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0052B1 -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0052B1
KR950000052B1 KR1019910011357A KR910011357A KR950000052B1 KR 950000052 B1 KR950000052 B1 KR 950000052B1 KR 1019910011357 A KR1019910011357 A KR 1019910011357A KR 910011357 A KR910011357 A KR 910011357A KR 950000052 B1 KR950000052 B1 KR 950000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all
base station
wireless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1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3684A (ko
Inventor
마사유끼 다나까
고오이찌 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920003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0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00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럭도.
제 2 도 내지 제 5 도는 동시스템에 있어서의 무선이동국 및 기지국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 6 도 및 제 7 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무선이동국 및 기지국의 제어수순을 나타낸 플로우차트.
제 8 도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본 발명은 자동차 전화시스템이나 휴대전화시스템, 코드레스 전화시스템등의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기지국장치와 무선이동국 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털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한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의 하나로서 듀얼모드의 무선통신방식을 채용한 시스템이 제창되어 있다. 듀얼모드라 함은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를 병용한 방식을 뜻한다.
이 종류의 시스템은 예를들면 제 8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선전화망 NW에 접속된 제어국(CS)과 이 제어국(CS)에 대해서 각각 유선회선(CL1∼CL3)을 거쳐서 접속된 복수의 기지국(BS1∼BS3)과 복수의 무선이동국(PS)(도면에서는 하나의 국만을 도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기지국(BS1∼BS3)은 각각 무선존(E1∼E3)을 갖고 있다. 무선이동국(PS)은 상기 각 기지국(BS1∼BS3)의 무선존(E1∼E3)내에 있어서 각 기지국(BS1∼BS3)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된다.
그런데 이 무선회선에 의한 통신방식에는 전술한 아날로그 모드와 디지탈모드가 사용된다. 아날로그모드는 송신측에서 음성신호 및 데이타에 의해서 반송파를 각도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송신측에서 보내온 변조 반송파를 수신하여 각도복조함으로써 음성 및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한편 디지탈모드는 송신측에서 음성신호 및 데이타를 부호화하고 이 부호화된 신호에 의해서 반송파를 변조하여 송신하고 수신측에서 상기 송신측에서 보내온 변조반송파를 수신하여 복조한 후에 이 복조신호를 복호함으로써 음성신호 및 데이타를 재생하는 방식이다. 또 이 디지탈모드에 의한 무선통신에서는 하나의 무선주파수로 복수의 타임슬롯을 시분할 다중으로 하여 전송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아날로그모드에 의한 무선통신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송파를 음성 및 데이타로 직접 변조하는 것만으로 전송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범용래디오수신기등에 의해서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비밀통화성 즉 비화성이 낮다. 이에 대해서 디지탈모드에 의한 무선통신은 시분할 다중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또 음성 및 데이타는 부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들어 반송파 주파수를 수신할 수 있었다 할지라도 그것만으로는 음성 및 데이타의 내용을 알 수 없는 것이다. 즉 높은 비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하고 싶을 경우에는 디지탈모드를 희망하는 것을 충분히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이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발신할 때 즉 발호시 또는 수신할 때 즉 착호시에 있어서의 무선통신방식의 선택 즉 아날로그모드로 할것인지 또는 디지탈모드로 할 것인지의 선택이 통신채널의 여유상태 등에 응하여 기지국(BS1∼BS3)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디지탈모드에 의해서 통화를 하고 싶어도 반드시 행할 수는 없었다. 또 기지국(BS1∼BS3)에 의해서 가령 디지탈모드가 선택된 경우라도 사용자에게는 이 디지탈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것을 전혀 알 수 없다. 이 때문에 비화성을 갖는 통화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없었고 결국에는 안전을 위한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체념하지 않을 수는 없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무선통신방식을 지정할 수 있게 하고 그럼으로써 특히 디지탈모드를 더욱 유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설정중의 무선통신방식을 알 수 있게 하고 이에 의해서 설정중의 무선통신방식에 응하여 통화 내용을 바꿀 수 있는 이동무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선회선에 접속되는 기지국장치와 이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무선이동국 장치를 구비하고 이들 기지국장치와 무선이동국 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이동국장치에 모드지정입력수단과 모드통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모드지정입력수단에 의해서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을 아날로그모드로 하는지 또는 디지탈모드로 하는지를 입력지정하고 이 모드지정수단에 의해서 입력지정된 모드정보를 통신시에 상기 기지국장치로 통지한다. 또 상기 기지국장치에서는 통신방식 설정수단을 구비시킨다. 그리고 이 통신방식 설정수단에 의해서 상기 무선이동국장치에서 보내온 모드정보에 응하여 통신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 상기외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무선통식방식을 알리는 수단 즉 보지수단을 설비하고 이 보지수단에 의해서 통신시에 상기 기지국장치와 무선이동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통신방식을 즉 아날로그모드인지 또는 디지탈모드인지를 통신자에게 알리도록 한 것이다.
