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628B1 -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628B1
KR940010628B1 KR1019910020410A KR910020410A KR940010628B1 KR 940010628 B1 KR940010628 B1 KR 940010628B1 KR 1019910020410 A KR1019910020410 A KR 1019910020410A KR 910020410 A KR910020410 A KR 910020410A KR 940010628 B1 KR940010628 B1 KR 940010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chain
support
moto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9895A (ko
Inventor
김재하
Original Assignee
금성산전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산전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금성산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10020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10628B1/ko
Publication of KR930009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9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6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제 1 도는 종래 장치의 일예를 개략도시한 측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를 개략도시한 측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 장치를 개략도시한 정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A"부분 확대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레트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이동대 13 : 체인
14 : 지지대 15 : 클램프핀
16 : 핀 17 : 가이드봉
18, 19 : 로울러 20, 21 : 가이드레일
본 발명은 자동창고 시스템이나 입체형 주차설비 시스템등에 적용될 수 있는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팔레트를 이동시키는 모터의 온, 오프 제어 회수를 줄여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장치가 소형화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제 1 도는 종래에 사용되어온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종래 장치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1)와, 상기 본체의 양측벽에 설치된 다수의 적치선반(2)과, 팔레트(26)가 얹혀지는 이동대(3)와, 이동대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과, 이동대 위에 얹혀진 팔레트를 좌, 우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이동대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본체의 상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스프라켓(5)과, 상기 스프라켓중 어느 하나의 스프라켓의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는 생략함)와, 스프라켓에 연결된 체인(6)으로 구성되며 체인의 일측 끝부분은 이동대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 끝부분은 가이드레일(8)을 따라 이동하는 카운터 중량(7)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를 구동시키면 스프라켓(5)에 연결된 체인(6)이 이동을 함과 동시에 이동대(3)가 승, 하강 운동을 하게 되며, 카운터 중량(7)은 이동대의 이동시 밸런스를 유지시켜 준다.
그리고 팔레트(26)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은 이동대의 하부에 고정된 모터(9)와, 모터축에 고정된 스프라켓(10)과, 이동대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스프라켓(11)과, 각 스프라켓 사이에 연결된 체인(12)(13)으로 구성되며 체인(13)에는 베이스(도시는 생략함)가 고정되고 팔레트는 베이스위에 얹혀진다.
따라서 모터(9)를 구동시키면 그 회전력이 스프라켓(10)과 체인(12)을 통해 스프라켓(11)에 전달되어 체인(13)이 이동을 하게되며, 체인에 고정된 베이스와 팔레트(26)는 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 좌,우로 이동을 하게 된다.
또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물품의 적재시 팔레트(26)위에 물품을 올려놓고 상,하 구동용 모터에 의해 이동대(3)가 승, 하강 운동을 하여 본체(1)에 설치된 다수의 적치선반(2)중 물품을 적재할 소정의 선반보다 약간 상방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어서 모터(9)에 의해 팔레트(26)가 베이스와 함께 이동하여 물품을 해당 선반의 직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물품이 적재 위치로 이동된 후에는 다시 상,하 구동용 모터에 의해 이동대(3)가 하강을 하여 물품이 선반위로 놓여지게 되며, 모터(9)에 의해 후진하여 본체(1)밖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즉, 종래 장치는 이동대의 상승→팔레트의 전진→이동대의 하강→팔레트의 후진이동→이동대의 하강등 5단계의 작동을 거쳐 물품을 적재시키게 되고 취출시에도 역시 상기한 순서에 따라 이동대와 팔레트가 이동하여 제품을 취출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장치는 물품의 적재시 이동대를 적치선반(2)의 정위치 보다 약간 높은 위치까지 상승시킨 상태에서 상,하 구동용 모터를 정지시키고 좌,우 구동용 모터(9)에 의해 팔레트를 본체내로 이동시킨 후 다시 좌, 우 구동용 모터(9)를 정지시키고 상,하 구동용 모터를 하강시켜 주어야 팔레트위에 놓여진 물품이 적치선반위에 얹히면서 팔레트와 분리되며, 물품의 취출시에도 상,하 구동용 모터와 좌,우 구동용 모터를 순차적으로 온,오프시켜 물품을 취출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의 순간적인 온,오프 제어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이는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 본체(1)의 양측벽에 설치된 적치선반(2) 사이의 간격이 베이스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체의 높이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야 하며, 이는 장치의 소형화에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물품의 좌,우 이동용 체인에 가이드 로울러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로울러 수단에 팔레트를 직접 결합,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종래 장치에서와 같은 베이스의 사용을 배제하며, 베이스의 사용이 배제됨에 따라 이동대의 승, 하강 작동 회수의 단축과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질 수 있게 한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제 2 도 내지 제 4 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 3 도는 정면도이다.
