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1355B1 -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1355B1
KR940011355B1 KR1019870015186A KR870015186A KR940011355B1 KR 940011355 B1 KR940011355 B1 KR 940011355B1 KR 1019870015186 A KR1019870015186 A KR 1019870015186A KR 870015186 A KR870015186 A KR 870015186A KR 940011355 B1 KR940011355 B1 KR 94001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taple
wedge
support memb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5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859A (ko
Inventor
아드리아누스 크니펠스 안토니우스
Original Assignee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잔 엔슈이스트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잔 엔슈이스트라 filed Critical 오세-네델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880008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CHAND-HELD NAILING OR STAPLING TOOLS; MANUALLY OPERATED PORTABLE STAPLING TOOLS
    • B25C11/00Nail, spike, and staple ex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Manipulator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평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II-II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요입부 10 : 지지부재
17 : 축 18 : 암
25 : 스트립 27 : 경사단부
34 : 스테플 35 : 서류철
본 발명은 스테플(staple)로 제본된 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기 위한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부가 쐐기형으로 경사져 서류철과 이에 고정된 스테플 사이로 삽입될 수 있게된 돌출단부가 형성된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기 위한 스테플을 제거하기 위한 수동기구이외에 파지수단이 구비된 자동작동장치가 있으며, 이에 스테플제본서류철을 끼운다음 파지수단으로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당기어 제거할 수 있게 되었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고정된 장소에서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할때에만 원활하게 작동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실제에 있어서도 수동기구로 스테플제본된 서류철에 있어서는 스테플이 서류철내에 고정되는 위치가 일정하지 않다. 종래 손으로 스테플제본된 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구성하기 위하여 이들 장치에는 제본된 서류철내에서 스테플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탐지 장치가 구비되어야 하며 파지수단을 스테플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하는 위치선정 장치가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스테플제거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결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자동원본 교환기가 구비된 복사기에서 원본을 자동으로 복사할 수 있도록 원본인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기 위한 간단한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간단한 장치가 유럽특허 제 0 106 381호로부터 알려진 바 있다. 이 특허문헌에 있어서는 복사기의 상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스트립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 스트립의 상부는 복사기상부와 거의 동일평면상에 위치한다.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테플의 만곡된 단부가 상향되게 놓은 다음 스테플이 스트립의 쐐기형 단부의 전방에 놓이게 하고 서류철을 스트립을 향하여 당긴다. 이와 같이 당겼을 때에 스트립의 쐐기형 단부가 스테플과 서류위 최하측 시이트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지 아니하고 서류철을 스치고 만다. 이러한 문제점은 서류철을 당길때에 서류철을 스트립의 쐐기형 단부에 손으로 누르면 되나 서류철이 쐐기형 단부에 비스듬히 눌려져 이 쐐기형 단부가 서류철내로 파고들므로서 서류철이 손상입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서류철을 손으로 누르는 경우 다른 한 손만으로 서류철을 당겨야 하므로 서류철을 스트립상에 직선방향으로 당기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서류철을 당기면서 스테플측을 누르는 것은 스테플의 상승되는 단부에 손이 찔려 상처를 입게 하는 다른 결점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문제점이 없이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할 수 있는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은 서두에 언급된 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인 바, 본 발명의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스트립의 쐐기형 경사단부가 거의 20°에 이르는 예각으로 압압되는 접촉면을 갖는 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으며, 지지부재와 스트립의 쐐기형 경사단부 사이에 상기 언급된 예각으로 서류철을 삽입한 다음 이를 다시 후측으로 당길 수 있도록 지지부재에 스트립을 이동가능하게 연결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서류철을 동시에 양손으로 잡고 이 서류철을 스트립의 쐐기형 단부의 전방에 놓이게 한 다음 이를 당기어 스테플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스테플제본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는 것이 간단하고 확실하게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있어서, 지지부재는 스트립의 쐐기형 경사단부 하측의 접촉면에서 고정위치에 배설되는 것이 좋으며, 스트립이 스프링 또는 중력에 의하여 지지부재상에 압압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서류철은 지지부재와 스트립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스트립의 쐐기형 경사단부에 대한 스테플의 위치는 항상 상부로부터 눈으로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의 구체화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하나의 암과 하나의 축으로 구성되고, 암의 일측단부는 스트립에 착설되어 스트립의 상부로 만곡되어 있으며 스트립의 측부가 예각으로부터 벗어나 향하여 연장되며 접촉면의 레벨이하로 연장되고 타측단은 축에 회동가능하게 착설되며, 이 축은 스트립을 직각으로 교차하며 지지부재에 대하여 고정위치에 착설된다.