이 결과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이동국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서 무선통신방식을 지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서 통신의 내용에 따라서 최적의 방식으로 통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하고 싶을 경우에는 디지탈모드를 지정하여 비화성이 높은 상태에서 안심하고 통화를 할 수 있고 또 비화성을 갖지 않는 통화를 할 경우에는 특별히 모드를 지정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통신시에 사용자가 지금 설정되어 있는 무선통신방식이 아날로그모드인지 또는 디지탈모드인지를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서 예를들면 디지탈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하고 반대로 아날로그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피하는 등과 같이 대응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의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블록도이다.
무선이동국(PSS)는 송화계 및 제어계로 대별된다. 이중 우선 송화계는 송화기(11)와, 아날로그 변조기(A-TX)(12)와, 디지탈변조기(D-TX)(13)와 코오더(COD)(14)와 송신안테나(TXANT)(15)로 구성된다. 아날로그변조기(12)에서는 송화기(11)에서 출력된 송화신호 및 후술하는 제어회로(31)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타에 의해서 반송파가 각도변조된다. 코오더(14)에서는 상기 송화기(11)에서 출력된 송화신호 및 제어회로(31)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타의 부호화가 각각 행해진다. 디지탈변조기(13)에서는 상기 코오더(14)에서 출력된 부호화신호 및 부호화 제어데이타에 의해서 반송파가 변조된다. 송신안테나(15)는 제어회로(31)의 절환지시에 따라서 상기 아날로그변조기(12)의 출력신호와 디지탈변조기(13)의 출력신호를 택일적으로 절환하여 무선회선으로 송출한다.
수신계는 수신안테나(21)의 아날로그복조기(22)와, 디지탈복조기(23)와 데코더(24)와, 수신기(25)로 구성된다. 수신안테나(21)는 무선회선을 거쳐서 기지국에서 보내온 변조반송파를 수신한 후에 제어회로(31)의 절환지시에 따라서 아날로그복조기(22) 또는 디지탈복조기(23)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복조기(22)에서는 상기 수신안테나(21)에서 출력된 변조반송파의 각도복조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재생된 수화신호는 수화기(25)로 공급되고, 또 제어데이타는 제어회로(31)로 공급된다. 디지탈복조기(23)에서는 상기 수신안테나(21)에서 출력된 변조반송파의 디지탈복조가 행해지고 이에 의해서 얻어진 부호화신호는 데코더(24)로 공급된다. 데코더(24)에서는 상기 디지탈복조기(23)로부터 공급된 부호화신호의 복호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 복호에 의해서 재생된 수화신호는 수화기(25)로 공급되고 제어데이타는 제어회로(31)로 공급된다.
제어계는 제어회로(31)와 도시하지 않은 발신스위치 및 다이얼키와 수신전계검출회로와 예를들면 액정으로 되는 표시기(32)와 스피커(33)와 모드지정스위치(34)를 갖고 있다. 표시기(32)는 통화상대방의 전화번호 등을 나타내는 것외에도 사용중의 무선통신방식의 종류, 즉 디지탈모드 또는 아날로그모드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피커(33)는 디지탈모드가 아날로그모드로 절환된 경우등에 있어서 경보음을 발생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 모드지정스위치(34)는 사용자가 희망하는 무선통신방식을 지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어회로(31)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부로서 구비한 것이고 통상의 무선회선접속 제어수단등에 더하여 모드통지 제어수단과 모드표시제어수단과, 경보발생 제어수단을 갖고 있다. 모드통지제어수단은 예를들면 발호시에 상기 모드지정스위치(34)에 의해서 지정된 모드를 제어데이타에 삽입하여 기지국으로 송신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모드표시제어수단은 통화채널의 모드가 결정된 경우에 이 모드를 상기 표시기(32)에 표시하는 것이다.
최후에 경보발생제어수단은 상기 모드지정스위치(34)에 의해서 디지탈모드를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기지국에서 아날로그모드의 통화채널이 지정된 경우나, 무선이동국(PSS)의 이동에 수반하여 통화중에 통화채널을 다른 기지국의 것으로 절환한다. 소위 핸드오프 제어가 행해졌을때에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절환된 경우등에 있어서 그 취지의 경보음을 상기 스피커(33)에서 발생시키는 것이다.
한편 기지국(BSS)도 송신계와, 수신계와, 제어계로 대별된다. 이들중 우선 송신계는 송신계와 수신계를 유선회선(CL)에 접속하기 위한 하이브리드회로(41)와 아날로그변조기(ATX)(42)와, 디지탈변조기(D-TX)(43)와, 코오더(COD)(44)와 송신안테나(TXANT)(45)로 구성된다. 아날로그변조기(42)에서는 유선회선(CL)를 거쳐서 도래한 통화신호 및 후술하는 제어회로(CONT)(61)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타에 의해서 반송파가 각도변조된다. 코어더(44)에서는 유선회선(CL)을 거쳐서 도래한 통화신호 및 후술하는 제어회로(CONT)(61)에서 출력된 제어데이타의 부호화가 행해진다. 디지탈변조기(43)에서는 상기 코어더(44)에서 출력된 부호화 통화신호 및 부호화 제어데이타에 의해서 반송파가 디지탈변조된다. 송신안테나(45)는 상기 아날로그변조기(42)에서 출력된 변조반송파와, 상기 디지탈변조기(43)에서 출력된 변조반송파를 제어회로(61)의 절환지시에 따라서 택일적으로 절환하여 무선회선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수신계는 수신안테나(TXANT)(51)와 아날로그복조기(A-RX)(52)와 디지탈복조기(D-RX)(53)와 데코더(DEC)(54)로 구성된다.