본체(1)와 본체 양측벽에 설치된 적치선반(2), 이동대(3)의 상,하 구동수단이 되는 모터(4), 스프라켓(5), 체인(6), 카운터 중량(7), 가이드레일(8), 그리고 팔레트의 좌,우 구동수단이 되는 모터(9), 스프라켓(10)(11), 체인(12)(13)등의 기존 구성은 종래 장치와 같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요지가 되는 가이드 로울러 수단이 설치된 부분의 확대도로서 체인(13)에는 지지대(14)가 핀(16)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에는 클램프핀(15)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로울러 수단은 막대형의 가이드봉(17)과 상기 가이드봉의 양단에 설치된 로울러(18)(19)로 구성되며, 가이드봉(17)의 일측 단부는 지지대와 함께 체인(13)과 핀(16)으로 연결된다.
또 일측 로울러(18)는 이동대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고 다른 일측 로울러(19)는 이동대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에 안내되면서 구름운동을 한다.
제 5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팔레트의 평면도로서, 팔레트(22)의 일측에는 지지대의 클램프핀(15)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의 브라켓(23)이 고정되어 있고 다른 일측의 저면부에는 바퀴(24)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대(14)의 클램프핀(15) 부분이 브라켓(23)에 끼워짐에 따라 팔레트는 지지대와 결합되며, 바퀴(24)는 이동대에 설치된 레일(25)과 구름 마찰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된 본 발명 장치에 의해 물품을 적재 또는 취출하는 작동을 설명한다. 물품을 적재할 때에는 팔레트(22)위에 적재할 물품을 얹어놓고 상, 하 구동수단에 의해 이동대(3)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모터(4)를 구동하면 스프라켓(5)이 회전하면서 체인(6)이 이동을 하고 체인의 일단에 고정된 이동대(3)는 체인의 이동방향으로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대(3)가 상,하로 움직여 물품을 적재할 적치선반(2)과 수평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이르게 되면 모터(4)의 구동은 정지되고 모터(9)가 구동을 하여 팔레트를 본체(1)내로 진입시키게 된다.
즉, 모터(9)가 구동하면 그 구동력이 스프라켓(10)과 체인(12)을 통해 스프라켓(11)에 전달되고 다시 양측 스프라켓(11) 사이에 연결된 체인(13)으로 전달되어 체인(13)이 이동을 하게되며, 체인(13)의 이동에 따라 지지대(14)와 가이드 로울러 수단이 함께 이동하면서 팔레트를 본체에 설치된 적치선반(2)에 적재시키게 되는 것이다.
