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22970A -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및 배전선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및 배전선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22970A
KR940022970A KR1019930023360A KR930023360A KR940022970A KR 940022970 A KR940022970 A KR 940022970A KR 1019930023360 A KR1019930023360 A KR 1019930023360A KR 930023360 A KR930023360 A KR 930023360A KR 940022970 A KR940022970 A KR 940022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ccident
short circuit
distribution lin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1324B1 (ko
Inventor
가즈오 니시지마
히로시 이노우에
미노루 가노이
데루노브 미야자끼
마쯔루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도무,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도무
Publication of KR940022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2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2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switching or blocking or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점은 단락사고의 경우 정전시간과 정전구간을 극력 최소로 할 수 있는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배선의 사고 발생시에 사고구간을 특정하고, 해당 지점의 개폐기를 개방하여 그 부하측의 개폐기를 개방한다. 그 후, 다른 건전한 제2배전선과 사고 발생한 제1배선과의 버트점의 개폐기를 폐쇄하여 정전구간을 제2배전선으로부터 급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락하고의 경우에 정전시간과 정전구간을 극력 최소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및 배전선의 운용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느 배전 계통도와 장치 구성을 나타낸 도 , 제2도는 본 발명의 개폐기(Sw)와 자국(K)을 나타낸 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자국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도.

Claims (6)

  1. 차단기를 거쳐 모국에 접속되고, 적절한 위치에 개폐기를 가지는 제1, 제2배전선, 그 제1과 제2배전선의 단부 간에 설치되어 항시 개방상태에 있는 버트개폐기,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으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상기 차단기를 개방하는 보호계전기, 상기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시에 사고점에 가장 가까운 전원측의 개폐기를 개방하는 제1수단, 그 제1수단에 의한 개폐기의 개방 후에, 이 개폐기에 가장 가까운 부하측의 개폐기를 개방하는 제2수단, 그 제2수단에 의한 개폐기의 개방 후에 상기 버트개폐기를 투입하는 제3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단에 의한 개폐기의 개방은 상기 보호계전기의 일정시간 이내에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의 정전극소화시스템.
  2. 차단기를 거쳐 모국에 접속되고, 적절한 위치에 개폐기를 가지는 제1, 제2배전선, 그 제1과 제2배전선의 단부 간에 설치되어 항시 개방상태에 있는 버트개폐기,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으로부터 일정시간 후에 차단기를 개방하는 보호계전기, 상기 개폐기와 통신선을 거쳐 결합된 모국으로 구성되는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는 단락사고 검출을 했을 때, 전원측 개폐기의 개방을 저지하고, 단락사고 검출과 함께 부하측 개폐기로 개방 저지되지 않을 때, 상기 보호계전기의 일정시간 이내에 그 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모국은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시에 사고점을 표정하여 상기 보호계전기의 일정시간에 사고점의 부하측 개폐기를 개방하고, 상기 모국은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시에 사고점을 표정하여 상기 보호계전기의 일정시간에 사고점의 부하측 개폐기의 개방지령을 주고, 그 후 상기 버트개폐기의 투입지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각 개폐기는 단락사고 검출기능을 가지고, 사고 검출신호를 통신선을 거쳐 전송하고, 모국은 개폐기로부터의 사고 검출신호에 따라 사고점을 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각 계기는 단락사고 검출기능과, 상고 검출신호를 통신선을 거쳐 전송하는 기능과, 단락사고 검출과 함께 부하측으로부터의 사고 검출신호를 수신하지 않았을 때, 또는 모국으로부터의 지령에 의하여 개폐기를 개방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5. 통상 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제1배전선은 제1모선으로부터 급전되고, 제2배전선은 제2모선으로부터 급전되고 있고,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시에 사고점을 포함하는 부하측 구간이 정전상태가 되고 그 후 사고점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부하측 구간은 제2모선으로부터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 운용방법.
  6. 통상 운전상태에 있어서는 제1배전선은 제1모선으로부터 급전되고, 제2배전선은 제2모선으로부터 급전되고 있고, 제1배전선의 단락사고 발생시에 사고점을 포함하는 부하측 구간이 정전상태가 되고, 사고 점을 포함하지 않는 상기 부하측 구간은 제2모선으로부터 급전되고, 그 후 사고점을 포함하는 정전구간이 제1모선으로부터 급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의 운용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30023360A 1993-03-12 1993-11-05 배전선의정전극소화시스템및배전선의운용방법 KR100321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051611 1993-03-12
JP05051611A JP3085007B2 (ja) 1993-03-12 1993-03-12 配電線の停電極小化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2970A true KR940022970A (ko) 1994-10-22
KR100321324B1 KR100321324B1 (ko) 2002-05-13