이러한 실시형태는 스트립과 지지부재 사이의 각도가 스트립과 지지부재 사이에 놓인 서류철의 두께만큼 감소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따라서 이는 스트립이 서류철을 파고들어 이에 손상을 입히기 쉬운 얇은 서류철에 적합한 바, 스트립이 서류표면에 거의 평행하므로 서류철이 손상입는 위험이 줄어든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장치는 사각형의 블럭(1)으로 구성되고 그 상부는 경사진 전면측부(2)와 배면측부(3)로 구성된다. 배면측부(3) 가까이에서 통공(4)이 예를들어 복사기와 같은 스탠드(도시하지 않았음)상에 블럭(1)을 결합시키기 위하여 블럭(1)에 형성되어 있다. 블럭(1)의 상부에는 전후로 나란히 두개의 사각요입부(6)(7)를 갖는다.
평면상의 기부(8)를 갖는 제 1 사각요입부(6)는 블럭(1)의 중앙을 지나 블럭(1)의 전면측부(2) 가까이로부터 연장되고 스테플이 수집되는 트레이를 구성한다. 사각요입부(6)의 전면벽(8a)과 평면상의 기부(8)는 약 120°의 각도를 이루며 사각요입부(6)의 나머지 벽부분은 기부(8)와 각각 직각을 이룬다. 판상의 형태인 지지부재(10)는 그 일측단부(11)가 두 사각요입부(6)(7) 사이의 돌출부(9)상에 고정된다.
이 지지부재(10)는 일측단부(11)로부터 사각요입부(6)의 중앙을 지나 전면벽(8a)의 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재(10)의 선단부(12)는 약간 하측으로 만곡되어 있다. 지지부재(10)의 상부면은 블럭(1)의 상부면과 거의 동일평면상에 놓이는 평활한 면을 갖는다. 지지부재(10)의 일측단부(11)에는 요입부(1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단부의 상부면은 지지부재(10)의 다른 상부면(14)보다 약 0.5mm 낮게 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차이는 일반적으로 스테플에 사용된 선재(線材)의 두께에 해당한다. 요입부(13)의 낮은 상측면과 높은 상부면(14) 사이의 전이부분은 지지부재(10)의 상부면(14)에 대하여 수직인 수직면(15)으로 구성된다. 지지부재(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인 방향으로 제 2 사각요입부(7)를 통하여 연장된 축(17)이 블럭(1)에 착설되어 있다. 암(18)은 짧은 각부(19)와 긴 각부(20)를 갖는 "L"자형 부분과, 긴 각부(20)에 연장된 "U"자형 부분(21)으로 구성된다. 짧은 각부(19)의 단부는 축(17)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암(18)의 긴 각부(20)는 사각요입부(6)의 상부로 연장되고 이에 지지부재(10)의 상부에 위치하는 투공(23)이 형성되어 있다. "U"자형 부분(21)의 하향부분에는 통공(22)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사각요입부(6)의 상부에 위치한다. 스트립(25)은 그 일측단부(26)가 만곡된 "U"자형 부분(21)에 고정된다. 스트립(25)의 하측부와 "U"자형 부분(21)은 상호 접하는 평활한 면을 갖는다. 스트립(25)의 경사단부(27)는 쐐기형으로 경사져 있다. 본문에서 "쐐기형"이라는 용어는 스트립의 상하측부가 상호 쐐기형으로 경사진 것을 의미한다. 이는 스트립의 두께가 감소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두께"의 감소는 높이가 감소된 만곡변부로 인식될 수 있다. 선단부를 그 변부와 함께 쐐기형으로 경사지게 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변부로부터 짧은 거리(예를들어 10mm) 이내로 그 두께가 감소되고 제 2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일정하게 되어 있는 스트립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 1 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스트립(25)의 측변부는 직선형이 아니다. 쐐기형 경사단부(27)로부터 시작하여 이 스트립의 폭이 점차 증가하여 그 중심부에 이르고 타측단부에서는 다시 좁아진다. 이 스트립(25)의 두께는 쐐기형 경사단부(27)에서 약 0.5mm 떨어진 위치에서부터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만약 서류철이 삽입되지 않는다면 이 쐐기형 경사단부는 수직면(15)에 의하여 형성된 변부에 근접한 위치에서 지지부재(10)의 상부면(14)과 접촉하게 될 것이다.
