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573A -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573A
KR20200012573A KR1020180088030A KR20180088030A KR20200012573A KR 20200012573 A KR20200012573 A KR 20200012573A KR 1020180088030 A KR1020180088030 A KR 1020180088030A KR 20180088030 A KR20180088030 A KR 20180088030A KR 20200012573 A KR20200012573 A KR 20200012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contact breaker
breaker
disconnector
bus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명
유희영
김기동
지원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8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573A/ko
Publication of KR20200012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5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5Details with means for increasing reliability, e.g. redundanc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witching on a spare supply

Abstract

본 발명은 양 모선 사이에 두개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배치하여 모선.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여 변전소 전 설비에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All electrostatic discharge devices in substations}
본 발명은 변전소의 모선 고장 발생 시 정전 방지를 위한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모선 연락 차단기, 모선 고장에 의해 변전소의 전 설비에서 발생하는 정전을 방지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154kV 변전소는 발전소 또는 타 변전소로부터 154kV 송전선로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아 주변압기를 이용하여 23kV로 변압하고, 변압된 전력을 23kV 모선을 통해 23kV 선로 등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모선에 고장이 발생하게 되면 전력을 공급하는 주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해 차단기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선에 전력 공급이 중지됨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모선뿐만 아니라 연결된 정상 모선까지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변전소의 전 설비에서 정전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모선에 고장이 발생하면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시켜 고장전류가 전구간으로 흐르지 않도록 방지하는데, 모선 연락 차단기가 고장으로 인해 모선 고장에도 불구하고 개방되지 않는 경우에 고장전류가 모선 연락 차단기를 통해 전구간으로 흐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경우, 변전소의 전 설비에 정전이 발생하고, 변전소 전 설비를 중지시켜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양 모선 사이에 두개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배치하여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여 고장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 및 제2 모선 사이에 연결된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제1 모선과 연결된 인입부에 배치된 제1 단로기와, 제2 모선과 연결된 인입부에 배치된 제2 단로기와,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되 제1 단로기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와, 제1 단로기 및 제2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되 제2 단로기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는, 제1 모선 또는 제2 모선 연락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는 제2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는 제2 모선 또는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는 제1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가 개방되지 못한 경우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제어하는 보호계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계전기는 제1 모선 또는 제2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계전기는 제1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계전기는 제2 모선 또는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계전기는 제2 모선에서 고장 발생 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보호 계전기는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 사이에서 고장 발생 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는 양 모선 사이에 두개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배치하여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함으로써, 변전소 전 설비에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장 발생 시 고장 구간을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고장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모선 연락 차단기 하나를 추가시키는 소규모 투자로 전력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선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가 접속되는 지점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모선 및 제2 모선 사이에 연결된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100)는 제1 단로기(110), 제2 단로기(12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보호계전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로기(110)는 제1 모선과 연결된 인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는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을 연결하는 선로에서 제1 모선(1)과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제1 단로기(110)는 인터록에 의해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에 동작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제1 단로기(110)는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가 개방되면, 개방될 수 있다.
제2 단로기(120)는 제2 모선과 연결된 인입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부는 제2 모선(1) 및 제2 모선(2)을 연결하는 선로에서 제2 모선(2)과 인접한 부분일 수 있다. 제2 단로기(120)는 인터록에 의해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에 동작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즉, 제2 단로기(120)는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개방되면, 개방될 수 있다.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는 제1 단로기(110) 및 제2 단로기(120) 사이에 배치되되 제1 단로기(11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는 제1 단로기(110) 및 제2 단로기(120) 사이에 배치되되 제2 단로기(120)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사이에는 변류기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보호계전기(150)는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호계전기(150)는 고장 위치에 따라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보호계전기(150)는 고장 위치에 따라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중 적어도 하나를 개방시킬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선로(10)는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에 접속되며, 제1 선로(10)에는 두개의 단로기(11, 12)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1)과 접속되는 단로기(11)는 개방되어 있고, 제2 모선(2)과 접속되는 단로기(12)는 차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선로(10)에 연결된 두개의 단로기(11, 12)의 접점에는 제1 송전선로(14)가 접속될 수 있다. 제1 송전선로(1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제1 선로(10)를 통해 제2 모선(2)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 송전선로(14)에는 제1 차단기(16)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1 차단기(16)가 투입 시 제2 모선(2)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선로(20)는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에 접속되며, 제2 선로(20)에는 두개의 단로기(21, 22)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1)과 접속되는 단로기(21)는 차단되어 있고, 제2 모선(2)과 접속되는 단로기(22)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 선로(20)에 연결된 두개의 단로기(21, 22)의 접점에는 제2 송전선로(24)가 접속될 수 있다. 