐스터 오일 등이 있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단일물질로서 사용될 수도 있고 2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혼합 사용량은 액정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을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다. 1% 이하에서는 액정을 형성하지 않게 되고 30% 이상에서는 액정이 고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하는 수용성 물질은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타디엔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톨, 소르비탄, 글루코오즈, 소리비톨, 말티톨, 사카로우즈, 트래할로우즈(trehalose), 폴리옥시에틸렌 메틸글루코시드, 폴리프로필렌 메틸글루코시드, 풀리에틸렌 글리콜 및 에탄올 등인데, 그 중에서도 글리세린, 소르비톨 및 에탄올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역시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 사용된다. 조성물중의 혼합 사용량은 최종조성물의 요망되는 감촉, 점성도 등에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 1∼50중량%, 바람직하게는 5∼15중량%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성 물질은 둘 이상이 혼합 사용될 수 있다. 글루코오즈 유도체의 산화에틸렌 또는 산화프로필렌 부가화합물이 다른 수용성 물질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 오일의 존재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 끈끈한 느낌 등을 완화함으로서 사용상 감촉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틸글루코시드의 산화에틸렌 부가화합물(10∼30mol E. O.)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수용성 물질의 양을 총조성물의 1중량% 이하로 하면, 사용상 촉감의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오일물질은 화장품 조성물, 외용 의약품 등에 흔히 사용되는 것들로서, 예를 들면, 탄화수소, 고급알코올과 고급지방산의 에스테르류, 지방산 알코올, 지방산 트리글리세라이드, 동물유, 식물성 콜레스테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특히, 바람직한 오일 물질은 파라핀유, 이소스테아릴콜레스테릴 에스테르, 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사노에이트, 옥타데실 미리스테이트 및 올리브유이다. 오일물질 또한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중의 혼합 사용량은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1∼90%, 바람직하게는 30∼80%이다.
물의 혼합 사용량은 목적 산물의 용도 및 소망하는 물성에 따라 좌우되는데, 일반적으로 1∼90중량%, 바람직하게는 5∼30중량%이다.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은 소정량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수용성 물질, 오일물질 및 물을 잘 혼합함에 의하여 제조되는데, 결과의 산물은 단상의 액정을 형성한다. 이는 X-선 회절법 또는 X-선의 협각 산란법에 의하여 분석시 1 : 1/2 : 1/3 : 1/4의 브래그 공간비(Bragg space ratio)를 나타내며 편광현미경으로 관찰시 라멜라구조가 관찰된다. 조성은 일반적인 혼합 테스트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특히, 주의할 사항은 수용성 물질의 선택 및 혼합비의 결정인데, 이러한 인자들은 액정 형성시 계면활성제의 분자회합(molecular association)이 극대화되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화장품 조성물의 기질로서 유용한 액정 조성물은 상기한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분자내에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수용성물질, 오일물질 및 물을 성분들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 혼합시킨 다음, 결과의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켜 제조한다. 단상(single phase)의 균일한 액정 조성물이 수득되기 때문에, 연속상 또는 분산된 이상으로 구성된 공지의 유화조성물과는 달리, 성분들의 혼합순서를 달리하여도 동일한 액정조성물이 산출된다.
기질로서 액정조성물을 함유하는 우수한 화장품 조성물을 산출하기 위하여는, 액정 조성물을 다음 조건들에 따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총탄소수가 16∼24개인, 분지쇄상 지방 알코올(특히, 궤르베트알코올)의 산화에틸렌 부가화합물(10∼30 mol E. O.)을 사용.
HLB : 10∼40
함량 : 10∼20중량%
[수용성 물질(용제)]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중에서 선택.
함량 : 5∼15중량%
[오일물질]
액체 오일, 특히 에스테르오일을 사용.