스트립(25)의 상부면에서, 쐐기형 경사단부(27)의 가까이에 요입부가 형성되고 이에 스트립(25)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탄지된 탄편(28)이 배설되어 있다. 축(17)에는 일측단부가 사각요입부(7)의 저면에 접하고 타측단부가 암(18)에 고정되어 이를 하향되게 하는 스프링(30)이 착설되어 있다. 블럭(1)에는 두개의 "L"자형 암(3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긴 각부가 암(18)의 각부(20) 양측으로 연장되고 블럭(1)의 상부면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설되어 있다. 이들 암(31)(32)의 긴 각부와 블럭(1)의 상부면 사이의 거리는 이 장치에서 처리될 수 있는 서류철의 최대두께에 해당한다.
스테플제본서류철(35)로부터 스테플(34)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테플(34)의 만곡된 단부가 하향되게 하여 도면에서 화살표(A)로 보인 바와 같이 서류철을 블럭(1)의 전면방향에서 블럭(1)과 암(18)의 만곡된 "U"자형 부분(21) 사이에 형성된 개방부로 삽입한다. 서류철을 밀어넣을 때에 암(18)은 스프링(30)의 작용에 대하여 상향되면서 축(1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후에 투공(23)을 통하여 눈으로 확인하여 스테플(34)이 스트립(25)의 쐐기형 경사단부(27)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손으로 서류철(35)을 바로 놓이게 한다. 역시 쐐기형 경사단부(27)도 투공(23)을 통하여 보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서류철(35)을 바르게 놓은 경우 스테플(34)의 만곡단부는 요입부(13)와 수직면(15)으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의 요입부내에 위치하게 되며, 스테플(34)의 상부, 즉 크라운부분은 스트립(25)의 경사단부(27)측 전방에 놓이게 된다.
이때에 도면에서 화살표 B로 보인 바와 같이 서류철을 삽입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서류철(35)을 당긴다. 이 과정에서 스테플의 단부는 처음에 상승된 수직면(15)에 걸리고 스테플(25)의 쐐기형 경사단부(27)가 스테플의 크라운부분과 서류철의 상부면 사이로 삽입된다. 그러나 스트립(25)의 단부가 스테플과 서류철 사이에 삽입되지 않고 스테플의 크라운부분에 부딪칠 수도 있다. 그러나 스테플의 단부가 이 순간에 상승된 수직면(15)에 접하므로서 당기는 힘으로 스테플이 기울어지지 않으며 스테플의 크라운부분이 서류철에 대하여 보다 더 밀착될 것이다. 상승된 수직면(15)이 없으면 얇은 서류철로부터 스테플을 제거하는 경우 이러한 얇은 서류철이 스테플이 기울어지는 것에 대한 저항력이 없기 때문에 스테플이 쉽게 기울어질 것이다. 또한 얇은 서류철은 쉽게 찢어질 수 있으므로 수직면(15)이 없는 경우 서류철이 당겨지면 쉽게 찢어지게 될 것이다.