수신안테나(51)는 무선이동국(PSS)에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도래한 변조반송파를 수신한 후에 이 수신신호를 제어회로(61)의 절환지시에 따라서 아날로그복조기(52) 또는 디지탈복조기(53)로 택일적으로 출력한다. 아날로그복조기(52)에서는 상기 수신안테나(51)에서 출력한 변조반송파의 각도복조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얻어진 통화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41)를 거쳐서 유선회로(CL)로 송출되고 제어데이타는 제어회로(61)로 공급된다. 디지탈복조기(53)에서는 상기 수신안테나(51)에서 출력된 변조반송파의 디지탈복조가 행해진다. 데코더(54)에서는 상기 디지탈복조기(53)에서 출력된 부호화 통화신호 및 부호화 제어데이타의 복호처리가 행해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재생된 통화신호는 하이브리드회로(41)를 거쳐서 유선회선(CL)으로 송출되고 제어데이타는 제어회로(61)로 공급된다.
제어계는 도시하지 않은 착신검출회로나 전계검출회로등과 함께 제어회로(61)를 갖고 있다. 이 제어회로(61)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주제어부로서 구비한 것이며 통상의 무선접속제어수단에 더하여 모드설정 제어수단을 갖고 있다. 이 모드설정 제어수단은 발신시에 무선이동국(PSS)에서 보내오는 모드정보에 준하여 이 모드정보에 의해서 디지탈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디지탈 통화채널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고 한편 특별히 모드지정이 없는 경우에는 아날로그통화채널 및 디지탈 통화채널중에서 그 사용상황에 따라서 적당한 통화채널을 일방적으로 선택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였다.
수신대기상태에 있어서 무선이동국(PSS)은 제어회로(31)에 의해서 예를들면 제 2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텝(2a∼2d)의 제어를 반복해서 행하고 있다. 즉 스텝 2a에서는 모드지정스위치(34)에 의해서 무선통신방식이 지정되었는지의 여부의 감시가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예를들면 발신조작에 앞서서 모드지정스위치(34)를 조작하여 예를들면 디지탈모드를 입력했다고 하면 스텝(2b)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모드로 지정한 취지의 정보가 제어회로(31)내의 RAM에 기억된다. 반대로 상기 모드지정스위치(34)에 의해서 아날로그모드가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2b)에서 이 아날로그모드가 지정된 취지의 정보가 RAM에 기억된다.
또 스텝 2c 및 스텝 2d에서는 각각 발신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의 감시와 기지국에서 착신제어데이타가 도래했는지의 여부의 감시가 행해지고 있다. 이 상태에서 이제 가령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발신스위치에 의해서 발신조작을 행하였다고 하면 스텝 2e에서는 발신제어데이타가 작성되어 기지국을 향하여 송출된다.
상기 발신제어데이타에는 발신자의 ID번호등의 발신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정보와 함께 상기 RAM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지정정보가 삽입되어 송출된다. 그리고 이 발신제어데이타의 송출후에 스텝 2f에서는 기지국에서 응답데이타가 반송되었는지의 여부의 감시가 행해진다.
이에 대해서 기지국(예를들면 BSS1)은 제어회로(61)에 의해서 제 3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텝 3a 및 스텝 3b에 있어서 각각 유선회선(CL1)을 거쳐서 유선전화망(NW)으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래되었는지의 여부의 감시와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발신제어 데이타가 보내왔는지의 여부의 감시를 반복하여 행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발신제어 데이타가 보내오면 스텝 3e에서 무선이동국(PSS)에 대해서 응답 데이타를 반송한다.
또 유선전화망(NW)으로부터 착신신호가 도래했을 경우에는 스텝 3c로 이행하여 여기서 착신제어데이타를 작성하여 송신하고 이 착신제어데이타의 송신후에 스텝 3d에서 이동국(PSS)으로부터의 응답데이타의 반송을 기다린다. 이에 대해서 무선이동국(PSS)은 상기 착신제어데이타의 도래가 스텝 2d에서 검출되면 스텝 2g에서 응답데이타를 작성하여 무선이동국(PSS)으로 반송한다. 이 응답데이타에는 상기 RAM에 기억되어 있는 모드지정정보가 삽입된다.
그런데 그와같이 하여 무선이동국(PSS)과의 사이에서 응답데이타의 반송 또는 응답데이타의 검출이 행해지면 기지국(BSS1)은 제어회로(61)에 의해서 통화채널을 결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스텝 3f). 즉 우선 자기국이 보유하고 있는 아날로그 통화채널 및 디지탈 통화채널 중에서 비통화중 채널을 설치한다. 그리고 이동국(PSS)으로부터 보내온 상기 모드지정정보에 응하여 상기 비통화중 채널중에서 적당한 채널을 선택한다. 예를들면 모드지정정보가 디지탈모드를 지정하는 것일 경우에는 비통화중의 아날로그 통화채널을 선택한다. 또 모드지정정보가 아날로그모드를 지정하는 것일 경우에는 비통화중의 아날로그 통화채널을 선택한다. 또 모드지정정보에 의해서 디지탈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통화중 디지탈 통화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비통화중의 아날로그 통화채널을 선택하고 마찬가지로 모드지정정보에 의해서 아날로그모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비통화중의 아날로그 통화채널이 없는 경우에는 비통화중의 디지탈 통화채널을 선택한다.