함량 : 30∼80중량%
[물]
함량 : 5∼30중량%
[수용성물질과 물의 비율]
1 : 4 내지 4 : 1
특히, 바람직한 본 발명의 단상 액정 조성물은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하기 일반식(Ⅰ)으로 표현되는 궤르베트알코올(HLB : 10이상)의 산화에틸렌 부가화화물(이하에서 궤르베트 알코올 E. O. 부가화합물이라고도 표기함)을 사용하고, 수용성 물질로서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폴리올을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식중, m은 6∼10의 정수이고, n은 10∼40의 정수임]
상기한 일반식(Ⅰ)의 궤르베트알코올 E. O. 부가화합물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m이 7∼9의 정수이고 n이 20∼30의 정수인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로는 폴리옥시에틸렌옥틸도데실 에테르(25 E. O.), 폴리옥시에틸렌 헵틸운데실 에테르(20 E. O.), 폴리옥시에틸렌 노닐트리데실에테르(30 E. O.)등이 있다.
3개 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폴리올로는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에리스리톨, 펜타에리스리톨, 소르비탄, 글루코오즈, 소르비톨, 사카로우즈, 트래할로우즈, 폴리옥시에틸렌 메틸글루코시드, 폴리옥시프로필렌 메틸 글루코시드등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바람직한 것은 글리세린 및 소르비탄이다.
본 발명의 유성화장품 조성물 또는 외용 의약품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제, 방부제, 착색제, 향료 등을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액정조성물에 첨가하거나 또는 액정조성물 형성 동안에 첨가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의 단상 액정조성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경우, 체온에 따른 온도 상승, 수분증발에 따른 HLB 값의 변화 및 피부상에 전개될 때 일어나는 응력으로 인하여 그의 화학적 구조가 부분적으로 변화된다. 이때 오일물질이 연속상으로서 작용하고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분산상으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조성물이 연화되어 액화된다. 그 후, 물이 첨가되면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연속상으로 즉시 전환되고 오일물질은 분산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은 액정 상(liquid crystal phase)을 통하여 일어난다.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오일과 물의 계면에 극히 조밀하게 자리잡기 때문에 그 사이에서의 표면장력이 낮아지며, 그로 인하여 오일물질이 극히 작은 오일함유-수성에멀젼 입자로 분해되어 물에 의하여 피부표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된다.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은 겔상으로 수득되므로 처리가 손쉬우며, 피부에 적용시 피부온도에 의해 연화되고 이어 액화된다. 이러한 점들은 피부내의 미세부분으로의 우수한 침투성, 우수한 분산성 및 매끄러움, 우수한 촉감 등의 효과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액정 조성물에 물이 가해지는 경우, 오일물질이 매우 작은 오일 함유-수성에멜션 입자로 전환되므로 피부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화장품 성분 또는 약품 성분과 함께 기질로서 본 발명의 액정조성물을 혼합하여 화장품 조성물 또는 외용 의약품 조성물을 형성하는 경우, 우수한 저장, 안정성, 사용시의 비점착성, 우수한 분산성 및 물세척성을 갖는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들과 함께 본 발명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모든 %는 중량%이다.
[실시예 1]
다음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표 1에 표기한 액정 조성물들을 제조하고 그의 외관, 사용시 촉감, 경도, 보존 안정성 및 세척성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함께 기재하였다.
(액정 조성물 제조)
성분들 (1)∼(4)를 80℃에서 가열하여 용융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켜 각각의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2
[실시예 2]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표 2에 표기한 여러 가지 액정 조성물들을 제조하고, 외관, 사용시 촉감, 경도, 보존 안정성 및 세척성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함께 기재하였다.
[표 2]
Figure kpo00003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서 표 3에 표기한 여러 가지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고, 외관, 사용시 촉감, 경도, 보존 안정성 및 세척성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Figure kpo00004
[실시예 4]
다음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표 4에 표기한 3가지 조성물들을 제조하고, 외관, 액체상(liquid phase)의 상태, 촉감, 퍼짐성, 보존 안정성 및 세척성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4에 함께 기재하였다.