서류철을 계속 당기어 스테플의 크라운부분이 스트립에 닿아 당기어질 때에 상승된 수직면(15)이 약간 높게 되어 있으므로 스테플이 상승된 수직면(15)의 상측으로 당기어진다. 서류철을 계속 당길때에 스트립(25)은 서류철(35)로부터 스테플(34)을 당기어 내고 스테플의 단부는 펼쳐질 것이다. 이와 같이 하므로서 스테플이 서류철로부터 분리될때까지 스테플(34)은 스트립의 상측으로 미끌어져 올라가서 탄편(28)을 하측으로 누르게 될 것이다. 그리고 스테플(34)은 탄편(28)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까지 스테플(34)은 스트립(25)상에 놓여 있고 탄편(28)은 다시 상향하여 서류철을 이 장치로부터 뽑아낼때에 스테플이 쐐기형 단부(27)을 향하여 다시 미끌어져 내려가는 것이 방지된다. 연속적으로 스테플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제거된 스테플은 연속 제거되는 다음이 스테플에 의하여 계속 상측으로 밀려올라가서 스트립의 일측단부(26)에 이르며 여기에서 개방부(22)를 통하여 사각요입부(6)로 구성된 트레이내로 떨어져 수집된다.
수집트레이에 수집된 스테플은 이 장치를 스탠드로부터 분리하여 뒤집으면 간단히 배출될 수 있다. 이 때에 암(28)과 스트립(25)은 하측으로 회전하여 수집된 스테플이 수집트레이 밖으로 거침없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Claims (6)

  1. 서류철과 이에 철하여진 스테플 사이로 삽입되는 선단부를 가지며 이 선단부가 쐐기형으로 경사진 스트립으로 구성되는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에 있어서, 이 장치가 상부면(14)을 갖는 지지부재(10)가 사각형 블럭(1)상에 구비되고 이에 스트립(25)의 쐐기형 경사단부(27)가 상부면(14)에 대하여 거의 20°예각으로 압압되며, 스트립(25)으로 스테플을 제거하기 위하여 지지부재(10)와 스트립(25) 사이로 서류철(35)을 삽입하였다가 다시 서류철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역으로 서류철을 당길 수 있도록 스트립(25)을 지지부재(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사각형 블럭(1)에 착설되는 축(17)과 암(18)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암(18)은 일측단부가 스트립(25)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축(17)에 회전가능하게 착설되며, 축(17)은 스트립(25)이 상부면(14)에 압압되는 위치의 반대측인 상부면(14)의 반대측에 연장되고, 또한 축(17)은 스트립(25)을 벗어난 위치에서 이 스트립(25)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지지부재(10)가 스트립(25)의 쐐기형 경사단부(27) 하측에서 상부면(14)의 고정위치에 배치되고 스트립(25)이 스프링탄력이나 중력으로 지지부재(10)상에 압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3.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상기 암(18)의 "U"자형 일측단부가 스트립(25)에 착설되고 암(18)의 타측단부는 일부가 상부면(14)의 하측으로 연장되게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4. 청구범위 3항에 있어서, 스트립의 상부로 만곡된 부분에서 암(18)에 투공(23)이 형성되어 스트립의 쐐기형 경사단부(27)를 눈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5.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쐐기형 경사단부(27)의 가까이에서 스트립(25)의 상측면에 스트립의 상측으로 돌출된 탄편(28)이 구비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6. 청구범위 2항에 있어서, 스트립(25)의 쐐기형 경사단부(27)가 지지부재(10)의 상부면(14)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서 지지부재(10)에 얕은 요입부(13)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KR1019870015186A 1987-01-16 1987-12-29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KR940011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700094 1987-01-16
NL8700094A NL8700094A (nl) 1987-01-16 1987-01-16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een niet uit een geniete bundel vel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59A KR880008859A (ko) 1988-09-13
KR940011355B1 true KR940011355B1 (ko) 1994-12-07

Family

ID=1984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5186A KR940011355B1 (ko) 1987-01-16 1987-12-29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901981A (ko)
EP (1) EP0279472B1 (ko)
JP (1) JP2669526B2 (ko)
KR (1) KR940011355B1 (ko)
AT (1) ATE63078T1 (ko)
AU (1) AU598334B2 (ko)
DE (1) DE3862593D1 (ko)
DK (1) DK162706C (ko)
ES (1) ES2022586B3 (ko)
NL (1) NL8700094A (ko)
NO (1) NO164461C (ko)
ZA (1) ZA8788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3628A (en) * 1996-01-11 1996-12-10 Xerox Corporation Copying machine having an active staple removing apparatus
GB2437937A (en) * 2006-05-09 2007-11-14 Acco Uk Ltd Staple remover
WO2009060257A2 (en) * 2007-11-09 2009-05-14 Acco Uk Limited Staple remover
JP6834292B2 (ja) * 2016-09-23 2021-02-24 マックス株式会社 ステープル取り外し装置
TWI833978B (zh) * 2019-08-01 2024-03-01 日商美克司股份有限公司 訂書針移除裝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02087A (en) * 1932-12-12 1937-12-14 William G Pankonin Tool for removing staples
US2499432A (en) * 1945-08-27 1950-03-07 Speed Products Company Inc Stapling machine
CH278608A (de) * 1950-02-15 1951-10-31 Marquardt Alwin Heftklammernentferner.