그와 같이 하여 통화채널이 결정되면 기지국(BSS1)은 제어회로(61)에 의해서 통화채널지정데이타를 작성하고 이 통화채널지정데이타를 무선이동국(PSS)을 향해서 송신한다(스텝 3g).
상기 통화채널지정데이타에는 상기 스텝 3f에서 결정된 통화채널번호와 이 통화채널의 종별 즉 디지탈채널인지 또는 아날로그채널인지를 나타낸 정보가 삽입된다.
여기까지의 이동국(PSS)과 기지국(BSS1)과의 사이에서 제어데이타를 주고 받는 것은 아날로그모드의 제어채널에 의해서 행해진다.
무선이동국(PSS)은 제어회로(31)에 의해서 스텝 2h에서 상기 통화채널지정데이타의 도래감시를 행하고 이 상태에서 통화채널에서 데이타가 수신되면 스텝 2i에서 상기 통화채널지정데이타로 통화채널의 종별을 판정한다. 그리고 종별이 디지탈 통화채널이면 스텝 2j에서 표시기(32)로 디지탈모드라는 취지를 표시한다. 한편 종별이 아날로그 통화채널이었던 경우에는 표시기(32)에는 아무것도 표시하지 않는다(스텝 2l).
따라서 사용자는 이 표시기(32)를 봄으로써, 이제부터의 통화가 디지탈모드에 의해서 행해지는지 또는 아날로그모드에 의해서 행해지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무선이동국(PSS)의 표시기(32)에 통화채널의 종별이 표시되면, 무선이동국(PSS)과 기지국(BSS1)과의 사이에서는 통화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동기동작이나 트레이닝동작이 행해지고 이 통화채널에 의한 통화가 가능해지면 이후 무선이동국(PSS) 및 기지국(BSS1)은 통화동작상태로 된다.
그런데 그와 같이 하여 통화상태가 되면 기지국(BSS1)은 제어회로(61)에 의해서 예를들면 제 5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화감시(스텝 5a)와 수신전계레벨이 일정레벨이하로 저하되었는지의 여부의 감시(스텝 5b)를 반복하여 행한다. 이 상태에서 이제 가령 사용자가 통화중의 기지국(BSS1)의 무선존(E1)으로부터 인접하는 다른 기지국(BSS2)의 무선존(E2)으로 이동되었다고 하면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기지국(BSS1)에 도달하는 전파의 수신전계강도는 저하되고 이 수신전계강도의 저하는 기지국(BSS1)에서 스텝 5b에서 인식된다. 기지국(BSS1)은 이것을 받아서 우선 스텝 5c에서 무선이동국(PSS)에 대해서 전계지정지시데이타를 송출한다. 즉 통화채널의 절환제어 즉 핸드오프를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한편 통화상태에 있어서 무선이동국(PSS)은 제어회로(31)에 의해서 예를들면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화감시(스텝 4a)와, 기지국(BSS1)으로부터 전계측정지시데이타가 도래했는지의 여부의 감시(스텝 4b)를 반복하여 행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계강도측정지시데이타가 보내지면 무선이동국(PSS)은 기지국(BSS1)와 함께 핸드오프를 위한 제어를 개시한다. 즉 우선 스텝 4c에서 통화중의 채널의 수신전계강도를 비롯하여 다른 수신가능한 통화채널의 수신전계강도를 각각 검출한다. 그리고 이들의 측정결과를 스텝 4d에서 기지국(BSS1)으로 송신한다.
기지국(BSS1)은 스텝 5d에서 상기 무선이동국으로부터 보내온 데이타를 수신하면 스텝 5e에서 제어국(CS)에 대해서 측정데이타를 전송한다. 제어국(CS)은 각 기지국(BSS1, BSS2, …)에 있어서의 통화채널의 사용상황을 감시하여 파악하고 있고 상기 측정데이타로 수신전계강도가 소정레벨이상의 통화채널을 선택하고 또 그중에서 비통화중인 채널을 선택한다. 그리고 이 선택된 통화채널을 상기 기지국(BSS1)으로 통지한다. 기지국(BSS1)은 스텝 5f에서 상기 제어국(CS)로부터의 선택통화채널을 받으면 스텝 5g에 의해서 이 통화채널의 지정데이타를 작성하여 무선이동국(PSS)으로 송신한다.