[조성물의 제조]
비교 조성물 A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시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조성물 B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우선 성분(1)을 성분(3)에 첨가하고 가열하여 용융 혼합한 다음 80℃로 가열된 성분(3)을 상기 용융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오일-계면활성제 에멀젼이 겔상태로서 수득되었다. 여기에 80℃로 가열된 성분(4)을 첨가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켜 최종 조성물을 산출하였다. 표 4에서 알 수 있듯이, 비교조성물 A는 액정조성물을 형성하지 않고 에멀젼을 형성하였으며, 안정성 및 세척성이 좋지 않았다. 비교조성물 A와 동일한 조성물을 갖되 비교조성물 A의 제조에서와는 다른 성분 배합순서를 사용하여 제조한 비교조성물 B는 겔상태로 수득되었으며, 세척성은 우수하나 그 밖의 성질은 좋지 않았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우수한 세척성, 보존 안정성, 퍼짐성 및 촉감을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kpo00005
Figure kpo00006
[실시예 5]
성분들을 80℃에서 가열하여 용융 혼합한 후 교반하면서 실온으로 냉각시켜서, 다음 표 5에 표기한 두 가지 조성물을 제조하고, 외관, 촉감, 경도, 보존 안정성 및 세척성을 검사하였다. 결과를 표 5에 함께 기재하였다.
한편, 선형 알코올 E. O. 부가화합물을 함유한 비교조성물은 불충분한 겔화로 인하여 불균일 조성물을 형성하였다. 이에 반하여, 궤르베트알코올 E. O. 부가화합물을 함유한 본 발명 조성물은 균일하며 보존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더욱이, 상변이(phase transition)가 용이하게 일어나므로 좋은 촉감 및 우수한 세척성을 나타냈다.
[표 5]
Figure kpo00007
[실시예 6]
마사지용 화장료
다음 성분들은 용융 혼합한 다음 냉각시켜서 단상 액정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8
본 조성물은 마사지 처리 동안 액화되므로 좋은 촉감을 주었으며, 후에 물에 의하여 완전히 세척되었다. 이것은 또한 우수한 보존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크린싱 조성물
다음 성분들은 용융 혼합한 다음 냉각시켜서 단상 액정 조성물 함유 크린싱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09
본 조성물은 크린싱 작업 동안 액화되었으므로, 피부 미세부분 내의 오염물이 조성물 내로 분산되고 물에 의해 쉽게 세척되었다. 즉 오염물 제거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8]
외용 약제 기제
다음 성분들을 용융 혼합한 다음 냉각시켜서 단상 액정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kpo00010
본 조성물은 여러 종류의 약제와 함께 잘 혼합될 수 있었다. 즉, 외용 의약품의 기질로서 적합하였다.

Claims (6)

10∼40의 HLB 값을 갖는 1종 이상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20중량% ; 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수용성 물질 5∼15중량% ; 상온에서 액체인 1종이상의 오일 물질 ; 30∼80중량% 및 물 5∼3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궤르베트알코올의 산화에틸렌 부가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액정 조성물.
제 2 항에 있어서, 궤르베트알코올의 산화에틸렌 부가화합물이 다음 일반식(Ⅰ)의 화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액정 조성물.
Figure kpo00011
[식중, m은 6∼10의 정수이고, n은 10∼40의 정수임]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물질이 3개이상의 히드록시기를 함유한 폴리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액정 조성물.
10∼40의 HLB 값을 갖는 1종이상의 친수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20중량%, 분자내에 적어도 1개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수용성 물질 5∼15중량%, 상온에서 액체인 1종 이상의 오일 물질 30∼80중량% ; 및 물 5∼3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을 기제로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제 1 항에 있어서, 글루코오즈의 에틸렌옥사이드 또는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액정 조성물.