FR1017105A (fr) * 1950-05-04 1952-12-02 Marini & Cie Ets Dispositif pour extraire les agrafes
US2741457A (en) * 1954-03-30 1956-04-10 Robert T Furumizo Staple remover
DE1195269B (de) * 1960-12-28 1965-06-24 Herbin Sa Ets J Auszieher fuer Heftklammern
US3528643A (en) * 1969-04-07 1970-09-15 Whitney K Munson Staple locating and removing device
US3625482A (en) * 1969-11-03 1971-12-07 Charles F Viel Staple remover
US4281445A (en) * 1979-07-05 1981-08-04 Datafile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placement of file folders having fasteners
NL8203543A (nl) * 1982-09-13 1984-04-02 Oce Nederland Bv Kopieerapparaat.
JPS5966249U (ja) * 1982-10-25 1984-05-02 コニカ株式会社 綴じ金具外し器付き複写機
US4513951A (en) * 1984-03-12 1985-04-30 Rogers E Mark Staple rem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75095D0 (no) 1987-12-07
NO164461B (no) 1990-07-02
EP0279472B1 (en) 1991-05-02
NO164461C (no) 1990-10-10
ZA878870B (en) 1988-05-23
DK162706B (da) 1991-12-02
US4901981A (en) 1990-02-20
JPS63180481A (ja) 1988-07-25
DK16488A (da) 1988-07-17
NL8700094A (nl) 1988-08-16
NO875095L (no) 1988-07-18
DK16488D0 (da) 1988-01-14
ATE63078T1 (de) 1991-05-15
ES2022586B3 (es) 1991-12-01
KR880008859A (ko) 1988-09-13
DE3862593D1 (de) 1991-06-06
EP0279472A1 (en) 1988-08-24
JP2669526B2 (ja) 1997-10-29
AU598334B2 (en) 1990-06-21
AU1029288A (en) 1988-07-21
DK162706C (da) 1992-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1355B1 (ko) 스테플제본서류철의 스테플제거장치
JPH045186B2 (ko)
JP7310121B2 (ja) ステープル取り外し装置
US5472238A (en) Paper binder
EP0818324B1 (en) Integral automatic bookbinding unit for binding of documents or the like
WO2004052658A1 (en) A combined document binder and paper punch
JP2005014158A (ja) 穴あけ綴じ具
KR200386933Y1 (ko) 서류철 보조기
JP2003320776A (ja) 背とじクリップホルダ
EP0713787B1 (en) Paper binder
US5253968A (en) Portable book spiner apparatus
JP3049097U (ja) ステープラー
KR200386018Y1 (ko) 서류철 보조기
US1958084A (en) Filing device
KR100617943B1 (ko) 서류철 보조기
JP3038557U (ja) ステープラー
JPH079661Y2 (ja) 簡易製本機用背貼りテ−プ插入器具
KR200386581Y1 (ko) 서류철 보조기
JPH0971079A (ja) 紙葉綴じ具
KR910004172Y1 (ko) 서류철용 찝개
JPH082163A (ja) L字型切込みを設けた台紙の綴じ具
JPS6024611Y2 (ja) 押上げ固定式ピン止めつき中綴じ小冊子用フアイル
AU700199B2 (en) Paper binder
JPH0540943Y2 (ko)
JPS6027025Y2 (ja) パイプ式フア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