이에 대해서 무선이동국(PSS)은 스텝 4e에서 상기 기지국(BSS1)으로부터의 통화채널 지정데이타의 수신을 확인하면 스텝 4f에서 현재 사용중의 통화채널은 디지탈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동시에 스텝 4g 또는 스텝 4m에서 상기 기지국(BSS1)에서 새롭게 지정된 통화채널이 아날로그모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이들 판정결과에 따라서 모드의 표시제어등을 행한다. 즉 현재 사용중의 통화채널중의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이고 또 새롭게 지정된 통화채널이 아날로그모드이면 즉 핸드오프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절환되는 경우에는 스텝 4h에서 표시기(32)에 표시중인 디지탈모드이라는 취지의 표시를 소거하고 또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절환된 것을 알리기 위한 경보음을 스피커(33)에서 발생시킨다. 이때문에 사용자는 통화중에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절환된 것을 확실하게 알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예를들면 비화성을 갖는 통화내용을 일단 중지하고 비밀통화를 할 필요가 없는 통화 내용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된다.
또 현재 사용중의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이고 또 새롭게 지정된 통화채널도 디지탈모드인 경우에는 스텝 4l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라는 취지의 표시를 그대로 계속시킨다. 또 현재사용중의 통화채널이 아날로그모드이고 또 새롭게 지정된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인 경우에는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된 것을 표시기(32)에 표시한다(스텝 4l).
그와 같이 하여 통화채널의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제어를 종료하면 무선이동국(PSS)은 스텝 4i에 의해서 통화접속중의 기지국(BSS1)에 응답데이타를 반송하고 그런후에 스텝 4j에서 새로운 통화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제어를 실행한다.
그리하여 무선이동국(PSS)과 다른 기지국(BSS2)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새로운 통화채널에 의한 동기의 확립 및 트레이닝이 행해지고 통화가 가능하게 된 상태에서 통화제어로 복귀한다. 그리하여 기지국(BSS1)이 보유하는 통화채널로 다른 기지국(BSS2)이 보유하는 통화채널로의 핸드오프가 행해진다.
또 그때까지 통화접속중이었던 기지국(BSS1)은 스텝 5h에서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의 응답데이타의 반송을 확인하면 이제까지 사용하고 있었던 통화채널을 스텝 5i에서 해방시키고 수신대기상태로 복귀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무선이동국(PSS)에 모드지정스위치(34)를 설비하고 이 모드지정스위치(34)에 의해서 지정입력된 모드지정정보를 기지국(BSS1)으로 통지하고 기지국(BSS1)에서 이 모드지정정보에 준하여 통화채널을 결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무선이동국(PSS)에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무선통신방식을 디지탈모드나 또는 아날로그모드로 지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통신의 내용에 따라서 최적인 방식으로 통화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들면,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하고 싶을 경우에는 디지탈모드를 지정하여 비화성이 높은 상태로 안심하고 통화를 행할 수 있고 또 비화성을 갖지 않는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아날로그모드를 지정하던지 특별히 모드를 지정하지 않고 통화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채널의 모드를 표시기(32)에 표시하게 하였으므로 통화시에 사용자는 설정중의 무선통식방식이 아날로그모드인지 또는 디지탈모드인지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무선이동국(PSS)에서 사용자가 특별히 디지탈모드를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도 기지국(BSS1)에 의해서 디지탈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비화통화를 행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디지탈모드를 지정했음에도 불구하고 디지탈 통화채널에 비통화중인 채널이 없고 아날로그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비화성을 갖는 통화를 피하는등의 적절한 대응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통화중에 핸드오프가 행해지는 경우에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변경하게 되면 정보를 발생하여 그 취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였으므로 모드변경을 사용자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때까지 디지탈모드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었던 비화통화를 중단하여 일반적인 화제로 변경하든지 또 일단 종화하여 재차 디지탈모드에 의한 접속을 요구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겠으나 이 실시예의 특징은 무선이동국(PSS)에 무선통신방식의 모드변경을 거부하는 취지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을 설비하고 핸드오프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변경되었을 경우에 사용자가 이 모드변경을 거부하는 취지를 입력하면 그 취지가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기지국(BSS)으로 전달되어 핸드오프가 중지되도록 한 것이다.
즉 무선이동국(PSS)에는 무선통신방식의 모드변경을 거부하는 취지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예를들면 모드변경 거부스위치가 설비되어 있다. 그리고 핸드오프제어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변환되었다 하면 무선이동국(PSS)의 제어회로(31)는 제 6 도에 나타낸 스텝 4h에서 디지탈모드의 표시를 정지하는 동시에 경보음을 발생한 후에 스텝 6a에서 모드변경 거부스위치에 의해서 통화채널의 변경 거부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모드변경 거부가 입력되면 제어회로(31)는 스텝 6b에서 채널변경 거부데이타를 작성하여 기지국(BSS)을 향하여 송신하고 또한 스텝 6c에서 이동전의 무선존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표시기(32)에 표시한다. 그리고 통화제어로 되돌아간다.
또 상기 경보음이 발생되고 나서 일정 기간내에 모든변경 거부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회로(31)는 모드변경을 용인했다고 판단하여 스텝 6a로부터 스텝 4i로 옮겨가고 여기서 응답데이타를 반송한다. 그리고 이후 상기 제 4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텝 4j에서 신통화채널을 확립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고 또 스텝 4k에서 통화가 가능해진 것을 확인하면 이 새로운 통화채널에 의해서 통화를 계속한다.