KR1019860007222A 1985-09-02 1986-08-29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KR9500010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3426/1985 1985-09-02
JP193426 1985-09-02
JP60193426A JPS6253910A (ja) 1985-09-02 1985-09-02 液晶型油性化粧料
JP238165/1985 1985-10-24
JP60238165A JPS6296585A (ja) 1985-10-24 1985-10-24 ラメラ型液晶構造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2825A KR870002825A (ko) 1987-04-13
KR950001008B1 true KR950001008B1 (ko) 1995-02-07

Family

ID=2650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7222A KR950001008B1 (ko) 1985-09-02 1986-08-29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767625A (ko)
EP (1) EP0217105B1 (ko)
KR (1) KR950001008B1 (ko)
DE (1) DE3683113D1 (ko)
ES (1) ES2001283A6 (ko)
HK (1) HK41693A (ko)
MY (1) MY100199A (ko)
PH (1) PH22732A (ko)
SG (1) SG14193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88099A (en) * 1987-11-06 1992-02-16 Chinoin Gyogyszer Es Vegyeszet Lyotropic liquid crystalline compositions
US4869842A (en) * 1988-03-31 1989-09-26 Colgate-Palmolive Co. Liquid abrasive cleansing composition containing grease-removal solvent
GB8810188D0 (en) * 1988-04-29 1988-06-0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FR2633515B1 (fr) * 1988-06-30 1992-04-10 Clarins Composition cosmetique pour l'hydratation de la peau
US4950052A (en) * 1988-08-29 1990-08-21 Taliq Corporation Encapsulated liquid crystal apparatus with a polymer additive
US5035826A (en) * 1989-09-22 1991-07-30 Colgate-Palmolive Company Liquid crystal detergent composition
GB9011785D0 (en) * 1990-05-25 1990-07-18 Unilever Plc Fabric treatment compositions
US5246918A (en) * 1990-07-11 1993-09-21 Unilever Patent Holdings B.V. Process for preparing perfumed personal products
ATE148742T1 (de) * 1990-07-11 1997-02-15 Quest Int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arfümierten reinigungsmitteln
EP0466236B1 (en) * 1990-07-11 1994-08-17 Quest International B.V. Perfumed structured emulsions in personal products
DE69101474T2 (de) * 1990-07-11 1994-07-21 Quest Int Stabilisiertes Emulsionssystem.
GB9021417D0 (en) * 1990-10-02 1990-11-14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EP0512270B1 (en) * 1991-04-08 1999-11-03 Kao Corporation Cosmetic composition
JP2736486B2 (ja) * 1992-07-03 1998-04-02 花王株式会社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ES2105322T3 (es) * 1992-09-21 1997-10-16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de barras de labios hidratantes.
US6325995B1 (en) 1992-09-21 2001-1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psticks compositions containing association structures
US5688831A (en) * 1993-06-11 1997-11-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US5435936A (en) * 1993-09-01 1995-07-25 Colgate Palmolive Co. Nonaqueous liquid microemulsion compositions
CA2173104C (en) * 1993-10-18 1999-08-24 Magda El-Nokaly Non-sweating lipsticks
IL114030A (en) * 1994-06-27 2000-08-13 Hayashibara Biochem Lab Saccharide composition with a lesser reducibility its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it
GB9420535D0 (en) * 1994-10-12 1994-11-30 Procter & Gamble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US6013269A (en) * 1994-10-12 2000-01-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make-up compositions
US5656280A (en) * 1994-12-06 1997-08-12 Helene Curtis, Inc. Water-in-oil-in-water compositions
GB9521125D0 (en) * 1995-10-16 1995-12-20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US6117934A (en) * 1997-02-03 2000-09-12 Henkel Corporation Alkylpolyglycoside containing surfactant blends for emulsion polymerization
DE19713793A1 (de) * 1997-04-03 1998-10-08 Henkel Kgaa Öl-in-Wasser-Emulsionen zur Wiederherstellung der Lamellarität der Lipidstruktur geschädigter Haut