Family

ID=12891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360A KR100321324B1 (ko) 1993-03-12 1993-11-05 배전선의정전극소화시스템및배전선의운용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79195A (ko)
JP (1) JP3085007B2 (ko)
KR (1) KR100321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27A (ko) * 2002-10-31 2004-05-08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의 최적개폐기 설치기준 제정을 위한 정전량산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971A (en) * 1998-03-23 1999-12-28 Electric Boat Corporation Fault protection arrangement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US5973899A (en) * 1998-09-10 1999-10-26 Pacificorp Automated power feeder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US6341054B1 (en) 1998-12-23 2002-01-22 Mcgraw-Edison Company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network
DE10014929C2 (de) * 2000-03-20 2002-07-11 Siemens Ag Verfahren zum Durchführen einer automatischen Wiedereinschaltung und Wiedereinschalteinrichtung
US6707652B2 (en) * 2002-07-10 2004-03-16 Eaton Corporation Electrical switching apparatus including glowing contact protection
JP3954511B2 (ja) * 2003-03-14 2007-08-08 株式会社東芝 配電系統監視制御装置
CN100342609C (zh) * 2004-07-07 2007-10-10 江苏省电力公司苏州供电公司 22万伏高压“t”接线路三侧纵联保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9677A (en) * 1974-03-13 1975-09-30 Esco Mfg Co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incorporating means for sectionalizing faulted load se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127A (ko) * 2002-10-31 2004-05-08 한국전력공사 배전계통의 최적개폐기 설치기준 제정을 위한 정전량산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85007B2 (ja) 2000-09-04
JPH06269121A (ja) 1994-09-22
KR100321324B1 (ko) 2002-05-13
US5579195A (en) 1996-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8971A (en) Fault protection arrangement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KR100347488B1 (ko) 배전선의정전극소화시스템
KR940022970A (ko)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및 배전선의 운용방법
KR920019034A (ko) 수전시스템
Akhunov et al. Development of automatic transfer switch
KR20200012573A (ko)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JPH04253000A (ja) 原子力発電プラントの非常用電源設備と所内電源設備
SG174679A1 (en) Switchgear and its interlocking test method
JPH03245735A (ja) 配電系統操作装置
JP2023072236A (ja) 電鉄用直流変電所の保護システム
JP3433992B2 (ja) 異母線供給ループ送電線系統の保護方式
SU972626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ного отключени в сети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Xia et al. Application and Improvement of RCS/PCS Type Fiber Optic Current Differential Protection Joint Trip Function
JP3470279B2 (ja) 光ケーブル通信システムの給電保安装置
KR100433610B1 (ko) 운용자안전및장비보호를위한전원장치
JPH0421322A (ja) 電力系統自動復旧装置
JPH0135578B2 (ko)
JP2607307B2 (ja) 配電線の事故区間検出システム
JP2021083184A (ja) 地絡保護方法
JPH035134B2 (ko)
JPH02262834A (ja) 電力系統自動復旧装置
JPS58139645A (ja) 発電所母線切換装置
CN112448475A (zh) 一种环网柜用高压断路器的分合闸控制装置及工作方法
JP2001103666A (ja) 開極位相制御装置とそれを組込んだ分散形制御装置
Kowalik Technical Report: Electrical Power Supply to the Computer Cent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