한편 기지국(BSS)의 제어회로(61)는 제 7 도에 나타낸 통화채널지정데이타의 송신후에 스텝 5h 및 스텝 7a에서 각각 응답메시지가 반송되었는지의 여부의 감시와 모드변경 거부데이타가 반송되었는지의 여부의 감시를 반복하여 행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모드거부 데이타가 보내오면 스텝 7b로 옮겨가서 여기서 통화채널의 변경을 중지하여 현재 사용하고 있는 통화채널을 보지하고 통화제어로 되돌아간다. 또 이때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제어국(CS)으로는 통화채널의 변경을 중지하는 취지의 데이타를 전송한다. 또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응답데이타가 반송될 경우에는 스텝 5h로부터 스텝 5i로 이행하여 통화채널을 해방시킨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면 핸드오프에 의해서 통화채널이 디지탈모드로부터 아날로그모드로 변경되었을 때에 사용자는 이 모드변경을 거부할 수 있고 또 표시기(32)에 표시된 충고메시지에 따라서 이동전의 무선존으로 자신이 되돌아가면 그대로 디지탈 통화채널에 의해서 비화통화를 계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드변경에 따라서 비화통화를 중단하고 일단 종화한 후에 디지탈모드를 지정하고 나서 재발신한다는 조작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방식모드를 표시기(32)에 표시함으로써 알렸으나 음이나 음성메시지를 수화용 스피커등으로부터 출력함으로써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지탈모드의 경우만 표시하도록 하였으나 아날로그모드의 경우에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방식의 모드를 무선이동국(PSS)에서 알리도록 하였으나 예를들면 무선이동국(PSS)에서 음성에 의한 보지메시지를 생성하여 그 보지메시지를 회선을 거쳐서 통화상대의 전화기로 송출하여 상대방 전화기의 사용자에 대해서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통화상대도 무선방식의 모드를 알 수 있고 이에 의해서 비화통화를 행하여도 좋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모드지정데이타를 발신시 및 착신시의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기지국(BSS)으로 전송하여 통화채널을 설정하도록 했다. 그런데 통화중에 모드지정이 있었던 경우에는 모드지정데이타를 통화중에 무선이동국(PSS)으로부터 기지국(BSS)으로 전송하고 기지국(BSS)에서 통화채널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 디지탈 통화채널의 확립후의 일정시간(예를들면 수분)이 경과된 시점에서 경보를 발생시켜 이에 의해서 장시간에 걸친 비화통화에 경고를 주도록 하여도 좋다.
일반적으로 디지탈모드는 비화성은 높지만 완전한 비화성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소정의 수순을 밟으므로 여전히 도청될 위험성이 있다. 그러므로 통화개시로부터 일정시간이 경과된 시점에서 경보를 발생시킴으로써 장시간의 비화통화의 위험성을 통화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자동차 전화시스템 및 휴대전화시스템이외에 구내 무선전화시스템이나 1대의 기지국과 1대의 이동국을 1세트로한 소규모의 코오드레스 전화시스템에 적용시켜도 좋다.
그외에 기지국 및 무선이동국의 구성이나 제어시켄스, 모드지정입력수단의 구성(예를들면 음성인식기술을 사용하여 음성입력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등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해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이동국장치에 모드지정입력수단과 모드통지수단을 구비하여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을 아날로그모드로 할 것인지 또는 디지탈모드로 할 것인지를 입력지정하여 이 지정된 모드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 통지하도록 하고 또 기지국장치에 통신방식 설정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무선이동국장치로부터 보내온 모드지정정보에 응하여 무선통신방식을 선택하여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무선통신방식을 지정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특히 디지탈모드를 더 유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무선통신방식을 알리는 보지수단을 설비하고 이 보지수단에 의해서 통신시에 상기 기지국장치와 무선이동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통신방식을 즉 아날로그모드인지 디지탈모드인지를 통신자에게 알리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사용자가 설정중의 무선통신방식을 알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서 설정중의 무선통신방식에 응하여 통화내용을 바꿀 수 있는 이동무선 통신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유선회선에 접속된 기지국장치(BS1∼BS3), BSS1, BSS2와, 이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무선이동국장치(PS, PSS)를 구비하고 이들 기지국장치와 무선이동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이동국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선이동장치는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을 아나로그모드 또는 디지탈모드로 지정하기 위한 모드지정 입력수단(34)과, 이 모드지정 입력수단에 의해서 지정된 모드정보를 통신시에 상기 기지국장치로 통지하는 모드통지수단(31, 스텝 2e)을 구비하고, 또 상기 기지국장치는 상기 무선이동국장치로부터 보내온 모드정보에 응하여 통신방식을 상기 디지탈모드 또는 상기 아날로그모드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여 설정하는 통신방식 설정수단(61, 스텝 3f)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2. 유선회선에 접속되는 기지국장치(BS1∼BS3, BSS1, BSS2)와 이 기지국장치에 대해서 무선회선을 거쳐서 접속되는 무선이동국장치(PS, PSS)를 구비하고 이들의 기지국장치와 무선이동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방식으로서 아날로그모드와 디지탈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이동무선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시에 상기 기지국장치로와 무선이동국장치와의 사이에서 설정되는 무선통신방식을 통신자에게 알리기 위한 보지수단(32, 33)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KR1019910011357A 1990-07-09 1991-07-05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KR9500000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79527 1990-07-09
JP2179527A JP3015417B2 (ja) 1990-07-09 1990-07-09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移動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3684A KR920003684A (ko) 1992-02-29
KR950000052B1 true KR950000052B1 (ko) 1995-01-07

Family

ID=16067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1357A KR950000052B1 (ko) 1990-07-09 1991-07-05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5335355A (ko)
JP (1) JP3015417B2 (ko)
KR (1) KR950000052B1 (ko)
CA (1) CA2046423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35B1 (ko) * 2002-03-15 2011-04-29 실리콘 래버래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무선주파수장치 및 관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0117U (ko) * 1988-05-17 1989-12-01
US5890073A (en) * 1990-06-20 1999-03-30 Any Co. Ltd. Mobile terminal capable of sending communication mode signals and a method thereof
JP3015417B2 (ja) * 1990-07-09 2000-03-06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移動局装置
JP2710699B2 (ja) * 1991-02-06 1998-02-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ュアルモード自動車電話端末装置
US5564077A (en) * 1992-02-05 1996-10-08 Kabushiki Kaisha Toshiba Dual mod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selectively designating analog or digital mode
JP2842033B2 (ja) * 1992-04-10 1998-12-24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方式
MX9307243A (es) * 1992-11-24 1994-05-31 Ericsson Telefon Ab L M Reintento analogico.