CA2260607C (en) 1998-02-02 2007-01-23 Playtex Products, Inc. Stable compositions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and carpets
FR2776509B1 (fr) * 1998-03-31 2001-08-10 Oreal Composition topique contenant un ester d'acide ou d'alcool gras ramifie en c24 a c28
JP4570705B2 (ja) 1999-03-04 2010-10-27 株式会社資生堂 メーキャップ除去用化粧料
US20050009717A1 (en) * 1999-07-01 2005-01-13 Lukenbach Elvin R. Foaming make-up removing cleansing compositions
US7074747B1 (en) * 1999-07-01 2006-07-11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compositions
US6762158B2 (en) 1999-07-01 2004-07-13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liquid ester mixtures
WO2001001949A1 (en) 1999-07-01 2001-01-11 Johnson And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Cleansing compositions
KR100678364B1 (ko) * 1999-07-27 2007-02-05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수중유형 유화조성물
FR2798078B1 (fr) 1999-09-06 2001-10-12 Oreal Organogel, comprenant un compose hydrophile sensible a l'oxydation et ses utilisations notamment cosmetiques
IE990934A1 (en) * 1999-11-08 2002-04-03 Procter & Gamble Cosmetic Compositions
ITMI20011817A1 (it) * 2001-08-28 2003-02-28 Marconi Comm Spa Dispositivi per la commutazione ottica di lunghezze d'onda in reti ditelecomunicazione
US6610751B1 (en) * 2001-12-10 2003-08-26 O'lenick, Jr. Anthony J. Bimodal guerbet alkoxylates as emulsifiers
US8142765B2 (en) * 2002-01-24 2012-03-27 L'oreal S.A. Composition containing a semi-crystalline polymer and a volatile oil
US7169400B2 (en) 2002-05-07 2007-01-30 Fort James Corporation Waterless lotion and lotion-treated substrate
US8012495B2 (en) * 2002-05-07 2011-09-06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Lotion-treated tissue and towel
DE60304102T3 (de) 2002-12-27 2013-12-24 Kao Corp. Hautreinigungszusammensetzung
WO2005074881A2 (en) * 2004-02-06 2005-08-18 Showa Denko K.K. Method for stabilizing oil-based thickening gel composition
KR100629713B1 (ko) * 2004-04-10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베이스
US20050239670A1 (en) * 2004-04-21 2005-10-27 Qing Stella Personal care compositions that deposit hydrophilic benefit agents
US20050238595A1 (en) * 2004-04-21 2005-10-27 Qing Stella Personal care compositions that deposit sunless tanning benefit agents
US20050238680A1 (en) * 2004-04-21 2005-10-27 Qing Stella Personal care compositions that deposit hydrophilic benefit agents
FR2888493B1 (fr) * 2005-07-12 2009-04-24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phase liquide amphiphile
KR101264902B1 (ko) * 2006-03-07 2013-05-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소금을 함유하는 액정 유화 화장료 조성물
US8388992B2 (en) 2006-03-28 2013-03-0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nti-microbial hand towel with time-delay chromatic transfer indicator and absorbency rate delay
US20090063334A1 (en) * 2007-08-28 2009-03-05 Alistair Duncan Business-to-business transaction processing utilizing electronic payment network
US8143206B2 (en) 2008-02-21 2012-03-27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high self-adhesion and providing residual benefits
PL2254980T5 (pl) 2008-02-21 2017-10-31 Johnson & Son Inc S C Kompozycja czyszcząca o dużej przyczepności i zapewniająca dodatkowe korzyści
US9481854B2 (en) 2008-02-21 2016-11-01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that provides residual benefits
US8980813B2 (en) 2008-02-21 2015-03-17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high self-adhesion on a vertical hard surface and providing residual benefits
US9410111B2 (en) 2008-02-21 2016-08-09 S.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that provides residual benefits
US8993502B2 (en) 2008-02-21 2015-03-31 S. C. Johnson & Son, Inc. Cleaning composition having high self-adhesion to a vertical hard surface and providing residual benefits