지지대(14)와 가이드 로울러 수단에 의해 팔레트가 적재되는 작동을 제 4 도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지대(14)가 본체(1)의 외측에 있는 상태에서 체인(13)과 함께 지지대(14)가 이동하면 핀(16)에 의해 체인(13)과 연결된 가이드봉(17)이 함께 이동을 하게되고 이때 가이드봉의 상단에 설치된 로울러(18)는 가이드레일(20)을 따라 구름운동을 하게 되며, 하단에 설치된 로울러(19)는 하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1)에 안내되면서 구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지지대(14)의 클램프핀(15)에 팔레트(22)의 브라켓(23) 부분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대(14)의 이동에 따라 팔레트(22)는 지지대와 함께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팔레트(22)에 설치된 바퀴(24)는 레일(25)에 안내되면서 구름운동을 하여 팔레트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팔레트가 지지대와 함께 이동하여 팔레트가 적치선반(2)위에 얹혀지게 되면 제 4 도의 일점쇄선 도시와 같이 체인(13)과 지지대(14)의 결합 부분이 스프라켓(11)의 원주면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대(14)의 클램프핀(15)은 팔레트(22)의 브라켓(23)에서 빠져나와 지지대(14)와 팔레트(22)가 분리되며, 이렇게 팔레트가 지지대에서 분리된 후에는 모터(9)가 역회전을 하여 지지대(14)를 작동전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 적치선반위에 적재된 팔레트를 취출할때에는 상기한 작동의 역순으로 팔레트를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장치는 이동대의 상승→팔레트의 전진→이동대의 하강→팔레트의 후진-이동대의 하강등 5단계의 작동과정을 거쳐 물품을 적재 또는 취출하는 종래 장치와는 달리 이동대의 상승→팔레트의 전진→팔레트의 후진→이동대의 하강등 4단계의 작동 과정을 거쳐 물품을 적재 또는 취출할 수 있으므로 모터의 온,오프 제어 회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모터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 팔레트를 본체내로 이동시킨 후 이동대를 약간 하강시켜야 팔레트가 적치선반위에 얹혀지는 종래 구조와는 달리 팔레트의 전, 후진 작동만으로 팔레트가 적치선반위에 얹혀지므로 적치선반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되고 본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이동대(3)에 설치된 체인(13)에 클램프핀(15)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대(14)를 핀(16)으로 결합하고 양측 로울러(18)(19)가 있는 가이드봉(17)의 일측 끝부분을 상기 핀(16)에 의해 체인과 결합하여 지지대와 가이드 로울러봉이 함께 이동될 수 있게 하며, 팔레트(22)에는 상기 클램프핀에 끼워질 수 있는 형상의 브라켓(23)을 형성하여 지지대가 체인 구동용 스프라켓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클램프핀이 브라켓에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이드봉(17)에 설치된 로울러(18)(19)가 각각 이동대에 설치된 가이드레일(20)(21)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한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KR1019910020410A 1991-11-16 1991-11-16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KR940010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410A KR940010628B1 (ko) 1991-11-16 1991-11-16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20410A KR940010628B1 (ko) 1991-11-16 1991-11-16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95A KR930009895A (ko) 1993-06-21
KR940010628B1 true KR940010628B1 (ko) 1994-10-24

Family

ID=1932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410A KR940010628B1 (ko) 1991-11-16 1991-11-16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10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977B1 (ko) * 2011-03-03 2011-07-19 이상철 물류창고용 랙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9895A (ko) 199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28316A (e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having an extendible bin extraction mechanism with pop-up tabs
US4010855A (en) Warehouse system with pan transfer apparatus
AU603046B2 (en) Mechanised storage system
US4566838A (en) Accumulator pan transfer device
JPS6331908A (ja) スタツカクレ−ンのキヤリツジ
CN220376286U (zh) 货叉装置及搬运机器人
CN111115072A (zh) 自动化仓库及其进行存取货物的方法
KR940010628B1 (ko) 물품 자동적재 및 취출장치
JPH11292214A (ja) 棚詰装置
JPH0674659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H0810568Y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002356205A (ja) 自動倉庫及びその移載装置
CN114291468A (zh) 便携式高自由度搬运机器人
JP2973817B2 (ja) 自動倉庫用の出し入れ装置
JP2906310B2 (ja) 多段式回転棚用荷の移載機
CN220300329U (zh) 一种自动搬运拣货机器人货叉
JP3386363B2 (ja) 物品移載装置
CN218143638U (zh) 搬运机器人、货架和仓储设备
JP2870338B2 (ja) 搬送及び格納棚装置
JPH0514096U (ja) スタツカクレーンの昇降台昇降装置
JPH04341404A (ja) 自動倉庫
JPS606845B2 (ja) スタツカ・クレ−ン用フオ−ク
SU1146240A1 (ru) Перегруз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еллажных складов
JP3092493B2 (ja) 自動倉庫
JPH082616A (ja) 自動倉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