CA2160452C (en) * 1993-04-15 1999-10-19 Arata Obayashi Mobile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JP3095414B2 (ja) * 1993-09-08 2000-10-03 パシフィック・コミュニケーション・サイエンシ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の動作モードを有する携帯通信およびデータ端末
US5487175A (en) * 1993-11-15 1996-01-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invoking and canceling voice or data service from a mobile unit
US6934558B1 (en) * 1993-12-15 2005-08-23 Mlr, Llc Adaptive omni-modal radio apparatus and methods
US5761621A (en) 1993-12-15 1998-06-02 Spectrum Information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networking omni-modal radio devices
US5479480A (en) * 1993-12-30 1995-12-26 At&T Corp. Dual mode cellular modem
US5722068A (en) * 1994-01-26 1998-02-24 Oki Telecom, Inc. Imminent change warning
DE29503933U1 (de) * 1994-03-16 1995-12-07 Ericsson Telefon Ab L M Gleichförmige Mensch-Maschine-Schnittstelle für zellulare Mobiltelefone
JP3380036B2 (ja) * 1994-05-20 2003-02-24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および移動局における待受け制御方法
US5519887A (en) * 1994-08-09 1996-05-21 At&T Corp. Switchable filter phase-locked loop frequency synthesizer device and method for achieving dual-mode cellular communications
JP3426727B2 (ja) * 1994-09-13 2003-07-14 株式会社東芝 デュアルモード形無線通信装置
US5790527A (en) * 1994-12-20 1998-08-04 Research Triangle Park Trunked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for accommodating both frequency and time division based RF communications
SE504082C2 (sv) * 1995-01-19 1996-11-04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 och förfarande för lastreducering i ett mobilt kommunikationssystem och ett mobilt kommunikationssystem
SE504002C2 (sv) * 1995-02-17 1996-10-14 Europolitan Ab Arrangemang för kombinerade samtalstjänster
US6073008A (en) * 1995-02-23 2000-06-0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ystem for establishing a register recall during an active call in a radio system providing a wireless local loop
US5797098A (en) * 1995-07-19 1998-08-18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US5754542A (en) * 1995-07-31 1998-05-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determination in a multi-mode subscriber station
US5797096A (en) * 1995-08-02 1998-08-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ntrol channel mode information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WO1997021312A2 (en) * 1995-12-01 1997-06-12 Philips Electronics N.V. A digital cordless telephony system, a radio base station, and a combination of a radio base station and a cordless handset
FI101670B1 (fi) * 1995-12-15 1998-07-31 Nokia Mobile Phones Ltd Menetelmä matkaviestinverkon ja matkaviestimen välisen tiedonsiirron salauksen ilmaisemiseksi
US6549778B1 (en) * 1996-01-31 2003-04-15 Motorola, Inc. Method of communication mode change notification
US5778024A (en) * 1996-02-01 1998-07-07 Qualcomm Incorporated Dual-mode communications processor
AU723017B2 (en) * 1996-02-22 2000-08-17 Sony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6223053B1 (en) * 1996-06-26 2001-04-24 Cisco Systems, Inc. Universal radio for use in variou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US5878349A (en) * 1996-07-16 1999-03-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all set-up on 800 MHz analog voice channel from 1900 MHZ digital control channel
US6035212A (en) * 1996-08-02 2000-03-07 Lsi Logic Corporation Multi-frequency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3041244B2 (ja) * 1996-09-26 2000-05-15 株式会社東芝 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3229928B2 (ja) * 1996-10-25 2001-11-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US6047191A (en) * 1997-02-14 2000-04-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of selecting a voice channel in a radio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6128490A (en) * 1997-05-08 2000-10-03 Nortel Networks Limit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supports selection of operation from multiple frequency bands and multiple protocol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
US5995829A (en) * 1997-07-03 1999-11-30 Nokia Mobile Phones Programmable system determination in dual-mode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CA2307635C (en) 1997-11-05 2004-07-06 Microsoft Corporation Notification scheduling system on a mobile device
KR100241783B1 (ko) * 1997-12-19 2000-02-01 윤종용 복합무선단말기의 서비스 옵션에 따른 수신경고음 및 표시문구발생 방법
GB2349317A (en) * 1998-01-21 2000-10-25 Nokia Mobile Phones Ltd Pulse shaping which compensates for component distortion
JP3348196B2 (ja) * 1998-03-06 2002-11-20 独立行政法人通信総合研究所 無線伝送システム
US6611196B2 (en) 1998-03-20 2003-08-26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udio augmentation of a physical environment