제2 송전선로(2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제2 선로(20)를 통해 제1 모선(1)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송전선로(24)에는 제2 차단기(26)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2 차단기(26)가 투입 시 제1 모선(1)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선로(30)는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에 접속되며, 제3 선로(30)에는 두개의 단로기(31, 32)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1)과 접속되는 단로기(31)는 개방되어 있고, 제2 모선(2)과 접속되는 단로기(32)는 차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 선로(30)에 연결된 두개의 단로기(31, 32)의 접점에는 제3 송전선로(34)가 접속될 수 있다. 제3 송전선로(3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제3 선로(30)를 통해 제2 모선(2)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3 송전선로(34)에는 제3 차단기(36)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3 차단기(36)가 투입 시 제2 모선(2)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제4 선로(40)는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에 접속되며, 제4 선로(40)에는 두개의 단로기(41, 42)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1)과 접속되는 단로기(41)는 차단되어 있고, 제2 모선(2)과 접속되는 단로기(42)는 개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4 선로(40)에 연결된 두개의 단로기(41, 42)의 접점에는 제4 송전선로(44)가 접속될 수 있다. 제4 송전선로(44)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은 제4 선로(40)를 통해 제1 모선(1)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4 송전선로(44)에는 제4 차단기(46)가 접속되어 있으며, 제4 차단기(46)가 투입 시 제1 모선(1)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발생하는 모선, 모선 연락 차단기의 고장에 대해 변전소 전 설비에 정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1 모선(1)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를 통해 제2 모선(2)에까지 고장이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모선(1)에 고장이 발생 시 고장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2 모선(2)에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선(1)의 고장으로 인해, 제2 송전선로(24)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차단기(26) 및 제4 송전선로(44)에 접속되어 있는 제4 차단기(46)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모선(1)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제1 모선(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변전소에는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제2 모선(2)에는 제1 송전선로(14) 및 제3 송전선로(34)를 통해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1 모선(1)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 정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1)에 고장 발생 시 보호계전기(150)가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개방되면 인터록 조건에 의해 제1 단로기(110)도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선(1)에 고장 발생 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가 개방되어야 하는데 오류에 의해 제1 모선 차단기(130)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바로 개방되어 고장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선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2 모선(2)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를 통해 제1 모선(1)에까지 고장이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모선(2)에 고장이 발생 시 고장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1 모선(1)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모선(2)의 고장으로 인해, 제1 송전선로(14)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차단기(16) 및 제3 송전선로(34)에 접속되어 있는 제3 차단기(36)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모선(2)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되고, 제2 모선(2)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변전소에는 정전이 발생할 수 있다. 반면,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제1 모선(1)에는 제2 송전선로(24) 및 제4 송전선로(44)를 통해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2 모선(2)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1 모선(1)에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 정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선(2)에 고장 발생 시 보호계전기(150)가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개방되면 인터록 조건에 의해 제2 단로기(120)도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모선(2)에 고장 발생 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개방되어야 하는데 오류에 의해 제2 모선 차단기(140)가 동작하지 않은 경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가 바로 개방되어 고장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를 통해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는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에 발생한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개방되어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선(1)까지 확대된 고장으로 인해, 제2 송전선로(24)에 접속되어 있는 제2 차단기(26) 및 제4 송전선로(44)에 접속되어 있는 제4 차단기(46)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모선(1)에는 전력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제2 모선(2)에는 제1 송전선로(14) 및 제3 송전선로(34)를 통해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 정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에 고장 발생 시 보호계전기(150)가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5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개방되면 인터록 조건에 의해 제2 단로기(120)도 개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를 통해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는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에 발생한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개방되어 제1 모선(1)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2 모선(2)까지 확대된 고장으로 인해, 제1 송전선로(14)에 접속되어 있는 제1 차단기(16) 및 제3 송전선로(34)에 접속되어 있는 제3 차단기(36)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모선(2)은 전력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반면,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제1 모선(1)에는 제2 송전선로(24) 및 제4 송전선로(44)를 통해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를 개방하여 제1 모선(1)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 정전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에 고장 발생 시 보호계전기(150)가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가 개방되면 인터록 조건에 의해 제1 단로기(110)도 개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를 통해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게 된다. 따라서, 고장이 더 이상 확대되지 않도록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가 개방되면서 고장이 확대되지 않음에 따라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에는 제1 송전선로(14) 내지 제4 송전선로(44)를 통해 전력이 여전히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 단로기(11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및 제2 단로기(120)가 투입된 상태에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 사이에서 고장이 발생하면, 제1 모선 연락 차단기(130) 및 제2 모선 연락 차단기(140)를 개방하여 제1 모선(1) 및 제2 모선(2)까지 고장이 확대되지 않도록 하여 정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 모선 사이에 두개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배치하여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적어도 하나의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여 고장이 확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1 단로기
120: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130: 제2 모선 연락 차단기
140: 제2 단로기
150: 보호계전기
1: 제1 모선
2: 제2 모선
10, 20, 30, 40: 선로
11, 21, 31, 41, 12, 22, 32, 42: 단로기
14, 24, 34, 44: 송전선로
16, 26, 36, 46: 차단기