FR2932983B1 (fr) * 2008-06-26 2011-01-21 Oreal Composition cosmetique a base de cristaux liquides
CN102438581A (zh) * 2009-05-19 2012-05-02 株式会社资生堂 化妆品
US9181465B2 (en) 2009-11-20 2015-1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emperature change compositions and tissue products providing a cooling sensation
EP2604253A1 (en) * 2011-12-13 2013-06-19 Otto Glatter Water-in-oil emulsion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KR101777102B1 (ko) * 2015-07-23 2017-09-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액정상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734382B2 (ja) 2016-09-14 2020-08-05 株式会社カネカ ゲル状組成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34620A (en) * 1969-06-30 1973-04-30 Sparamedica Ag Creams containing liquid crystals and their use in thermography and thermometry
IT1163973B (it) * 1978-03-17 1987-04-08 Shiseido Co Ltd Composizione di gel comprendente un minerale argilloso e un cristallo liquido,e preparato cosmetico che la contiene
DE2921366A1 (de) * 1978-05-26 1979-12-06 Albright & Wilson Konzentrierte waessrige oberflaechenaktive zubereitung
JPS5689832A (en) * 1979-12-24 1981-07-21 Pola Chem Ind Inc Production of oil-in-water type emulsion
JPS5770824A (en) * 1980-10-20 1982-05-01 Nippon Saafuakutanto Kogyo Kk Vehicle for medicine
FR2502951B1 (fr) * 1981-04-06 1985-12-06 Sandoz Sa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topiques sous forme d'une micro-emulsion
JPS57197236A (en) * 1981-05-28 1982-12-03 Kao Corp 2-hydroxy-3-methyl branched alkoxypropyl glyceryl ether and cosmetic containing the same
JPS5916534A (ja) * 1982-07-19 1984-01-27 Lion Corp 非イオン性界面活性剤系ベシクル分散液
US4670185A (en) * 1982-07-19 1987-06-02 Lion Corporation Aqueous vesicle dispersion having surface charge
JPS5946123A (ja) * 1982-09-05 1984-03-15 Pola Chem Ind Inc ゲル状エマルシヨン及び水中油型エマルシヨンの製造法
JPS6064916A (ja) * 1983-09-21 1985-04-13 Nikko Kemikaruzu Kk 透明軟膏基剤
DE3406497A1 (de) * 1984-02-23 1985-09-05 Mueller Bernhard Willi Werner Hochdisperse pharmazeutische mehrkomponentensystem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17105A3 (en) 1987-08-26
US4767625A (en) 1988-08-30
MY100199A (en) 1990-04-10
SG14193G (en) 1993-04-16
ES2001283A6 (es) 1988-05-01
KR870002825A (ko) 1987-04-13
DE3683113D1 (de) 1992-02-06
HK41693A (en) 1993-05-07
EP0217105B1 (en) 1991-12-27
EP0217105A2 (en) 1987-04-08
PH22732A (en)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008B1 (ko) 라멜라형 단상 액정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유성화장품 조성물
JP2736486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H045213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4602999B2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5248863B2 (ja) 油性液状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CA2610440C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glycerol fatty acid ester
JPS63225312A (ja) 透明ないし半透明のジエリー状の化粧料
KR20150116655A (ko) 난용성 기능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JP5949233B2 (ja) 化粧料組成物
JPH1135421A (ja) 液状油性皮膚洗浄料
JP2895607B2 (ja) 透明皮膚化粧料
EP1952794B1 (en) Cleansing composition
JP2004035420A (ja) 透明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S6253910A (ja) 液晶型油性化粧料
JPH0491018A (ja) 皮膚洗浄料
JP4658976B2 (ja) クレンジング組成物
JPH04100535A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組成物
JPH045212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H0616523A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3602237B2 (ja)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3454943B2 (ja) ゲル型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JP4638018B2 (ja) 油性洗浄料
JPH10236922A (ja) クレンジング剤組成物
JPH05208905A (ja) 皮膚クレンジング用ゲル組成物
JPH0374313A (ja) 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