US6700875B1 (en) * 1998-03-31 2004-03-02 Motorola, Inc.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ng a channel in a multichannel communication network
US6154660A (en) * 1998-07-21 2000-11-28 Ericsson Inc. Callee-based telephone line preselection
US6321097B1 (en) * 1998-10-26 2001-1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modes in a dual mode cellular phone
US6456858B1 (en) * 1998-12-21 2002-09-24 Verizon Wireless System and methods in a dual mode wireless system for transmitting rescan command based on detected network conditions
SE515327C2 (sv) * 1999-08-27 2001-07-16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att utföra säkra transaktioner i en kommunikationsanordning
US6473598B1 (en) * 2000-02-15 2002-10-29 Fareed Sepehry-Fard Most cost-effective asmmic-based universal microwave and millimeter wave transceiver
US6961584B2 (en) 2000-03-22 2005-11-01 Mlr, Llc Tiered wireless, multi-modal access system and method
US7603104B2 (en) * 2000-12-08 2009-10-13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secure call
JP4030271B2 (ja) * 2001-03-26 2008-01-09 株式会社東芝 移動通信端末
US7099666B1 (en) * 2001-07-30 2006-08-2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utomated reconciliation of directed retry lists
US6862636B2 (en) * 2001-11-16 2005-03-01 Gateway, Inc. Multi-mode speaker operating from either digital or analog sources
US7158810B2 (en) * 2002-06-27 2007-01-02 Nokia Corporation Indication of user equipment capabilities before radio resource control connection
EP1494488A1 (en) * 2003-07-01 2005-01-05 Precisa Instruments AG Mobile phone comprising position computation means
JP4959726B2 (ja) * 2006-02-09 2012-06-27 テルコーディア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メディア通信セッションの適応的シームレスモビリティに関する方法
US11989440B2 (en) * 2021-08-11 2024-05-21 Silicon Storage Technology, Inc. Hybrid memory system configurable to store neural memory weight data in analog form or digital form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7858A (en) * 1987-04-30 1989-06-06 Motorola, Inc. Subscriber unit for a trunked voice/data communication system
US5127042A (en) * 1988-09-23 1992-06-30 Motorola, Inc. Cellular cordless telephone
US5056109A (en) * 1989-11-07 1991-10-08 Qualcomm,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cdma cellular mobile telephone system
US5119397A (en) * 1990-04-26 1992-06-0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Combined analog and digital cellular telephone system having a secondary set of control channels
US5020076A (en) * 1990-05-21 1991-05-28 Motorola, Inc. Hybrid modulation apparatus
JP3015417B2 (ja) * 1990-07-09 2000-03-06 株式会社東芝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移動局装置
JP2814297B2 (ja) * 1990-08-07 199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電話装置
US5228074A (en) * 1991-04-15 1993-07-13 Sony Corporation Dual mode cellular telephon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35B1 (ko) * 2002-03-15 2011-04-29 실리콘 래버래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무선주파수장치 및 관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46423C (en) 2000-08-29
JP3015417B2 (ja) 2000-03-06
US5335355A (en) 1994-08-02
KR920003684A (ko) 1992-02-29
JPH0468926A (ja) 1992-03-04
CA2046423A1 (en) 1992-01-10
US5493693A (en) 1996-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0052B1 (ko) 이동무선통신 시스템
KR100232669B1 (ko)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
KR101235574B1 (ko) 이동국,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이동통신시스템, 및간헐수신방법
JPH0726465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US711700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having base station dependent mode and a direct mode
JP2840028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H05110507A (ja) 移動無線通信装置
EP0695047B1 (e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JPH11146462A (ja)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通信方法
JPH0916343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0504533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チャネル拡張プロトコル及び無線局
JP3300703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移動局装置
JP2000504532A (ja) 電気通信システム、チャネル選択プロトコル及び無線局
JPH07107560A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
KR20010066455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방송 서비스 구현 방법
JP3225031B2 (ja) 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無線移動局装置
JPH09247748A (ja) 緊急呼制御方式
JP3056869B2 (ja) 移動無線通信装置
JP2001054170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H05218957A (ja) デュアルモード形無線通信装置
CN100466496C (zh) 用于移动通信系统中的快速呼叫建立的设备和方法
JP3738056B2 (ja) コードレス電話
JPS62204631A (ja) 不在着呼検出方式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JPH05218956A (ja) デュアルモード形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2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