Claims (11)

  1. 제1 모선 및 제2 모선 사이에 연결된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선과 연결된 인입부에 배치된 제1 단로기;
    상기 제2 모선과 연결된 인입부에 배치된 제2 단로기;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단로기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상기 제1 단로기 및 상기 제2 단로기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2 단로기에 인접하여 배치된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포함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는,
    상기 제1 모선 또는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의 고장 발생 시 개방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는 상기 제2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개방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는 상기 제2 모선 또는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개방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는 상기 제1 모선에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가 개방되지 못한 경우 개방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제어하는 보호계전기를 더 포함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계전기는 상기 제1 모선 또는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계전기는 상기 제1 모선의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계전기는 상기 제2 모선 또는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에 고장 발생 시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계전기는 상기 제2 모선에서 고장 발생 시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으면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계전기는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 사이에서 고장 발생 시, 상기 제1 모선 연락 차단기 및 상기 제2 모선 연락 차단기를 개방하는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KR1020180088030A 2018-07-27 2018-07-27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KR202000125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30A KR20200012573A (ko) 2018-07-27 2018-07-27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030A KR20200012573A (ko) 2018-07-27 2018-07-27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573A true KR20200012573A (ko) 2020-02-05

Family

ID=69515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030A KR20200012573A (ko) 2018-07-27 2018-07-27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5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522B1 (ko) 2023-06-16 2024-02-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변전소의 정전 예방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522B1 (ko) 2023-06-16 2024-02-20 부흥감리이엔지 주식회사 변전소의 정전 예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7573B2 (en) Recloser and fuse coordination scheme
KR101187839B1 (ko) 다기능 과전류형 모선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22622A (ja) 送配電系統の短絡電流減少システムおよび短絡電流減少方法
EP4046249A1 (en)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line equipped with switchgear unit
KR940022971A (ko) 배전선의 정전 극소화 시스템
JP7218497B2 (ja) 地絡保護継電システム
KR20200012573A (ko) 변전소 정전 방지 장치
KR100878144B1 (ko) 서지보호 시스템
KR102176134B1 (ko) 변전소용 종합 후비보호시스템
KR100716897B1 (ko) 송배전선로 부하공급 차단기
RU2094924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им включением резервного питания
JP2019068529A (ja) 短絡保護継電システム
CN111106595B (zh) 电源的过温保护电路、方法及系统
KR101105302B1 (ko) 가공 루프 배전계통 시스템
RU2437193C1 (ru) Способ, систем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ифференциальной защиты
JP7403329B2 (ja) 変圧器過負荷保護装置及び方法
KR100419261B1 (ko) 스폿 네트워크 시스템의 저압 모선 지락고장보호장치
JPH1132427A (ja) 配電システム
JP7392410B2 (ja) 地絡保護方法
JP2002199586A (ja) 電力係統連係装置
KR950004674A (ko) 스폿-네트워크 배전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JP2015119541A (ja) スポットネットワーク受電設備
KR20170011740A (ko) 차단기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 수배전반
CN108879599A (zh) 一种中性线断线保护装置
JP2003052121A (ja) 保護継電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